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저메키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역대 휴고상 시상식 | ||||||
| |||||||
최우수 드라마틱 프리젠테이션 | |||||||
제35회 (1988년) | → | 제36회 (1989년) | → | 제37회 (1990년) | |||
프린세스 브라이드 | → |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 | → | 인디아나 존스와 최후의 성전 | |||
역대 새턴상 시상식 | |||||
| |||||
판타지 영화상 | |||||
제15회 (1987년) | → | 제16회 (1988년) | → | 제17회 (1989/90년) | |
프린세스 브라이드 | → |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 | → | 사랑과 영혼 | |
}}} |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 (1988) Who Framed Roger Rabbit | |
<nopad> |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장르 | 드라마, 코미디, 미스터리, 가족 |
감독 | 로버트 저메키스 |
각본 | 제프리 프라이스 피터 S. 시먼 테드 오스본 알 탈리아페로 |
원작 | 게리 K. 울프 - 소설 《Who Censored Roger Rabbit?》 |
제작 | 알란 듀허스트 돈 한 캐슬린 케네디 프랭크 마셜 스티브 스타키 로버트 와츠 스티븐 스필버그 |
주연 | 밥 호스킨스 크리스토퍼 로이드 찰스 플라이셔 스터비 케이 조안나 캐시디 |
촬영 | 딘 컨디 |
편집 | 아서 슈미트 |
음악 | 앨런 실베스트리 |
미술 | 로저 케인 엘리엇 스콧 |
의상 | 조애나 존스턴 |
제작사 | |
수입사 | |
배급사 | |
개봉일 | |
스트리밍 | Disney+ ▶ |
상영 등급 |
1. 개요
1988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 계열의 영화 제작사 터치스톤 픽처스와 스티븐 스필버그의 앰블린 엔터테인먼트가 공동 제작한 실사와 애니메이션의 하이브리드 영화로 미국 애니메이션의 황금기라 불리는 1930~60년대에 대한 오마주 성격이 강하다. 장르는 코미디, 범죄로 주연은 밥 호스킨스가 맡았다. 작중 배경은 1947년의 로스앤젤레스다. 미국 영화평론가들이 선정한 죽기 전에 봐야될 영화 1001편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제61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편집상, 음향편집상, 시각효과상, 특별공로상을 수상했고 촬영상, 미술상, 음향효과상 후보작으로 선정되었다.
2. 예고편
<nopad> |
예고편 |
<nopad> |
25주년 블루레이 예고편 |
3. 시놉시스
미키 마우스, 도날드 덕, 데피 덕, 벅스 버니 등의 만화 캐릭터들은 자신들만의 거주지인 툰 타운에서 살고 있다. 영화의 시작은 1947년 마룬 스튜디오의 작품 <뭐가 타는데(Something's Cookin')>(Raoul J. Raout 감독)가 화면에 나타난다. 주인공인 로져 래빗은 위험한 부엌을 휘젓고 다니면서 찔리고, 구워지고, 감전되다가 결국 냉장고가 머리에 떨어지는데 그때 감독 조엘 실버(Joel Silver)이 "컷"하고 촬영을 중단시킨다. 로져가 대본을 잊어버리고 충격의 여파로 눈앞에 별이 오가는 대신 새들을 보았기 때문이다.
로져는 현재, 글래머 아내인 제시카가 그 지역 공장주인 마빈 애크미(Stubby Kaye)와 자주 만나는 사실로 인해 괴로와 하고 있다. 스튜디오 사장인 마룬은 술주정뱅이 탐정 에디 발리안트를 고용하여 로저로 하여금 제시카를 잊게 만들기 위해 제시카가 바람피우는 장면을 찍어오도록 만든다.
툰들이 사람들을 위해 공연하는 '잉크와 페인트 클럽'에서 에디는 제시카를 발견한다. 그녀는 마치 1940년대 영화계를 풍미했던 베로니카 레이크와 로렌 바콜을 합친듯한 모습의 만화 인물로서 낮은 목소리로 사람을 홀리는 노래를 부른다. 에디가 사진을 찍어 로저에게 보여주자 로져는 충격을 받고 잃어버린 사랑을 슬퍼하며 밤거리를 헤맨다. 애크미가 떨어진 금고에 깔려 살해당하자 로져는 제1의 용의자로 의심받는데...
로져는 현재, 글래머 아내인 제시카가 그 지역 공장주인 마빈 애크미(Stubby Kaye)와 자주 만나는 사실로 인해 괴로와 하고 있다. 스튜디오 사장인 마룬은 술주정뱅이 탐정 에디 발리안트를 고용하여 로저로 하여금 제시카를 잊게 만들기 위해 제시카가 바람피우는 장면을 찍어오도록 만든다.
툰들이 사람들을 위해 공연하는 '잉크와 페인트 클럽'에서 에디는 제시카를 발견한다. 그녀는 마치 1940년대 영화계를 풍미했던 베로니카 레이크와 로렌 바콜을 합친듯한 모습의 만화 인물로서 낮은 목소리로 사람을 홀리는 노래를 부른다. 에디가 사진을 찍어 로저에게 보여주자 로져는 충격을 받고 잃어버린 사랑을 슬퍼하며 밤거리를 헤맨다. 애크미가 떨어진 금고에 깔려 살해당하자 로져는 제1의 용의자로 의심받는데...
