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동족포식(同族捕食, cannibalism[1])은 육식 또는 잡식동물이 동종의 개체를 잡아먹는 행위를 가리킨다. 인간의 동족포식은 식인 문서 참조.2. 원인
자연계에서 동족포식을 전혀 하지 않는 동물은 육식을 할 수 있는 이상 거의 없다. 굶주림, 스트레스, 약한 새끼를 제거하기 위함, 단순 포식 성향 등 이유는 여러 가지다. 단, 사체만 먹는 경우, 사람이 준 사료에 든 동족의 고기를 모르고 먹는 경우는 제외한다.동물의 동족 포식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새끼가 약하게 태어나거나 부상 등으로 약해지면 부모가 키우는 것을 포기하고 잡아먹거나 살 가망이 있는 다른 새끼에게 먹이는 경우. 약한 새끼를 희생시켜 다른 개체를 살리기 위한 전략이고 천적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2] 많은 육식 동물과 잡식 동물에게서 볼 수 있는 경우이다. 실제 사례(유혈주의) [3]
- 부모가 새끼를 입에 넣어 보호하다가 의도치 않게 삼켜버린 경우. 새끼를 입에 넣어 보호하는 일부 어류와 악어가 이에 포함된다.
-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경우. 특히 새끼가 사람 손에 닿아 새끼에게서 사람 냄새가 나거나 사람이 접근할 때. 위의 약한 새끼를 잡아먹는 것과 마찬가지 이유로, 현 상황에선 너무 많은 스트레스로 새끼를 키울 여건이 아니라는 판단 하에 발생한다. 개, 고양이, 토끼, 설치류가 여기 포함된다.
- 알이나 새끼를 돌보다가 수명이 다한 어미를 새끼가 잡아먹는 경우. 아예 어미가 자기 몸 조직을 분해해서 먹기 좋게 만드는 사례도 있다. 문어, 거미류 등이 대표적이다.
- 그냥 움직이거나 자기보다 약해 보여서 잡아먹는 경우. 주로 동족이나 자식 개념이 없거나 희박한 경우가 많다. 자기 알이나 새끼라도 잡아먹기까지 한다. 많은 파충류, 양서류, 어류, 무척추동물들이 이에 해당한다.
- 다른 먹을 것이 없을 때 생존을 위해 먹는 경우. 보통 인간의 식인이 여기에 포함한다. 남아메리카의 식인 또한 단백질 부족으로 인한 현상이라 보기도 하지만 그에 대한 반박 논문이 나와있고, 그에 반박하는 또다른 논문도 나오는 등 논쟁이 종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단백질 부족이 남아메리카의 식인 풍습에 일조하였는지는 아직도 논쟁의 대상이다.[4] 일반적으론 동족포식을 하지 않는 동물들도 먹이를 오랫동안 못 구하면 동족을 잡아먹기도 한다. 심지어 너무 굶주리게 되면 자기 새끼를 잡아먹기도 한다. 실제로 북극곰이 기후변화로 인한 굶주림에 못이겨 자신의 새끼나 다른 북극곰의 새끼까지 먹은 사례가 관찰된 바 있다.
그 외에도 다소 특수한 경우로는
- 서로 싸우다가 상대가 승리한 쪽이 패배한 쪽을 잡아먹는 경우. 햄스터와 침팬지가 있다. 침팬지의 경우 동족 개념은 있지만 영토를 확장하기 위해 다른 침팬지 무리와 전쟁을 벌여 패자 측의 새끼같이 작고 약한 개체들을 자주 잡아먹는다. 또한 같은 무리에서라도 종종 자신의 번식을 위해서 다른 침팬지의 갓 태어난 새끼를 훔치거나 강탈하여 잡아 먹기도 한다.[5]
- 새끼들끼리 태내에서 싸워서 잡아먹는 경우. 모래뱀상어가 있다. 어미 뱃속에서 부화한 새끼들끼리 서로 잡아먹어 가장 강한 한 마리만 살아남는다.[6] 사실 이 경우는 좀 특이한 경우인데, 모래뱀상어가 속한 악상어[7] 계통의 상어들은 자궁에 알을 낳아서 자궁내에 새끼가 깨어나면 수정되지 않은 알 즉 사실상 난황(노른자)을 낳아서 뱃속에서 새끼에게 먹인다. 그래서 악상어류는 2개의 자궁에서 많으면 5마리(악상어)~12마리(백상아리)의 새끼를 길러서 낳을 수 있는데 모래뱀상어는 수정된 알을 지속적으로 낳아서 새끼끼리 배틀로얄을 시켜서 자궁당 가장 강한 새끼 1마리씩 2마리만 낳는다.
