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15:07:30

OCP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군복에 쓰이는 위장무늬(패턴)}}}에 대한 내용은 [[멀티캠]]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멀티캠#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멀티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군복에 쓰이는 위장무늬(패턴): }}}[[멀티캠]]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멀티캠#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멀티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6001d><tablealign=center><tablebgcolor=#e6001d>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타임지
[[틀:타임지 선정 영화 속 10대 최악의 기업|{{{#ffffff
영화 속 10대 최악의 기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위 2위 3위 4위 5위
웨이랜드 유타니
에이리언
엄브렐라 코퍼레이션
레지던트 이블
OCP
로보캅
인젠
쥬라기 공원
MNU
디스트릭트 9
6위 7위 8위 9위 10위
타이렐 코퍼레이션
블레이드 러너
인걸프 & 대버
무성 영화
사이버다인 시스템즈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이니테크
뛰는 백수, 나는 건달
소일렌트 코퍼레이션
소일렌트 그린
}}}}}}}}} ||


Omni Consumer Product[1]

1. 개요2. 오리지널 3부작
2.1. 오리지널의 주요 인물
3. 2014년 리부트
3.1. 리부트의 주요 인물
4. 여담

1. 개요

1980~90년대 클래식판과 2014년 리메이크판 로보캅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공의 기업이자 만악의 근원이다.[2][3]

2. 오리지널 3부작

파일:external/i1310.photobucket.com/OCP-Tshirt-Logo_zps5bc5aa7c.jpg
OCP 회사 로고
사명의 두문자를 구성하는 로마자 O, C, P를 팔각형 형태로 조형한 뒤 차례대로 앞문자 안 속으로 뒷문자를 집어 넣고 마지막 P의 왼쪽 획은 이를 가로질러 내려가는 구성이다.

파일:external/img.photobucket.com/snapshot20090720170148.jpg
파일:external/albaciudad.org/robo2cop2036.jpg
OCP 디트로이트 본사[4]
파일:external/bulk.destructoid.com/111093-209572-RobocopBoardFulljpg-620x.jpg
사내 회의실의 OCP 이사들
우리는 군대나 다름없다네.
(We practically are the military.)
딕 존스, 클래런스 보디커가 로보캅을 파괴하고자 강력한 파괴력을 가진 군용무기를 요구하자 자사에서 개발한 코브라 어썰트 캐논을 건네주며.
로보캅 시리즈 작중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의 만악의 근원으로 작중 설정상 미국 최대의 다국적 대기업이다.

회사 이름에 Consumer Product(소비자 제품)가 들어가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주요 사업 분야는 식료품과 건설 등으로, 자동차 공업의 몰락으로 파산해가는 디트로이트를 인수하여 델타 시티 건설을 통해 큰 돈을 벌어들이려고 한다. 또한 작중 미국내에서 손꼽히는 군수업체[5]이기도 하다. 1편 당시 델타 시티 건설 계획을 6개월 앞둔 상태였고, OCP는 도시개발에 가장 큰 걸림돌로 근로자 보호를 위한 치안유지를 걱정했는데, 시의 부채 감축을 위해 축소한 임금과 복지로 인한 경찰 노조의 파업을 우려하는 한편으로 경찰력을 보충할만한 정책으로 등장한 것이 리차드 "딕" 존스의 ED-209였다. 하지만 ED-209의 결함과 함께 그 자리를 로버트 "밥" 모튼이 치고 들어왔고, 머피의 사망과 맞물려 로보캅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그러나 하는 일마다 사건의 연속이라 작중 시민들의 입장이나 관객의 평가로나 한결같이 욕 먹고 있다. 그 영향으로 재정도 열악해진 것인지 3편에서는 일본 기업에 인수된 것으로 나온다.

3편에서는 'OCP : Oppressive Capitalist Pigs, 즉 '탄압적인 자본주의의 돼지들'이라 벽에 쓰여진 말장난 낙서가 등장한다.

