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00:18:32

영웅 연마: 건틀릿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px><table bordercolor=#333e48>
파일:오버워치 2 로고.svg파일:오버워치 2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5px -11px"
<colbgcolor=#ef6414><colcolor=#fff> <colcolor=#000,#fff> 일반전 · 경쟁전 · 임무 · 아케이드 · 사용자 지정 게임 · 영웅 연마 · 전투 훈련 · 기다리는 동안
영웅 · 조합 · 스킨 · 전장 · 효과 · 배틀 패스
최고의 플레이 · 업적 & 도전과제 · 의사 소통 & 핑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 오버워치 월드컵 · 오버워치 리그 · 컨텐더스
기타
용어 · 이벤트 · 평가 · 논란 및 사건 사고 · 패치 노트 · 플랫폼 별 특징 }}}}}}}}}


||<table width=600px><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 align=center><bgcolor=#059EFC><width=25%><height=150px><-3> [[오버워치 2/일반전|
파일:오버워치 2 일반전 아이콘.svg
일반전]] ||<bgcolor=#E83C6A><width=25%><-3> [[오버워치 2/경쟁전|
파일:오버워치 2 경쟁전 아이콘.svg
경쟁전]] ||<bgcolor=#00BD00><width=25%><-3> [[오버워치 2/아케이드|
파일:오버워치 2 아케이드 아이콘 편집.png
아케이드]] ||<bgcolor=#657EFF><width=25%><-3> [[영웅 연마|
파일:영웅연마 로고.png
영웅 연마]] ||
[[오버워치 2/시스템#사용자 지정 게임|
파일:오버워치 2 사용자 지정 게임 아이콘.svg
사용자 지정 게임]]
[[오버워치 2/임무|
파일:오버워치 2 임무 아이콘.svg
임무]]
[[오버워치 2/시스템#전투 훈련|
파일:오버워치 훈련장 아이콘.png
전투 훈련]]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파일:기다리는 동안 아이콘.png 기다리는 동안 }}}

1. 개요2. 설명
2.1. 시스템2.2. 전장
2.2.1. 오브젝트2.2.2. 탑
2.2.2.1. 타워 업그레이드
3. 라운드
3.1. 등장 적3.2. 영웅
3.2.1. 돌격3.2.2. 공격3.2.3. 지원
4. 공략5. 평가6. 기타

Hero Mastery: Gauntlet

1. 개요

영웅 연마의 디펜스 PVE 모드. 2024년 3월 13일에 오버워치 2 X 카우보이 비밥 콜라보와 함께 업데이트 되었다. 2024년 6월 19일 새벽 2시에 10시즌이 종료되면 삭제될 예정이다.

2. 설명

팀을 이루어 적 훈련용 봇의 파상 공세로 부터 탑을 보호하세요.
영웅 연마: 건틀릿 버튼의 문구
협동을 통해 적 훈련용 봇의 파상 공세로 부터 탑을 보호하세요. 파일:오버워치 에너지.png에너지를 모아 탑을 강력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영웅 연마: 건틀릿 정보 탭의 문구


기존 영웅 연마와 PVE의 특성을 합친 모드. 임무 모드와는 달리 3인 협동이다. 적들은 영웅 연마에서 자주 보는 훈련용 봇들의 여러 바리에이션이지만 기존 영웅 연마에서 자주 보지 못하던 종류와 정예 적들까지 구현해 놨다.

여기서 큰 특징이라면 탑을 강화시키거나 탑에서 나오는 포탑 종류들로 탑을 지키는데에 응용 할 수 있다.

임무 모드때에 솔로 매치를 간접적으로 지원해주는 거와 달리[1] 여기선 인공지능 모드를 공식 지원해주어서 혼자하는데에 있어서 별 문제는 없다. 대신 기록이나 업적등은 깨지 못한다.

1인 영웅 연마에서 지원해주는 영웅들만 나오는게 아닌 모든 영웅이 다 쓸 수 있게끔 지원해준다.

