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31 13:50:12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영화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설립연도 순으로 나열
파일:서울독립영화제 로고.jpg 파일:부산국제영화제 로고.svg 파일: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로고.svg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파일:정동진독립영화제 로고.png 파일:BIAF 로고.png 파일:전주국제영화제 로고.svg
전주국제영화제
파일:EDIF 로고.png 파일:external/www.ianifest.org/i_s_t_03_02_img.jpg 파일:제천음악.png
EBS 국제다큐영화제
파일:DMZ Docs.png 파일:diaff_logo.jpg 파일:무주산골영화제 로고.png
무주산골영화제
파일:PIPFF_visual_large.gif 파일:jfff_logo.jpg 파일:서울국제여성영화제.png
평창국제평화영화제 전북가족영화제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이 틀은 개최 횟수가 5회 이상인 국내 영화제 중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영화제만 다루고 있습니다. 영화제 전체 목록은 영화제 문서의 국내 영화제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 ||

<colcolor=#fff><colbgcolor=#003764> 서울국제여성영화제
Seoul International Women Film Festival / SIWFF
파일:서울국제여성영화제.png
개막 1997년 4월 11일 ([age(1997-04-11)]주년)
기간 매년 8~9월[1] [2]
최근 영화제 2024년 8월 22일 ~ 8월 29일 (26회)
장소 씨네큐브 광화문, CGV 연남, CGV 홍대
주최 한국영상자료원, 영화진흥위원회, 여성가족부
집행위원장 이숙경 (영화감독)
프로그래머 황혜림, 손시내
사무국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48-1, 3층 (합정동, 원빌딩)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섹션들
3.1. 아시아 단편3.2. 발견3.3. 쟁점들3.4. 퀴어 레인보우3.5. 아이틴즈3.6. 새로운 물결3.7. 피치 & 캐치
4. 교육 사업
4.1. 열린 강좌4.2. 집중 강좌
5. 역대 영화제6. 여담

[clearfix]

1. 개요

"여성의 눈으로 세계를 보자!" (See the World through Women's Eyes!)
2024년 캐치프레이즈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여성영화제이자, 인권, 성평등, 다양성을 중심으로 개최되는 여성영화인들과 신인감독들의 성지 중 한 곳이다.

2. 특징

특징은 오직 여성감독들의 영화만 상영된다는 것. 그렇다고 해서 극성 사회주의 페미니즘 영화제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3]. 오히려 남성과 여성 모두를 존중하는 차원에서 만들어진 영화제인만큼, 소외된 여성영화인들의 자리를 탐색하며, 서로 연대하려고 한다.

3. 섹션들

프로그램은 크게 발견, 쟁점들, 아이틴즈, 퀴어 레인보, 아시아 단편, 새로운 물결 등 일곱가지 섹션으로 이루어져있다.

3.1. 아시아 단편

아시아단편은 아시아 여성감독이 만든 다양한 단편영화를 발굴하고 소개하는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유일한 경쟁 섹션이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시작부터 함께해 온 단편 경쟁 섹션으로, 새로운 아시아 여성감독 발굴 및 육성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선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된 수상자에게는, 실력있는 여성영화인력을 격 려하고 여성영화의 발전을 지원하는 의미에서 상패와 상금을 수여한다. 아시아 단편경선은, 정재은, 박찬옥, 윤재연, 장희선 등 재 능있는 한국 여성감독을 배출한 바 있다.

3.2. 발견

국내외 여성감독의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장편영화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 장편 경쟁 섹션. 영화제 기간 중 본심을 거쳐 대상, 심사위원상, 감독상이 수여된다.

3.3. 쟁점들

매해 중요한 여성주의 현안이나 주목할 만한 영화적 의제를 선정하여 제시하고 관련 작품 상영과 토론을 마련하는 섹션. 전쟁과 재난, 미디어 환경의 변화 등을 겪는 오늘날, 여성과 이미지 사이의 관계에 대한 고민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지 마주할 수 있는 전 세계의 신작 작품들을 선보인다.