4. 특징
원작은 게리 K. 울프(Gary K. Wolf)가 쓴 1981년에 출판한 소설 ≪Who Censored Roger Rabbit?≫으로, 애니메이션이 아닌 만화책 캐릭터들이 돌아다닌다는 설정이다. 속편 격으로 출판한 1991년에 ≪Who P-P-P-Plugged Roger Rabbit?≫도 있다. 원작자 울프는 이 영화가 마음에 들어 1권이 제시카 래빗의 악몽이었다는 설정으로 영화에 등장한 로져 래빗과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유지한 채 리부트 삼아 쓴 것이다.실사영화 장면에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을 합성했기 때문에 실사영화와 애니메이션 분량을 담당하는 감독들이 따로 있는데, 실사영화 감독은 백 투 더 퓨쳐 시리즈로 유명한 로버트 저메키스, 애니메이션 감독은 리처드 윌리엄스가 맡았다. 윌리엄스는 이 작품으로 애니메이션 감독으로서 최전성기를 맞이하며 오스카상을 수상했다. 기획 및 공동 제작은 스티븐 스필버그이다. 캐슬린 케네디와 함께 공동으로 총괄 프로듀서를 담당했다.
이전에도 디즈니 작품에 실사 합성 애니메이션은 있었지만 대부분 기술력이 열악하던 시절의 작품이라 3인의 기사 같은 경우엔 실사 부분은 얼마 없고, 피터의 용이나 메리 포핀스, 남부의 노래 같은 영화들도 실사와 그림의 조화가 매끄럽지 못한 면이 있는데 이 영화에서 마침내 실사와 애니메이션의 완벽한 조화가 제대로 구현되었다. 프레임 1만 8천 장, 제작진 800명과 당시 역대 최다인 7천만 달러, 2015년 화폐 기준으로 약 1억 4천만 달러에 달하는 제작비를 자랑하는 영화인만큼 정교한 애니메이션을 자랑한다.
스티븐 스필버그는 이 영화 제작을 위해 배급사 디즈니와 워너 브라더스, 플라이셔 스튜디오를 비롯한 8개의 스튜디오에 직접 찾아가 이들을 설득하여 각 스튜디오 캐릭터를 영화에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얻는 데 성공했다. 이 덕분에 판권 문제로 같이 등장하는 일이 없는 디즈니와 워너 브라더스 캐릭터들이 이 영화에서만큼은 특별히 예외로 같이 등장하는 장면이 많다. 도날드 덕과 대피 덕이 서로 피아노를 치며 디스하고, 미키 마우스와 벅스 버니가 만담을 한다. 여담으로 워너 브라더스가 자사의 캐릭터들이 디즈니 캐릭터들과 동등한 시간만큼 출연해야 한다는 조건을 붙였기 때문에, 주연 캐릭터들을 제외한 특정 회사의 캐릭터가 오래 등장하지 않는다.
영화 줄거리는 전형적인 하드보일드 수사물의 플롯을 따르고, 왕년에 이름을 날렸지만 트라우마를 가지고 슬럼프에 빠진 탐정, 팜므 파탈, 순전히 악의로만 가득찬 잔인한 악당 등 매우 전형화된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특히 제시카 래빗의 경우 워낙에 섹시한 캐릭터라 지금까지도 영화 역사상 가장 매력적인 여자 캐릭터를 뽑을 때 실제 사람도 아닌데도 굉장히 높은 순위권에 빠지지 않고 올라간다.[1]
흥행은 성공하여 미국 흥행으로 제작비 2배가 넘는 1억 5640만 달러를, 전세계적으로 5배 가까운 3억 2980만 달러를 벌었으며 당시 할리우드에서 애니메이션 영화가 줄줄이 흥행 부진을 면치 못 하던 상황에 다시금 애니메이션의 흥행 가능성을 확인하면서 이후 디즈니 르네상스로 이어지는 길을 닦아 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본작을 벤치마킹해 이후 스페이스 잼과 쿨 월드, 메리 포핀스 리턴즈, 마법에 걸린 사랑 등의 애니메이션+실사 합성 영화들이 나왔지만 비평이나 흥행 모두 이 영화만큼은 좋지 못하다.[2] 흥행도 성공했고, 인기도 많아 후속작 작업도 꾸준히 진행됐지만 1998년에 완성한 테스트 영상[3] 이외엔 별 성과없이 계속 보류되다 2011년에 화성은 엄마가 필요해의 흥행 참패로 제작사 이미지무버스 디지털이 문을 닫으면서 사실상 엎어졌다. 이후에도 각본은 이미 완성됐지만, 디즈니 측에서 별 흥미를 보이지 않아 진전이 없다고 한다. # 게다가 2019년에는 애니메이션 감독 리처드 윌리엄스마저 세상을 떠난 탓에 후속작이 개봉할 가능성이 거의 없어졌다. 이후 디즈니에서 공개한 2022년의 칩과 데일: 다람쥐 구조대가 여러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이 인간 사회에 녹아든 세계관을 배경으로 디즈니를 포함한 여러 회사의 캐릭터들의 대거 카메오 출연과 영상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대한 풍자로 가득한 작품이라, 사실상 로저 래빗의 정신적 후속작으로 여겨지고 있다.
5. 등장인물
6. 카메오
★: 포스터, 신문, 그림자나 언급으로만 등장.☆: 기존 모습과 다르게 등장.
/: 등장을 하긴 하나 등장 시대가 고증 오류인 카메오.
=: 스페셜 에디션 DVD에서 등장한 카메오.(영화에는 미등장.)
