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02:18:42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월트 디즈니 컴퍼니
,
,
,
,
,

파일:월트 디즈니 컴퍼니 로고.svg파일:월트 디즈니 컴퍼니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keep-all"
Disney Entertainment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 월트 디즈니 픽처스 |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마블 스튜디오 | 루카스필름 | 디즈니 시어트리컬 그룹
20세기 스튜디오 | 서치라이트 픽처스
ABC entertainment | ABC News | ABC signature | ABC owned television station
Disney Branded Television(디즈니채널, 디즈니주니어, 디즈니 XD, 디즈니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Freeform | FX | 내셔널 지오그래픽
디즈니+(디즈니+ 핫스타) | Hulu | 디즈니 뮤직 그룹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
ESPN
ESPN | ESPN+
Disney Experiences
디즈니랜드 리조트 | 월트 디즈니 월드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
디즈니랜드 파리 | 도쿄 디즈니 리조트 | 홍콩 디즈니랜드 리조트
디즈니 크루즈 라인 | 디즈니 베케이션 클럽 | 아울라니, 어 디즈니 리조트 앤 스파
어드벤처스 바이 디즈니 | 월트 디즈니 이매지니어링
디즈니 퍼블리싱 월드 와이드 | 디즈니 스토어
기타
D23 | 마블 엔터테인먼트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A&E Networks | 디즈니 모바일 | 21세기 폭스 인수전 | 디즈니 네이처
디즈니 르네상스 | 디즈니 리바이벌 | 디즈니 레전드 | 미디어 프랜차이즈
해산
할리우드 픽처스 | 내셔널 지오그래픽 코리아 네트워크 | 터치스톤 픽처스 | 디즈니툰 스튜디오 | 블루 스카이 스튜디오 | 디즈니 디지털 네트워크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영화 배급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fff> 메이저
CJ ENM
(CJ CGV/투니버스)
(CJ 4DPLEX/CGV ICECON)
롯데엔터테인먼트 쇼박스
NEW
(콘텐츠판다)
플러스엠
<rowcolor=#000,#fff> 해외 직배사
UPI 코리아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소니 픽처스 코리아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넷플릭스 서비시스 코리아
<rowcolor=#000,#fff> 중소
광화문시네마 그린나래미디어 누리픽쳐스 대원미디어
더쿱디스트리뷰션 더콘텐츠온 디스테이션 디오시네마
리틀빅픽쳐스 리모우 코리아 마인드마크 메리크리스마스
미디어캐슬 바른손이앤에이 박수엔터테인먼트 삼백상회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 소나무 픽쳐스 슈아픽처스 스마일이엔티
CBS 싸이더스 알토미디어 애니플러스
에스피오엔터테인먼트코리아 에이원엔터테인먼트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M&M 인터내셔널
엔케이컨텐츠 엣나인필름 얼리버드픽쳐스 영화사 빅
영화사 진진 오드 오퍼스픽쳐스 와우픽쳐스
와이드 릴리즈 왓챠 워터홀 컴퍼니 올스타엔터테인먼트
이수C&E 인디스토리 일미디어 조이앤시네마
찬란 KBS 미디어 키다리이엔티 키위미디어그룹
티캐스트 태원엔터테인먼트 트리플픽쳐스 팝엔터테인먼트
퍼스트런 판씨네마
<rowcolor=#000,#fff> 사라진 영화사
시네마 서비스 20세기 스튜디오 코리아
}}}}}}}}}

<colbgcolor=#000><colcolor=#fff>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The Walt Disney Company Korea
파일: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로고(어두운 배경).png
정식 명칭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유한책임회사
영문 명칭 The Walt Disney Company (Korea), LLC.
업종명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배급업
설립일 1992년 11월 19일 ([age(1992-11-19)]주년)
대표이사 김소연
기업유형 유한책임회사
기업규모 중견기업
상장유무 비상장기업
법인형태 일반법인
사원수 88명 (2016.09.30)
주소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52, 7층
(역삼동, 강남파이낸스센터)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2021년2.2. 2022년2.3. 2023년2.4. 2024년2.5. 2025년
3. 한국어 녹음 제작 주관
3.1. 애니메이션3.2. 실사 영화
4. 역대 임원5. 자회사6. 사업 부문7. 비판 및 논란8. 작품 목록9. 흥행 성적 (한국 기준)10. 기타

[clearfix]

1. 개요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한국 현지법인으로, 월트 디즈니 컴퍼니 아시아 퍼시픽이 지분 전량을 소유한다. 약칭은 '딪코', '디즈니 코리아' 등으로 불린다. 보통 자국에 디즈니파크가 있는 현지법인들[1]은 이에 맞춰 기업 규모가 커지나 한국은 디즈니랜드가 없기에[2] 영화 배급과 디즈니+ 운영, 굿즈 제작 정도를 주된 업무로 할 정도로 규모가 협소한 편이다.