2.1. 시스템

파일:건틀릿 일반 정보.png 파일:건틀릿 상세 정보.png
일반 정보 상세 정보

영웅 연마와 마찬가지로 적 처치, 문장 획득으로 점수를 얻게 되지만 웨이브 마다 탑을 지켜내는게 목표라 기존에 있는 시간 보너스는 없다.

웨이브는 총 10개로 구성되어 있다.

2.2. 전장

파일:오버워치 2 아이콘 화이트.svg
오버워치 2 전장 목록
같은 모드 내 가나다 순 정렬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in-width:40%;min-height:2em;"
{{{#!folding [ 모드별 전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오버워치 2 화물.svg
호위
· · · · · · ·
파일:오버워치 2 혼합.svg
혼합
· · · · · ·
파일:오버워치 2 쟁탈.svg
쟁탈
· · · · · ·
파일:오버워치 2 밀기.svg
밀기
· 개발중 · ·
<nopad> ·
파일:옵치2 격돌아이콘.png
격돌
개발중
파일:오버워치 2 데스매치.svg
데스매치
· · ·
<colbgcolor=#333e48>파일:오버워치 점령 아이콘.png
점령
· · · ·
파일:오버워치 2 섬멸전.svg
섬멸전
· · ·
파일:오버워치 2 깃발뺏기.svg
깃발 뺏기
파일:오버워치 2 임무 아이콘.svg
임무
이야기 임무
· ·
이벤트 임무
이벤트
한정 모드
하계 스포츠 대회
· · ·
정켄슈타인의 복수
· ·
기타
· · ·
· · ·
파일:Overwatch_Traing_Icon.png
전투 훈련
·
파일:영웅연마.png
영웅 연마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f6414; color: #fff"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in-width:40%;min-height:2em;"
{{{#!folding [ 국가별 전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33e48>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오버워치 2/전장#쟁탈(Control)|{{{#!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일리오스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오버워치 2/전장#쟁탈(Control)|{{{#!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네팔
·
[[오버워치 2/전장#호위(Escor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샴발리 수도원
파일:눔바니 국기.svg
눔바니
[[오버워치 2/전장#혼합(Hybrid)|{{{#!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눔바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오버워치 2/전장#쟁탈(Control)|{{{#!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부산
·
[[루시우볼|{{{#!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00BD00;display:inline-block;"]] 부산 스타디움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오버워치 2/전장#섬멸전(Elimination)|{{{#!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00BD00;display:inline-block;"]] 검은 숲
·
[[오버워치 2/전장#혼합(Hybrid)|{{{#!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아이헨발데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오버워치 2/전장#점령(Assaul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00BD00;display:inline-block;"]] 볼스카야 인더스트리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오버워치 2/전장#호위(Escor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도라도
·
[[오버워치 2/전장#섬멸전(Elimination)|{{{#!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00BD00;display:inline-block;"]] 카스티요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오버워치 2/전장#호위(Escor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서킷 로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오버워치 2/전장#호위(Escor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66번 국도
·
[[오버워치 2/전장#혼합(Hybrid)|{{{#!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미드타운
·
[[오버워치 2/전장#혼합(Hybrid)|{{{#!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블리자드 월드
·
[[오버워치 2/전장#혼합(Hybrid)|{{{#!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할리우드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오버워치 2/임무|{{{#!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6034C7;display:inline-block;"]] 리우데자네이루
·
[[루시우볼|{{{#!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00BD00;display:inline-block;"]] 이스타지우 다스 하스
·
[[오버워치 2/전장#혼합(Hybrid)|{{{#!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파라이수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오버워치 2/전장#쟁탈(Control)|{{{#!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사모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오버워치 2/임무|{{{#!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6034C7;display:inline-block;"]] 예테보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오버워치 2/전장#혼합(Hybrid)|{{{#!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왕의 길
·
[[오버워치 2/임무|{{{#!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6034C7;display:inline-block;"]] 왕의 길 (지하 세계)
파일:오버워치 깃발.png
오버워치
[[오버워치 2/전장#호위(Escor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감시 기지: 지브롤터
·
[[오버워치 2/전장#쟁탈(Control)|{{{#!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남극 반도
·
[[오버워치 2/전장#섬멸전(Elimination)|{{{#!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00BD00;display:inline-block;"]] 탐사 기지: 남극
·
[[오버워치 2/전장#전투 훈련|{{{#!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E3B200;display:inline-block;"]] 튜토리얼
·
[[오버워치 2/전장#전투 훈련|{{{#!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E3B200;display:inline-block;"]] 훈련장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오버워치 2/전장#데스매치(Deathmatch)|{{{#!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페트라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오버워치 2/전장#쟁탈(Control)|{{{#!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오아시스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오버워치 2/전장#섬멸전(Elimination)|{{{#!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00BD00;display:inline-block;"]] 네크로폴리스
·
[[오버워치 2/전장#점령(Assaul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00BD00;display:inline-block;"]] 아누비스 신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오버워치 2/전장#호위(Escor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리알토
·
[[오버워치 2/전장#데스매치(Deathmatch)|{{{#!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말레벤토
·
[[오버워치 2/전장#밀기(Push)|{{{#!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콜로세오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오버워치 2/전장#플래시포인트(Flashpoin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수라바사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오버워치 2/전장#데스매치(Deathmatch)|{{{#!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카네자카
·
[[오버워치 2/전장#점령(Assaul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00BD00;display:inline-block;"]] 하나무라
·
[[오버워치 2/전장#격돌(Clash)|{{{#!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하나오카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오버워치 2/전장#쟁탈(Control)|{{{#!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리장 타워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오버워치 2/전장#밀기(Push)|{{{#!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뉴 퀸 스트리트
·
[[오버워치 2/임무|{{{#!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6034C7;display:inline-block;"]] 토론토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오버워치 2/전장#호위(Escor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하바나
파일:탈론기(저화질).png
탈론
[[오버워치 2/전장#호위(Escor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감시 기지: 지브롤터 (탈론)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오버워치 2/전장#깃발 뺏기(Capture The Flag|{{{#!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00BD00;display:inline-block;"]] 아유타야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오버워치 2/전장#밀기(Push)|{{{#!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루나사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오버워치 2/전장#밀기(Push)|{{{#!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이스페란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오버워치 2/전장#데스매치(Deathmatch)|{{{#!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샤토 기야르
·
[[오버워치 2/전장#점령(Assaul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00BD00;display:inline-block;"]] 파리
파일:호라이즌 달 기지 깃발.png
호라이즌 달 기지
[[오버워치 2/전장#점령(Assaul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00BD00;display:inline-block;"]] 호라이즌 달 기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오버워치 2/전장#플래시포인트(Flashpoin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뉴 정크 시티
·
[[루시우볼|{{{#!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00BD00;display:inline-block;"]] 시드니 하버 아레나
·
[[오버워치 2/전장#호위(Escort)|{{{#!wiki style="width:30px;text-align:center;padding:2px 0 4px;border-radius:4px;background:#f06414;display:inline-block;"]] 쓰레기촌
게임 내 전장 로딩 중에 공개되는 깃발을 따라 분류하고 있음.
}}}}}}}}}}}} ||
영웅 연마 - 건틀릿
HERO MASTERY - GAUNTLET
파일:영웅 연마 - 건틀릿 화면.png

