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20:00:09

서울시메트로9호선

메트로나인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메트로9호선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에 대한 내용은 서울 지하철 9호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BNK금융그룹 흰색 로고.sv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7191f><colcolor=#ffffff> 계열사 BNK금융지주 | BNK부산은행 | BNK경남은행 | BNK캐피탈 | BNK투자증권 | BNK저축은행 | BNK자산운용 | BNK벤처투자 | BNK신용정보 | BNK시스템
공익 재단 BNK희망나눔재단
스포츠단 부산 BNK 썸 | BNK FearX (네이밍)
기타 서울시메트로9호선 | 부산-김해경전철 | 의정부경량전철 | SG레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1px;"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파일:국가철도공단 로고.svg
국가철도공단
공기업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주식회사 SR 로고.svg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에스알
수도권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파일:서울시메트로9호선 CI.svg 파일:공항철도 CI.svg 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공항철도 인천교통공사
파일:우이신설경전철(주)_Logo.png 파일:우이신설경전철운영_Logo.png 파일:Shinbundang Railroad_CI_Horizontal.png 파일:네오트랜스 로고.svg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신분당선 네오트랜스
파일:Ggrail_logo.png 파일:새서울철도 로고.svg 파일:eRail_logo.png 파일:서부광역철도-로고.png
경기철도 새서울철도 이레일 서부광역철도
파일:용인경량전철_Logo.png 파일:인천공항시설관리 로고.svg 파일:남서울경전철 로고.svg 파일:동북선도시철도_Logo.png
용인경량전철 인천공항시설관리 남서울경전철 동북선도시철도
파일:서해철도주식회사 로고.svg 파일:김포골드라인SRS 로고.svg 파일:우진메트로_Logo.png 파일:SG레일 로고.svg
서해철도 김포골드라인SRS 우진메트로 SG레일
파일:남양주도공CI(2023년개정판).png 파일:구리도시공사 CI.png 파일:넥스트레인 로고.svg 파일:용인에버라인운영_Logo.png
남양주도시공사 구리도시공사 넥스트레인 용인에버라인운영
파일:지티엑스에이운영 로고.svg 파일:의정부경전철 로고.svg 파일:로템SRS 로고.svg 파일:에스트랜스 로고.png
지티엑스에이운영 의정부경량전철 로템SRS 에스트랜스
부산·울산권
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 파일:bglrt_logo.png 파일:스마트레일_Logo.png 파일:가야철도 로고.svg
부산교통공사 부산-김해경전철 스마트레일 가야철도
기타권역
파일:대구교통공사 로고.svg 파일:광주교통공사 좌우CI.svg 파일:대전교통공사 로고.svg 파일:전라선철도주식회사 로고.svg
대구교통공사 광주교통공사 대전교통공사 전라선철도
파일:삼표레일웨이 로고.svg
삼표레일웨이
더 이상 현존하지 않는 철도기관 보기
{{{#003478,#3090F0 주1 의정부경전철주식회사는 파산 이후 도시철도운송사업 폐업 절차를 마친 상태로, 운영기관이 아니다. }}}}}}}}}

<colcolor=#fff>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市메트로九號線 | Seoul Metro Line9
파일:서울시메트로9호선 CI.svg [1][2]
<colbgcolor=#064ca1> 설립일 2004년 12월 20일
대표자 박성주
모회사 부산은행
주요 주주 주식회사 부산은행: 100%[3]
기업 분류 중견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698명(2023년 4분기 기준)
자본금 746억 4,000만원(2023년 기준)
매출액 1,103억 7,158만 5,210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497억 1,666만 752원(2023년 기준)
순이익 -223억 4,397만 6,876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5,376억 2,258만 1,730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5,847억 9,633만 4,823원(2023년 기준)
운영 구간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관할구간][수행업무][6]
영업 거리 27km
미션 공익과 수익이 조화된 성공적 민간투자사업 운영
비전 고객의 꿈과 행복을 이어가는 도시철도9호선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로8길 38 (개화동)
관련 웹사이트
서울시메트로9호선(주) 공식 홈페이지
공식 SNS
9호선 웹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서울시메트로9호선(주) 공식 유튜브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서울시메트로9호선(주) 공식 인스타그램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서울시메트로9호선(주) 공식 페이스북
공식 캐릭터
파일:서울시메트로9호선 구구.png
마스코트 '구구(GUGU)'
관련 전화번호
고객센터: 02-2656-0009
본사: 02-2656-0009
SMS 문자서비스: 1544-4009
9호선 동작역 유실물센터: 02-2656-0009
1. 개요2. 연혁3. 역대 대표이사4. 운영 노선5. 소속 열차6. 역사
6.1.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 시절6.2. 서울특별시와의 재협약 이후
7. 차량번호8.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메트로 9호선(주) 본사.jpg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위치한 서울시메트로9호선 본사[7]
함께한 10년,
함께할 미래를 바라봅니다.
함께 걸어온 10년, 그 고마움에 보답하는 9호선이 되겠습니다.
서울시메트로9호선(주) 10주년 기념 슬로건
고객의 꿈과 행복을 이어가는 9호선
서울시메트로9호선(주) CEO 인사말 中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사업시행을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서울 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을 운영한다.

