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20:36:07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

서구1-1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6af3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4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가창
서구
남구
달서
달성
동구
북구
성서
수성
칠곡
팔공
행사지원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경신2523.jpg
파일:서구1-1.jpg
서구1번 서구1-1번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논란4.2.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번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22:27 막차 -
평일배차 17분(일 66회) 주말배차 공휴일: 23분(일 48회)
토요일: 18분(일 61회)
운수사명 경신교통 인가대수 10대[1]
노선 방천리공영차고지 - 가르뱅이 - 서대구역(남측) - 서구문화회관 - (상중이동 행정복지센터 → 경덕여고 → 북부정류장 → 노원네거리 → 원대시장 → 비산지하도 → 평리1동 행정복지센터 → 서도초교서편 → 이월드후문 → 성당시장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대명역 → 서부정류장 → 금봉네거리 → 죽전119안전센터 → 대구의료원라파엘웰빙센터 → 서대구공단네거리) 이후 역순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구1(-1)노선도(수정).jp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1번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22:18 막차 -
평일배차 17분(일 64회) 주말배차 공휴일: 24분(일 45회)
토요일: 19분(일 58회)
운수사명 신흥버스 인가대수 10대[2]
노선 방천리공영차고지 - 가르뱅이 - 서대구역(남측) - 서구문화회관 - (서대구공단네거리 → 대구의료원라파엘웰빙센터 → 죽전역 → 금봉네거리 → 서부정류장 → 대명역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 성당시장 → 이월드후문 → 서도초교서편 → 비산초교 → 비산지하도 → 원대시장 → 노원네거리 → 북부정류장 → 경덕여고 → 상중이동 행정복지센터) 이후 역순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경유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중간 출발 정류소
서구1 방향 두류보성맨션평일, 대구은행북비산지점토요일, 휴일, 원대동행정복지센터평일, 북부정류장평일, 토요일, 중리중학교휴일, 한국섬유개발연구원평일, 토요일
서구1-1 방향 홈플러스내당점평일, 토요일, 대구차여성병원, 본리초등학교, 서평초등학교평일, 토요일

2. 개요

대구광역시의 순환형 지선버스. 운행 거리는 35.1(서구1)/35.4(서구1-1)km.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를 출발해 서구 내당동 내당역을 경유, 다시 방천리공영차고지로 순환 운행한다.

여러 노선들을 대체하고 죽전네거리와 서대구산단을 직접 연결하기 위한 취지로 신설한 노선이나, 나름 이용률이 있는 몇몇 구간들을 제외하면 대구의료원 정문 및 용산동 미경유로 인해 시민들에게 평가가 극과 극 수준으로 심하게 엇갈리고 있는 노선이다.

서구1번 정류소 목록
서구1-1번 정류소 목록

3. 역사

4. 특징

4.1. 논란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논란 참조

4.2. 일평균 승차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6년 2,962명 -
2017년 2,724명 ▽ 238
2018년 2,790명 △ 66
2019년 2,811명 △ 21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2,162명 ▽ 649
2022년 2,059명 ▽ 103
2023년 2,345명 △ 28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1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6년 2,901명 -
2017년 2,729명 ▽ 172
2018년 2,605명 ▽ 124
2019년 2,590명 ▽ 15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1,989명 ▽ 601
2022년 1,910명 ▽ 79
2023년 2,191명 △ 281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효성캠퍼스 급행5 518-1 708 808
814 840
803 809 818 818-1
911 진량1 진량2 하양-와촌1
하양2 와촌2
55 555
동대구-포항(국도) 울산-대구대 영천-구미
루가캠퍼스 급행6 순환3-1 503 609
618 623 650 706
805 836 남구1-1 서구1-1
606
유스티노캠퍼스 순환2-1 204 300 304
306 349 405 410-1
503 509 518 609
649 650 651 706
805 808 836 남구1-1
동구2
606
}}}}}}}}}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산 캠퍼스 급행5 708 808 814
840
818 818-1 진량1 399
울산-대구대 영천-구미
대명동 캠퍼스 509 609 618 650
706 805 808 836
남구1-1 달서4-1 서구1-1 순환2-1
606
}}}}}}}}} ||


[1] 공휴일 7대 운행[2] 공휴일 7대 운행[3] 상리동입구3 정류장은 모종의 사유로 신설이 취소되었다.[4] 북비산네거리~성당시장 구간[5] 안지랑역~본리초교~죽전네거리 구간[6] 가르뱅이~중리네거리, 평리네거리~원대시장 구간[7] 중리네거리~죽전네거리 구간[8] 중리네거리~신평리네거리 구간[9] 성당시장~안지랑네거리 구간[10] 때문에 가끔 가다가 승객 수가 많아 보이는 서구1(-1)번을 보고 수요가 많은 노선이라고 판단하면 안 된다. 모두 이전 노선들의 수요 폭증 및 주력 구간이었기 때문에, 온전히 서구1(-1)번의 구간이 아니다. 메인으로 올린 452번도 구간 수요가 주력이었다.[11] 다만 급행8번과 달리 서구1(-1)번은 중리네거리와 서구문화회관을 거쳐서 서대구역으로 가기 때문에, 여기서는 굴곡이 있다.[12] 실제로 파도고개로 일대에는 이게 없으면 달서4(-1)번밖에 다니지 않는다. 게다가 달서4(-1)번은 18~19분이나 된다. 물론 도보 10~20분 거리에 다른 버스 정류소(반고개, 굿모닝병원, 현대해상, 성당시장 등)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있기는 하지만, 이 구간 때문에 서구1(-1)번이 논란이 많아도 함부로 건드릴 수 없는 실정이다.[13] 대구광역시경찰청에서는 시청에서 원할 경우 얼마든지 교통섬과 분리대를 철거해서 왕복 운행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버스운영과는 의지가 없어서 안 한다.[14] 234번과 동일한 방식, 일부 정류소의 노선 안내도에는 서구1, 서구1-1 각자 처음이나 끝부분에 가르뱅이가 생략돼 있지만, 234번과 마찬가지로 가르뱅이를 필히 경유하므로 안심해도 좋다.[15]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바로 앞에 역이 있기 때문에 환승역으로는 별로 좋지 않은 위치이다. 서구1번은 비산7동우체국, 서구1-1번은 서대구초등학교입구 정류장[16] 원대오거리의 보행자 신호 텀이 매우 길어 반발이 많다고 한다. 원대오거리북편 정류장 또는 원대동행정복지센터/원대시장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