- 사자와 고릴라처럼 무리를 짓는 대부분의 육식, 잡식 동물들은 전임 우두머리를 몰아내고 새로운 우두머리가 무리를 이끌게 되면 새 우두머리가 전임 우두머리의 새끼를 죽여 미래의 경쟁자를 미리 제거하는 행동을 하는데, 대부분 죽이기만 하고 굳이 먹지는 않지만(더구나 고릴라는 초식이다.) 가끔 잡아먹기도 한다. 새끼를 가진 암컷이 다른 무리에 합류하게 될 때도 해당 암컷의 새끼가 죽음을 당하거나 잡아먹히곤 한다.
- 프레리도그는 한 무리에서 여러 암컷들이 새끼를 낳은 뒤, 자신이 낳은 새끼의 생존률을 높이기 위하여 다른 암컷의 새끼를 몰래 잡아먹는 경우가 있다.
- 종교, 미신, 문화, 정치 등 문화적/정치적 이유. 또는 감정, 정신질환 등 정신적인 이유로 잡아먹는 경우. 인간의 식인 중 앞서 말한 굶주림 때문을 제외하면 모두 이에 해당한다. 대표적으로는 남아메리카의 아즈텍 제국에서 자행된 체계적이고 주기적인 대량 식인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식인 문서 참조.
3. 창작물
- 가면라이더 아마존즈 - 본래는 아마존은 인간만 잡아먹지만, 아마존 세포를 이식한 인간인 타카야마 진같은 경우는 사냥한 아마존의 심장과 스포일러의 촉수를 씹어먹기도 했다. 미즈사와 하루카는 극장판에서 자신의 동족을 먹는 금기를 범한다.
- 냉장고 나라 코코몽 - 케로[9],
감자팡
- 녹두영감 설화 - 토끼에게 속아서 손자를 먹게 되는 할아버지가 등장. 카치카치야마에서 너구리에게 속아 아내를 먹게 되는 스토리와 비슷.
- 도쿄 구울 - 구울
구울이 동족 구울을 잡아먹으면 RC 세포라는 것이 변이를 일으켜 카구네가 강화되며 일정 경우에 카쿠쟈로 각성하여 강해진다는 설정이 존재한다. 하지만 그 대가로 미쳐서 정신이 나갈 수도 있다.
- 마왕학원의 부적합자 ~사상 최강의 마왕인 시조, 전생해서 자손들의 학교에 다니다~ - 토모구이
원래 용의 주식은 인간이나 마족이지만, 토모구이는 같은 용을 먹는다. 참고로 토모구이란 이름부터가 일본어로 동족포식이란 뜻.
- 뱀파이어 더 마스커레이드 - 디아블러리
잠재능력의 한계가 뚜렷한 세대가 낮은 흡혈귀가 자신보다 세대가 높은 장로급의 흡혈귀를 흡혈하면 능력도 강해지고 잠재능력의 한계도 상승한다. 대신 피를 빤 흡혈귀가 피를 빨린 흡혈귀에게 의지력 대결에서 역관광 당해서 자기 몸을 현납하는 경우도 많다. 거기다 디아블러리가 사실상 식인과 동일시 되기 때문에 성공해도 인간성이 심각하게 손상되는 걸 피할 수 없다.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파멸충, 원시 저그
- 실장석
설정상 생태계에서의 지위가 최하층에 있는 탓에 만만한 생물이 동족 밖에 없다. 그래서 새끼같이 자신보다 약한 개체를 육류 공급원 삼아 잡아먹거나 유충에 해당되는 저실장을 가축 삼아 기르는 묘사가 클리셰 같이 굳어졌다.
-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 - 양산형 에반게리온
9대가 에반게리온 2호기를 산 채로 윤간하는 듯한 모양새로 장기자랑까지 거쳐 아주 갈가리 찢어먹었다.
오징어짬뽕 - 오짬 박사
원피스 - 하찌
좋아하는 음식이 타코야끼다. 다만 외형상 비슷할 뿐이지 문어 어인과 문어는 엄연히 다른 존재이다. 인간사회에서는 '그래봐야 뇌는 생선'이라며 차별을 받지만 어인/인간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사회생활을 하는 고등생명체이기 때문에 하찌가 타코야끼를 먹는 것은 인간이 원숭이를 먹는 정도이지 동족포식은 아니다.