본래 9호선의 실제 운영은 서울9호선운영에 위탁했으나 2019년 7월 1일부터 서울9호선운영과의 계약을 해지하고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직영한다. #

이 회사의 민자 운영 기간은 개통 시점으로부터 30년까지인 2039년까지이며, 2039년이 되면 민자 운영 기간 만료로 서울특별시로 운영권이 환수된다. 이후의 운영기관은 미정이나 서울특별시 측에서 서울교통공사 9호선운영부문이 9호선을 직영하도록 하고 해당 기업은 청산할 것으로 보인다.

2. 연혁

3. 역대 대표이사

4. 운영 노선

5. 소속 열차

6. 역사

6.1.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 시절

현대로템이 25%,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가 24.53%의 지분을 가지고 있었다. 이외에도 신한은행, 중소기업은행, 포스코 ICT 등이 재무투자자, 건설 투자자 등으로 대주주로 참여했다. 현대건설의 지분 7.64%까지 합쳐서 현대자동차그룹의 지분이 32.64%에 달하는 최대주주여서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로 분류되었다. 서울시메트로9호선은 9호선 사업의 상부구조(정거장, 궤도, 전기, 차량, 신호 등 토목을 제외한 전 영역)에 대해 담당하는 것으로 사업이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9호선 1단계 총 투자비 2조 3,930억원(2002년 기준) 중 4,798억원을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부담했다.

메트로9호선과 서울특별시의 9호선 사업 실시협약에서는 수요예측치에 모자라 적자를 보면 서울특별시 측에서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었다. 문제는 적자의 구조적 요인이었는데, 기본 운임은 재정사업[10]으로 건설된 다른 지하철과 동일한 수준으로 억제되는 상황에선 도무지 적자를 벗어날 수 없었던 것이다. 실시 협약상 2003년을 기준으로 기본운임 1,000원을 적용하기로 한것과는 달리 실제 개통시엔 900원의 기본 운임을 적용[11]하고, 본래 9호선은 인천공항철도처럼 다른 전철과는 분리된 요금제를 채택할 예정이었으나 결국 수도권 통합 요금제를 준용하면서 수익성이 낮아졌다. 이 때문에 예상된 운임 수익에 미치지 못함으로써 구조적인 적자를 만들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메트로9호선은 연 이율 7%의 선순위 채권[12]과 15%의 후순위 채권으로 사업비를 조달했기에[13] 이것보다는 높은 수익률을 보아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기사.

적자를 견디지 못한 회사가 2012년 4월 14일, 기본운임 500원 인상안을 기습 발표하기에 이르렀는데, 이에 대해 이틀 만에 서울특별시가 유감 표명을 한 뒤 전방위적인 압박을 통해 운임 인상을 막았다. 소송까지 진행했는데, 2013년 5월 30일 서울행정법원에서 서울특별시에 승소 판결을 내렸다.(2012구합15029) #

결국 2013년 7월 16일, 주주 중 하나인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는 지분 매각을 결정했고, 기사 현대자동차그룹 역시 지분을 전량 매각했다.

6.2. 서울특별시와의 재협약 이후

현대자동차그룹과 맥쿼리 및 메트로9호선에 참여했던 재무, 건설 투자자의 지분은 교보생명(24.74%)과 한화생명(23.96%) 및 신한은행(10.82%) 등 새로운 재무적 투자자가 인수함으로써 주주 구조가 변경됐다.

주주 구조 변경과 함께 실시협약 변경을 진행했는데, 변경된 내용에 따르면 9호선의 운임 결정권은 서울특별시가 가지게 되었으며, 최소 운영수익 보장(MRG)제도와 노령층 무임승차 손실 지원을 없앴다.