델타 시티 건설도 이런저런 문제로 몇 년 정도 계속 미루어진다. 결국 3편에서는 상황이 급해졌는지 리해브를 동원해 강제철거에 나섰다가…[6]

파일:external/heavyarmor.files.wordpress.com/ocp-kaboom.jpg
주식 대폭락과 함께 본사가 폭파되면서 완전히 파산한다. 본사 근처에 있던 델타 시티 공사장도 함께…
파일:external/www.imfdb.org/Robocop_3_OCP_guard.jpg
UZI 기관단총으로 무장한채 사옥 주변를 순찰하는 OCP 경비원
파일:external/pics.imcdb.org/snap1213.jpg
OCP 소속 장갑차. 오른쪽의 인물은 디트로이트 경관 앤 루이스.
2편에서는 정모근무복을 착용한 경비원과 Dragoon 300 장갑차가 나온다. 이 장갑차는 루이스가 폭주하는 로보캅-케인을 박을 때 사용하며, 3편에서도 포탑이 장착된 버전이 등장한다.

2.1. 오리지널의 주요 인물

I had to kill Bob Morton because he made a mistake. Now it is time to erase that mistake.
"나는 밥 모튼을 죽여야 했어. 그가 실수를 저질렀기 때문이지. 이제는 그 실수를 만회할 차례야."
I had a guaranteed military sale with ED 209 - renovation program, spare parts for twenty-five years! Who cares if it worked or not?
"전 ED 209으로 혁신적인 프로그램과 25년간 쓸 수 있는 예비부품으로 군용 판매를 보장받았습니다! 효과가 있든 없든 누가 상관이나 하겠습니까?"
딕 존스가 어떤 인간인지를 단적으로 함축한 대사

배우는 로니 콕스. 일본판 더빙 성우는 나카무라 타다시(TV 아사히판), 오오키 타미오(VHS판), 나카타 카즈히로(DVD판).

1편의 메인 빌런이자 최종 보스. 본명은 리처드 존스이며 OCP의 사장이다. 같은 회사 중역인 로버트 모튼, 도날드 존슨과 경쟁하고 있다. 델타 시티를 만들어 그 이권을 차지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이를 위해 클레런스 일당과 손을 잡았다. 도시의 치안을 강화하기 위한 위한 로봇 경찰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뒤로는 다수의 경관을 살해한 흉악범과 붙어먹고 있었다는 점에서 애초에 치안과 시민의 안전 따위는 안중에도 없음을 알 수 있다.

야심차게 추진하던 ED-209가 실패로 돌아가자 회사 내 라이벌인 로버트 모튼을 자신의 부하인 클레런스 보디커를 시켜서 죽였고, 클레런스와 자신이 연관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로보캅이 체포하러 오자 OCP 임원을 체포하지 못하도록 은밀히 심어둔 안전장치인 지령 4(Directive 4)를 발동해서 로보캅을 행동불능으로 만들고 ED-209와 중무장시킨 클레런스 일당을 이용해 로보캅을 제거하려 한다.

최후반부에서는 로보캅이 OCP 회의장까지 들이닥쳐 모튼의 죽음을 사주하고 로보캅마저 없애려 한 딕 자신의 범죄행위를, 로보캅이 처음 체포하러 왔을 때 그 앞에서 떠들던 걸 로보캅이 녹화해 둔 동영상을 틀어 만인앞에 모두 까발리자 회장을 인질로 잡고[13] 지령 4를 방패막이 삼아 달아나려 했다. 하지만 회장이 기지를 발휘하여 로보캅이 들을 수 있을 정도로 크게 "딕! 자넨 해고야!(You're fired!)"를 외치며[14] 팔꿈치로 복부를 치는 바람에 회장을 놓쳤고, 즉석에서 해고됨과 동시에 지령 4의 보호 대상에서 제외당해 로보캅의 총을 수 차례나 맞고도 용케 살아있었지만 결국 몸을 가누지 못해 뒤로 쓰러지며 OCP 건물 창 밖으로 추락해 사망했다.
파일:딕존스추락.gif
그의 추락사 장면을 보면 왜인지 스턴트맨 같은 대역을 쓰지 않고 스톱모션 기법으로 연출했는데, 사람이 아니라 인형이란게 티나서 상당히 기괴하다.(...) 외국 팬덤에서도 이 장면만큼은 이질감이 심하다는 말이 꼭 나온다.