- 카치카치야마 너구리에게 속아서 자기 아내가 삶아진 국을 먹게 된다. 속아서 사람을 먹게 된다는 내용이 녹두영감 설화와도 비슷.
- 클로저스 - 차원종
흔한 현상은 아니지만 각자 개체들을 강하게 만들기 위하거나 에너지 보충을 위해 동족을 잡아 먹는 언급이 있다. 또는 상위 개체가 지도자로서의 자아를 버리는 경우, 하위 개체들이 잡아먹어버리는 일도 있다.
- 헝그리 샤크 에볼루션, 헝그리 샤크 월드 - 등장 상어들
바다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먹어치우며 생존하는게 목표로 동족인 적 상어도 잡아먹을 수 있다.
펼쳐지는 스카이! 프리큐어 - 카바톤
2화에서 돼지고기도 섞인 패티가 있는 햄버거를 먹었다.
- Battle for Dream Island - Fries(프라이)
시즌 1때에는 감자튀김을 먹었다.
- Warhammer(구판) - 워리어 오브 카오스, 비스트맨, 스케이븐, 오크&고블린, 오거 킹덤
4. 여담
- 멸종한 생물 가운데 마준가사우루스는 공룡 가운데 최초로 동족포식을 행한 것이 밝혀진 공룡이며, 티라노사우루스와 그 친척들, 알로사우루스도 때때로 동족 포식을 하며 생활한 것이 밝혀졌다.
- 보통 채식을 하는 메뚜기아목도 동료의 시체를 뜯어먹기도 한다.
- 축제, 사육제, 사순절 등을 뜻하는 'Carnival'과 동족포식, 식인종을 뜻하는 'Cannibal'은 발음이 다르지만 한국어 표기가 '카니발'로 동일하기에 이를 이용한 말장난이나 트릭이 사용되기도 한다.
- 한 기계에 똑같은 품종의 다른 기계 부품을 가져다 쓰는 동류전환도 영어로 Cannibalize라 한다.
5. 관련 문서
[1] 영어로는 카니발리즘(cannibalism)이 동족포식를 지칭하기 때문에 기아 카니발의 1세대~3세대까지의 수출명이 세도나였다. 2020년에 출시된 4세대부터는 기아의 내수-수출명 통합전략에 따라 수출명을 카니발로 통일했다. 여기서 파생되어 자사의 제품들끼리 서로 시장을 잠식하는 현상의 경우에도 카니발리제이션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2] 죽은 새끼의 시체를 방치하면 부패하면서 썩은내를 풍겨 천적들을 불러모으기 때문이다.[3] 먹이를 삼켰다 질식사한 황조롱이 새끼를 어미가 발견하자, 지체없이 남은 새끼들에게 그 사체를 뜯어먹이는 장면이 고스란히 포착되었다.[4] 물론 정치, 문화, 종교적 요인이 식인 풍습에 일조했다는 점은 양 측 다 인정한다. 논쟁의 대상이 되는 건 단백질 부족이 식인 풍습의 확장 및 유지에 얼마나 핵심적인 역할을 했느냐는 것.[5]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다수의 어미 침팬지들은 출산을 할 때가 오면 무리에서 먼 곳으로 이동한다.[6] 상어는 자궁이 두 개라서 새끼를 한 번에 두 마리씩만 낳을 수 있다.[7] 백상아리, 청상아리 등[8] 동물성 플랑크톤이나 갑각류 등도 섭취하기에 완전 초식성은 아니다.[9] 본인이 당근이면서 당근을 먹는 모습이 등장한다.[10] 극도로 포악한 성격에 시력이 좋지 않아 자기 새끼를 다른 소형 몬스터로 착각해서 잡아먹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A] 오징어+문어를 먹을 수 있다.[A] 오징어+문어를 먹을 수 있다. 자세한 것은 잉클링을 참고.[13] 죽은 동족을 먹는 것 외에도 조금만 배가 고프면 동족포식을 한다.[14] 먹이가 부족해지면 우두머리를 기점으로 피의 숙청이 일어난다.[15] 복숭아 닮은 캐릭터다.[16] 본래 추이는 호랑이를 잡아먹는 짐승이나 지나치게 호전적이고 멍청한데다 원래 살던 곳에서 먹이까지 부족해지면서 호랑이와 비슷하게 생긴 자기 동족들을 잡아먹기도 한다.[17] 본인이 싸움닭인 주제에 생닭을 먹는 장면이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