6.1. 디즈니
- 미키 마우스
- 미니 마우스
- 도날드 덕
- 데이지 덕
- 구피 구프[5]
- 플루토
- 블랙 피트☆
- 호러스 홀스칼라
- 클라라벨 카우[6]
- 조제 카리오카
- 휴이, 듀이, 루이★
- 거스 구스☆
- 실리 심포니
- 사랑에 빠진 벌레 - 벅키 버그
- 즐거운 난쟁이들 - 즐거운 난쟁이들
- 꽃과 나무들 - 보이 트리, 레이디 트리, 꽃들
- 노아의 방주 - 태양
- 아기 돼지 삼형제/빨간 망토 - 빅 배드 울프, 피퍼 피그, 피들러 피그, 빨간 망토
- 현명한 암탉 - 클라라 클럭, 피터 피그
- 토끼와 거북이 - 토비 토르토우스, 토끼 소녀들, 엑스트라 동물들
- 물의 아기들 - 물의 아기들
- 음악의 땅 - 재즈의 섬
- 누가 울새를 죽였나? - 제니 렌
- 콕 오 더 워크 - 콕 오 더 워크☆
- 엘머 엘리펀트 - 엘머 엘리펀트, 조 지라프☆
- 윙키, 깜빡이 그리고 끄덕이 - 윙키, 깜빡이, 끄덕이
- 고아 혜택 - 고아들
-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 백설공주, 일곱 난쟁이, 노파 그림하일드, 숲속의 동물들
- 황소 페르디난드 - 페르디난드
- 피노키오 - 피노키오, 지미니 크리켓, 램프윅★
- 환타지아
- 호두까기 인형 - 코사크 꽃들, 춤추는 버섯들★
- 마법사의 제자 - 마법의 빗자루
- 교향곡 6번 F장조 op. 68 "전원" - 피터 페가수스, 유니콘, 체럽들
- 오페라 '라 조콘다' - 히아신스 히포, 마담 우파노바
- 리럭턴트 드래곤 - 리럭턴트 드래곤, 가일즈 경, 가일즈의 말
- 덤보 - 점보 주니어(덤보), 까마귀들, 점보 부인, 케이시 주니어, 광대 한명
- 밤비 - 밤비, 밤비 엄마, 밤비 아빠, 덤퍼★
- 라틴 아메리카의 밤 - 페드로
- 날아라 고물 비행기 - 밴 버자드☆
- 이유 & 감정 - 감정☆
- 펠리컨과 스나이프 - 펠리컨 몬테
- 치킨 리틀 - 치킨 리틀
- 음악의 세계 - 피터, 조니 페도라
- 남부의 노래 - 브레어 베어, 타르 베이비, 벌새 트리오, 두더지 자매
- 미키와 콩나무 - 거인 윌리, 황금 하프
- 즐거운 음악시간 - 숲속의 동물들/
- 내 마음 가까이 - 대니/
- 이카보드와 토드경의 모험 - J.시어도어 토드/, 시릴 프라우드바툼☆/
- 신데렐라 - 새들/, 우리구두/, 트리메인 부인/=
- 모터 메나아 - 워커 씨/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도마뱀 빌/, 트위들 덤/, 체셔 고양이/, 문손잡이/, 식빵 나비/=
- 램버트 더 쉽피시 라이언 - 램버트의 엄마/
- 더 리틀 하우스 - 아파트들/, 마천루들/
- 수지 더 리틀 블루 쿠페 - 트롤리
- 트릭 올 트릿 - 마녀 헤이즐/
- 피터 팬 - 팅커벨/, 존 달링☆/, 코뿔소/
- 폴 버니언 - 파란 소 베베☆/
- 잠자는 숲속의 공주 - 말레피센트의 부하들/
- 메리 포핀스 - 펭귄 웨이터/, 메리 포핀스★/
- 곰돌이 푸 - 피글렛★/
- 정글북 - 플랩스/, 카아/
- 아리스토캣 - 토머스 오말리★/
- 피터의 용 - 엘리엇/=
- 쿠스코? 쿠스코! - 쿠스코/=
6.2. 워너 브라더스
- 벅스 버니[7]
- 대피 덕
- 엘머 퍼드
- 포키 피그★
- 요세미티 샘
- 트위티 버드
- 실베스터
- 포그혼 레그혼
- 로드 러너/
- 와일 E. 코요테/
- 화성인 마빈/
- 양치기 개 샘/
- 스피디 곤잘레스/
- 마크 안토니☆/
- 미시건 J. 프로그☆/
- Porky In Wackyland - 요요 도도
- 구피 구퍼스
- 비키 버자드★
- Pop 'im Pop! - 싸우는 캥거루 그레이시/
- Bully for Bugs - 황소 토로/
- Zipping Along - 자석/
- The Hole Idea - 휴대용 구멍/
6.3.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터너 엔터테인먼트
6.4. 플라이셔 스튜디오
- 베티 붑
- 광대 코코☆
- The Hot Air Salesman - 위플 피플
6.5. 하비 필름즈
- 조커☆
6.6. 테리 툰즈
- 갠디 구스
- How Wet Was My Ocean - 소심한 돼지 오스카
- The Temperamental Lion - 루이 라이온
6.7. 월터 란츠 프로덕션
6.8. 펠릭스 더 캣 재단/드림웍스
6.9. 무산된 카메오
#등장이 고려되었으나 판권 및 프로뎍션 문제로 결국 영화에 등장하지 못한 캐릭터들이다. 고증 오류도 그 이유중 하나일 가능성은 낮다. 만약 삭제된 캐릭터들이 삭제되지 않고 등장했다면,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에 등장하는 카메오들은 300명도 넘게 있을것이다.