민간 사업자의 수익률도 13%대에서 4.86%로 조정하는 대신 서울특별시는 매 분기 관리 운영권 가치에 대한 상각액, 이자율, 운영 비용을 포함한 금액에서 9호선 운임과 부속사업 수입 등을 합한 금액을 뺀 나머지, 한 마디로 적자와 최저수익률을 서울특별시가 책임지고 보전해 주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민간 투자사의 참여와는 별도로 서울시메트로9호선 주식회사에 투자되는 시민펀드를 4년 만기 1호, 5년 만기 2호, 6년 만기 3호, 7년 만기 4호로 각각 250억원씩 총 1,000억원을 조성하기로 했는데 판매를 시작 하루 반만에 완판되었다. 서울특별시 보도자료 2013년 출시하여 2021년 4호까지 모두 목표수익률을 달성하고 청산되었다. #

2019년 1월 18일, 서울 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 사업 시행사인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서울9호선운영에 운영 위탁 계약을 해지하고 노선 직영화를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 2019년 7월 1일부터 9호선의 1단계 구간 위탁운영사인 서울9호선운영과의 계약을 해지하고 사업시행사인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직영한다. #

7. 차량번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메트로9호선/차량번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기타

과거 티머니와 광주의 한페이, 대구의 원패스의 상호 호환을 방해했던 기업이다. 센스패스를 제외한 지역 기반 교통카드 업체들이 전국 호환형 카드를 내놓을 때에 맞춰 한페이[14]도 전국 호환이 개시될 예정이었으나, 이미 합의를 다 해놓은 서울메트로코레일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인천교통공사와 달리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전산망 업그레이드 명목으로 한페이시스와 유페이먼트에 수 억 원을 요구하고 있어서 문제가 되었다. 이는 서울시메트로9호선뿐만 아니라 신분당선같은 다른 민자 도시철도 사업자들도 마찬가지로 시스템 업그레이드 비용을 수 억원씩 요구했던 것.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한페이와 같은 사양의 전국호환형 티머니와 전국호환형 캐시비는 9호선에서 멀쩡하게 찍힌다는 것이다. 즉, 한페이 호환을 위해 들어가는 하드웨어 교체 비용(SAM같은 칩)은 사실상 없으며, 호환을 위한 프로그래밍 작업에 억대의 돈이 들어간다는 말인데... 물론 한페이시스는 이러한 메트로9호선의 요구를 거부하였고, 이에 따른 보복 조치로 티머니광주 호환을 차단하여 2016년 1월 30일까지 광주광역시 시내버스광주 도시철도에서 이용할 수 없었다. 똑같은 일이 원패스를 발행하는 유페이먼트에도 일어나고 있었지만 한페이와 동일하게 2016년 1월 30일부터 서울 대중교통에서 이용이 가능하다.[15]

2022년 7월 중 다른 서울 지하철과 같은 진입 멜로디로 개정이 이루어졌다. 현재 서울교통공사 구간 (언주역~중앙보훈병원역)은 모든 열차가 개정되었으며, 서울시메트로9호선 구간인 개화~신논현역은 일반열차만 개정되었다. 이에 대해 서울시메트로9호선 측은 시각장애인의 일반 급행 구별을 위해 일반열차만 개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적어도 민자 운영 기간이 종료되는 2039년 이전까지는 1단계 구간 급행열차의 진입 멜로디는 개정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 설립 초기에는 서울9호선운영과 똑같은 폰트 및 레터링 디자인을 사용하였으나, 서울시와 재협약 이후에는 로고만 남기고 밋밋한 산세리프체로 바뀌었다.[2] 등기부 상 법인 명칭은 서울시메트로호선주식회사이다.[3] 신한지하철9호선일반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의 신탁업자의 지위[관할구간] 개화신논현 구간[수행업무] 사업 시행, 운영 및 유지보수 업무[6] 2019년 7월 1일부터 9호선의 1단계 구간 위탁운영사인 서울9호선운영과의 계약을 해지하고 사업시행사인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직영 중이다. #[7] 왼쪽에 있는 건물은 개화역이고 오른쪽에 있는 건물이 서울시메트로9호선 본사이다.[수행업무] [9] 901~936 편성의 2량 증결분과 937~945 전 편성은 서울교통공사 소속이지만 서울시메트로9호선에서 위탁 운행하고 있다.[10] 국가와 시가 건설비용 전액을 투자한 사업[11] 민자 사업자는 물가인상률 등을 고려해 1,500원대를 요구했었고, 1,300원대의 운임이 책정되는 것이 유력했다.[12] 서울 지하철 9호선을 민자 사업으로 추진할 때(2002년)에는 기준금리가 4%를 넘었기 때문에, 7%의 조달금리는 다른 민자사업에 비해 과도한 수준은 아니었다.[13] 후순위 채권은 채무자에게 손실이 발생하면 한 푼도 받을 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리스크가 크기에 그만큼 후순위채의 조달 금리도 높다.[14] 한페이는 2011년 4월 첫 출시 때부터 전국호환 사양으로 제작되었다. 한페이 자체가 전국호환 교통카드의 시범사업이였기 때문이다.[15] 대신 대구광역시광주광역시보다 사정이 나은 편이었다. 2011년부터 티머니캐시비가 호환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