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3:45:39

로저 워터스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0;"
파일:로저 워터스 로고 레드.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25%;"
{{{#fffff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The Pros and Cons of Hitch Hiking.jpg
파일:Radio K.A.O.S..jpg
파일:amused to death-1992.jpg
파일:Ça Ira.jpg
파일:Is This the Life We Really Want?.jpg

1984

1987

1992

2005

2017
파일:Igor Stravinsky's The Soldier's Tale.jpg
파일:The Lockdown Sessions.jpg
파일:The Dark Side of the Moon Redux.jpg

2019

2022

2023
}}}}}}}}}}}}
{{{#!folding [ Soundtracks ]
{{{#!folding [ Live Albums ]
}}} ||
로저 워터스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0;border-radius:5px;"
파일:pink-floyd-logo-white.png


{{{-2 {{{#!folding [ 데뷔 이전 멤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18%;"
{{{#fffff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jpg
파일:A Saucerful of Secrets.jpg
파일:More.jpg
파일:Ummagumma.jpg
파일:Atom Heart Mother.jpg

1967

1968

1969

1969

1970
파일:Meddle.jpg
파일:Obscured by Clouds.jpg
파일:The Dark Side of the Moon.jpg
파일:Wish You Were Here.jpg
파일:Animals.jpg

1971

1972

1973

1975

1977
파일:The Wall.jpg
파일:The Final Cut.jpg
파일:A Momentary Lapse of Reason.jpg
파일:The Division Bell.jpg
파일:The Endless River.jpg

1979

1983

1987

1994

2014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EPs ]
{{{#!folding [ Non-album Singles ]
{{{#!folding [ 관련 문서 ]
}}} ||


파일:the top tens 로고.png선정 10대 싱어송라이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3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heTopTens가 투표를 통해 선정한 10대 싱어송라이터 순위이다. #
<rowcolor=#fff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존 레논 밥 딜런 폴 매카트니 조쉬 그로반 폴 사이먼
<rowcolor=#fff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마이클 잭슨 프레디 머큐리 브루스 스프링스틴 로저 워터스 닐 영
}}}}}}}}} ||
파일:the top tens 로고.png선정 10대 작사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3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heTopTens가 투표를 통해 선정한 10대 작사가 순위이다. #
<rowcolor=#fff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밥 딜런 로저 워터스 존 레논 에미넴 커트 코베인
<rowcolor=#fff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프레디 머큐리 폴 사이먼 닐 영 투팍 샤커 엘리엇 스미스
}}}}}}}}} ||
파일:the top tens 로고.png선정 10대 베이시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3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heTopTens가 투표를 통해 선정한 10대 베이시스트 순위이다. #
<rowcolor=#ffffff> 1위 2위 3위 4위 5위
클리프 버튼 게디 리 존 엔트위슬 플리 존 폴 존스
<rowcolor=#fff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스티브 해리스 레스 클레이풀 기저 버틀러 폴 매카트니 로저 워터스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로저 워터스
Roger Waters
파일:로저 워터스.jpg
본명 조지 로저 워터스
George Roger Waters
출생 1943년 9월 6일 ([age(1943-09-06)]세)
영국 잉글랜드 서리 그레이트 부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음악가, 싱어송라이터, 프로듀서, 사회운동가
소속 핑크 플로이드 (1965 - 1985)
서명
파일:워터스 서명.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부모님 아버지 에릭 플레처 워터스 (1914 - 1944)[1]
어머니 메리 워터스 (1913 - 2009)
학력 몰리 메모리얼 주니어 학교 (졸업)
케임브리지셔 고등학교 (졸업)
리젠트 스트리트 폴리테크닉 (건축학 / 중퇴)
신체 187cm[2], 64kg[3]
종교 무종교 (무신론)
장르 프로그레시브 록, 아트 록, 사이키델릭 록, 록 오페라
사용 악기 보컬, 베이스, 기타
활동 기간 1964년 - 현재
레이블 캐피톨, 컬럼비아, 소니 뮤직, 하베스트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

1. 개요2. 상세3. 생애
3.1. 초기 생애3.2. 핑크 플로이드 시절3.3. 솔로 활동
4. 평가
4.1. 송라이팅4.2. 연주력4.3. 보컬4.4. 라이브 공연
5. 비판 및 논란
5.1. 인간적 면모
5.1.1. 리처드 라이트와의 관계5.1.2. 다른 핑크 플로이드 멤버와의 관계
5.2. 정치적 발언 논란
6. 여담

1. 개요

파일:external/content.clickbooq.com/ee3095ad64.jpg 파일:external/www.musiclipse.com/Roger-Waters-bass-guitar.jpg
전성기 시절의 모습 2011년 The Wall 라이브 공연 당시의 모습

영국음악가.

2. 상세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곡가 및 작사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영국 음악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로,[4] 핑크 플로이드의 전 리더이자 베이시스트로 알려져 있다.

동시에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다. 앨범 자체를 하나의 작품으로 취급함으로써, 유기적으로 곡들을 연결하는 프로그레시브 록의 대중화와 발전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다. 핑크 플로이드의 곡 대부분의 작사에 관여하였으며, 핑크 플로이드의 명곡하면 으레 떠오르는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Money, Brain Damage, Eclipse 등은 모두 워터스가 단독으로 작곡한 곡이며, 이외에도 Comfortably Numb, Time을 포함해 거의 모든 핑크 플로이드의 히트 곡에 참여하였다.

또한 좌파(진보주의)적인 사회운동에 활발히 참여하는 등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치는 대중음악가로 평가받는다.