2. 역사

1992년 11월에 재무부로부터 외국인 투자 인가를 부여받아 월트디즈니컴패니코리아(주)로 설립했다. 한동안 한국 배급은 영화사업부를 통해 브에나비스타 인터내셔널 코리아[3] 명의로 맡다, 2006년부터 소니 픽쳐스 엔터테인먼트의 한국 직배사 콜럼비아트라이스타영화(주)와 배급 부문을 합친 소니픽쳐스릴리징월트디즈니스튜디오스코리아(주)에 맡겼다. 비디오물 쪽은 브에나비스타 홈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명의로 신한프로덕션과 계약해 VHS 비디오를 공급하다 1994년 이후 삼화프로덕션(현 삼화네트웍스), 대윤미디어, 삼성물산(드림박스) 등과 비디오 공급대행 계약을 맺었고, 1996년부터 콜롬버스코아퍼레이션과 보관/배송 등의 계약도 맺었다. 다른 한편 1995년 특허권, 저작권, 상표권 등의 재라이선스업을 인가받아 이듬해부터 컨슈머 프로덕트 사업을 개시했다. 2002년에는 스카이라이프를 통해 디즈니채널 자막 방송을 개시했고, 2004년에는 플레이하우스 디즈니 자막 방송을 개시했다.

디즈니와 소니가 제작한 영화의 수입/배급을 맡으며, 영화 부문과 별개로 운영한 마케팅 라이센스에 전념했다. 2008년에는 DVD, 블루레이 같은 2차 미디어 독점 복제/판매권을 SM라이프디자인그룹(구 KD미디어, FNC애드컬쳐)[4]에 넘겼다. 그러다 2014년 11월 이후 소니가 구조조정에 들어가 UPI 코리아에 자사 배급권을 넘기며 두 회사간의 동행도 끝나 현 명칭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2016년에는 유한책임회사로 개편했다. 2015년에는 디즈니채널 운영사 텔레비전미디어코리아를 인수했고 2019년에는 모기업의 영향으로 20세기 폭스 코리아의 사업권을 양수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4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 2021년

디즈니의 OTT 서비스 디즈니+가 11월 12일 한국 서비스 개시를 공식화했다.[5] 관련 기사 이에 맞춰 8월 28일 디즈니채널코리아LG유플러스 계열사 미디어로그[6]에 매각했고, 다음날 30일 PP 폐업신고 절차를 끝내 9월 30일에 송출을 종료했다.[7]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58
, 6.1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2. 2022년

7월 12일, 월트 디즈니 컴퍼니 아시아-태평양 측은 방탄소년단 소속사 하이브와 함께 대한민국 음악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창의적 우수성을 전 세계 시장에 선보이고자 글로벌 콘텐츠 협업을 진행한다고 발표하였고, 그 일환으로 <BTS: 퍼미션 투 댄스 오브 스테이지-LA> 등 BTS 관련 콘텐츠를 디즈니+에 공개했다.

11월 19일부로 한국법인 설립 30주년을 맞이했다.

11월 30일 디즈니 창립 100주년 기념으로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 메인홀에서 디즈니 APAC 쇼케이스 2022를 진행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58
, 6.1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3. 2023년

1월 6일부터 22일까지 송원아트센터 팝업스토어에서 디즈니 창립 100주년 기념 특별 팝업스토어 '매지컬 디즈니'를 개최했다.

디즈니 스토어현대백화점을 통한 한국 진출을 공식 확정하여 7월 11일 경기도 성남시 소재 현대백화점 판교점에 1호점을 오픈하고, 동시에 계열 인터넷 쇼핑몰 더현대닷컴을 통한 온라인 판매도 개시했다. 디즈니 관련 상품을 상시 판매하는 매장을 한국에 정식 운영하는 경우는 이번이 처음으로, 디즈니 코리아와의 협업 계약을 통해 사업권을 따낸 현대백화점은 추후 다른 지점 및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등 자사의 여러 유통 채널을 중심으로 디즈니 스토어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9월 30일 케이블/IPTV 다큐멘터리 채널 내셔널 지오그래픽 코리아와 냇지오 와일드를 폐국시켜 모든 디즈니 콘텐츠 공개 경로를 디즈니+로 일원화시켰다.

