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1 16:35:43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전반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fff> R 날짜 대회 레이아웃
1 3/14~16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멜버른)
앨버트 파크 그랑프리 서킷
파일:호주서킷ㅇ.png
2 3/21~23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상하이)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상하이서킷ㅇ.png
3 4/4~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스즈카)
스즈카 서킷
파일:스즈카서킷ㅇ.png
4 4/11~14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사키르)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바레인서킷ㅇ.png
5 4/18~2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제다 코니쉬 서킷
파일:제다서킷ㅇ.png
1~5라운드 진행・결과
6 5/3~5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애미 (마이애미 가든스)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파일:마이애미서킷ㅇ.png
7 5/16~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밀리아로마냐 (이몰라)
아우토드로모 인테르나치오날레 엔초 에 디노 페라리 (이몰라 서킷)
파일:이몰라서킷ㅇ.png
8 5/23~25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서킷 드 모나코
파일:모나코서킷ㅇ.png
9 5/30~6/1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바르셀로나)
서킷 데 바르셀로나-카탈루냐
파일:카탈루냐서킷ㅇ.png
10 6/14~16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몬트리올)
서킷 질 빌뇌브
파일:캐나다서킷ㅇ.png
6~10라운드 진행・결과
11 6/27~29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슈필베르크)
레드불링
파일:레드불링ㅇ.png
12 7/4~6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실버스톤)
실버스톤 서킷
파일:실버스톤서킷ㅇ.png
13 7/25~27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스파-프랑코샹)
서킷 드 스파-프랑코르샹
파일:스파프랑코샹ㅇ.png
14 8/1~3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부다페스트)
헝가로링
파일:헝가로링ㅇ.png
11~14라운드 진행・결과
}}}}}}}}}
[ 후반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E10600><rowcolor=#fff><width=8%> R ||<width=15%> 날짜 || 대회 ||<width=15%> 레이아웃 ||
15 8/29~3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잔드보르트)
서킷 잔드보르트
파일:잔드보르트ㅇ.png
16 9/5~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몬차)
아우토드로모 나치오날레 몬차
파일:몬차서킷ㅇ.png
17 9/19~21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바쿠)
바쿠 시티 서킷
파일:바쿠서킷ㅇ.png
18 10/3~5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스트리트 서킷
파일:싱가포르서킷ㅇ.png
15~18라운드 진행・결과
19 10/18~2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오스틴)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COTA)
파일:코타ㅇ.png
20 10/25~27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멕시코시티)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파일:멕시코서킷ㅇ.png
21 11/7~10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상파울루)
아우토드로무 주제 카를루스 파시 (인터라고스)
파일:브라질서킷ㅇ.png
22 11/21~23 파일:미국 국기.svg 라스베이거스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서킷
파일:라스베이거스ㅇ.png
23 11/28~12/1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루사일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카타르서킷ㅇ.png
24 12/5~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부다비 (야스섬)
야스 마리나 서킷
파일:아부다비ㅇ.png
19~24라운드 진행・결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날짜 서킷 라운드 날짜 서킷 라운드
12/6 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시가지 서킷 1R 1/10 파일:멕시코 국기.svg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2R
1/31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3R 2/13, 2/14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제다 코니쉬 서킷 4R, 5R
3/12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라마 서킷 6R 5/2, 5/3 파일:독일 국기.svg 템펠호프 공항 시가지 서킷 7R, 8R
5/16, 5/17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서킷 9R, 10R 5/30 파일:국기.svg 미정 11R
6/20 파일:국기.svg 미정 12R 7/4, 7/5 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13R, 14R
7/25, 7/26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시가지 서킷 15R, 16R 8/15, 8/16 파일:영국 국기.svg ExCeL 런던 서킷 17R, 18R
}}}}}}}}} ||