3. 생애

3.1. 초기 생애

파일:어린이 로저 워터스.jpg
1959년, 16살 때의 모습
로저 워터스는 1943년 9월 6일 영국 서리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인 조지 헨리 워터스(G. H. Waters)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영국군 공병으로 근무하던 중 1916년 9월 14일 프랑스에서 전사하였고[5] 그의 아버지인 에릭 플레처 워터스(Eric Fletcher Waters)는 독실한 기독교도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초반에 양심적 병역거부를 택해 런던에서 구급차를 운전하였다. 이때 공산주의자가 되었고[6], 독소전쟁이 일어난 후인 1942년 그는 입장을 바꾸어 영국 육군에 입대해 장교로 복무하다가, 1944년 2월 18일 안치오 상륙 작전에서 전사했다. 워터스의 할아버지가 전사했을 때 그의 아버지가 1914년생으로 2살이었고, 그의 아버지가 전사했을 때 그는 생후 5개월이었다.[7] 아이러니하게도 그가 스스로 밝히길,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장 어린 시절의 기억이 바로 영국군의 1945년 5월 승전 행사였다고. 이 당시의 기억이 그의 정치 성향과 인생관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음은 확실하다.

아버지가 전사한 이후 워터스는 서리주를 떠나 케임브리지에서 자랐다. 그는 케임브리지 소년 핵군축 운동(YCND)의 회장을 지냈고, 이곳에서 시드 배럿데이비드 길모어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 그때 워터스는 스포츠 게임을 좋아했다고 하는데, 그 외의 학교 교육을 굉장히 싫어했으며, 전형적인 악동이었다. 크리켓럭비를 굉장히 잘했다고 한다.

이후 그는 리젠트 스트리트 폴리테크닉에서 건축학을 공부했으며,[8] 이곳에서 리처드 라이트닉 메이슨을 만나 친구가 되어 음악을 같이 하게 되었다.

3.2. 핑크 플로이드 시절

1963년, 나날이 커져가는 음악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리젠트 스트리트 폴리테크닉에서의 학업에 금방 흥미를 잃은 메이슨과 라이트는 파트 타임 교사였던 마이크 리오너드(Mike Leonard) 소유의 아파트로 이사했다. 둘은 대학교 지하실에서 악기들을 연주하며 '시그마 6(Sigma 6)'라는 밴드를 만들었고, 워터스도 밴드에 가입했다. 보통 시그마 6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지만, '메가데스(Megadeth)'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했다. 당시 워터스는 리듬 기타를 연주했고, 메이슨은 드럼을 연주했다. 보컬리스트 키스 노블(Keith Noble)과 베이시스트 클라이브 멧칼프(Clive Metcalfe)도 밴드의 구성원이자 창립 멤버였지만, 1963년 9월 독자적인 밴드를 만들어 밴드를 탈퇴함에 따라 시그마 6는 결성과 동시에 두동강이 나버린다.

결국 워터스는 런던에서 미학을 전공하고 있던 소꿉친구 시드 배럿에게 밴드에 들어올 것을 권유했고, 곧이어 배럿은 밴드의 리더가 되었다. 이어 기타리스트 밥 클로스도 영입하였다. 그리고 워터스는 이때 포지션을 베이스로 바꾸고 밴드 이름을 '스크리밍 앱댑스(Screaming Abdabs)'로 바꿨다. 이후 여러번 밴드 명이 바뀌다가 '핑크 플로이드 사운드(The Pink Floyd Sound)'로 밴드명이 바뀌고, 이것이 줄어들어 '핑크 플로이드'로 정해졌다. 1966년 클로스는 부모님의 반대로 밴드를 탈퇴해 핑크 플로이드의 초기 4인조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엉성한 스쿨 밴드였던 시그마 6가 그럴듯한 사이키델릭 록 밴드로 바뀐건 그의 친구 시드 배럿이 처음부터 끝까지 다 한 일이나 다름이 없었지만, 1968년 모종의 사건으로[9] 시드가 밴드를 급작스럽게 탈퇴하면서 시드 배럿과 가장 친한 사이였던 로저 워터스가 사실상의 리더가 되었다.[10] 1970년대 초반까지는 시드의 색체가 강하게 남은 사이키델릭한 색체를 보여줬지만, 점차적으로 프로그레시브 록의 분위가 강해졌으며,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대성공으로 밴드의 주도권을 잡고 핑크 플로이드를 사이키델릭 록 밴드에서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로 전환시켰다.

이후 Wish You Were Here, The Wall 등 여러 명반들을 잇달아 주도적으로 제작하면서 명성을 얻었고 1970년대 최고의 송라이터라는 찬사를 받았다. 그러나 그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밴드의 다른 멤버였던 데이비드 길모어, 리처드 라이트, 닉 메이슨의 불만은 커져갔다. 악기 연주 실력은 최정상급이었던데다가 송라이팅 실력도 준수했던 라이트나 길모어의 불만은 더욱 컸다. 워터스는 이에 라이트를 The Wall 세션 당시 강제로 탈퇴시키고, 데이비드 길모어와 닉 메이슨은 세션 연주자 수준으로 떨어트리는 만행을 저지르면서 사실상 핑크 플로이드를 개인 밴드로 만들어버렸다.

The Final Cut에서 가장 심화된 이런 분위기는 결국 1985년 워터스가 밴드를 탈퇴하면서 끝이 난다. 이후 수년간의 법정공방과 싸움으로 핑크 플로이드의 다른 멤버들과[11] 사이가 돌이킬 수 없게 틀어져버렸다.[12]

3.3. 솔로 활동

1970년 핑크 플로이드에서 Atom Heart Mother를 공동 작곡한 아방가르드 작곡가 론 기신과 함께 인체 다큐멘터리 The Body의 사운드트랙(Music from The Body)에 참여했다.