6.9.1. 디즈니
- 칩과 데일
- 스크루지 맥덕
- 모티머 마우스
- 아기 늑대 삼형제
- 프렉티셜 피그
- 클라리스
- 꿀벌 스파이크
- 불독 부치
- 곰 험프리
- J. 오듀본 우드로어
- 코끼리 돌로레스
- 루드윅 폰 드레이크
- 바다표범 살티
- 샬록 본즈
- 피피 페케
- 디나 닥스훈트
- 오스왈드 래빗
- 오르텐시아
- 산사자 루이
- 아라쿠안 버드
- 판치토 피스톨레스
- 코요테 밴트테일
- 모티와 퍼디
- 펠리시티 필드마우스
- 캣 니폿
- 실리 심포니
- 해골 댄스 - 해골들
- 산타의 작업장 - 산타 클로스
- 숲속의 아이들 - 헨젤과 그레텔
- 봄의 여신 - 페르세포네
- 메뚜기와 개미들 - 메뚜기 홉
- 음악의 땅 - 재즈 섬의 왕자
- 미다스의 손 - 왕 미다스
- 엘머 엘리펀트 - 호랑이 틸리
- 피리 부는 사나이 - 피리 부는 사나이
- 쿠키 카니발 - 호버 쿠키
- 토끼와 거북이 경주 - 맥스 헤어
- 세 명의 맹인 쥐잡이 - 캡틴 캣
- 시골쥐와 도시쥐 - 아브너 컨트리마우스, 몬티 시티마우스
- 나방과 불꽃 - 나방
-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 독수리[11]
- 피노키오 - 몬스트로, 제페토, 스트롬볼리, 피가로
- 환타지아
- 봄의 제전 - 스테고사우르스
- 교향곡 6번 F장조 op. 68 "전원" - 제우스, 센토렛
- 오페라 '라 조콘다' - 밴 알리 게이터
- 덤보 - 티모시 Q. 마우스, 분홍 코끼리
- 밤비 - 부엉이 할아버지, 버니 양, 사냥개들
- 남부의 노래 - 브레어 래빗, 브레어 폭스, 브레어 프로그
- 음악의 세계 - 케이시, 엘리스 블루 보넷, 악기들
- 미키와 콩나무 - 곰 봉고
- 즐거운 음악시간 - 제니, 조, 페커스 빌, 슬루풋 수, 조니 애플시드
- 이카보드와 토드경의 모험 - 이카보드 크레인, 건파우더
- 용감한 엔지니어 - 케이시 존스
- 신데렐라 - 신데렐라, 자크, 거스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앨리스, 흰 토끼, 매드 해터, 마치 헤어, 도도, 애벌레, 트위들 디
- 트릭 올 트릿 - 비엘제부브
- 투트, 휘슬, 플런크, 붐
- 피터 팬 - 피터 팬, 웬디 달링, 마이클 달링, 잃어버린 아이들, 타이거 릴리
- 밴과 나 - 아모스, 벤저민 프랭클린
- Casey Bats Again - 케이세예트
- 레이디와 트램프 - 레이디, 트램프, 자크, 트러스티, 페그
- A Cowboy Needs a Horse - 조니
- 잠자는 숲속의 공주 - 오로라, 필립 왕자, 잠자는 숲속의 공주(애니메이션)/등장인물
- 골리앗 2세 - 골리앗 2세
- 101마리의 달마시안 개 - 퐁고, 페르디타, 새끼 달마시안들, 로저 래드클리프, 아니타 래드클리프
- 장난감 나라 - 장난감 병정들
- 아더왕의 검 - 멀린, 아더 팬드래건, 아르키메데스, 마담 밈, 늑대
- 곰돌이 푸 - 푸, 토끼, 이요르, 올빼미, 고퍼, 캉가, 루, 티거
- 정글북 - 모글리, 발루, 바기라, 하티 대령, 플런키
- It's Tough to Be a Bird - 소프라노
- What Should I Do? - 여러가지 캐릭터
- 로빈 훗 - 로빈 훗, 리틀 존, 스키피, 토비 터틀, 타갈롱, 시스
- 생쥐 구조대 - 버나드, 비앙카, 오빌
- 스몰 원 - 스몰 원, 소년, 아버지, 세명의 상인들
- 토드와 코퍼 - 토드, 코퍼
- 타란의 대모험 - 에이론위 공주, 구기, 크리퍼
- 위대한 명탐정 바실 - 바실
6.9.2. 워너 브라더스
- 페페 르 퓨
- 페투니아 피그
- 클로드 켓
- K-9
- 태즈메니아데블
- 허비와 버티
- I Love to Singa - 올 졸슨
- Two Crows from Tacos - 호세와 마누엘
- 고양이 콘레드
- 세실 터틀
- 불독 헥토르
- 스니플즈
- 개비 고트
- 그루솜 고릴라
- Hare Ribbin' - 러시안 도그
- The Wearing of the Grin - 오펫과 오마이크
- 클라이드 버니
- Katnip Kollege - 조니 캣, 키티 브라잇
- Mexicali Shmoes - 슬로포크 로드리게스
- 푸시풋
- Water, Water, Every Hare - 닥터 모론
- My Bunny Lies Over The Sea - 앵거스 마크로리
- Bone Sweet Bone - 셉
- 빈즈 더 캣
- 리틀 키티
- 올리버 올
- Injun Trouble - 슬로피 모
- Long-Haired Hare - 지오바니 존스
- 족제비
- A Tale of Two Kitties - 베빗과 카스텔로
- 허너리 호크
- Bunny and Claude: We Rob Carrot Patches - 버니와 클로드
- Super-Rabbit - 커튼테일 스미스
- 버디
- 쿠키
- 잉키
- 미나 버드
- 반야드 도그
- 구피 기어
- 마법 쥐 멀린
- Sittin' on a Backyard Fence - 고양이
- 피기
- You Don't Know What You're Doin'! - 플러피
- Tree for Two - 스파이크와 체스터
- 마녀 헤이즐[12]
- The Abominable Snow Rabbit - 가공스러운 눈사람 휴고
- 미스 프리시
- 에그해드 주니어
- Mississippi Hare - 셔플 대령
