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02:24:27

금호고속/노선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금호고속
파일:금호아시아나 CI_영문.svg파일:금호아시아나 CI_영문 화이트.svg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54A51> 운송 <colbgcolor=#fff,#191919><colcolor=#373a3c,#ddd>금호고속 | 금호익스프레스 | 금호고속관광(경기) | 금호목포시내
건설 금호건설 | 금호AMC | 충주보라매
서비스 금호문화재단 | 금호아트홀 | 금호미술관
죽호학원 금호중앙중학교 | 금파공업고등학교 | 금호고등학교 (축구부) | 금호중앙여자고등학교
과거 계열사
분리·독립 금호석유화학그룹 | 금호전기 | 모빌코리아윤활유 | 삼양여객 | 삼화고속
매각 광주제2순환도로 | 금호렌터카 | 금호생명 | 대한통운 | 대우건설 | 금호종합금융 | 금호타이어 | 금호리조트 | 금호고속관광(서울) | 금호고속관광(전남) | 금호속리산고속 | 유·스퀘어 | 아시아나항공 | 에어부산 | 에어서울 | 아시아나에어포트 | 아시아나IDT | 아시아나세이버 }}}}}}}}}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KOBUS) 회원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금호고속 CI.svg
파일:동부고속 로고.svg
파일:동양고속 로고.svg
파일:중앙고속 로고.svg
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파일:속리산고속 로고.svg
파일:삼화고속 로고.svg
파일:천일고속 로고.svg
파일:한일고속 로고.svg
속리산고속 삼화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파일:대원고속 로고.svg
파일:코리아와이드 경북 로고.png
파일:충남고속.jpg
대원고속 경북고속
출처: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 회원사 현황 페이지
}}}}}}}}} ||

1. 개요2. 일러두기3. 운행 지역4.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5. 중장거리 시외버스 운행계통6. 전남권 시외버스 운행계통7. 남도한바퀴 노선8. 기타 특수 노선9. 통근/셔틀버스10. 인가는 보유하고 있으나, 개통하지 않은 노선11. 과거 운행 노선
11.1. 운행 중단된 노선11.2. 폐선된 노선11.3. 금호고속만 철수한 노선11.4. 타 업체로 이관된 노선

1. 개요

금호고속의 고속/시외버스, 남도한바퀴 관광버스, 그리고 고정적으로 운행하는 통근버스 현황을 정리해 놓은 문서이다.

2. 일러두기

[1팀] = 1팀 운행 노선
[2팀] = 2팀 운행 노선

3. 운행 지역

파일:금호고속 CI.svg
금호고속의 현재 운행 지역
2025년 1월 기준
<colbgcolor=#454a51><colcolor=#fff> 서울특별시 서울경부 · 센트럴시티(서울호남) · 동서울 · 서울남부
인천광역시 인천국제공항 · 인천
경기도 성남 · 수원 · 오산 · 안성 · 부천 · 시흥 · 안산 · 의정부 · 구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 · 영월
대전광역시 대전복합 · 대전청사 · 유성고속
세종특별자치시 세종
충청북도 청주고속
충청남도 천안 · 공주 · 논산 · 연무대 · 당진 · 서산
대구광역시 동대구 · 서대구(고속) · 대구서부
경상북도 포항(고속) · 포항(시외) · 경주(고속) · 경주(시외) · 구미
부산광역시 부산종합(노포동) · 서부산(사상) · 김해공항 · 해운대 · 동래
울산광역시 울산고속 · 울산시외
경상남도 내서 · 마산고속 · 창원 · 진해 · 김해 · 통영 · 고현 · 장승포
광주광역시 광주(유·스퀘어)
전북특별자치도 전주고속 · 전주시외 · 군산고속 · 군산시외 · 김제 · 남원 · 익산
전라남도 목포 · 순천 · 여수 · 광양 · 동광양 · 구례 · 나주 · 영산포 · 나주혁신도시 · 함평 · 무안 · 무안국제공항 · 해제 · 지도 · 임자(대광) · 청계(목포대) · 남악 · 영암 · 삼호 · 진도 · 진도항 · 해남 · 우수영 · 녹진 · 땅끝 · 장흥 · 회진 · 강진 · 마량 · 고금 · 당목 · 완도 · 고흥 · 녹동 · 장성 · 화순 · 능주 · 옥과 · 벌교 · 보성 · 영광 · 법성포 · 홍농
해외 베트남 하노이 · 박닌 · 하이즈엉 · 꽝닌 · 하롱베이 · 호치민 · 판티엣 · 나트랑(냐짱) · 깜라인 · 바리어-붕따우 · 베트남 끼엔장
캄보디아 프놈펜
기타 · 굵은 글씨: 주요 터미널
· 해외 노선은 베트남 삼코 그룹과 협력하여 합작한 자회사 금호삼코 버스라인(호치민)/Kumho Việt Thanh(하노이)에서 운행한다.
· 현재 운행하지 않는 지역은 표기하지 않았음.


4.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1. 고속버스 전산망을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했던 노선에 한정한다. 고속전산에서 시외전산으로 이관된 노선은 [시외전산]표기를 했다.
  2. 더불어,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고속버스 노선도 같이 작성하였다.