12월 16일부터 2024년 1월 10일까지 <위시> 개봉 기념으로 디즈니 창립 100주년 팝업 'House Of Wish'를 누디트 서울숲에 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58
, 6.1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4. 2024년

1월 14일 글로벌 난치병 아동 후원전문기관인 메이크어위시 코리아와 함께 '위시 투게더 소원성취 캠페인'을 마포구 비스포크 랩에 열었다. #

9월 24일 대한민국 정부와 협업으로 탄소중립 캠페인을 진행했다.

9월 28일부터 10월 20일까지 국가유산청과 협업으로 '미키 인(in) 덕수궁: 아트, 경계를 넘어서'를 세종대로 덕수궁에 열었다.#

10월 28일부터 2025년 2월 28일까지 K현대미술관에 디즈니 100년 특별전을 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58
, 6.1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5. 2025년


3. 한국어 녹음 제작 주관

열악한 퀄리티로 논란이 많은 자막과는 반대로 한국어 더빙에 엄청난 정성을 쏟는 회사로 유명해 한국 내 더빙 외주사 중 탑급을 달린다. 이력서를 받아 오디션을 치르고 심사 후 캐릭터에 가장 적합한 성우를 캐스팅하는데, 캐스팅되는 난이도가 매우 높다고 한다.

베테랑 성우들도 오디션에 번번이 떨어지는 일이 매우 흔해,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는 초월더빙의 대명사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고, 어렵게 뽑은 만큼 더빙의 퀄리티도 우수해 영어 더빙이나 다른 나라 언어 더빙에도 뒤지지 않는 퀄리티가 나온다.

노래 더빙은 성우들이 맡는 경우도 있지만, 주로 뮤지컬 배우와 어린이 성우들을 섭외한다. 의외로 유명한 실력파 배우들도 많이 참여한다. 조연 같은 경우에는 뮤지컬 배우가 대사까지 더빙하기도 하며 종종 가수들도 섭외한다.[8] 성우가 보컬을 맡지 않는 경우 성우와 배우 사이의 목소리와 연기력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어색함을 극복하기 위해 연기 지시에 심혈을 기울인다.

이 뿐만 아니라 번역에도 엄청난 신경을 쓴다고 알려졌다. 더빙 전문 번역가들을 고용하여 자막에 있는 오역들을 대부분 수정하며, 캐릭터의 립싱크와 적절한 의역, 현지화, 대사의 자연스러움까지 여러 가지로 신경을 많이 쓴다고 한다. 디즈니+가 한국에 정식 런칭한 이후에도 뛰어난 퀄리티의 더빙을 선보여 많은 이들에게 호평을 받는다. 화면 수정 작업도 한다.

대부분의 더빙이 좋은 평가를 받으나 모아나, 엔칸토: 마법의 세계 등 아쉽거나 혹평을 받은 케이스도 존재한다.

3.1. 애니메이션

대부분의 한국 회사와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은 대부분 더빙 작업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극장에 상영한다.

1991년 인어공주부터 직접 더빙을 시작했는데[9], 위에 설명한 난이도 높은 오디션이라는 특징은 이때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오리지널 작품들은 물론 속편과 TV 시리즈, 단편 등도 더빙해 방영한다. 그러나 전쟁기 작품들이나 곰돌이 푸 등 더빙이 되지 않은 작품도 몇몇 있다.

재더빙이 빈번한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해외 더빙과는 달리 한국어 재더빙은 하지 않는다.

3.2. 실사 영화

소니와 합작사를 이루어 한국에 영화를 배급하던 시절에는 디즈니 영화 또한 더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메리 포핀스 등은 더빙되지 않았다. 이후 2014년 11월에 소니와 결별하자 2015년 경부터 본격적으로 실사 영화에도 더빙을 진행했다. 처음에는 극장에 자막으로만 상영 후 VOD에 더빙을 추가하는 방식이었으나 대부분 더빙과 자막을 함께 상영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신데렐라를 시작으로 정글북, 마이 리틀 자이언트, 피터와 드래곤, 거울 나라의 앨리스, 미녀와 야수 등의 더빙이 이루어졌다.

디즈니 IP인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루카스필름 영화도 더빙하는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들의 경우, 극장에는 자막으로만 상영하고 이후 VOD나 OTT 등으로 더빙을 추가한다. 디즈니 영화 극장 번역은 박지훈이 전담해 작품마다 오역들과 지나친 의역들이 넘쳐 더빙이 나오길 기다렸다 보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어벤져스를 시작으로 아이언맨 3,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앤트맨,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닥터 스트레인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 토르: 라그나로크, 블랙 팬서,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앤트맨과 와스프 등 대부분의 작품들을 더빙한다.