핑크 플로이드에서 The Final Cut을 발매한 다음 해인 1984년 The Wall 세션때 구상해 놨던 콘셉트 앨범 The Pros and Cons of Hitch Hiking를 발매했다. 이 음반은 평론가들에게 엇갈린 평가를 받았고, 영국 차트 13위, 미국 빌보드 200 31위를 기록했다. 발매 직후 1985년까지 첫 솔로 투어를 열었는데, 이 투어에는 음반에 참여한 에릭 클랩튼이 참여했지만(1984년 투어에서만), 적자를 기록했다.

핑크 플로이드를 탈퇴한 이후 1986년 자신의 세션맨으로 구성한 블리딩 하트 밴드를 결성하고, 반전 애니메이션 바람이 불 때에 사운드트랙을 맡았고 1987년 두번째 정규 음반이자, 콘셉트 앨범 Radio K.A.O.S.를 발매했다. 이 음반은 평론가들에게 엇갈린 평가을 받았고, 영국 차트 25위, 미국 빌보드 50위까지 진입했다. 이때도 1년간 투어를 돌았는데 당시 핑크 플로이드의 A Momentary Lapse of Reason 투어와 맞불을 놓게 되었다.[13]

이후 1990년 베를린 장벽 붕괴 기념으로 베를린에서 The Wall 콘서트를 열었다. 이 공연에선 시네이드 오코너, 독일 헤비메탈 밴드 스콜피온스, 신디 로퍼, 밴 모리슨, 더 밴드등 여러 게스트 뮤지션들이 출연했고, 약 30만명의 관객이 모여들었다. 이후 이 실황을 담은 라이브 음반 The Wall - Live in Berlin을 발매했다.

그후 1992년 텔레비전 미디어를 비판하는 콘셉트 앨범 Amused to Death을 발매 했다. 원래는 Radio K.A.O.S. 파트 2로 계획하고, 1989년부터 작업에 들어갔지만, 중간에 워터스가 프랑스 혁명사를 다룬 오페라 제작에 들어가기 시작하면서, 음반작업이 속도를 내지 못한것이다. 이 음반은 영국 차트 8위, 미국 빌보드 200 21위를 기록했고, 평론가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는 워터스의 솔로 음반중 가장 좋은 기록이다. 이후 워터스는 이전과 달리 투어를 열지 않았고, 오페라 제작에 집중하면서 한동안 조용히 지냈었다.

그러다가 1999년 In The Flesh라는 제목으로 미국에서 투어를 돌기 시작했고, 이때 실황은 1년뒤 In the Flesh - Live로 발매되었다. 이후 2002년 같은 타이틀로 월드 투어를 열었고, 이때 그동안 핑크 플로이드나 워터스가 한번도 공연해본적이 없는 대한민국, 인도, 남아공, 태국, 아랍에미리트, 레바논등에서도 공연했었다. 이후 컴필레이션 앨범 Flickering Flame을 발매 했고, 2004년 이라크 전쟁에서 영감을 얻은 디지털 싱글 To Kill the Child/Leaving Beirut를 발매했다.

2005년, 워터스가 이전부터 준비했던 프랑스 혁명사를 담은 오페라 싸 이라(Ça Ira)가 로마에서 공식 초연되었다. 이 오페라는 평론가들에게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같은 해 오페라 음원이 음반으로 발매되었다. 이후 2006년 6월부터 2007년까지 The Dark Side of the Moon Live 투어를 열었고, 투어 중간에 몇몇 공연에선 닉 메이슨이 등장해 드럼을 연주했다. 이후 2010년부터 2013년까지 The Wall Live라는 투어를 열었고, 이 투어는 2012년 상반기에만 140만장 이상의 티켓을 판매하면서 워터스 투어중 가장 큰 수익을 기록했다. 투어중에 2011년 5월 12일 런던 O2 아레나 공연에서 데이비드 길모어와 닉 메이슨이 게스트로 출연하기도 했다. 이후 2015년에 투어를 담은 콘서트 필름 Roger Waters The Wall이 공개 되었고, 사운드트랙겸 라이브 음반도 발매 되었다. 이후 2017년 이전부터 제작해 왔던 새 솔로음반 Is This the Life We Really Want?을 발매했고, 같은 해 Us + Them 투어를 진행하여 2018년 12월에 종료했다. 이후 새로운 투어 This Is Not a Drill을 2021년부터 시작하기 위해 준비하였으나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해 무산되었고, 2022년부터 투어를 시작하였다.

4. 평가

4.1. 송라이팅

"로저의 비판 정신이야 말로 핑크 플로이드의 핵심이었습니다. 고로 이 앨범은 도저히 핑크 플로이드의 작품이라 할 수 없었죠."

"로저는 정말 똑똑한 사람이에요. 그것만큼은 부정할 수 없죠."


로저 워터스는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중요한 송라이터 중 한 명으로, 핑크 플로이드의 음악 스타일인 프로그레시브 록을 거의 혼자서 정립했다.[14] 또한, 핑크 플로이드의 가장 성공한 앨범 중 하나이자 역대 최고의 콘셉트 앨범 중 하나인 The Wall을 사실상 혼자 만들었다.[15] 사이키델릭 록 밴드로 시작한 핑크 플로이드의 처음을 장식한 초기 리더 시드 배럿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핑크 플로이드라는 밴드를 사이키델릭 밴드에서 프로그레시브 아트 록 밴드로 만든 것은 워터스가 주도해낸 것이다.

