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기록물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대 | 메소포타미아 음악 |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 |
그리스 음악 |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 |||
중세 음악 | 노트르담 악파 | 레오냉 · 페로탱 | ||
아르스 노바 | 비트리 · 마쇼 | |||
기타 |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 |||
르네상스 음악 | 부르고뉴 악파 | 뒤파이 · 뱅슈아 | ||
플랑드르 악파 |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 |||
이탈리아 | 팔레스트리나 · 라소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
스페인 | 빅토리아 | |||
영국 |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 |||
독일 |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 |||
프랑스 |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 |||
이탈리아 |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 |||
중부 유럽 |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 |||
영국 | 퍼셀 · 헨델 · 애비슨 | |||
고전주의 | 전고전(로코코) |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 ||
초기 고전파 |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 |||
낭만주의 | 전기 낭만주의 | 초기 낭만파 |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 |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 |||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 |||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 |||
오페라 |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 |||
빈 왈츠 |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이바노비치 · J. 슈트라우스 3세 | |||
후기 낭만주의 |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헤르초겐베르크 · 로트 · 볼프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 레하르 | ||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 |||
프랑스 후기 낭만 |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 |||
러시아 후기 낭만 |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 |||
영국 낭만주의 |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 |||
폴란드 낭만주의 |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 |||
미국 후기 낭만 |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 |||
기타 | 페야체비치 · 랑고르 | |||
국민악파 | 러시아 |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 ||
중부 유럽 | 스메타나 | |||
북유럽 | 닐센 | |||
스페인 |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 |||
프랑스, 이탈리아 |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 |||
20세기음악 | ||||
인상주의 |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 |||
신고전주의 |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 |||
제2 빈 악파 |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 |||
프랑스 근현대 음악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 |||
영국 근현대 음악 |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 |||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영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랭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 |||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 |||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 |||
헝가리 근현대 음악 |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 |||
폴란드 현대 음악 |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 |||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 |||
이탈리아 근현대 음악 |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로타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모리코네 · 샤리노 · 페델레 · 에이나우디 | |||
한국 현대 음악 | 안익태 · 김순남 · 윤이상 · 나운영 · 강석희 · 백병동 · 나인용 · 박영희 · 이만방 · 진은숙 | |||
일본 현대 음악 | 타케미츠 · 히사이시 조 · 요시마츠 | |||
기타 |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탄 · 첸 · 도이처 | }}}}}}}}} |
1. 개요
리로이 앤더슨(Leroy Anderson, 1908.06.29 ~ 1975.05.18)은 미국의 작곡가로 주로 짧고 가벼운 콘서트용 음악을 작곡했다.아서 피들러(Arthur Fiedler)가 지휘한 보스턴 팝 오케스트라(Boston Pops Orchestra)가 앤더슨의 곡을 주로 연주했다.
타자기, 사포, 알람 시계 등을 연주에 사용하는 독특한 시도를 많이 했다.
2. 경력 및 수상
- 하버드 대학교 문학사(Bachelor of Arts) 마그나 쿰 라우데[1]로 졸업
- 하버드 대학교 음악 밴드 음악 감독(Music Director) 역임(1929, 1931 - 1935)
- 파이 베타 카파[2] 회장 역임(1929)
- ASCAP 이사회 임원 역임(1960 - 1964)
-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헌액(1620 Vino St.)[3]
- 대학 내에 앤더슨 밴드 센터(Anderson Band Center) 건립(1995.10.26)
- 매사추세츠 케임브리지에 리로이 앤더슨 광장(Leroy Anderson Square) 건립(2003.05.31)
이외에도 대학 시절 음악 외에 언어를 공부한 전력이 있으며[4], 무려 9개 언어[5]를 할 줄 알았다.
영화음악의 거장 존 윌리엄스는 이 사람을 "미국의 오케스트라 경음악의 거장 중 하나"라고까지 묘사했다.
3. 대표곡
- Blue Tango
1952년도 빌보드 연말 차트 1위와 빌보드 싱글 차트(당시에는 핫 100이 개설되기 전)에서 1위를 기록한 공전의 히트곡. 목소리가 들어가지 않은 순수 기악곡이 1위에 오른 것은 현대는 물론 당시 기준으로도 매우 예외적인 일이었다.
- The Typewriter
악기 편성: 악기 편성: 피콜로, 프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색소폰, 트럼펫, 프렌치 호른, 트롬본, 유포리움, 튜바, 코넷, 바이올린, 비올라, 콘트라베이스, 종, 팀파니, 타자기[6]
타자기의 타자, 줄바꿈, 벨소리가 음악에 사용되었다. 음악을 빨리 듣고 싶다면 1분 35초부터 보면 된다.
- Sandpaper Ballet
악기 편성: 피콜로, 플루트, 오보에, 바순, 클라리넷, 색소폰, 코넷, 트럼펫, 프렌치 호른, 트롬본, 유포리움, 튜바, 콘트라베이스, 바이올린, 비올라, 사포[7]
참고로 앞의 4분은 그냥 장난삼아 집어넣은 연극으로, 음악을 듣고 싶다면 4분 26초로 가자.
- Plink, Plank, Plunk[8]
- Syncopated Clock[9]
악기 편성: 피콜로, 플루트, 오보에, 바순, 클라리넷, 색소폰, 코넷, 프렌치 호른, 트롬본, 유포리움, 튜바, 바이올린, 비올라, 콘트라베이스, 우드블록[10], 알람 시계[11]
- The Waltzing Cat[12]
1948년 2월 발표했으며, 슬랩스틱이 퍼커션으로 들어가 채찍 소리를 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미첼 패리시가 1950년 가사를 붙여 캐롤로 자주 불린다. 로네츠가 부른 1963년 버전은 2018년부터 크리스마스 시즌마다 꾸준히 빌보드 톱100에 들었고, 60주년이 된 2023년에는 8위에 오르기도 했다.
- Bugler's Holiday(나팔수의 휴일)
Dr.꽃샤쓰의 곡 즐~로 리메이크되어 오투잼에 수록되었다.
이 외에도 Chicken Reel, Fiddle Faddle, Belle of the Ball 등도 유명하다.
[1] Magna Cum Laude. 졸업시 학점 기준 상위권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명예[2] Phi Beta Kappa: 미국 최초의 Honor Society - 각 학교마다 지부가 있음[3] 팝 음악 관련 업적으로[4] 정확히 말해서 독일어 및 스칸디나비아쪽 언어. 박사(PhD)까지 갔다.[5]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 모국어로 영어 및 스웨덴어(스웨덴 부모님 하에서 태어남)[6] 타악기로 분류된다. 악보에 따르면 우드블록(Woodblock)이나 고드(Gourd)로 교체가 가능하다.[7] '사포를 씌운 나무토막(Sandpaper block)'이라고 악보에 명시되어 있다.[8] 여기서 현악기 현을 손가락으로 튕기는 것은 피치카토(Pizzicato)라는 주법이다. 요한 스트라우스 2세의 폴카(Pizzicato Polka)처럼 곡 전체가 피치카토로 구성된 곡도 존재한다.[9] 국내에서는 '고장난 시계'라고 많이 알려져 있다.[10] 시계 소리를 내는 타악기이다.[11] 타악기로 분류된다. 악보에 따르면 트라이앵글, 카우벨(Cowbell), 윈드 휘슬로도 교체가 가능하다.[12] 영상은 톰과 제리 초기작(1940~1958)의 여러 에피소드를 짜집기 했으며, 처음에 나오는 영상은 디즈니의 환타지아 2000 중 랩소디 인 블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