루카스필름 영화들은 디즈니가 배급을 시작한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부터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등 더빙을 진행하다 한 솔로: 스타워즈 스토리는 제작하지 않았다.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는 더빙을 진행해 VOD와 블루레이를 통해 감상이 가능하다. 2021년 11월 디즈니+의 한국 서비스 개시와 함께 루카스필름이 디즈니에 인수되기 이전에 제작한 작품들도 더빙을 추가했다. 한 솔로: 스타워즈 스토리도 추가됐다.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도 디즈니+ 서비스 이후 더빙이 전부 추가되었다.

4. 역대 임원

5. 자회사

6. 사업 부문

7. 비판 및 논란

다른 할리우드 직배사들과 달리 유독 말도 많고 논란도 많은 회사다. 이 때문에 디시인사이드 디즈니 갤러리는 "딪코는 아무것도 몰라요"라며 까는 게 일상이 되었다. 대표적인 사례를 정리해보면 크게 다음과 같다.

8. 작품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작품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흥행 성적 (한국 기준)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을 기준으로 하며, 한국 흥행 성적이 300만명 이상인 영화만 나열한다.

천만 관객 돌파 영화 7편을 배출했는데, 이는 CJ ENM과 함께 공동 1위 기록이다. 흥행작 중 마블 스튜디오 영화의 비중이 큰 편이다.
<rowcolor=#ffffff> 순위 제목 감독 관객수 매출액 개봉년도 비고
1 어벤져스: 엔드게임 루소 형제 13,977,602명 122,492,181,020원 2019
2 겨울왕국 2 크리스 벅 13,747,542명 114,808,197,300원 2019
3 알라딘 가이 리치 12,555,756명 106,982,922,359원 2019
4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루소 형제 11,233,176명 100,081,428,549원 2018
5 아바타: 물의 길 제임스 카메론 10,591,271명 134,950,789,864원 2022
6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조스 웨던 10,504,007명 88,640,214,246원 2015
7 겨울왕국 크리스 벅 10,301,655명 82,509,011,900원 2014
8 아이언맨 3 셰인 블랙 9,001,309명 70,806,191,000원 2013
9 인사이드 아웃 2 켈시 맨 8,799,013명 84,509,284,036원 2024
10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루소 형제 8,676,320명 72,665,995,827원 2016
11 엘리멘탈 피터 손 7,240,510명 71,141,723,066원 2023
12 어벤져스 조스 웨던 7,087,068명 59,634,896,458원 2012
13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샘 레이미 5,884,595명 62,648,774,870원 2022
14 캡틴 마블 애나 보든 5,801,070명 51,491,279,223원 2019
15 2012 롤랜드 에머리히 5,462,953명 39,415,166,660원 2009 수입배급[소]
16 앤트맨과 와스프 페이턴 리드 5,448,134명 47,468,053,685원 2018
17 닥터 스트레인지 스콧 데릭슨 5,446,241명 47,481,848,396원 2016
18 블랙 팬서 라이언 쿠글러 5,399,070명 45,883,573,457원 2018
19 미녀와 야수 빌 콘돈 5,138,195명 42,132,607,579원 2017
20 인사이드 아웃 피트 닥터 4,969,735명 38,024,694,936원 2015
21 캐리비안의 해적: 세상의 끝에서 고어 버빈스키 4,966,571명 29,133,447,500원 2007
22 스파이더맨 3 샘 레이미 4,935,660명 29,511,658,000원 2007 수입배급[소]
23 토르: 라그나로크 타이카 와이티티 4,857,152명 39,248,432,595원 2017
24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마크 웹 4,853,123명 41,163,951,235원 2012 수입배급[소]
25 라이온 킹 존 패브로 4,743,662명 41,524,696,650원 2019
26 주토피아 바이론 하워드 4,706,158명 37,103,037,750원 2016
27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 고어 버빈스키 4,628,903명 23,832,939,000원 2006
28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제임스 건 4,208,135명 44,347,389,640원 2023
29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마크 웹 4,168,350명 34,869,056,800원 2014 수입배급[소]
30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루소 형제 3,963,220명 31,710,585,385원 2014
31 리얼 스틸 숀 레비 3,579,666명 26,566,677,000원 2011
32 코코 리 언크리치 3,513,137명 27,723,419,440원 2018
33 모아나 2 데이비드 데릭 주니어 3,495,287명 32,279,504,990원 2024
34 토이 스토리 4 조시 쿨리 3,400,382명 28,761,238,540원 2019
35 맨 인 블랙 3 배리 소넨필드 3,379,762명 27,301,520,070원 2012 수입배급[소]
36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J.J. 에이브럼스 3,273,873명 28,353,747,331원 2015
37 캐리비안의 해적: 낯선 조류 롭 마샬 3,130,046명 27,279,967,500원 2011
38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 요아킴 뢴닝 3,049,894명 24,975,501,122원 2017
39 토르: 다크 월드 앨런 테일러 3,039,889명 22,525,808,500원 2013
40 인크레더블 2 브래드 버드 3,033,105명 24,555,055,588원 2018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공식 통계 기준