파일:영웅연마 건틀릿 전장 모습.jpg
크게 3개의 탑이 있는데, 시작 지점 기준으로 좌측이 A, 정면이 B, 우측이 C이다.

탑은 전장 곳곳은 높은 지형, 낮은 지형이 번갈아가며 존재하고, 또한 투명한 벽이 곳곳에 있기도 하다.

또한 정해진 위치를 이동하는 특수한 발판이나, 잠시동안 바닥이 사라져 낭떠러지가 되는 지형도 존재한다.

2.2.1. 오브젝트

파일:20240615_174218.png
초록색의 6각형 점프 패드, 적들도 의도치 않게 사용할 수 있다.
파일:오버워치_발판.gif
파일:20240615_174349.png
GIF 사진
이 단상을 사용하면 빠른 속도로 전장의 여러 탑들을 오갈 수 있습니다.
파란색의 발판, 위에 있을시 작동하며 특정 위치로 이동 된다. 특정 위치에 있는 또다른 발판도 같이 움직인다.
파일:20240615_174644.png

발판이 움직이는 동안 밑에는 구멍이 남는데 들어갈시 낙사 판정이니 주의하자.
파일:20240615_174409.png
파일:20240615_174424.png
비활성화 활성화
파일:오버워치_낭떠러지.gif
GIF
이 노란색 플랫폼을 주의하세요! 살짝만 밟아도 함정이 발동합니다. 위험하지만 유리하게 활용할 수 도 있습니다.