워터스는 단순히 멜로디를 작곡하는 능력도 훌륭하지만, 스토리라인을 제작하고, 작사와 앨범을 구성하는 등의 역량에서 역사적인 수준을 보여주었다고 평가받는다. 즉, 작곡/작사 능력을 넘어서서 '음악적 연출력이 매우 뛰어난 프로듀서'라고 할 수 있다. 전성기 워터스가 만든 모든 앨범은 콘셉트 앨범이었으며, 워터스가 주도적으로 제작하지 않은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 중 좋은 평가를 받는 작품은 시드 배럿이 주도해 만든 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 뿐이고, 워터스가 탈퇴한 후, 데이비드 길모어의 주도 아래서 제작된 핑크 플로이드의 모든 앨범은 졸작이거나, 잘해봐야 수준의 평가를 받았을 뿐이다. 1970년대 후반부터 탈퇴할 때까지는 아예 대놓고 다른 멤버들을 세션맨 수준으로 떨어트려놓고 솔로 활동을 하듯이 자기 멋대로 음반을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발매하는 족족 음악성과 상업성을 모두 잡으며 대성공하고, 이 때문에 데이비드 길모어리처드 라이트 등 워터스와 더불어 전설로 평가받는 멤버들조차 이에 대들지 못했을 정도로 워터스의 송라이팅 능력은 전설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들도 워터스와 싸우고 쫓겨났으나, 위의 어록에서 볼 수 있듯 워터스의 능력만큼은 아예 이견이 없이 인정했을 정도이다. 사실 워터스의 독주가 거의 10년 가까이 가능했던 이유도 그의 송라이팅 능력이 전설적이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제일 많다.

그가 만든 콘셉트 앨범 자체의 완성도만 놓고 보면 하나같이 매우 높은 수준의 명반들이다. 또한 더 후Tommy로부터 내려오던 록 오페라 장르를 가장 훌륭하게 만든 송라이터였다. The Wall더블 앨범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곡의 가사가 단일한 줄거리로 이어지는 하나의 소설이자 사회 비판극과도 같은 음반으로, 이 점에서 고평가를 받는다. 또 사회 비판적인 요소를 곡에 넣는 것을 주저하기는 커녕 하나의 정체성으로 삼았다. 핑크 플로이드를 탈퇴한 이후 만든 솔로 앨범들도 대부분이 우파 정치인들과 자본주의, 전쟁 등을 비판하는 급진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Animals에서는 조지 오웰의 소설 동물농장에서 모티브를 얻어 자본주의를 비판하기도 했다.

작사 능력 또한 높게 평가받는다. 워터스의 가사는 현실과 자전적인 경험에 기반을 둔 지적이면서도 직설적인 표현으로 유명하며, 이는 The Dark Side of the MoonAnimals, The Wall에서 정점에 올랐다. 또한 Echoes, Shine on You Crazy Diamond처럼 시적이고 몽환적인 가사를 쓰는 것과, Money, Welcome to the Machine처럼 날카롭고 냉소적인 가사를 쓰는 것에 모두 능했다. 현재는 밥 딜런존 레논 같은 기라성같은 작사가들과 대등한 평가를 받으며, 워터스가 밴드의 실권을 쥐고 독재를 펼칠 수 있게 해준 핵심적인 능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워터스의 가사는 핑크 플로이드의 핵심적인 정신이 되었으며, 1980년대 이후로 워터스와 사이가 크게 틀어진 리처드 라이트 조차 '로저의 가사와 비판 능력은 밴드의 핵심이었다.'라고 말할 정도로 고평가받는다.

이 '자전적인 경험'은 워터스에게 아주 큰 영향을 끼쳐서, 핑크 플로이드 탈퇴 당시의 소송에서 핑크 플로이드라는 밴드는 시드 배럿의 정신과 안치오 상륙 작전 당시 전사한 자신의 아버지의 영혼을 포함해야한다는 억지스러운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Wish You Were Here은 앨범 전체가 시드 배럿에 대한 추모의 느낌을 담아 만들어졌으며, The Wall은 사실상 워터스의 자서전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그의 경험이 짙게 드러나 있다.

워터스가 주도적으로 제작한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들은 프로그레시브 록의 색채가 강하고, 여러 사운드를 이용해 곡을 만들어 처음 듣는 사람들에게는 전위적인 느낌을 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폴 매카트니, 엘튼 존과 함께 대중적으로 가장 성공한 록스타 중 하나이다. 특히 솔로 활동으로 번 수입은 역대 록 음악가 중 1위이다.

음악적으로는 핑크 플로이드의 초대 리더였던 시드 배럿, 더 후, 비틀즈, 롤링 스톤스, 밥 딜런 등 다양한 1960년대 음악가들의 영향을 받았다. 워터스 본인에 따르면 존 레논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고 한다.[16]천안문 항쟁 등의 역사적인 사건에서도 영감을 얻는다고 한다.

리처드 라이트를 해고한 일이나, 데이비드 길모어와 갈등 등으로 인해 워터스의 개인적인 면모를 싫어하는 사람들도 그의 송라이팅 실력만큼은 인정하는 편이다.

4.2. 연주력

한편 연주력에 대해서는 최고 수준이라고 인정받는 데이비드 길모어, 리처드 라이트만큼의 칭송은 받지 못하는 편이다. 다만 애초에 베이시스트 자체가 개인의 기술적인 면모가 그리 강조되는 포지션은 아니다. 그리고 베이시스트 중 워터스의 연주력을 고평가하는 이들도 많다. 화려한 기교를 뽐내며 연주하는 게 아니라, 철저히 밴드 지향적인 연주를 하는 베이시스트로 보는 것이 중론이다.[17] 국내에서는 (비록 포지션은 다르지만) 김태원과 비슷한 부류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사실 워터스가 떨어진다기보다는, 길모어와 라이트가 연주력 면에서 상당한 고평가를 받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실력이 떨어져보이는 것에 가깝다.

다른 악기를 다루는 실력도 전체적으로 괜찮은 편이다. 길모어가 베이스를 연주하고 워터스가 리듬 기타를 연주한 Pigs (Three Different Ones)를 들어보면, 1960년대 시절부터 갈고 닦았기 때문인지 그의 연주력은 당연히 평균 이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어쿠스틱 기타나 피아노, 오르간, 클라리넷 등도 다루며 간간히 녹음까지 도맡아했다고 한다.

