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03:00

성 이슈트반 왕관령

트란스라이타니아에서 넘어옴
{{{#!folding [ 펼치기 · 접기 ]<colbgcolor=#FFF,#191919> 고대 판노니아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훈족
게피드 왕국 동고트 왕국
랑고바르드
아바르 칸국
중세~근세 마자르족
헝가리 대공국
중세 왕국
,몽골의 침입,
동헝가리 합스부르크 제국
,합스부르크 헝가리,
오스만 헝가리
트란실바니아 공국
근대 <colbgcolor=#426f4c> 오스트리아 제국
,합스부르크 헝가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트란스라이타니아,
제1공화국
평의회 공화국
근대 왕국
,국민단결정부,
현대 헝가리 제2공화국
헝가리 인민공화국
헝가리 제3공화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스라이타니아
파일:보헤미아 왕국 국기.svg 파일:달마티아 왕국 국기.svg 파일: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크라쿠프 대공국 국기.svg
보헤미아 왕국 달마티아 왕국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크라쿠프 대공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포어아를베르크, 빈, 잘츠부르크의 기.svg 파일:슈타이어마르크 공국 국기.svg
상오스트리아 대공국 하오스트리아 대공국 잘츠부르크 공국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파일:케른텐 공국 국기.svg 파일:카르니올라 공국 국기.svg 파일:부코비나 공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령 실레시아 기.svg
케른텐 공국 카르니올라 공국 부코비나 공국 오스트리아령 실레시아
파일:모라비아 변경백국 국기.svg 파일:이스트리아 변경백국 국기.svg 파일:고리치아-그라디스카 후백국 국기.svg 파일:티롤, 오버외스터라이히 기.svg
모라비아 변경백국 이스트리아 변경백국 고리치아-그라디스카 후백국 티롤 후백국
파일:오스트리아 연안 지대 국기.svg 파일:포어아를베르크, 빈, 잘츠부르크의 기.svg 파일:트리에스테 제국직할 도시 기.svg
오스트리아 연안 지대 포어아를베르크 주 트리에스테 제국자유도시
트란스라이타니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svg 파일: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국기.svg
헝가리 왕국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공동통치령
파일: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기.svg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
오스트리아 제국의 행정 구역 }}}}}}}}}}}}

<colcolor=#fff> 성 이슈트반 왕관령
Szent István Koronájának Ország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언어별 표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독일어 Länder der Krone des Heiligen Stephan
크로아티아어 Zemlje Krune svetog Stjepana
세르비아어 Земље круне Светoг Стефана
슬로바키아어 Krajiny Svätoštefanskej koruny
루마니아어 Teritoriile Coroanei Sfântului Ștefan
우크라이나어 Землі корони Святого Стефана
루신어 Землї короны Сятого Іштвана }}}}}}}}}
파일:성 이슈트반 왕관령기.svg 파일:성 이슈트반 왕관령 국장.png
국기 국장
Regnum Mariae Patrona Hungariae
헝가리의 수호 성 마리아의 왕국
상징
국가 Himnusz
영역[1]
파일:Transleithania.svg
1867년 ~ 1918년
역사
1867년 성립
1918년 해체
성립 이전 해체 이후
헝가리 왕국 헝가리 제1공화국
지리
위치 중동부 유럽
수도 부다페스트
면적 328,660 km²
인문 환경
공용어 헝가리어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이탈리아어 (피우메 자유시)
민족 헝가리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루마니아인
루신인
우크라이나인
슬로바키아인
슬로베니아인
독일인
이탈리아인
종교 가톨릭
정치
국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틀:국기|]][[틀:국기|]]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마지막 국왕
(국가 원수)
카로이 4세 (1867-1916)
마지막 수상
(정부 수반)
카로이 미하이 (1918)
주요 국왕 페렌츠 요제프 1세 (1867~1916)
주요 수상 언드라시 줄러 (1867~1871)
경제
통화 굴덴
크로네
1. 개요2. 구성국

[clearfix]

1. 개요

트란스라이타니아(Transleithania)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헝가리 왕국에서 지배하던 지역을 의미한다. 트란스라이타니아라는 이름은 라이타강(Leitha)의 바깥쪽(서쪽)을 흐른다고 하여 명명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성 이슈트반 왕관령(Szent István Koronájának Országai)이다.

명칭의 '성 이슈트반 왕관'이란 헝가리 왕국의 초대 국왕인 이슈트반 1세왕관을 뜻하는데, 이 왕관은 헝가리에선 단순히 왕관을 넘어서 헝가리의 국권 자체를 상징할 정도로 상징성이 크다.[2] 그래서 '이슈트반 왕관령'이란 명칭이 붙은 것. 현대에도 이 이슈트반 왕관은 헝가리 국권의 상징으로 헝가리 국회의사당에서 보관하고 있다.