해당 지형 위에 있으면 특유의 사운드와 효과가 나오면서 땅이 꺼지게 된다. 낙사용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역으로 운좋지 않게 자신이 빠져 죽을 수 있다. 아군 봇이나 적군 봇이 밟아도 발동되지 않는다. 사격 연습 레벨 한정으로 낭떠러지가 상시로 열려 있다. 훈련용 봇이 그곳에 비행을 하기 때문.파일:20240615_174701.png
적을 잡을시 약간 낮은 확률로 나오는 아이템. 궁극기를 20% 채워준다. 20초 동안 유지된다.파일:20240615_174654.png
적을 잡을시 높은 확률로 나오는 아이템. 60초 동안 유지된다.파일:20240615_174400.png
문장은 전장에서 또는 처치한 적에게서 수집할 수 있습니다. 치명타 처치시 일정확률로 더 많은 문장을 획득하게 됩니다. 문장은 매 라운드마다 무작위로 생성됩니다. 문장을 모두 수집하여 보너스 점수를 얻으세요!
영웅 연마에 흔히 나오는 점수용 오브젝트. 먹어도 라운드가 시작될때 마다 새로이 나온다.파일:20240615_174355.png
적이 죽은 자리에 에너지가 생성됩니다. 업그레이드를 구입하려면 에너지를 수집하여 탑에 사용하세요
적을 죽이면 얻을 수 있는 오브젝트. 먹으면 에너지가 쌓여 탑의 패널을 사용하거나 새로고침을 할 수 있다. 근처에만 가면 자동으로 빨려들어가듯이 먹어진다. 적을 죽일때 마다 얻을 수 있는 양이 다르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그대로 소멸된다.파일:저격수 기둥.jpg
이 구역에서 눈을 떼지 마세요. 먼 거리에서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험한 저격수 봇들이 생성되는 곳입니다.
저격수 봇이나 정예 저격수가 스폰되는 기둥. 평상시엔 지형지물이지만 저격수 봇이 나오는 라운드에선 무조건 기둥위나 근처에 스폰되기에 예의주시 해야된다.

2.2.2.

파일:오버워치 탑.png 파일:오버워치 활성화 탑.png 파일:오버워치 체력 없는 탑.png
비활성화된 탑 활성화된 탑 체력이 45% 남은 탑

온 힘을 다해 탑을 지키세요! 탑이 모두 파괴되면 게임에서 패배합니다.

플레이어가 지켜야되는 오브젝트. A, B, C로 불리는 3개의 탑이 존재하며 모든 탑이 다 부서지면 패배한다.
타워 업그레이드
탑을 강력하게 업그레이드하세오. 각 탑마다 4개의 업그레이드를 장착 할 수 있습니다. 문장을 대량 지불하면 업그레이드를 새로고침 할 수 있습니다. 업그레이드는 각 게임을 시작할 때 무작위로 선택됩니다.

탑 밑에는 4개의 업그레이드 패널이 있으며 이 패널들을 이용해 수비를 안정적이게 하거나 혹은 좀더 공격적이게 나설때 활용이 가능하다.

웨이브마다 지켜야 되는 탑이 다르며[2] 활성화된 탑이 공격에 노출되면 체력이 깎이는데 체력이 깎일수록 탑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어 체력이 다 줄어들면 탑의 네모난 코어가 파괴되는 연출이 나오며 업그레이드 패널들 쓰지 못하게 된다.

대부분 1개를 지키지만 특정 웨이브에선 2개를 지켜야 되며 마지막은 무조건 모든 탑을 지켜야 한다.
2.2.2.1. 타워 업그레이드
파일:오버워치 탑 업그레이드.png
타워 업그레이드 목록

타워 업그레이드는 4개의 패널에 상호작용 키를 짧게 누르면 에너지를 지불해 포탑을 제외한 특정 업그레이드를 유지 시킬 수 있다.