4.3. 보컬

핑크 플로이드 멤버 중에서도 매우 독특한 보컬을 구사한다, 일단 공식적으로 확인된 음역대가 B1-G#5로,[18] 로버트 플랜트 등 쟁쟁한 보컬들의 음역대보다도 넓고,[19] 특유의 드라마틱한 톤과, 오페라 가수를 연상시킬 정도로 강한 성량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잘 부르는' 스타일의 보컬은 아님에도,[20] 본인의 곡에 맞춰 노래를 부르는 것에 굉장히 탁월하다고 평가받는다.[21] 이렇게 자기만의 스타일이 워낙 뚜렷해서 따라하기가 쉽지 않은 편에 속한다.[22] 같은 밴드의 보컬을 맡았던 데이비드 길모어와 비교해 보았을 때 스타일 상으로 많은 차이가 있는 편이다.
또한 젊은 시절에는 비명을 기깔나게 지르는 것으로 유명했다. 위 영상의 괴성들은 토크박스 소리가 아니라 모두 워터스의 육성이다. 1968년에 발매한 싱글인 Careful with That Axe, Eugene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에서 그가 지르는 비명을 들을 수 있다. 라이브 공연에서도 많이 비명을 지르곤 했는데, 그가 나이를 많이 먹은 최근에는 아쉽게도 그 찰진 비명을 들을 수 없다.

4.4. 라이브 공연

라이브 콘서트에도 엄청난 공을 들인다. 공연장 위치, 무대 설계, 조명, 음향, 복장까지 세세한 부분까지 모두 신경을 써서 워터스의 라이브 콘서트는 1970년대에 활동했던 노장의 콘서트라고 보기 힘들만큼 매우 세련되어있고 볼거리가 풍성한 편이다. 2016년 멕시코 시티 공연 당시에는 아예 무대 세트를 Animals의 앨범 커버와 유사하게 재현하기도 했고, 1970~80년대 The Wall 투어 당시에는 너무 라이브 공연에 열을 올린 나머지 적자를 보았다. 이 때문인지 라이브 공연 영상을 보면 화려하고 세련된 무대 때문에 그의 전성기 팬들이었던 중노년층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모여들어 공연을 감상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는 라이브 공연으로 가장 많은 수익을 낸 아티스트 3위이며 특히 솔로 록 음악가로 한정하면 역대 1위이다.

이러한 로저 워터스의 화려한 무대 세팅은 1970년대 중반 아레나 록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5. 비판 및 논란

5.1. 인간적 면모

음악가로써 매우 뛰어난 역량을 가진 로저 워터스이지만 인간적으로는 비판을 받는 경우가 잦다.

워터스는 과거부터 전체주의권위주의에 반대하는 사회민주주의적 메시지를 전파해왔으나, 근 몇 년간 중국의 독재와 인권침해에 대해 침묵하거나 옹호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서서히 이미지가 하락하였고, 후술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러시아를 옹호함으로써 대중에 큰 충격을 주었다.

사실 워터스 본인은 1970년대 중반부터 핑크 플로이드 내에서 독재적 성향을 띠었고, 특히나 Animals 이후로는 그 성향이 매우 강해졌다. 이로 인해 상당수의 친 데이비드 길모어, 리처드 라이트 성향 핑크 플로이드 팬들에게 공산권 독재자와 다를 바 없다며 비판받았다. 이외에도 성격 자체가 상당히 까다로운 인물로 꼽히며, 존 레논, 에릭 클랩튼, 루 리드와 더불어 뛰어난 음악가라고 해서 반드시 좋은 성격을 가진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The Wall 시기 라이트의 해고 사건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23] 당시 다른 멤버들에게도 세션맨처럼 대하는 행보를 보여주어 밴드 내 민심을 크게 잃었다. 또한 The Wall의 공동 프로듀서 밥 에즈린이 공연 초연 직전 빌보드 직원에게 낚여 실수로 The Wall 라이브 공연의 진행 순서를 발설했는데, 해명할 기회도 주지 않고 바로 칼같이 계약을 해지해버린 뒤 The Wall의 공연까지 못보게 하는 뒤끝을 보여주었다.[24]

그래도 친구인 로버트 플랜트그리스에서 교통사고로[25] 죽을 뻔했을 때 워터스 본인 소유의 그리스 별장을 빌려줘서 플랜트의 재활을 도왔다는 미담도 있다.

5.1.1. 리처드 라이트와의 관계

리처드 라이트는 워터스와 리젠트 스트리트 폴리테크닉에서 만날 때부터 사소한 성격차가 있었다. 라이트는 핑크 플로이드가 메이저 데뷔를 하기 이전에도 모 가수에게 자작곡을 준 적이 있을 정도로 유능한 작곡가였으며, 초창기 시드 배럿 시기의 핑크 플로이드에서 배럿 다음으로 음악적 지분을 많이 가지고 있던 사람도 라이트였다. 심지어 초창기 핑크 플로이드의 매니저였던 피터 제너와 앤드루 킹은 배럿과 라이트를 밴드의 브레인으로 보기도 했다. 하지만 배럿의 탈퇴 이후 워터스가 주도권을 잡으면서 라이트의 작곡 기여도는 이전보다 줄어들기 시작했다.

핑크 플로이드의 전성기 시절인 1970년대 중반 라이트가 The Dark Side of the Moon을 통해 번 돈으로 시골의 저택을 사자 워터스가 기성 록스타처럼 활동한다며 라이트를 인신공격 수준으로 비난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워터스가 라이트의 저택보다도 더 으리으리한 시골 저택을 사들였고 이에 분노한 라이트가 워터스를 추궁하자 워터스는 '아내가 사자고 했다.'라며 변명했다.