3.4. 퀴어 레인보우

​전 세계 퀴어영화 신작 섹션. 페미니스트-퀴어의 관점으로 사회적 관습과 인권의 문제를 재사고하고, 퀴어 재현을 탐구하는 영화를 소개한다.

3.5. 아이틴즈

한국 10대 여성감독의 연출작을 상영하는 경쟁 섹션. 영화제 기간 중 10대로 구성된 아이틴즈 심사단이 함께 작품을 관람하고 토론을 거쳐 대상과 우수상을 선정한다.

3.6. 새로운 물결

새로운 물결은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성감독의 신작, 여성 주제의 화제작을 상영하며 전 세계 여성영화의 현재와 최근 흐름을 조망할 수 있는 섹션이다. 국적도 형식도 다양한 세계 여성영화의 최근 흐름과 다채로운 여성서사를 만날 수 있다.

3.7. 피치 & 캐치

피치&캐치 프로젝트 피칭(이하 ‘피치&캐치’)은 여성 창작자의 기획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육성한다. 매년 탄탄한 작품을 배출하며 월등한 제작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는 ‘피치&캐치’는 공모를 통해 우수한 기획개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피치&캐치’만의 차별화된 피칭LAB을 통해 작품을 발전시켜 영화산업 관계자들에게 선보이는 경쟁 피칭 프로그램이다. 본심으로 치러지는 피칭 행사에는 업계 관계자 다섯 명으로 구성된 본심 심사위원단이 참석하여 최종 수상작을 결정하게 되며, 수상작은 폐막식에서 공개된다.
<rowcolor=#fff> 년도 부문 감독 작품명
2010 다큐멘터리 이숙경 간지들의 하루
다큐멘터리 노은지 기억을 걷는 시간
다큐멘터리 김조영현 나는 루저일까?
다큐멘터리 지민 두 개의 선
다큐멘터리 이수정 이주의 시대
다큐멘터리 장다나 즐거운 보G: 나의 은밀한 비디오 일기
2011 극영화 김성희 노라노
다큐멘터리 김수지 똑똑똑
다큐멘터리 홍재희 아버지 (아버지의 이메일)
다큐멘터리 최미경(아오리) Speak Out (잔인한 나의, 홈)
2012 다큐멘터리 스이, 케이 2의 증명
다큐멘터리 김진열 그녀를 마주하다
애니메이션 백미영 너무 소중했던, 당신
다큐멘터리 홍리경 탐욕의 제국
2013 다큐멘터리 이고운 벌거벗은 가슴
다큐멘터리 김수빈 소꿉놀이
애니메이션 김현경 애니와 스페셜 - 외로운 이에게 띄우는 편지
다큐멘터리 이소울 이주
2014 다큐멘터리 개좆이라 케라
다큐멘터리 안나영 골목길
다큐멘터리 하차연 봄이 뛰어오네
다큐멘터리 박소현 야근 대신 뜨개질
다큐멘터리 이희원 홀리워킹데이
2015 다큐멘터리 정수은 그 날
다큐멘터리 마민지 버블 패밀리
다큐멘터리 주현숙 빨간 벽돌
다큐멘터리 강유가람 이태원
다큐멘터리 이고운 호스트 네이션
2016 다큐멘터리 윤가현 가현이들
다큐멘터리 권우정 까치발
다큐멘터리 명소희 두 번째 방문
다큐멘터리 조은혜 무거운 안경
다큐멘터리 김보람 생리 축하합니다(피의 연대기)
2017 다큐멘터리 박지애 가족의 탄생
다큐멘터리 신효진(나경), 김재연 디알로그 (나의 이용자)
다큐멘터리 윤다희, 김지현 설치는 여자들
다큐멘터리 이선희 얼굴, 그 맞은편
다큐멘터리 김나래 캐리어우먼
2018 다큐멘터리 최빛나 걍 집에 있을걸
다큐멘터리 정다솔 그대 나의 동료가 되라
다큐멘터리 장은주 신시
다큐멘터리 박강아름 외길식당
다큐멘터리 홍유리 워킹투게더
2019 다큐멘터리 박효선 메릴 스트립 프로젝트
다큐멘터리 박재민 모래바람
다큐멘터리 유혜민 쓰레기덕후소셜클럽
다큐멘터리 박예지 올 헤일 더 킹 - 왕이 된 여자들
다큐멘터리 권아람 홈그라운드
2020 다큐멘터리 이혜원 누구의딸도아닌혜원
다큐멘터리 김혜이 멘탈과 브레인 사이
다큐멘터리 양주연 양양
다큐멘터리 이소현 장기자랑
2021 다큐멘터리 홍재희 날아오르다
극영화 이지윤 내가 춤출 수 없다면
다큐멘터리 반박지은 두 사람
다큐멘터리 박마리솔 어쩌다 활동가
다큐멘터리 정다운 할머니 조경가의 '땅에 쓰는 시'
2022 다큐멘터리 박다솜 무덤을 만든 기억
다큐멘터리 문한슬 어신 할망이라 생각허라
다큐멘터리 이은혜 이상한 레즈의 장례식
다큐멘터리 이성민 콘크리트 녹색섬
다큐멘터리 임지수 파기상접
2023 다큐멘터리 유소영, 김동진 공순이
다큐멘터리 김윤겸 마이크로스코픽 월드
다큐멘터리 유수연 삼마이와 가다끼
다큐멘터리 이산하 손님 노동자
다큐멘터리 이희경 원 숏 데이
2024 극영화 안선유 고양이 배꼽
극영화 송예찬 여름잠
극영화 이재은 워킹홀리데이 인 라보스타
극영화 강지승 현관 앞의 아이
다큐멘터리 홍지연 용주골
다큐멘터리 마민지 착지연습
다큐멘터리 김예영 파인딩 페루자