패널에 길게 누를시 새로고침을 할 수 있는데 이때는 에너지를 대량 지불해야[3]된다. 이 새로고침 비용은 3명이 공용으로 공유하지 않으며 개별로 매긴다.

업그레이드 종류는 다음과 같다.
파일:탄도 포탑.png
리메이크 전 토르비욘의 1레벨 포탑과 유사한 외형을 하고있는 포탑으로 적을 사격한다. 공격속도는 상당히 빠르고 DPS가 딜러 0.75인분급이라 수비 능력이 아주 좋다. 1등 선호 포탑.* 빙결 포탑
파일:빙결 포탑2.png
아이언클래드 임무에서 등장한 포탑으로 적을 늦추고, 얼리는 냉각수를 발사한다. 수비 능력도 나름 좋고, 얼리기 특성상 활용법이 다양해 꽤 좋다.* 화염 포탑
파일:화염 포탑.png
광역으로 상당한 피해를 입힌다. 근데 사거리가 짧아 영 별로다. 물론 리셋을 할 포인트가 없으면 얘라도 써야한다. 엄연히 화상 디버프를 주는 포탑이라 마우가의 화염 기관포와 시너지가 생긴다.* 충격 포탑
파일:넉백 포탑.png
인접한 적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크게 밀쳐낸다. 쉽게 말해 쓰레기다. 낙사를 노려볼 수 있긴 한데 환경 처치 10회 보너스 정도는 챙길 수 있어도 공격로를 틀어막는 수준까진 아니라 높은 효율을 기대하긴 어렵다.* 폭발물 그룹* 폭발물(빨간색)
파일:빨간 폭발통.png
영웅이 공격하거나 봇이 닿거나 공격하면 폭발한다. 폭발 시 주위에 높은 피해를 준다. 무난하고 가장 강력해서 1티어 폭발물.* 기절 폭발물(노란색)
파일:기절 가스통.png
영웅이 공격하거나 봇이 닿거나 공격하면 폭발한다. 폭발 시 주위의 적을 0.8초 동안 기절 상태로 만든다. 아주 잠시만 멈추는거기에 가장 비선호적인 폭발물.* 빙결 폭발물(파란색)
파일:빙결 가스통.png
영웅이 공격하거나 봇이 닿거나 공격하면 폭발한다. 폭발 시 주위의 적을 4.5초 동안 빙결 상태로 만든다. 빨간색 보단 아니지만 새로고침 하기에 애매하면 그냥 쓸 수 있는 정도의 폭발물이다.* 광역 그룹* 공격력 증폭
파일:오버워치_공격증폭.png
사진
라운드 동안 탑을 기준으로 5m 정도의 짧은 원이 생기고 그 안에 서있으면 공격력 증폭 효과를 얻는다. 오버워치 1시절 오리사 궁극기의 하위호환인 셈.* 기절 구역
파일:오버워치_기절파동.gif
파일:오버워치_기절파동.png
GIF 사진
라운드 동안 탑 주의를 빙빙 도는 바닥이 생기고 그 안에 들어간 적들을 기절시킨다. 다만, 적 영웅은 기절하지 않고 느려지게만 하니 유의.* 감속 영역
파일:오버워치_감속.gif
파일:오버워치_감속.png
GIF 사진
라운드 동안 탑을 주위에 감속 영역이 4개 생기고 그 안에 들어간 적들은 매우 느려진다. 감속 영역은 폭발 봇이 진입하는 공격로 중간 지점에 고정으로 생성된다.* 방어 그룹* 공습
파일:오버워치_공습.gif
파일:오버워치_공습.png
GIF 사진
짧은 시간동안 탑 주변에 폭격을 가한다. 아군은 피해를 받지 않는다.* 밀치기 파동
파일:오버워치_밀치기.gif
파일:오버워치_밀치기.png
GIF 사진
라운드 동안 주기적으로 타워에서 밀쳐내는 파동이 발생해 적들을 밀쳐낸다. 영웅 계열의 적들은 밀쳐지지 않는다.* 탑 수리
파일:오버워치_탑치유.gif
파일:오버워치_탑치유2.gif
GIF(풀피) GIF(회복하는 모습)
파일:오버워치_탑치유.png
사진
일정 시간동안 탑의 체력을 서서히 회복 시킨다.* 치유 파동
파일:오버워치_치유파동.gif
파일:오버워치_치유파동.png
GIF 사진
라운드 동안 탑 근처에서 치유 효과를 얻는 파동이 발생한다.

