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22:51:50

시외버스 인천-포항·울진

시외버스 인천-울진에서 넘어옴
파일:IMG_5058.jpg
파일:천마고속 7311.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울진행의 이용시 주의사항6. 연계 철도역7.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시외버스 인천 ↔ 포항
노선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인천종합터미널)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상대동(포항터미널)
포항행 첫차 10:00 인천행 첫차 08:00
막차 18:10 막차 18:00
운수사명 경기고속, 아성고속, 천마고속 운행횟수 1일 4회
노선 인천종합터미널남동IC제2경인고속도로서창JC영동고속도로안산IC안산종합버스터미널군포IC영동고속도로여주JC중부내륙고속도로낙동JC상주영천고속도로영천JC경부고속도로경주IC서라벌대로강변로경주시외버스터미널강변로산업로7번 국도중섬로포항터미널
시외버스 인천 ↔ 포항(심야)
노선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인천종합터미널)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상대동(포항터미널)
포항행 첫차 23:59 인천행 첫차 23:59
막차 23:59 막차 23:59
운수사명 아성고속 운행횟수 1일 1회
노선 인천종합터미널남동IC제2경인고속도로서창JC영동고속도로안산IC안산종합버스터미널42번 국도수원종합버스터미널1번 국도북오산IC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동탄IC경부고속도로청주JC당진영덕고속도로상주JC상주영천고속도로영천JC경부고속도로경주IC서라벌대로강변로경주시외버스터미널강변로산업로7번 국도중섬로포항터미널
시외버스 인천 ↔ 울진
노선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인천종합터미널)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울진종합버스터미널)
울진행 첫차 11:40 인천행 첫차 09:20
막차 11:40 막차 09:20
운수사명 아성고속 운행횟수 1일 1회
노선 인천종합터미널남동IC제2경인고속도로서창JC영동고속도로안산IC안산종합버스터미널42번 국도수원종합버스터미널1번 국도북오산IC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동탄IC경부고속도로청주JC당진영덕고속도로상주JC상주영천고속도로영천JC경부고속도로경주IC서라벌대로강변로경주시외버스터미널강변로산업로7번 국도중섬로포항터미널7번 국도나루끝강구시외버스터미널영덕터미널영해버스터미널 ↔ 후포공용버스터미널(삼율) ↔ 평해 ↔ 울진종합버스터미널

2. 개요

인천광역시경상북도 포항시 또는 울진군을 잇는 시외버스 노선. 경기고속, 아성고속, 천마고속에서 운행하고 있다.

3. 역사

4. 특징

5. 울진행의 이용시 주의사항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파일:포항시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포항시 고속버스/시외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포항(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서울경부 ↔광주 ↔대전복합
}}}}}}}}}
[ 포항(시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5000px><|3><bgcolor=#00a4da> 대구/경북 ||<width=25%> ↔동대구(직통) ||<width=25%> ↔대구서부(직통) ||<width=25%> ↔대구북부 ||
↔하양(1) ↔ 경산(경주경유) ↔ 구미(경주경유)
↔ 영주 / 예천 ↔ 울진
수도권 ↔ 동서울 ↔ 성남 ↔안산, 인천
↔오산, 수원, 서수원 ↔오산, 수원, 서수원, 안산, 인천
부산/울산/경남 부산(노포)(경주경유) ↔ 부산(서부) ↔부산(해운대)
↔ 김해공항 ↔ 양산, 마산 ↔ 양산, 창원
↔ 언양, 김해 ↔ 울산(직통 / 직행) ↔ 진주
↔ 거제(고현), 통영 부산노포(직통)
대전/세종/충청 ↔ 충주 ↔ 세종, 천안
강원(영서) ↔원주,횡성,홍천,춘천
강원(영동) 7번 국도 시외직행 노선(2) ↔ 태백, 고한사북
호남 ↔ 목포 ↔ 순천, 여수 ↔ 동광양, 광양
운행중단 ↔ 청주 ↔ 경주경유 동대구 ↔ 경주경유 대구서부
↔ 경산(직통) ↔ 김천 ↔ 구미, 충주(직통)
7번 국도 완행 노선(울진 이북행) ↔ 이천, 경기광주, 하남 ↔ 이천, 경기광주, 하남
폐선 ↔ 대구북부(직통) ↔ 경산(완행) ↔ 성주
↔ 밀양 ↔ 광양(양산경유) ↔ 동서울(직통 / 영동,옥천경유)
[윗첨자 1] 동대구까지 운행하지만 하양까지만 발권 가능
[윗첨자 2] 부산(노포), 울산, 동대구발 삼척-동해-강릉-속초-거진행 버스 해당.
}}} ||