- 피트 퓨마
- 페넬로피 푸시캣
- From A to Z-Z-Z-Z - 랄프 필립스
- 멜리사 덕
- 보스코
- 허니
- 네이스티 카나스타
- 폭시
- 록시
- Cross Country Detours - 개구리, 도마뱀, 소녀, 길라 몬스터, 에스키모 도그, 곰
- The Penguin Parade - 펭귄들, 바다코끼리
- The Bear's Tale - 골디락스, 곰 세마리, 늑대
- Hollywood Steps Out - 할리우드 유명인들
- 드레프트 홀스
- Porky Chops - 다람쥐, 곰
- 늑대 랄프
- 고새머
- 그래니
- 히페티 호퍼
- Hillbilly Hare - 마틴 브라더즈
- The Dover Boys - 댄 백슬라이드
- Plane Daffy - 하타 마리
- Rabbit Punch - 파쇄기
- Falling Hare - 그렘린
- A Hick a Slick and a Chick - 엘모, 블레키, 데이지 루
- 오르간 그라인더
- Pigs in a Polka - 아기 돼지 삼형제, 빅 배드 울프
- Snowman's Land - 마운티
- Bars and Stripes Forever - 개 죄수들
- 윌러비
- 찰리 도그
- Hamateur Night - 주인
- 록키와 먹시
- 쿨 캣
- Dimension Zero - 조니 사이퍼
- Frigid Hare - 플레이보이 펭귄
- 곰 가족들
- Bonanza Bunny - 블래크 재크 셀레크
- Old Glory - 엉클 샘
- Lady, Play Your Mandolin! - 고릴라 웨이터
- Gay Purr-ee - 뮤셋, 로베스피에르, 자운톰, 메오리스
- 이등병 스나푸
6.9.3.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터너 엔터테인먼트
- 개구리 플립과 오라스
- 톰과 제리 - 톰, 제리, 터피/니블스, 매미 투 슈즈, 타라, 셰리, 미트헤드, 투츠, 라이트닝, 꾸꾸, 머슬즈, 톱시, 페코스 삼촌, 부치, 스파이크, 타이크, 아기 딱따구리, 꽥꽥이
- 주니어
- The Homeless Flea - 호머 필리
- 선장과 아이들
- 꼬마 두더지
- Tex Avery's The World of Tomorrow - 여러가지 캐릭터들
- 외로운 이방인
- 윌리 와퍼
- 코미컬러 카툰 - 여러가지 캐릭터들
- 카운트 스크루우스
- Innertube Antics - 올독 동키
- Magical Maestro - 마법사 미스토
- 리틀 존 제트 - 존, 메리
- Chips Off The Old Block - 칩스, 고양이들
- 반야드 베이비즈 - 동물들
- 푸치 경관
- The Stork's Holiday - 황새
- Gallopin' Gals - 매기
- 은하수 - 고양이 세마리
- 압둘 더 불불 아메어
- 배츠 인 더 벨프리 - 박쥐들
- Symphony in Slang - 헵캣
- The Bear That Wasn't - 곰
- 그린치는 어떻게 크리스마스를 훔쳤는가! - 그린치, 맥스
- 팬텀 톨부스 - 밀로
- 셀바운드 - 교도소장
- Batty Baseball - 맥그립, 맥드룹, 포수, 라우드머스 오디언스 멤버
- Rock-a-Bye Bear - 조 베어
- Little 'Tinker - 보 스컹크
- 레드 핫 라이딩 후드 - 레드, 슬릭 울프
- What's Buzzin' Buzzard? - 조 버자드
- Who Killed Who? - 경찰 조사관
- Jerky Turkey - 칠면조
- Bottles - 노래하는 병들
- 외로운 레니 - 강아지 레니
- The Hick Chick - 컨트리 루스터
- King-Size Canary - 쥐, 골목 고양이
- 여우잡기/여우와 스테이크 - 사냥개, 레지날드 폭스
- 슬랩 해피 라이언 - 쥐, 사자
- 사람을 미워한 고양이 - 고양이
6.9.4. 컬럼비아 픽처스
- Mr. Elephant Goes to Town - 미스터 엘리펀트
- The Tangled Angler - 피트 펠리컨
- Up'n Atom - 비니, 개, 쥐, 챔프 도그
- Loco Lobo - 토끼, 코요테
- Carnival Courage - 서커스 단장, 서커스 동물들
- The Mad Hatter - 메이시
- Imagination - 소녀, 인형
- 에어 호스티스
- Flora - 개, 고양이
- 스몰 교수와 미스터 톨
- 개 샘
- Wacky Quacky - 쿼키
- 제럴드 맥보잉 보잉 - 재럴드
6.9.5. UPA
- 딕 트레이시
- 미스터 마구
6.9.6. 스크린 잼스
- 스크래피
- 크레이지 캣
- 스파키
- 플리피와 플롭
- 티토와 브리토
- 릴 애브너 - 릴 애브너 요코움, 어니스트 아베, 데이지 메이 요쿰
- 번틀로이 폭스와 크로포드 크로우
6.9.7. 플라이셔 스튜디오
6.9.8. 테리 툰즈
6.9.9. 페이머즈 스튜디오
6.9.10. 월터 렌츠 스튜디오
- 앤디 판다
7. 미디어 믹스
7.1. 게임
여러 게임으로도 만들어졌는데, 그 중에는 <Roger Rabbit in Hare Raising Havoc> 영상 같은 괜찮은 어드벤쳐 게임이 있는가 하면, 괴작도 있다.특히 제작사가 LJN이다.[13] AVGN도 당연히 이 게임을 깠다. LJN 게임의 문제점은 하나 둘이 아닌데, 대부분의 경우는 유저 편의를 개무시했다로 요약된다.