라이트는 1994년 BBC와의 인터뷰에서 1977년 Animals부터 워터스가 작곡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고 주장한 반면, 워터스는 오히려 이후 라이트가 솔로 앨범 Wet Dream을 발매하며 자작곡을 우리와 전혀 공유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둘의 관계는 2년 뒤 The Wall 제작 과정에서 파탄난다. 워터스가 음반 프로듀서 권한을 라이트에게 못주겠다고 하자 라이트는 이에 반대했고, 당시 여러 가정 문제로 심리적으로 불안정했던 라이트에게 심리적 압박을 주고 그를 기여도 미약으로 밴드에서 퇴출시켰다. 이에 The Wall의 공동 프로듀서인 밥 에즈린은 워터스가 라이트를 완전히 망가뜨리려 한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심지어 밴드가 재정적으로 안 좋았던 상황을 이용해 다른 멤버들에게 라이트를 퇴출하지 않으면 The Wall 발매를 거부하겠다고 협박하기도 했으며 라이트가 코카인을 흡입해 퇴출당했다는 루머를 그대로 방치했다.[26]

이후 둘은 세션 키보디스트 존 카린의 중재로 1999년 무대 백스테이지에서 재회했으며 이후 라이브 8에서도 재결합했고, 2007년 핑크 플로이드 재결합 공연 때도 백스테이지에서 만나 사진을 찍고 대화를 나누는 등 관계가 상당히 회복되었다. 라이트가 2008년 암으로 먼저 세상을 떠나자 워터스는 '화성 진행 면에서 릭의 귀는 우리 음악의 기반.'이라고 그를 추모하면서 둘의 관계는 이전만은 못하더라도 많이 누그러졌다. 비록 2020년대 들어 워터스가 길모어와 사이가 나빠지면서 고인이 된 라이트를 비난하는 발언을 하긴 했지만, 적어도 예전의 남보다도 못한 관계보다는 확실히 나아졌다.

5.1.2. 다른 핑크 플로이드 멤버와의 관계

1985년에는 리처드 라이트와는 달리 순순히 프로듀싱 권한을 준 닉 메이슨까지 해고하고 데이비드 길모어와 2인조 록 밴드 체제로 세션 멤버들을 고용할 생각이었는데[27] 오히려 길모어가 그렇게 놔둘 수는 없다면서 메이슨과 손을 잡고 적극적으로 워터스에 대항해, 결국 워터스가 노발대발하며 밴드를 탈퇴하게 만들었다.

물론 이대로 순순히 밴드를 냅둘 워터스가 아닌지라 '핑크 플로이드'라는 이름을 못 쓰게 하려고 어떻게든 변호사를 고용하여 길모어와 메이슨을 괴롭혔다.[28] 이 과정에서 워터스는 시드 배럿과 자신의 죽은 아버지까지 끌고 오며 핑크 플로이드라는 이름을 못 쓰게 필사적으로 막았고, When the Wind Blows를 제작할 때 가사를 '이 땅은 나의 땅'에서 '이 밴드는 나의 밴드'라고 바꾸어 부르기까지 할 정도의 극단적인 집착을 보였다. 심지어 음반 제작과 라이브 투어에 필요한 핑크 플로이드의 자산마저 동결시켜 결국 길모어와 메이슨이 사비로 조달하는 수 밖에 없게 만들어버렸다. 이에 메이슨은 목표 금액을 만들려고 자신이 소유한 가장 비싼 차인 페라리 250GT를 담보로 잡고 돈을 빌리기도 했다. 기나긴 법정 공방 끝에 결국 핑크 플로이드가 승리하긴 했지만, 라이트가 계약상의 이유로 1990년까지 밴드에 들어가지 못하고, 핑크 플로이드 멤버들 전부가 심신상 많이 지쳤을 정도로 워터스는 멤버들에게 많은 상처를 남겼다.

그 외에도 데이비드 길모어The Final Cut 당시 마거릿 대처를 향한 비판도 별로 안 좋아했고 자신과 180도 다른 정치 성향을 가진 사람이라며 비난한 것, 밴드 초창기부터 리처드 라이트를 대놓고 업신여기며 괴롭힌 것 등 자잘한 것만 따지면 여기에 다 행적을 옮겨 적기 힘들다. 오죽하면 The Wall 당시 참여했던 음반 관계자는 '어린 시절 나를 괴롭혔던 나쁜 일진들을 보는 것 같았다'라고 참담한 심정으로 회상했을 정도이다.

세월이 지나고 여러 일을 겪으며 예전보다는 관계가 누그러지긴 했지만, 여전히 데이비드 길모어와의 관계는 무척 나쁜 편에 속한다. 허나 닉 메이슨과는 화해했으며, 메이슨의 투어에 워터스가 간간히 게스트로 서는 등 우호적인 사이를 유지하고 있는 중이다. 워터스 또한 다른 멤버를 비난하는 발언을 자주 하면서도 메이슨을 비난하는 발언은 거의 하지 않았을 정도로[29]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5.2. 정치적 발언 논란

극좌이자 급진적인 정치 성향으로 유명하다. 핑크 플로이드 자체가 여타 록밴드처럼 리버럴한 성향을 갖고 있기는 했지만 워터스는 특히나 리버럴이라고 부르기도 힘든 강성 좌익이었고 사회주의공산주의를 옹호했으며 그것을 앨범에 녹여내기를 원했다. 그래서 워터스는 소련이 해체된 이후로는 항상 중국공산당을 지구상에서 가장 이상적인 체제에 가깝다고 지인들에게 설파하고 다녔으며, 줄곧 중국에서 콘서트를 하고 싶다고 말하고 다녔다. 이는 본인이 주도적으로 제작한 대부분의 앨범에서 잘 드러난다. 또한 반 권위주의, 반 전체주의아나키즘 성향을 드러냈다. 아이러니한 것은 워터스가 찬양하는 중국공산당은 그 반대로 권위주의의 끝판왕이라는 것과 워터스는 1977년 즈음부터 1983년까지 핑크 플로이드 내에서 독재를 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친 길모어 성향 팬들에게는 '공산권 독재자'라며 조롱받는다.