10. 기타

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부터 주요 후원사로 참여하는데 제24회에는 스타워즈, 제25회에는 인사이드 아웃 2를 주제로 한 특별 공간을 운영하였다.


[1] 대표적으로 본사가 있는 미국과 중국, 프랑스가 있다. 한편 일본의 도쿄 디즈니랜드는 월트 디즈니 컴퍼니 재팬이 아닌 오리엔탈랜드라는 별개의 민자업체에 라이선스를 빌려주는 형식으로 건설해 오리엔탈랜드가 100% 소유&운영하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래서 일본 디즈니의 실질적인 규모는 한국 디즈니와 큰 차이가 없으며 하는 일도 거의 비슷하다. 굳이 차이점을 꼽자면 곳곳에 운영하는 팝업 스토어가 마블이냐 스타워즈냐의 차이 정도 뿐이다.[2] 디즈니랜드를 지으려는 시도는 있었다. 서울랜드 자리에 디즈니랜드를 세우려 했으나 서울랜드의 극심한 반발로 인해 한국 사업은 포기하고 기존에 추진한 중국 상하이에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를 지었다.[3] 디즈니에서 만드는 실사 영화, 애니메이션, 픽사, 마블, 스타워즈를 비롯한 모든 영화들을 배급하는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의 2007년 이전 이름이 '브에나비스타 필름 디스트리뷰션 컴퍼니'이었다. 현재는 디즈니 본사의 브랜드 통합으로 인해 사명이 바뀌었으나, 박스오피스 모조엔 지금도 브에나비스타로 등록되었다.[4] 2022년 4월에 철수했다.[5] 한국에는 원래 2020년 2월에 서비스를 개시하려 했으나, 코로나19의 창궐로 미뤄졌다.[6] 미디어로그에 인수된 디즈니채널은 10월 1일부로 '더키즈'로 재개국했다.[7] 디즈니 채널의 TV 애니메이션들은 전부 디즈니+로 공개 경로를 일원화시켰다.[8]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는건 아카펠라 그룹 솔리스츠의 리더 김재우로, 음악 감독이 주로 맡은 업무이나 조연으로도 출연하여 상당한 연기력을 보여준다.[9] 배급은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가 맡았다.[10] 전 라이브365 COO, MTV네트웍스코리아 대표이사. 퇴임 후 디즈니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사장 역임.[11] 퇴임 후 월트 디즈니 재팬 총괄사장 역임.[12] 전 20세기 폭스 코리아 대표이사. 퇴임 후 디즈니 동남아시아 스튜디오 사업부 총괄 역임.[13] 전 디즈니 아시아태평양 지역(APAC) 전무.[14] 퇴임 후 프라임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역임.[15] 퇴임 후 워너브러더스코리아 사장, 오로라월드 및 대원미디어 대표이사 역임.[16] 다만 제목 논란과는 별개로 두 작품 모두 모험 요소가 포함되거나 모험물이다.[17] 디즈니보다 실적이 훨씬 나쁜 소니 픽쳐스는 4K를 지속적으로 출시하며, 비슷한 체급의 워너 브라더스도 한국 출시를 열심히 진행한다.[18] 이는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영화 뿐만 아니라 디즈니에 인수된 20세기 스튜디오 영화들도 마찬가지다.[19] 이 때문에 알라딘이나 당근마켓, 중고나라, YES24 같은 중고 구매처에는 물리매체 사업 정리 전 블루레이, DVD로 정발한 디즈니 영화와 디즈니에 인수되기 이전 한국에 출시한 타이타닉과 사운드 오브 뮤직, 신사는 금발을 좋아한다, 엑스맨 시리즈, 에이리언 시리즈 등 20세기 폭스 영화들의 중고 DVD와 블루레이를 구입하거나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한다.[소] 2007년부터 2014년까지 디즈니가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와 합작하여 한국에 소니 픽처스 작품 배급을 담당했다. 2015년 이후 소니 픽처스 작품의 배급권은 UPI 코리아로 넘어갔다.[소] [소] [소] [소]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10
, 6.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