예를 들면 이 게임에서 메인 공격은 펀치인데, 펀치 버튼을 연타하면 차지를 해서 공격한다. 그런데 이 차지 중에 캐릭터가 탁탁 튀면서 조금씩 움직이기 때문에 패드를 쥐고 버튼을 연타하면서 적을 노려 명중시켜야 한다. 이 공격은 데미지가 그렇게 높은 것도 아닌데, 정작 최종 보스인 둠 판사는 이 공격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약점이 없고 모든 공격이 같은 데미지를 주기 때문인데, 가장 빠른 이 공격을 사용해야 한다. 당연히 많이 맞춰야 하고, 그 이상으로 버튼을 연타해야 한다. 더불어 한번 처치한 뒤에는 용액 대포를 주운 뒤에 밑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갑자기 쓰러져있던 둠 판사가 일어나 최후의 발악으로 즉사 펀치를 날리려고 한다.[14] 공격 키를 꾹 누르면 죽기 직전에 둠 판사를 처치할수 있다.
이 게임에서는 아이템을 상점에서 살 수 있는데, 상점에서 파는 아이템은 랜덤으로 1개가 올라온다. 만일 자신이 사려는 아이템이 아니라면 상점 밖으로 나갔다 다시 들어와야 한다. 그런데 만일 상점 밖에 적이 있다면, 들어갔다 나가는 행동으로 인해 리스폰된다. 스토리 진행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다이너마이트 같은 것을 사야 한다면, 상점 주인이 다이너마이트를 팔 때까지 상점 출입을 반복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리스폰하는 적을 잡아야 한다. 이건 상점에 들어갔을 때, 파는 아이템을 방향키나 일반 키로 교환시켜 필요한 것만 구매할 수 있었다면 할 이유가 없는 의미없는 노가다다.
의미없는 노가다는 또 있다. 이 게임은 게임 속에서 정보를 거의 안 줘 진행에 애로사항이 꽃핀다. 이 게임에서 NPC들이 주는 주요 정보는 '이 빌딩에는 아이템이 있다', '이 빌딩에는 아이템이 없다' 정도가 고작이다. 정작, 그 아이템을 누구에게 사용해야 하는가 같은 것은 가르쳐주지 않는다.[15] 그리고 맵 하나 털어 겨우 구해온 아이템을 잘못된 인물에게 사용하면, 그 아이템은 증발한다. 그나마 완전히 게임에서 사라지는 것은 아니고, 다시 그 아이템을 찾으러 게임 속 빌딩들을 뒤져야 한다. 특히 게임에서 힌트를 얻으려면 제시카 래빗에게 전화를 걸어야 힌트를 얻을 수 있다는 부분이 압권. 이게 무슨 소리냐면, 게임 홍보용으로 전화번호 하나를 가져다 제시카 래빗의 목소리를 녹음해 두었다는 이야기다. 즉 제시카 래빗에게 거는 전화는 게임에서가 아니라 실제 전화기로 걸어야 한다는 것. 게임이 나온 시기를 생각하면 일정 시점 이후로는 사실상 공략 없으면 진행을 못하게 되는 방법이다.
이후 2010년[16] AVGN이 이 게임을 다시 리뷰했는데 이 전화번호로 걸어봤더니 쎾.... 앞서 언급한 것처럼 지금까지 그 전화번호를 유지할리가 있나... 헐리우드 영화의 클리셰 중 하나인 555국 전화번호는 워낙 여러 영화에서 돌려쓰기 때문에 이 영화 하나만을 위해 고정시키는 것도 불가능한데, 여기서는 1-800으로 시작하는 (한국으로 치면 080 같은 수신자부담 전화) 일반 번호를 사용했기 때문에 더더욱 그랬을 것이다.[17]
로져래빗이 제시카를 구하기 위해 둠과 싸우는 게임보이판[18]도 있고 패미컴 디스크 판도 있다[19]
7.2. The Resurrection of Doom
본편의 후일담을 다룬 그래픽 노블.#
대략적인 내용은 툰 패트롤 잔당이 초기 셀 원화를 확보해 Multiplane camera[20]에 넣고 돌려 둠 판사를 부활시키는 데 성공한다.
그 뒤 둠은 예전처럼 고무 가면을 쓰고 인간인 CB 마룬 행세를 하며 자신을 죽인 이들에 대한 복수를 계획하면서 만화 캐릭터들을 박대한다. 가령 로져 래빗은 작화를 최소한으로 줄인 해나-바베라 프로덕션풍의 저예산 애니메이션에 출연시켰는데 작화 프레임이 많이 들어가는 전통적인 미국 카툰식의 유동적인 애니메이션 스타일에서 벗어나지 못하자 작화 프레임이 너무 많다면서 박대하고, 로져가 이에 항의하자 결국에는 해고해버린다. 다른 만화 캐릭터들도 저예산 애니메이션에 출연시키려다 저항만 받자 저예산 애니메이션으로 이행하는 시대변화에 만화 캐릭터들이 적응하지 못해 제작 예산을 감당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들을 모두 해고하며 자연스럽게 작업물량이 사라진 스튜디오를 폐쇄, 경매로 매각하는 데에 성공한다.