19세기프랑스 혁명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퍼뜨린 자유주의민족주의의 영향으로 헝가리인들은 수백년 동안 헝가리를 지배해 온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격렬한 독립 운동을 전개했다. 특히 1848년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빈 체제'에 항거한 3월 혁명이 일어나고 새 황제가 즉위하자 헝가리인들의 저항은 더욱 고조되어 코슈트 러요시의 주도 아래 부다페스트데브레첸에서 반 오스트리아 혁명을 일으켰다. 이 때 헝가리 혁명군은 오스트리아 제국군을 연달아 격파하며 독립에 거의 성공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크로아티아인, 슬로바키아인, 루마니아인 등 헝가리 내부의 소수민족과의 갈등과 자국 내 분리주의 운동의 확산을 우려한 러시아 제국의 개입으로 인해 실패했다. 헝가리 혁명을 진압하고 난 후 오스트리아 정부는 보복으로 헝가리 전역에 계엄령을 선포하는 한편 5개의 군구[3]를 설치하고 지벤뷔어겐 대공국보이보디나 공국을 분리하여 헝가리를 사실상 속주화했으며 헝가리어의 교육을 금지하고 독일인을 이주시키는 등 헝가리 지역의 독일화 작업에 박차를 가했다.

하지만 이러한 강압적인 통치 방식도 얼마 지나지 않아 한계를 맞았다. 오스트리아 제국이 이탈리아 통일 전쟁에서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에게 패배하여 이탈리아 반도에서 영향력을 상실하고, 설상가상으로 1866년 프로이센과의 전쟁에서 패전한 뒤 독일 연방에서 축출당하며 독일 통일 과정에서 사실상 배제되자 프란츠 요제프 1세는 방침을 전환해 제국 내 제2의 세력을 차지하고 있던 헝가리인에게 공동의 제국을 제안했다. 대타협[4]의 결과 헝가리인들은 헝가리 왕국을 건국하고 독립적인 정부와 의회 등을 구성하는 대가로 오래 전에 보헤미아-헝가리-크로아티아 공주[5]와 결혼한 합스부르크 왕가의 머나먼 후손인 현재의 황제(당시의 황제는 프란츠 요제프 1세)를 왕으로 인정하여 이중 제국이 출현했다. 이렇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등장했고 헝가리인들은 비록 오스트리아의 황제를 왕으로 모셨지만 분리된 왕국을 만들었다.
파일:Cisleithania, Transleithania, Bosnia.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시스라이타니아, 트란스라이타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헝가리 왕국 1880.pn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헝가리 왕국(성 이슈트반 왕국)의 세부 지역
파일:Siebenbürgen(kaiserlich und königlich).png
루마니아인 다수 거주 에르데이 지역[6]
파일:Woiwodschaft Serbien und Temeser Banat(kaiserlich und königlich).png
세르비아인 다수 거주 버이더샤그-반샤그 지역[7]

1867년부터 헝가리인은 오스트리아 독일인과 함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얻으면서 트란스라이타니아 지역의 다른 민족들[8]을 탄압했다. 특히나 가톨릭 교도가 아닌 정교회 신자였던 루마니아인과 세르비아인은 더 많은 감시와 탄압을 받았다. 자치권이 박탈되었으며 1878년 이후에는 제국 바깥에 루마니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이 수립되었기 때문에 소수 민족 탄압은 루마니아인, 세르비아인의 반감과 적대감을 불러 일으켰다. 이것은 발칸 반도에서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입지를 좁히는 원인이 되었다.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면서 헝가리 왕국도 소멸되었고 트리아농 조약으로 영토의 2/3을 상실했다.

2. 구성국




[1] 초록색이 트란스라이타니아의 영역이다.[2] 비슷하게 보헤미아 왕국에는 성 바츨라프의 왕관(Svatováclavská koruna)이 있다.[3] 오펜, 외덴부르크, 프레스부르크, 카샤우, 그로스바르다인.[4] 독일어로 아우스글라이히, 헝가리어로 키에제제시.[5] 페르디난트 1세와 결혼한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언너. 더 거슬러 올라가면 언너의 할머니 합스부르크의 엘리자베트가 헝가리-크로아티아 국왕이었던 룩셈부르크 왕조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지기스문트의 사위로 헝가리 국왕으로 선출되었던 독일왕이자 오스트리아 공작 알브레히트 2세의 딸이었다.[6] 과거 지벤뷔어겐 대공국.[7] 과거 보이보트샤프트-바나트 공국.[8] 슬로바키아인, 루마니아인, 세르비아인. 우크라이나인, 루신인 등. 헝가리인은 1848년 헝가리 혁명 당시 오스트리아 편에 섰던 크로아티아인도 보복 차원에서 탄압하려 했으나 프란츠 요제프 1세가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으로 자치권을 부여하면서 크로아티아인은 빠져나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65
, #s-2.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6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