최근 급진적인 반서방, 친중, 친러 성향 발언으로 큰 비판을 받았다.[30] 워터스는 좌파 중에서도 구좌파 성향이 강한데, 이게 지나쳐 탱키 성향까지 보이는게 문제의 요지이다.

2022년 8월 CNN에 출연해 '중국대만을 포위하는 게 아니다. 대만은 중국의 일부이고 1948년[31] 이후 국제 사회에서 절대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라며, '그걸 모르면 충분히 책을 읽지 않은 것이다. 나가서 읽어라.'라고 말했다.

상술한 인터뷰에서 워터스는 또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 이는 NATO의 확장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중국캐나다멕시코에 미사일을 배치하면 미국이 어떻게 반응하겠느냐'고 했다. 또한 진행자가 '인권 침해의 최상위권에 중국이 있다'고 하자 워터스는 미국의 이라크 전쟁을 언급하며 '중국은 누굴 죽였느냐'고 말했다. 진행자가 '자국 국민'이라고 하자 '말도 안되는 소리'라며 중국의 인권탄압 및 대학살을 전면 부정했다.

이와 같이 그의 사회적 입지나 젊은 층과의 소통과는 별개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정당화하고 중국인권탄압을 부정하며 강력한 반미의 모습을 보인다. 이에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의 알렉스 브리스토 부국장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대만은 공산주의 중국에 통치된 적이 없다'며 '로저 워터스는 달의 어두운 면에 산 것 같다'고 했다. 결국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을 중단할 것을 주장하다가 폴란드 공연이 취소되었고 올레나 젤렌스카 우크라이나 영부인과 설전이 있었다. #

2023년 유엔 연설을 통해'"러시아의 침공에 이유가 없지는 않다'고 발언하자, 우크라이나 측은 '기타나 계속 쳐라'라고 응수했다. #

게다가 베를린 공연 때 검은색 롱코트를 입고 붉은색 완장을 팔에 두른 것과 관련해 베를린 경찰의 조사를 받게 되자 독일서 공연하던 도중 '반유대주의자'라는 낙인을 부인하며 눈물을 흘렸다. #[32]