직후 에디가 스튜디오 매각 소식에서 수상한 낌새를 느끼고 출동하자 본색을 드러내며 진짜 CB 마룬이 갇힌 스튜디오 창고에 감금시키는데, 로저의 도움으로 탈출한 에디가 딥 용액이 담긴 물총을 들고 난입하고 이를 툰 패트롤들이 쪽수로 제압한다.
문제는 물총을 노획한 멍청한 부하들이 자기들 뿐만 아니라 둠에게도 뿌려 사이좋게 반쯤 용해된 채 하수구로 흘러내려가는 싱거운 결말로 끝난다.
이외에도 디즈니를 통해 속편격의 공식 코믹스가 총 18화가 만들어졌으며, 에디 발리언트를 대신하는 신참 사립탐정 릭 플린트(Rick Flint)라는 캐릭터가 등장한다.
7.3. Roger Rabbit Short
영화의 번외편으로, 작중 설정상 로저 래빗과 베이비 허먼이 주연을 맡은 베이비 허먼 시리즈이다.8. 국내 방영
1995년 9월 9일 오후 12시에 MBC에서 〈로저 래빗〉이란 제명으로 더빙 방영하였다. MBC에서 자체 제작한 더빙이라(제작사에서 관여하지 않아) 카메오로 나온 캐릭터들은 전담 성우를 캐스팅하지 않았다.[21] 성우진은 아래와 같다.- 강수진 - 로저 래빗(찰스 플라이셔)
- 이종오 - 에디 발리언트(밥 호스킨스)
- 이종혁 - 둠 판사(크리스토퍼 로이드)
- 정희선 - 돌로레스(조애나 캐시디)
- 박영화 - 베니(찰스 플라이셔)
- 이도련 - 마빈 애크미(스터비 케이)
- 이영달 - R. K. 마룬(앨런 틸번)
- 박조호 - 산티노(리처드 르파멘티어) / 라울(조엘 실버)
- 탁재인 - 두루피(리처드 윌리엄스) / 베이비 허먼(루 허시)
- 이미자 - 미키 마우스(웨인 올와인) / 대피 덕(멜 블랭크)
- 이선주 - 도날드 덕(토니 안셀모)
- 이승현 - 제시카 래빗(캐슬린 터너)
- 최성우 - 베티 붑(매 퀘스텔)
- 안지환 - 벅스 버니(멜 블랭크) / 족제비(데이빗 랜더)
- 최상기 - 안젤로(리차드 라이딩스) / 우체부(에릭 B. 신돈)
- 김영훈 - 형사(레스 콘레드)
- 최원형 - 스트레치(마이크 에드먼즈)
- 안장혁 - 군인(린제리 홀리데이)
- 조예신 - 히아신스(메리 T. 래드포드)
9. 여담
- 1989년에 그레이엄 베이커의 에이리언 네이션, 팀 버튼의 비틀쥬스, 페니 마셜의 빅, 론 하워드의 윌로우와 함께 휴고상 후보에 올라 경합을 벌였다. 결국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가 수상했다.
- 제시카 레빗과 에디 발리언트가 베니를 타고 주행하는 장면이 존재하는데 뼈대만 있는 1인용 카트를 제작한 후 스턴트맨이 뒤에서 운전하며 촬영했다고 한다. 이 카트는 디즈니 월드의 한 식당에 가면 볼 수 있다.
- 이 영화의 삭제된 장면들 중에선 에디가 제시카 래빗의 뒤를 캐보려다 둠 판사에게 잘못 걸려, 툰 패트롤에게 두들겨 맞고 만화 돼지 가면이 씌워지는 망신을 당한 후 집에 급히 돌아가 돼지 가면을 테라빈유로 녹여 씻어내는 장면이 있었다. 애니메이션까지 상당히 공들여 만든 장면이었지만 최종본에선 통편집되었다. 해당 영상 본편에서 제시카가 사립 탐정 사무소에 찾아왔을 때 에디가 느닷없이 반라의 차림으로 나온 건 이 삭제된 장면의 잔재로, 본래 돼지 가면을 녹여 없앤 후 샤워까지 마치고 난 직후인 것이었다.
- 한국에선 1990년 〈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로 극장 개봉하였으나 흥행은 그리 좋지 않았다. 이후 같은 해 8월 25일, 오후 4시 40분에 KBS 2TV에서 이 영화 촬영 과정과 제작에 얽힌 뒷얘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로저 래빗의 비밀〉을 더빙 방영했다. 에디 발리언트 성우는 박상일. 1993년 〈제시카와 로저 래빗〉이란 제목으로 터치스톤 레이블 영화를 독점으로 내던 드림박스 비디오에서 VHS 비디오로 출시했다.
- 인기는 여전해서 디즈니 랜드 퍼레이드 중 로져 래빗과 제시카 래빗이 함께 관객들에게 인사하고 반겨주기도 한다.