파일:경주시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경주시 고속버스/시외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bbe53><colcolor=#ffffff> 고속버스
전환시외
↔ 서울경부 ↔ 광주, 목포
대구/경북 ↔ 동대구 ↔ 대구서부 ↔ 대구북부
↔ 하양, 대구대 ↔ 경산 ↔ 구미
↔ 안동, 영주 ↔ 영천, 경북도청 ↔ 모화
수도권 ↔ 동서울 ↔ 성남 ↔ 안산, 인천
↔ 오산, 수원, 서수원 ↔ 오산, 수원, 서수원, 안산, 인천
부산/울산/경남 부산(노포) ↔ 부산(서부) ↔ 부산(해운대)
↔ 김해공항 ↔ 양산, 마산 ↔ 양산, 창원
↔ 언양, 김해 울산(고속도로)(1) ↔ 진주
↔ 거제(고현), 통영 울산(국도)(2)
대전/세종/충청 ↔ 충주 ↔ 세종, 천안 ↔ 제천
강원 ↔원주,횡성,홍천,춘천
호남 ↔ 순천, 여수 ↔ 동광양, 광양
운행중단 ↔ 대구공항 ↔ 김천 ↔ 청주
↔ 이천, 경기광주, 하남 7번 국도 노선(포항 이북행)(3)
[윗첨자 1] 울산-경주 단일노선, 울산-경북도청 노선도 있음
[윗첨자 2] 경북도청발 노선도 존재.
[윗첨자 3] 명목상 운행중단이나 사실상 폐선
}}}}}}}}} ||


파일:영덕군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영덕군 시외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영덕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3858a2><colcolor=#fff> 수도권 ↔서울경부 ↔동서울 ↔인천,수원,안산
경북 ↔안동
(동서울행)
(서울경부행)
↔포항 ↔동대구
↔강구 ↔영해,후포,평해,울진
강원 ↔속초,강릉,동해,삼척
폐지 ↔ 부산
}}}}}}}}}
[ 영해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858a2><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30%> ↔동서울 ||<width=30%> ↔인천,수원,안산 ||<width=30%> ||
경북 ↔안동 ↔포항 ↔동대구
↔강구,영덕 ↔후포,평해,울진
강원 ↔속초,강릉,동해,삼척
폐지 ↔ 부산
[ 강구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858a2><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30%> ↔인천,수원,안산 ||<width=30%> ||<width=30%> ||
경북 ↔영덕 ↔포항 ↔동대구
↔후포,평해,울진
강원 ↔속초,강릉,동해,삼척
폐지 ↔ 부산 ↔청주
}}} ||

파일:울진군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울진군 시외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울진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3858a2><colcolor=#fff> 수도권 ↔동서울 ↔인천,수원,안산
경북 ↔포항 ↔포항,부산 ↔동대구
↔영주
↔강구,영해,후포,평해 ↔구미,점촌,상주,안동,경북도청
강원 ↔속초,강릉,동해,삼척 ↔거진 ↔태백,고한사북
폐지 ↔서울경부 ↔ 경주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인천광역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5eb8><colcolor=#ffffff>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강원도 ↔양양, 속초
대전/충남 ↔대전복합 ↔천안, 아산 ↔태안 ↔서산
광주/전남 ↔광주 ↔목포, 진도 ↔순천 ↔여수
전북 ↔전주 ↔익산 ↔남원
부산/경남 ↔부산 ↔부산사상 ↔진주 ↔김해
대구/경북 ↔서대구, 동대구
시외버스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수도권 ↔안산, 수원, 오산 ↔안양, 용인 ↔평택 ↔수원, 용인
↔성남 ↔고양, 파주 ↔이천 ↔안성
↔동서울 ↔가평
강원 ↔춘천 ↔원주 ↔강릉 ↔홍천
↔태백
대전/충청 ↔서산(한서대, 해미 경유) ↔청주 ↔음성 ↔증평
↔진천 ↔세종 ↔유성 ↔공주, 부여
↔충주 ↔제천 ↔청양, 부여 ↔청주대
↔당진 ↔보령
대구/경북 ↔구미, 대구서부 ↔문경, 상주 ↔영주, 안동 ↔경주, 포항, 울진
부산/울산/경남 ↔원지, 진주, 사천, 삼천포 ↔함양, 거창 ↔통영, 고현 ↔울산
↔마산, 창원
호남 ↔군산 ↔부안 ↔영광, 함평, 무안 ↔광양
↔완도
인천국제공항 지방버스
}}}}}}}}} ||



파일:수원시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수원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수원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164194><colcolor=#fff>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광주 ↔진주 ↔동해,삼척 ↔순천,여수
↔목포,해남,완도 ↔나주,영암,강진
수도권 ↔여주 ↔이천 ↔시흥신천 ↔부천
↔인천
강원 ↔강릉 ↔원주
충청 ↔대전복합 ↔유성 ↔세종
(대전복합행)
(부여행)
↔당진
↔천안 ↔공주,부여 ↔진천 ↔증평
↔제천
대구경북 ↔대구서부 ↔안동,구미,군위,도리원,의성 ↔영덕,영해,울진 ↔포항,경주
↔안동,영주,경북도청
부울경 ↔부산동부,해운대 ↔통영,고현 ↔마산,창원
↔함양,거창
호남 ↔완주혁신도시,전주 ↔익산,대야,군산
}}}}}}}}}
[ 서수원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164194><colcolor=#fff><width=5000px> ||
}}} ||