4. 교육 사업

4.1. 열린 강좌

4.2. 집중 강좌

5. 역대 영화제

<rowcolor=#fff> 연도 기간 상영작 프리미어 관객 수[4] 비고
<rowcolor=#fff> 개막일 폐막일 월드 인터내셔널
1997년 1 4월 11일 4월 17일 9개국 38편
1999년 2 4월 16일 4월 23일 10개국 39편
2001년 3 4월 15일 4월 22일 16개국 67편
2002년 4 4월 4일 4월 12일 18개국 80편
2003년 5 4월 11일 4월 18일 19개국 116편
2004년 6 4월 2일 4월 9일 20개국 73편
2005년 7 4월 8일 4월 15일 27개국 86편
2006년 8 4월 6일 4월 14일 33개국 96편
2007년 9 4월 5일 4월 12일 29개국 100편
2008년 10 4월 10일 4월 18일 30개국 140편
2009년 11 4월 9일 4월 16일 23개국 105편
2010년 12 4월 8일 4월 15일 27개국 102편
2011년 13 4월 7일 4월 14일 30개국 115편
2012년 14 4월 19일 4월 26일 30개국 120편
2013년 15 5월 24일 5월 30일 28개국 110편
2014년 16 5월 29일 6월 5일 30개국 99편
2015년 17 5월 27일 6월 3일 37개국 111편
2016년 18 6월 2일 6월 8일 27개국 118편
2017년 19 6월 1일 6월 7일 37개국 107편
2018년 20 5월 31일 6월 7일 36개국 147편
2019년 21 8월 29일 9월 5일 31개국 119편
2020년 22 9월 10일 9월 16일 33개국 102편
2021년 23 8월 26일 9월 1일 27개국 119편
2022년 24 8월 25일 9월 1일 33개국 122편
2023년 25 8월 24일 8월 30일 50개국 131편
2024년 26 8월 22일 8월 28일 -개국 -편

6. 여담


[1] 2015년 이전에는 주로 4~6월에 열렸다.[2] 7일 동안 진행된다[3] 실제로 영화제 이름만 보고 꺼림칙해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지만, 막상 영화제에 참석한 사람들은 큰 반감이 없다[4] 누적 구매된 좌석의 수이며, 실 관객수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