6. 여담

파일:7D0799CF-E805-4DB0-820A-5527AF65AD2F.png
파일:식물과 물.jpg

[1] 1944년 2월 18일, 로저가 생후 5개월이던 당시 안치오 상륙 작전에서 전사했다.[2] #[3] 전성기 기준.[4] 존 레논, 폴 매카트니, 믹 재거, 피트 타운젠드, 레이 데이비스 등과 함께 영국의 록 음악 작곡가로서 가장 입지가 높은 인물이다.[5] 핑크 플로이드의 벽에서 할아버지의 묘에 참배하는 장면이 나온다.[6] 마이클 무어와의 인터뷰[7] 본인 인터뷰[8] 여담으로 기계공학 전공도 고민했다고 한다. 이때 그는 진로 적성검사에서 건축학이 알맞다는 결과를 받아 기계공학과가 아니라 건축학과로 진학했다.[9] 정신 문제가 가장 유력하지만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10] 시드 배럿 체제에서는 오히려 리처드 라이트의 지분이 워터스보다 더 컸다고 한다. 하지만 1960년대 후반 이후로 전반적인 작사를 로저 워터스가 혼자서 다 하게되면서 점차적으로 라이트가 밀려나고 워터스에게 지분이 쏠리다가, 1977년 Animals 세션 이후 로저 워터스 독재 체제가 되었다.[11] 리처드 라이트, 시드 배럿이 사망한 현 시점에선 데이비드 길모어만 한정이고, 닉 메이슨과는 사이가 예전만큼 좋다. 물론 밴드 이름에 대한 법적 분쟁 당시에는 메이슨과 워터스와의 관계도 매우 나빴었지만 훗날 2002년에 카리브해에서 우연히 제회하면서 다시 친해졌다. 사실 메이슨은 워터스와 처음으로 밴드를 시작했을때부터 계속 함께했던 동료이기도 하고, 워낙에 성격이 좋은 사람이라 그런것이다.[12] 그래도 라이브 8에서 다시 사이가 좋아지는 듯 했으나 다시 틀어져 버렸다.[13] 여담으로 핑크 플로이드가 미국에서 리허설를 진행할때, 워터스는 토론토에서 공연하고 있었는데, 핑크 플로이드의 세션맨이자 팬이였던 키보디스트 존 카린, 색소폰 주자 스콧 페이지와, 길모어의 친구이자, 이전에 워터스와 The Pros and Cons of Hitch Hiking 투어를 돌았던 기타리스트 팀 렌웩이 함께 몰래 워터스 공연을 본적이 있었다고 한다. 당시 워터스는 당연히 핑크 플로이드 맴버들이 자기 공연에 출입하는걸 금지 했었다.[14] 일반적으로 높게 평가받는 The Dark Side of the Moon, Wish You Were Here, Animals, The Wall의 콘셉트는 모두 워터스가 주도하여 고안해낸 것이며, 이 네 앨범에 있는 모든 곡의 가사를 쓰고, 대다수의 곡을 작곡했다.[42] 그 외 시드 배럿의 주도권이 강하던 시기를 제외한 초중기의 앨범들에서도 대부분의 곡을 작사했고, 각 앨범 수록곡의 절반 이상을 단독/공동 작곡하는 등 타 멤버들에 비해 확연히 높은 기여도를 보였다.[15] Comfortably Numb의 일부를 제외하면 모든 곡을 혼자 작사 및 작곡했다. 스토리라인 역시 워터스가 만들었는데, 대중음악사에서도 The Wall처럼 뛰어난 스토리라인을 갖춘 앨범은 매우 드물다.[16] 레논 역시 워터스 같이 급진적인 진보주의자였다.[17] 보통 밴드 내에서 독선적으로 구는 리더는 자기 파트에 대한 욕심 때문에 전체적인 사운드를 그르치는 일이 많은데, 워터스는 송라이팅에 있어 독재를 했을지언정 자신이 연주하는 베이스는 묵묵히 근음을 잡아주는 역할을 거의 벗어나지 않았다. 해봤자 Another Brick in the Wall처럼 인트로를 치는 정도였고, 그조차도 거의 없다시피 하다.[18] 대중음악 역사상 최고의 보컬 중 하나로 손꼽히는 로저 달트리와 단순 음역으로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19] 물론 고음만 따지자면 플랜트가 더 많이 올라간다.[20] 일단 음색부터가 매우 특이하고 대중성이 있다고 보기 힘들기 때문에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 거기에 당시 록 보컬들 대다수가 그랬듯이 제대로 된 발성 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인골라가 매우 심하고 목에 무리가 많이 가는 창법을 구사했다.[21] 일례로 Sheep의 후반부 기타 리프가 마음에 들었던 데이비드 길모어는 투어 당시 세트 리스트에 이 곡을 넣고 싶어했지만, 보컬을 따라할 수가 없어 결국 넣지 못한 적이 있다.[22] 특히 이런 면이 두드러지는 것이 The Wall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The Trial. 아무도 제대로 따라하질 못한다.[23] 다만 당시 라이트 해고 사건의 경우 다른 멤버들의 증언으로 보아 라이트 본인이 워터스를 제외한 다른 멤버들에게도 민심을 크게 잃었던 것으로 보인다.[24] 에즈린은 이에 굴하지 않고 공연을 보러 갔는데 마침 공연장 경호원 중 에즈린이 과거 키스를 프로듀싱할때 친분이 생긴 경호원이 있던 덕에 공연을 볼 수 있었다.[25] 차가 절벽 아래로 떨어졌다.[26] 닉 메이슨을 비롯한 관계자들은 이 루머를 강력히 부정했다. A Momentary Lapse of Reason 투어 당시 실제로 코카인을 흡입했던 데이비드 길모어 역시 라이트의 코카인설을 부정했다.[27] 메이슨은 당시 기준으로 워터스와 20년 넘게 친구로 지낸 사이였고 인간성도 좋다고 평가받는다는 점에서 당시 워터스의 막장성을 짐작할 수 있다.[28] 당시 신보를 녹음하고 있던 핑크 플로이드 멤버들 앞으로 5분에 한번씩 변호사들의 전화가 울렸다고 한다.[29] 기껏해야 핑크 플로이드라는 이름을 두고 법적 공방을 벌였을 때 정도이다.[30] 아이러니하게도 워터스의 절친인 에릭 클랩튼은 보수 성향으로 유명하지만, 최근 백신 음모론 등 급진적인 극우 성향 발언으로 큰 비판을 받았다.[31] 정확히는 1949년이다.[32] 이는 워터스가 모든 The Wall 공연에서 선보인 것으로, 반유대주의와는 전혀 관련이 없으며 나치 독일 등 독재자를 풍자하기 위한 것이다.[33] 당시 길모어와의 관계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문장이다. 사실 길모어하고는 아직도 사이가 안 좋다. 닉 메이슨마저 그만 싸우라고 깠을 정도다.[34] 부유한 사람이 사회 변화를 주장한다고 해서 위선자가 되는 건 아니지만, 로저 워터스가 평범한 할리웃 리버럴이 아님을 보여주는 일화 중 하나이다. 사실 워터스의 주장이나 생활 습관만 보자면 그는 리버럴이기보다는 강성 좌파~극좌에 가깝다.[35] 영국의 보수주의적 도덕 신념을 강조한 사회보수주의 성향의 교육자[36] 노동 계급 출신의 노엘 갤러거는 노동당 지지자이고, 한때 블레어의 열광적 지지자였지만, 그의 우클릭으로 인해 현재는 쌍욕을 섞어서 저주할 정도로 블레어를 매우 싫어한다. 다만 성향 자체만 보면 갤러거보다 워터스가 훨씬 강경한 좌파에 가깝다. 갤러거는 제러미 코빈을 공산주의자라 비판한 전적이 있다.[37] 그외 핑크 플로이드 상징 중 하나인 돼지 풍선에다가 대놓고 트럼프를 그려놨다.[38]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라디오헤드도 핑크 플로이드와 마찬가지로 굉장히 진보적인 아젠다를 표방하는 밴드라는 것. 사실 라디오헤드는 좌파적인 정치 성향과는 별개로, 친 이스라엘 성향이 강해 (조니 그린우드의 부인은 아예 이스라엘인이다) 이에 대한 비판이 있다.[39] 클랩튼이 몸담았던 밴드 크림의 드러머였다.[40] 워터스 본인도 187cm로, 나이를 감안하면 굉장한 장신이다.[41] 워터스와 비슷한 성향의 사회주의자인 데이비드 길모어도 공연 스폰서를 받았다가 크게 후회하며 모든 스폰서 수익금을 전부 사회에 기부했다.

[42] The Dark Side of the Moon은 10곡 중 7곡을 단독/공동 작곡하였고, 그 뒤 The Final Cut 시기까지는 앨범에 수록된 모든 곡을 단독으로, 혹은 공동으로 작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