* 로버트 "밥" 모튼
파일:external/veuwer.com/36da.jpg
배우는 미겔 페레.[15] 애칭은 .[16] 일본판 더빙 성우는 토미야마 케이(TV 아사히판), 나야 로쿠로(VHS판), 고토 아츠시(DVD판).

OCP의 중역으로 알렉스 머피로 로보캅을 만든 장본인. 사실 공익이나 범죄예방엔 전혀 관심없고 오로지 자신의 야심을 위해 로보캅을 만들었다. 로보캅 프로젝트의 성공 이후 승승장구하여 부사장까지 오르지만 딕 존스를 완전히 무능하고 쓸모없다고 무시하다 화를 자초한다. 딕 존스와 같은 악당은 아니지만, 회장과 마찬가지로 효율만 중시하는 인물이다. 머피가 로보캅으로 부활하는 과정에서 머피 원래 팔은 비교적 멀쩡하여 남길 수 있다고 하는데도 구태여 자르고 로봇팔을 붙이라고 하는데서 잘 나타난다.[17]

OCP 인물이 다 그렇듯이 절대로 착한 인물은 아니며[18] 자택에서 모델 두명과 마약을 흡입하던 중에 딕 존스의 사주를 받은 클라렌스 보디커에 의해 피습, 비굴하게 목숨을 구걸하지만 무시당하고 수류탄으로 폭살당한다.

3. 2014년 리부트

파일:external/scifimafia.com/RoboCop-OmniCorp-Logo-wide-560x282.jpg
OmniCorp
We've Got the Future Under Control
파일:external/1.bp.blogspot.com/rob+19.png 파일:external/www.imcdb.org/i676042.jpg 파일:external/www.aceshowbiz.com/robocop-viral-campaign-has-omnicorp-promoting-city-with-no-crime.jpg





OCP는 언급만 되며, 그 부속회사인 옴니코프가 등장한다.[27] OCP내에서 로봇기술과 군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경비는 자사의 전투로봇과 소화기로 무장한 사병부대가 지키고 있다.

3.1. 리부트의 주요 인물

파일:external/borgdotcom.files.wordpress.com/michael-keaton-in-robocop.jpg
옴니코프의 CEO. 배역은 마이클 키튼. 드레이퓨스 법안을 폐기시켜 사업을 확장하려 한다.
로보캅 프로젝트 책임자이자 개발자. 배역은 게리 올드만.
파일:external/24.media.tumblr.com/tumblr_mzv8p7tPzC1t1wyzko1_1280.jpg
로보캅 프로젝트 개발자, 데넷 노턴의 조수. 배역은 에이미 가르시아. 캐릭터는 아시아계 미국인인데 정작 배우는 라틴계.
파일:external/www.imfdb.org/RC14HK452.jpg
옴니코프 소속의 전투로봇 담당자. 배역은 13일의 금요일 리메이크판의 프레디 크루거와 왓치맨 실사영화판의 로어셰크로 유명한 "재키 얼 헤일리".
옴니코프의 법무담당자. 배역은 제니퍼 엘.
옴니코프의 마케팅 담당자. 배역은 제이 바루첼.