5. 중장거리 시외버스 운행계통

금호고속 2팀의 광주, 전남지역을 벗어나는 중장거리 시외버스 운행계통이다. 광주기점의 경우, 고속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고속버스전환시외 노선은 제외하였고,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에 한하여 서술하였다.

6. 전남권 시외버스 운행계통

광주/전남지역 내부만 운행하는 시외버스 운행 계통이다.

7. 남도한바퀴 노선

8. 기타 특수 노선

9. 통근/셔틀버스

10. 인가는 보유하고 있으나, 개통하지 않은 노선

11. 과거 운행 노선

11.1. 운행 중단된 노선

11.2. 폐선된 노선

11.3. 금호고속만 철수한 노선

11.4. 타 업체로 이관된 노선



[1팀] [2팀] [1팀] [2팀] [비아동] 비아동에서 왕복 승하차가 가능한 노선[비아하차] 비아동에서 하차가 가능한 노선[운암하차] 운암동에서 하차가 가능한 노선[행선지] 편도운행[협정차량] [문화동] 일부 시간대 광주행 한정 발권 가능[운암동] 일부 시간대 광주행 한정 발권 가능[진월동] 일부 시간대 광주행 한정 발권 가능[우산동] 일부 시간대 광주행 한정 발권 가능[시외전산]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한다.[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2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2팀] [2팀] [1팀] [2팀] [1팀] [2팀] [1팀] [1팀] [49] 노선 인가는 덕과(월평) 경유로 되어있으나, 실제로 경유하진 않는다.[1팀] [1팀] [1팀] [1팀] [비아동] [1팀] [비아동] [2팀] [1팀] [비아동] [1팀] [비아동] [1팀] [비아하차] [1팀] [비아동] [1팀] [비아동] [1팀] [비아동] [1팀] [비아동] [1팀] [1팀] [운암하차] [1팀] [운암하차] [1팀] [2팀] [운암하차] [2팀] [2팀] [2팀] [2팀] [운암하차] [2팀] [운암하차] [1팀] [1팀] [2팀] [2팀] [시외전산] [2팀] [시외전산] [2팀] [2팀] [2팀] [2팀] [2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2팀] [1팀] [2팀] [2팀] [1팀] [2팀] [2팀] [2팀] [1팀] [1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시외전산] [1팀] [1팀] [1팀] [2팀] [시외전산] [136] 일 2회 나주 연장운행[전환시외] [전환시외] [전환시외] [전환시외] [전환시외] [세종청사행] 편도운행 : 공휴일이 아닌 월요일에만 편도로 운행[1팀] [1팀] [진도행] 편도운행[문화동] 일부 시간대 광주행 한정 발권 가능[운암동] 일부 시간대 광주행 한정 발권 가능[동광양행] 편도운행[제일병원] 여수제일병원 하차 시 여수터미널로 발권 후 하차해야 한다.[문화동] 일부 시간대 광주행 한정 발권 가능[문화동] 일부 시간대 광주행 한정 발권 가능[당목행] 편도운행[고금행] 편도운행[광주행] 편도운행[우산동] 일부 시간대 광주행 한정 발권 가능[진도행] 편도운행[협정차량] KD운송그룹의 공동운수협정차량으로 운행[환승] [환승] [환승] [환승] [환승] [1팀] [협정차량] [협정차량] [협정차량] [167] 기존에 존재했던 인가이긴 하나 운행 구간이 변경되었고, 최근 운임변경 신고 관련 공문이 올라온 바 있어 해당 분류에 서술하였음.[1팀] [1팀] [2팀] [1팀] [2팀] [1팀] [2팀] [2팀] [1팀] [1팀] [1팀] [1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1팀] [2팀] [1팀] [1팀] [1팀] [1팀] [1팀] [2팀] [2팀] [1팀] [1팀] [1팀] [1팀] [1팀] [1팀] [2팀] [1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22] 최근 여수 - 당진 노선의 운임요금 변경신고 관련 공문이 올라온 바 있다. 정보공개포털에서 '여수 당진'을 검색하면 해당 문서가 있음을 알 수 있다.[2팀] [2팀] [2팀] [1팀] [1팀] [2팀] [1팀] [1팀] [2팀] [2팀] [2팀] [2팀] [2팀] [2팀] [중앙] 중앙고속으로 이관[1팀] [중앙] [1팀] [한일] 한일고속으로 이관[1팀] [한일] [1팀] [대원] 대원고속으로 이관[1팀] [동양] 동양고속으로 이관[1팀] [삼화] 삼화고속으로 이관[1팀] [동양] [1팀] [동양] [1팀] [대원] [1팀] [동양] [1팀] [동양] [1팀] [동양] [1팀] [경기] 경기고속으로 이관[1팀] [중앙] [1팀] [천일] 천일고속으로 이관[1팀] [천일] [1팀] [천일] [1팀] [천일] [1팀] [삼화] [1팀] [금아] 금아 계열사로 이관되면서 경주시외터미널 출발로 변경[1팀] [금아] [1팀] [광우] 광우고속으로 이관[2팀] [광우] [2팀] [동광] 동광고속으로 이관[2팀] [동광] [2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7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