파일:FIA 로고.svg
FIA 그레이드 1 서킷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ffffff> 서킷 위치 레이아웃 길이
아우토드로모 나치오날레 몬차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그랑프리 5.793 km
뉘르부르크링 파일:독일 국기.svg 그랑프리 5.148 km
느베르 마그니쿠르 서킷 파일:프랑스 국기.svg 그랑프리 4.411 km
두바이 오토드롬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그랑프리 5.390 km
인터내셔널 4.290 km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서킷 파일:미국 국기.svg 그랑프리 6.2 km
레드불링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그랑프리 4.318 km
루사일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카타르 국기.svg 그랑프리 5.380 km
리카르도 토르모 발렌시아 서킷 파일:스페인 국기.svg 그랑프리 4.005 km
마리나 베이 스트리트 서킷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그랑프리 5.077 km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파일:미국 국기.svg 그랑프리 5.410 km
멜버른 그랑프리 서킷 파일:호주 국기.svg 그랑프리 5.280 km
모나코 서킷 파일:모나코 국기.svg 그랑프리 3.337 km
모스크바 레이스웨이 파일:러시아 국기.svg 그랑프리 3.955 km
모터랜드 아라곤 파일:스페인 국기.svg 그랑프리 5.345 km
에어로테스트 4.933 km
FIM 5.078 km
5.214 km
아우토드로모 인테르나치오날레 델 무젤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그랑프리 5.245 km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바레인 국기.svg 그랑프리 5.412 km
인듀어런스 6.299 km
내부 2.554 km
외부 3.543 km
패독 3.823 km
바르셀로나-카탈루냐 서킷 파일:스페인 국기.svg 그랑프리 4.675 km
바쿠 시티 서킷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그랑프리 6.003 km
부드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인도 국기.svg 그랑프리 5.125 km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중국 국기.svg 그랑프리 5.451 km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파일:미국 국기.svg 그랑프리 5.513 km
세팡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그랑프리 5.543 km
소치 오토드롬 파일:러시아 국기.svg 그랑프리 5.848 km
스즈카 서킷 파일:일본 국기.svg 그랑프리 5.807 km
스파-프랑코샹 서킷 파일:벨기에 국기.svg 그랑프리 7.004 km
실버스톤 서킷 파일:영국 국기.svg 그랑프리 5.901 km
아우토드로무 주제 카를루스 파시 파일:브라질 국기.svg 그랑프리 4.309 km
알가르브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그랑프리 4.653 km
야스 마리나 서킷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그랑프리 5.554 km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그랑프리 4.304 km
아우토드로무 페르난다 피레스 다 실바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그랑프리 4.182 km
아우토드로모 인테르나치오날레 엔초 에 디노 페라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그랑프리 4.909 km
이고라 드라이브 파일:러시아 국기.svg 그랑프리 4.086 km
이스탄불 파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그랑프리 5.338 km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 파일:미국 국기.svg 그랑프리 4.192 km
잔드보르트 서킷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그랑프리 4.259 km
제다 코니쉬 서킷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그랑프리 6.175 km
질 빌르너브 서킷 파일:캐나다 국기.svg 그랑프리 4.361 km
창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태국 국기.svg 그랑프리 4.554 km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그랑프리 5.615 km
쿠웨이트 모터 타운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그랑프리 5.608 km
키미 링 파일:핀란드 국기.svg 그랑프리 4.650 km
폴 리카르 서킷 파일:프랑스 국기.svg 그랑프리 5.842 km
헝가로링 파일:헝가리 국기.svg 그랑프리 4.381 km
헤레스 서킷 파일:스페인 국기.svg 그랑프리 4.428 km
호켄하임링 파일:독일 국기.svg 그랑프리 4.574 km
후지 스피드웨이 파일:일본 국기.svg 그랑프리 4.563 km
}}}}}}}}} ||

파일:hermanos rodriguez.png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Autódromo Hermanos Rodríguez
파일:Mexico_Circuit.png
서킷 정보
위치 멕시코 멕시코시티 이스타칼코
개장 1962년
FIA 그레이드 1
개최 경기 포뮬러 1, NASCAR, WSC, W 시리즈
설계자 오스카르 페르난데스[1]
길이 4.304km
스타트 정보 오프셋[2] 0.230km
폴 포지션 좌측 (첫 코너 기준 바깥쪽)
F1 레이스 정보 총 주행 거리 305.354km (71 laps)
컴파운드 C3/C4/C5 (2024년)
코너 14개
트랙 레코드[3] 1:14.758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RB15, 2019) 영상[4]
랩 레코드[5] 1:17.774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AMG F1 W12 E 퍼포먼스, 2021)
CBMM 니오비움 멕시코 시티 E-프리
파일:11E313ED-D949-418B-8384-DF4ED70C19FB.png
서킷 정보
위치 멕시코 멕시코시티
개장 2016년
개최 경기 포뮬러 E
FIA 그레이드 3E
길이 2.093km
코너 16개
랩 레코드 1:10.520 (알렉산더 심즈, BMW i 안드레티 모터스포트, 2020)
트랙 레코드 1:01.112 (파스칼 베를라인, 마힌드라 레이싱, 2019)