[1] 이런 캐릭터의 원조는 1930년에 등장한 베티 붑이다. 하지만 하지만 시대가 시대라... 작중에는 베티 붑이 '잉크와 페인트 클럽'에서 웨이트리스로 일하는 장면이 나온다. 베티 붑 曰, "만화가 컬러가 되면서 할 일이 없어졌어요."[2] 특히 같은 디즈니에서 만든 메리 포핀스 리턴즈와 마법에 걸린 사랑은 정말 근소한 차로 로져 레빗의 흥행 기록을 경신하지 못했다.[3] 테스트 영상의 애니메이션 감독은 리처드 윌리엄스가 아닌 에릭 골드버그로, 지금도 여러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활동하는 거장이다.[4] 말 그대로 노래하는 칼인데 얼굴도 프랭크 시나트라 얼굴을 토대로 그렸으며 그가 실제 노래하는 장면을 녹음한 것이다.애니장면. 부르는 노래 제목은 위치크래프트. 1957년에 프랭크 시나트라가 처음 불렀다.[5] 취급이 꽤 좋다. 작중 구피의 슬랩스틱 영화를 보는 로져 래빗이 박장대소를 하며 존경심을 표하고, 나중에 제시카가 로져에게 사랑의 말을 속삭일 때도 "(당신이) 구피보다 나아요"라고 한다.[6] 호러스와 클라라벨은 1930년대 모습으로 나왔다.[7] 프로토타입의 모습도 나왔다.[8] 사실 실제 본인으로 출연하려 했으나 무산되었다.[9] 툰 타운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사진으로 등장.[10] ![파일:marvin-acme-funeral-sketch-felix-the-cat-tom-jerry.jpg]()
사실 실제 본인으로 출연하려 했으나 무산되었다. 삭제 장면에서 아크미의 관을들고 울먹이는 모습을 보인다.[11] 볼테르(프랑스 계몽주의 철학자이자 프랑스 혁명 사상의 창시자)라는 이름의 독수리를 둠 판사가 애완용으로 키울 예정이었다. 볼테르의 디자인은 이 독수리중 한 마리를 기반으로 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후자를 일정에 맞춰 완성해야 한다는 이유로 삭제되었다.[12] 삭제된 장면중 하나인 돼지가면 장면에서 등장했다.[13] 엄밀히 말하면 발매원이 LJN. 실제로 개발한 것은 레어다.[14] 체력이 얼마나 남아있든 상관 없이 무조건 이 공격에 즉사한다.[15] 그나마 원작과의 연결고리가 있긴 하다. 예를 들어 아기에게는 아이템 시가(담배)를 줘야 한다. 물론 이렇게 딱딱 맞는 것도 아닌데다, 원작마저 모르면 지옥의 난이도가 된다.[16] 국내 넘버링 기준 94화[17] 초기 리뷰에는 피처폰이 등장하는데 삼성인지 교세라인지 모토로라인지는 불명이다. 심지어 그걸 제시카 레빗의 일러스트에도 합성해 서로 통화하는 장면을 만들었다.[18] 캡콤에서 나왔다[19] kemco에서 나왔는데 벅스버니 크레이지 캐슬과 완전히 똑같은 게임이다[20] 배경, 셀화 여럿을 레이어로 겹쳐 애니메이션 작화를 필름으로 촬영, 영상을 만드는 대형 다중 카메라. 1930년대 후반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서 도입했다.[21] 당시 디즈니는 전담 성우들이 있었으나 거의 KBS 출신 성우들이었고, 루니 툰은 워너브라더스에서 전담 성우를 뽑지 않은 상태였다.[22] 다이 하드 시리즈, 리셀 웨폰 시리즈, 프레데터 시리즈, 48시간 시리즈, 코만도, 허드슨 호크, 비버리 힐스 캅 시리즈 및 매트릭스 시리즈 제작자로 이 영화 제작과는 무관하지만 카메오로 나왔다.
사실 실제 본인으로 출연하려 했으나 무산되었다. 삭제 장면에서 아크미의 관을들고 울먹이는 모습을 보인다.[11] 볼테르(프랑스 계몽주의 철학자이자 프랑스 혁명 사상의 창시자)라는 이름의 독수리를 둠 판사가 애완용으로 키울 예정이었다. 볼테르의 디자인은 이 독수리중 한 마리를 기반으로 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후자를 일정에 맞춰 완성해야 한다는 이유로 삭제되었다.[12] 삭제된 장면중 하나인 돼지가면 장면에서 등장했다.[13] 엄밀히 말하면 발매원이 LJN. 실제로 개발한 것은 레어다.[14] 체력이 얼마나 남아있든 상관 없이 무조건 이 공격에 즉사한다.[15] 그나마 원작과의 연결고리가 있긴 하다. 예를 들어 아기에게는 아이템 시가(담배)를 줘야 한다. 물론 이렇게 딱딱 맞는 것도 아닌데다, 원작마저 모르면 지옥의 난이도가 된다.[16] 국내 넘버링 기준 94화[17] 초기 리뷰에는 피처폰이 등장하는데 삼성인지 교세라인지 모토로라인지는 불명이다. 심지어 그걸 제시카 레빗의 일러스트에도 합성해 서로 통화하는 장면을 만들었다.[18] 캡콤에서 나왔다[19] kemco에서 나왔는데 벅스버니 크레이지 캐슬과 완전히 똑같은 게임이다[20] 배경, 셀화 여럿을 레이어로 겹쳐 애니메이션 작화를 필름으로 촬영, 영상을 만드는 대형 다중 카메라. 1930년대 후반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서 도입했다.[21] 당시 디즈니는 전담 성우들이 있었으나 거의 KBS 출신 성우들이었고, 루니 툰은 워너브라더스에서 전담 성우를 뽑지 않은 상태였다.[22] 다이 하드 시리즈, 리셀 웨폰 시리즈, 프레데터 시리즈, 48시간 시리즈, 코만도, 허드슨 호크, 비버리 힐스 캅 시리즈 및 매트릭스 시리즈 제작자로 이 영화 제작과는 무관하지만 카메오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