[1] 아성.천마는 우등을 운행하는 대신 차급이 SD급인 그랜버드 파크웨이나 에어로 익스프레스 LDX 및 하이스페이스 차량을 운행했고, 태화상운이나 금남고속은 일반차량인 대신 HD급인 BH 120F 및 에어로 익스프레스 HSX로 운행했다.[2] 프라임, 파크웨이 31인승을 넣어 좁아 터졌던 아성.천마와는 달리 태화상운은 전장 12.5m 짜리 뉴 그랜버드 블루스카이 차량을 투입하여 12m 급 28인승 차량과 좌석간격차이가 크지 않았다.[3] 차량은 뉴 그랜버드 그린필드로, 28석 상태에서 한 줄을 추가로 박아 좌석간격이 일반보다도 더 좁았다.[4]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5] FX II 120[6] 인천출발 안산행은 구간승차가 가능하지만 안산출발 인천행은 구간승차가 안 된다. 안산터미널 공지사항에도 걸려있다.[7] 시외버스 거진-부산의 완행형보다 더 오래걸린다.[8] 인천발 기준 포항 이북 정류장 하차객 유무에 따라 소요시간이 달라지며 인천-울진 기준 보통 8시간 40분대에 끊는다. 울진발은 평해, 영해, 영덕, 포항, 경주에서 대기시간이 있으며 소요시간은 역시 평균 8시간 40분대지만 안산 이후 영동고속도로의 정체유무에 따라 변동이 있다. 울진행의 경우 포항 이북에서 상행보다 경유지가 추가로 있는 듯 하다. 빠르면 7시간 이내로 끊기도 하는데 이러면 동대구-속초 노선 보다는 덜 걸린다.[9] 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일정 시간 이상 운행하지 못하도록 막는 경우가 많다. 멕시코 ETN를 예로 들면 5시간 30분만 운행하고 다른 승무원과 교대하도록 되어있다. 관련 영상 선진국 또는 영토가 넓은 나라의 운행 규정에 따르면, 이 노선은 2명이 같이 승무하거나 (물론 1명이 운전하고 다른 1명은 침실에서 휴식, 이후 경주나 포항 같은 곳에서 교대하는 하는 형태다) 포항에서 승무원을 교대했어야 했다.[10] 볼보 9700 등 외산 버스들을 보면 화물칸 옆에 쪽창문이 있는 곳이 있는데, 이곳이 승무원용 침실이다. 이층버스는 운전석 뒤에 존재. 화물차의 슬리퍼 (Sleeper)와 같은 역할을 한다.[11] 물론 외산 버스의 예시를 참고하여 침실로 마개조하면 그만이다. 쪽창 달아주고 운전석과 연락이 가능한 인터폰 설치, 그리고 냉난방 및 환기시설과 침구류를 설치, 화물칸과 완전히 분리하는 격벽을 설치하면 그만이기 때문. 다만 적어도 화물칸이 3칸 이상인 유니버스 프라임이나 노블 이상은 되어야 할 것이다. 유럽산 버스들은 모두 대한민국 차량한계 규정에 맞지 않기 때문에 개조하는 방법밖에 없다.[12] 다만 장거리의 운행구간에서 휴게소 이외에 마땅한 정차지가 없는 위 사례들과 다르게, 터미널을 다수 경유하는 완행 노선인 만큼 경주나 포항 등의 터미널에서 승무교대를 하는 식의 운행도 가능할 것이다. 노선 출신 자체가 인천-포항 노선과 포항-울진 노선을 차량 한 대로 이어붙여 만들었으니만큼 더욱 적절하다.[13] 서울경부행 고속버스 일반 22700원, 우등 33600원, 프리미엄 월~목 41400원/금~일 43600원, 동서울행 시외우등 33400원[14] 즉, 이 노선은 인천-안산/수원간 구간승차가 불가능해 인천-안산/수원으로 갈 일이 있다면 11시 55분에 출발하는 친선고속 버스를 타야한다.[15] 중남미에서 스페인어로 "semi-cama"라 불리는 형태의 시트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더 이상 볼 수 없고,(37인승과 거의 차이 없는 강원고속의 동서울-가평-춘천 노선의 경우 36인승이 들어간다. 36인승의 경우 37인승에서 중앙좌석 1석만 없앤 경우다.) 이러한 시트를 볼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곳은 멕시코로, 최소한 미국 휴스턴이나 댈러스에 가서 옴니부스 메히카노스의 OMEX VIP 국제노선을 이용하거나 몬테레이로 가서 에스트레야 블랑카 그룹 또는 옴니부스 데 메히코 소속 국내선 노선을 이용해야 한다.[16] 2014년식과 2017년식 유로6 차량이 번갈아가며 운행하는듯 하다.[17] 인천기준 오전 2회 오후 1회. 울진에서는 오전에만 3회. 단 울진에서 인천까지는 2회만 발권했고 막차 1회는 포항까지만 발권했다. 울진에서 포항까지만 운행한 후 포항에서 행선판을 교체했다. 인천에서도 오전 2회차 차량은 포항까지만 발권했다. 2회차 차량의 울진까지 발권은 안산에서부터 발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