1. 개요2. 상세3. 역대 기록
3.1. F1



1. 개요

<colbgcolor=#CE1126><colcolor=#FFFFFF>
풀 코스 레이아웃 주행[6]
<colbgcolor=#00bfff><colcolor=#FFFFFF>
로빈 프라인스의 포뮬러 E 코스 온보드 영상

멕시코 멕시코시티에 있는 서킷이다. 서킷은 3개로 이루어지는데, 그랑프리 서킷은 길이가 4.304km, 코너가 17개이다. NASCAR 서킷은 길이가 4.028km, 코너가 16개이다. 타원형 서킷은 길이가 1.6km, 코너가 4개이다.. 멕시코시티 소유이며, F1 그랑프리 외에 챔프카 월드시리즈, NASCAR 내셔널와이드 시리즈, 국제 오픈휠 자동차 경주인 A1 그랑프리도 열렸다.

2. 상세

서킷 이름은 스페인어로 로드리게스 형제 자동차 경주장(Rodríguez Brothers Autodrome)이라는 뜻으로, 멕시코 출신의 유명한 카레이서로 레이스 도중 사망한 리카르도 로드리게스(Ricardo Rodríguez)와 페드로 로드리게스(Pedro Rodríguez) 형제를 기리기 위해 붙였다. 1962년 막달레나 믹스카(Magdalena Mixhuca) 공립공원 내에 지어졌으며 그 해 최초의 멕시코 그랑프리가 열렸다. 1963년 열린 그랑프리부터 F1에 포함되었고 이후 1970년까지 열렸다. 1970년 그랑프리에서의 안정성 문제로 수리를 거쳐 1986년 재개장 후 다시 멕시코 그랑프리가 열렸고 1992년까지 모두 15회의 F1 멕시코 그랑프리가 열렸다.

예전에는 14개 코너가 있었다. '포로 솔' 야구장의 관중석 앞에 저속 코너를 추가하여 17개로 늘었고 시상식도 이 앞에서 열린다.[7] 마지막 코너인 17번 코너는 얕은 뱅크가 형성되어 있다.[8]

멕시코시티 지형특성상 트랙 표면이 거칠고, 서킷은 해발고도 2,285m에 위치해 있다. 희박한 공기밀도 때문에 엔진 출력이 원래 출력만큼 나오진 않지만 그만큼 공기저항도 덜하고 애초에 로우 다운포스 셋업을 하기 때문에 직선 최고 속도는 몬자 서킷 부럽지 않을 정도로 360~370km/h까지 무지막지하게 나온다.[9] 다만 마찬가지로 엔진과열 이슈도 도사리고 있는지라 드라이버와 레이스카 모두 어려움이 많은 편이다. 원래 2014 시즌 F1 서킷으로 포함될 예정이었으나 연기되었고, 2015 시즌부터 F1 캘린더에 포함되었다.

레이싱 및 행사가 없을 때에는 자전거 운전자들에게 개방되고 있으며, 평지에서의 속도 및 펠로톤 유지 훈련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 역대 기록

3.1. F1

[ 펼치기 · 접기 ]
||<#636365> 연도 ||<#636365> 드라이버 ||<#636365> 소속팀 ||
}}} ||



[1] 토목공학을 전공하던 대학생으로, 학위 논문으로 여러 레이스 트랙을 연구하여 설계한 디자인안을 논문에 실었는데, 막달레나 믹스후카 공원을 짓던 멕시코 시티 시측이 멋대로 이 디자인안으로 지은 것이다. 시측이 오랫동안 설계자를 공개하기를 꺼렸고, 2018년 90대가 되어서야 그의 디자인이었음을 인정받게 되었다. 2019년 멕시코 그랑프리에 초청되며 이러한 사연이 조명받았다.[2] 스타트 라인과 피니시 라인 사이의 길이[3] 이 서킷에서 기록된 가장 빠른 랩타임.[4] Q3 마지막 랩에서 기록하였지만, 옐로 플래그 위반으로 인해 정작 폴 포지션은 르클레르가 차지하였다.[5] 이 서킷에서 열린 레이스 도중 기록된 가장 빠른 랩타임. 대회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6] 2024 멕시코 시티 그랑프리 DHL 패스티스트 랩 어워드 샤를 르클레르[7] 이 구간을 추가하면서 야구장 그라운드 등은 철거되었다. 서킷 동편에는 새 야구장이 건설되었다.[8] 나이젤 만셀 코너로 공식적으로 이름이 붙여졌다.[9] F1 레이스 중 최고속도인 372km/h(2016년, 발테리 보타스)가 이곳에서 기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