4. 여담



[1] 2023년에 발매된 로보캅: 로그 시티에서는 '옴니 소비자 제품'으로 번역되었다.[2] 다만 OCP가 분명 만악의 근원이고 최악의 기업인 건 맞지만 원조 로보캅 시리즈에서 3편을 제외하면 OCP가 악역은 아니다. 1편과 2편에서는 어디까지나 OCP의 일부 폭주한 직원이 악역이었고 어차피 OCP가 없더라도 디트로이트가 현실과 마찬가지로 막장인건 변함이 없다.[3] 2014년 리부트판에서는 그냥 악역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애당초 OCP의 이런 신자본주의적 요소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단순한 악역으로만 묘사했기 때문에 리부트판은 원작에 비해 그리 평가가 좋지 못한 편.[4] 첫번째 사진 속 건물은 사실 미국 텍사스의 댈러스 시청사를 기반으로 고층 빌딩인 것 처럼 보이도록 합성한 것이다.[5] 작중 ED-209, 브레들리 장갑차, F-4, F-14, F-15 전투기 등이 OCP 제품으로 나온다.[6] 이 과정이 꽤나 어처구니가 없는데, 디트로이트 경찰들이 자신들을 철거반으로 동원하려는 OCP에 항명하여 단체로 배지를 반납하고 경찰서를 나가버리자, 대신 뒷골목 갱단 스플래터펑크의 조직원들을 철거반으로 채용해 버린다. 계획을 위해서라면 수단을 가리지 않겠다는 극단적인 면이 드러나는 부분.[7] 등장인물들은 그저 'Old Man'이라고 부를 뿐이고 크레딧의 스태프 롤에서도 그렇게 나온다. 심지어 비디오게임 로보캅: 로그 시티에서는 인트로의 뉴스 장면에서 디트로이트 시의 범죄율 증가에 대한 OCP 측의 입장 표명을 할 때도 어째 그의 직함(Chairman & CEO)만 표시되고 이름은 나오지 않을 정도이다.[8] 개발진이 시제품에 실탄과 살상무기를 주는 버릇은 3편까지 쭉 이어진다. 일종의 개그 요소.[9] 머피도 오랜만에 사람 취급을 받자 은근히 좋아하는 표정을 짓는다. 분명 최고 책임자 악인인데도 머피로부터 이런 반응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CEO 자리에 오를만한 인물임을 보여주었다.[10] 회장의 행적은 2편과 3편 사이의 이야기를 다루는 게임 로보캅: 로그 시티에서 밝혀진다.[11] 악인들에게 당해서 부활, 후반부에 물 위를 걸어오는 연출이 바로 그것이다.[12] 딕은 리처드의 약칭으로 쓰인다.[13] 감정 표현을 거의 안 하는 로보캅조차 딕의 인질극은 의외였는지 화들짝 놀라는 몸짓을 보인다.[14] 이 해고 대사는 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 6부작의 마지막 편에서 차용된다.[15] 조지 클루니의 사촌이다. 아이언맨3의 부통령으로 출연하기도 했으며 2017년 1월 후두암으로 사망.[16] 보통 밥(Bob)이라는 애칭은 로버트(Robert)의 애칭으로 많이 쓰인다. 예를 들면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애칭도 이다.[17] 재밌게도 2014의 로보캅 리부트 작에서는 비록 팔은 없어져 몸통과는 분리되긴 했지만 멀쩡한 오른손을 그대로 이식한다.[18] 바로 조금 전까지 대화를 나누던 직장동료가 ED-209의 실험 실패로 눈앞에서 육편이 되어 처참하게 죽었는데도 눈 하나 깜짝 안하고 오히려 그 일을 기다렸다는 듯이 자신의 승진을 위한 좋은 기회로나 여기는 비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준다.[19] 1편의 사장 딕 존스와 부사장 로버트 모튼처럼 서로 싫어했다.[20] 설정상 로보캅은 뇌와 척수만은 생체부분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식사를 하여 영양분을 섭취한다. 주로 형태의 영양식을 섭취하한다. 일단은 사람이 먹을 수 있게 만들었기에 존슨은 이유식 맛이라는 평을 한다.[21] 에어울프의 첫 에피소드에서 스트링펠로 호크의 연인 가브리엘 역을 맡은 바 있다. 1990년대 중반에 연기에서 은퇴하고 심리학자로 지내고 있다.[22] 이때 로보캅이 하는 짓을 보면 폐인보다 고문관쪽…목소리도 꽤나 유쾌해진다.[23] 같은 KBS에서 방영한 영화 의혹에서도 브래들리 휘트포트의 배역을 연기했다.[24] 로보캅의 의식이 나오는 장면에서 여성의 모습이 3번 나오는데 처음에 아내, 두번째는 죽은 동료인 루이스, 세번째로 라자러스의 모습으로 변한다.[25] 수리과정에서 항상 머피를 옭아매었던 족쇄같은 4번 조항(OCP 직원에 대항 금지)을 삭제함으로써 머피가 자유롭게 OCP 직원을 후려팰수 있게 된다. 니코가 머피가 고맙다고 전해달라는 말을 해준다.[26] 본인이 직접 설계, 제작을 했는데 완성은 못했었다.[27] 원작의 OCP BI에서 P 부분이 빠져있다는 차이가 있다.[28] 참고로 한국에서는 건축법 제2조 제19호에 따라 "고층 건축물"이란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건축물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