황실 및 왕실의 구성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직계 남성 | 배우자 | 직계 여성 | 기타 |
퇴위한 명예군주 | 태상황/태상왕 | 태상황후/태상왕비 | - | 태황태후/대왕대비 | |
퇴위한 군주 | 상황/상왕 | 상황후/상왕비 | - | - | |
군주 | 황제/왕 | 황후/왕비 | 여제/여왕 | 황태후/왕대비 (국장/국구),국태부인 국서 | |
군주의 궁인 | 환관/내시 | 후궁 | 상궁 | 남총 | |
군주의 후계자(자녀) | 황태자/왕세자 | 황태자비/왕세자빈 | 황태녀/왕세녀 | 부마 | |
군주의 자녀 | 황자/왕자 | 황자비/왕자비 | (공주,황녀)/(공주,옹주) | 부마/의빈 | |
군주의 후계자(형제) 군주의 후계자(손자) 군주의 형제 군주의 장남,장손 군주의 친부 군주의 숙부모 | 황태제/왕세제 황태손/왕세손 황제(皇弟)/왕제(王弟) 원자,원손 대원왕/대원군 황숙(皇叔)/왕숙(王叔) | 대원비/부대부인 | 장공주 대장공주 | - | |
● 중국(-3C ~ 20C 초) | 황제 황태자 친왕,군왕 |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군왕비 | 공주,군주,현주 | 황태후 부마 | |
왕->국왕 태자->세자 공(公),군(君) | 왕후->왕비 태자비->세자비 공비(公妃),군비(君妃) | 왕녀->공주 | 태후 부마 | ||
● 조선 | 임금 세자 대군,군(君) | 왕비 세자비 부부인,군부인 | 공주,옹주 | 왕대비 부원군,부부인 부마->의빈 | |
● 일본 | 천황 황태자 친왕,왕 |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왕비 | 여성 천황 내친왕,여왕 | 황태후 | |
● 영국 | 왕 웨일스 공 HRH Prince | 왕비 웨일스 공비 공작부인 | 여왕 HRH Princess | Queen+이름 Prince+이름 | |
각 항목에는 가장 대표적인 용어 하나만 표기하며, 황실과 왕실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다를 경우 '/' 기호로 구분한다. 두 단어가 밀접한 관계에 있거나 각기 다른 서열과 지위를 가질 경우 ',' 기호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 |||||
-기호 또는 빈칸은 동아시아 황실/왕실 체제에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거나 관련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당시에는 이러한 경우 특별한 호칭 없이 이름이나 관직명을 사용했다. 그러나 본 틀에서는 문헌 기록이 없더라도, '왕세녀', '국서'처럼 근현대에 새롭게 자리잡은 번역어의 경우 포함해 기재한다. | |||||
별칭이나 그 외 나라의 용어는 황실/왕실 용어 및 별칭 표를 참고. |
1. 개요
HRH(His/Her Royal Highness)는 영국과 일부 유럽 왕실에서 사용하는 경칭으로 His Royal Highness는 남성, Her Royal Highnesss는 여성을 지칭한다. 주로 국왕의 자녀, 친손주에게 부여되며 공식 문서, 행사, 연설 등에서 사용된다.2. 부여 기준
2.1. 영국
- 왕의 자녀, 친손주, 왕세손의 자녀에게 부여한다.
- 찰스 3세는 태어날 당시 국왕의 외손주였기 때문에 HRH 경칭과 Prince 작위를 가질 수 없었으나 조지 6세의 특명에 따라 HRH 경칭과 Prince 작위를 받았다. 이는 당시 찰스의 어머니 엘리자베스 2세가 추정상속인 신분으로, 왕위 계승이 확실시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1] 마찬가지로 찰스의 여동생 프린세스 로열 앤도 HRH 경칭과 Princess 작위를 받았다.
- 다이애나 스펜서, 사라 퍼거슨은 각각 찰스 3세, 요크 공작 앤드루 왕자와 이혼하며 HRH 경칭을 잃었다.
- 루이즈 마운트배튼윈저와 제임스 마운트배튼윈저는 엘리자베스 2세의 친손주이지만 부모의 뜻에 따라 HRH 경칭을 사용하지 않는다.
- HRH 경칭은 왕의 자녀, 친손주, 왕세손의 장남만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엘리자베스 2세는 왕세손의 모든 자녀가 HRH 경칭을 사용하도록 법을 개정하였다. 이는 당시 왕세손비이던 웨일스 공비 캐서린이 맏이를 임신했을 때 여자아아가 태어날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기존의 법을 따르면 왕세손의 첫째가 여자이고 둘째가 남자일 때 미래에 여왕이 될 첫째는 HRH 경칭이 없으나 둘째는 HRH 경칭이 있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캐서린의 첫째는 남자였으나 이로 인해 웨일스의 샬럿 공녀와 웨일스의 루이 공자는 국왕의 증손주일 때도 HRH 경칭을 사용하였다.
- 왕실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서식스 공작 해리 왕자와 메건 마클은 HRH 경칭을 보유하나 사용하지 않는다.
3. 이외의 호칭
번역어이기 때문에 동양식 호칭과는 일대일 대응이 되지 않으며, 주로 전하로 번역되는 호칭은 다음과 같다.- Your Imperial Highness - 황족에 대한 존칭
- Your Grand Ducal Highness - 대공 부부와 대공세자 부부를 제외한 대공가 구성원들에 대한 존칭[2]
[1] 당시 영국 왕실은 아들 우선 상속법을 적용하고 있어 확정상속인이 아닌 추정상속인이였으나 엘리자베스 2세의 동생은 마거릿 공주뿐이었다.[2] 단, 룩셈부르크의 경우 샤를로트 여대공이 프랑스와 스페인의 왕가였던 부르봉 가문의 이탈리아계 분가인 부르봉-파르마 가문의 펠릭스 공자와 혼인했기에 그 후손들인 현재의 룩셈부르크 대공가 구성원들은 모두 왕족에 대한 존칭인 Royal Highness을 사용한다. 다만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가,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가, 올덴부르크 대공가에선 Prince에 해당하는 Prinz가 아니라 Duke에 해당되는 Herzog를 사용했기 때문인지 이들은 His/Her Highness를 경칭으로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