3. 라운드

파일:건틀릿 라운드.png

3.1. 등장 적

적들은 영웅 연마나 훈련장 맵에서 나오는 적들의 바리에이션이지만 마지막 웨이브에선 특정 영웅들이 적으로 나와 공격을 펼친다.
모든 적들의 어그로 순위는 포탑>영웅>탑이다.

적들의 능력치는 고수 기준. 일부 정예 적은 초고수 난이도 이상에서 나오기에 그부분은 ★ 표시.
파일:자폭봇.png
파일:폭발 봇 초상화.png 체력 : 260
방벽 내구도: 200
공격력: 체력 비례 최소 3 ~ 최대 200
특수 능력 : 자폭[4], 보호 방벽[5]
폭발 봇 웨이브에서만 등장하며 탑과 연결된 붉은 공격로를 통해 탑으로 이동한다. 처음 소환되면 자리야의 방벽을 두른채로 나오며 탑에 도달하면 자폭하면서 탑에 높은 데미지를 준다. 이 폭발은 영웅한테도 큰 피해를 주니 유의. 공격로는 1개에서부터 4개까지 생성되니 최대 3개 이상의 공격로가 생성되는 폭발 봇 열차에선 최소 한 사람이 1개의 공격로를 담당해야한다. 헤드샷 위치가 특이하게 원래는 몸통에 위치해야될 부분에 머리가 달려있다. 급할때 몸빵으로 진입을 막을 수 있기에 알아두자.
파일:공격봇.png
파일:공격 봇 초상화.png 체력 : 275
공격력: 20
특수 능력 : 없음
플레이어와 포탑을 공격한다. 데미지도 별로 안높고 탄속도 느리고 피통도 적어 잡몹 포지션이다. 냉기 포탑, 화염 포탑, 충격 포탑보다 사거리가 길어 포탑을 방치하면 포탑에 프리딜을 넣는다.
파일:수류탄 봇.png
파일:수류탄 봇 초상화.png 체력 : 300
공격력: 거리에 따른 범위 피해 80 ~ 120 / 직격 피해 204
특수 능력 : 유탄 발사
높은 데미지를 주는 유탄을 하늘 높이 발사한다. 정크랫의 유탄 소리가 나며 120 데미지를 준다. 직격으로 맞으면 204의 막대한 피해를 주니 주의.
파일:로켓봇.png
파일:로켓봇 초상화.png 체력 : 325
공격력: 거리에 따라 최소 50 ~ 최대 70
특수 능력 : 비행[6]
높은 데미지를 주는 파라의 로켓 2연발을 발사한다. 일부 라운드에선 비행하는 로켓 봇이 등장해 탑에 프리딜을 넣는다.
파일:힐러봇.png
파일:치유봇 초상화.png 체력 : 245
치유량: 초당 55
특수 능력 : 자가 회복(초당 22.5)
주위의 봇을 치유한다. 메르시의 카두세우스 스태프와 동일한 방식이다. 비전투 중에 자힐도 하니 유의. 포탑들의 효율을 크게 저해하니 처치 우선 순위 대상이다. 머리는 원래는 평평한곳에 눈이 있어야 되는데 뒷통수에 달린듯한 곳에 달려있다.
파일:스나봇.png
파일:스나봇 초상화.png 체력 : 175
공격력: 81
특수 능력 : 저격
곳곳의 기둥 혹은 타워 근처에서 생성된다. 멈춰있거나 느리게 이동하면 저격당하기 쉬우니 발견 즉시 제거하거나 엄폐해야한다. 탑에 엄폐할 경우 탑이 공격 받게되니 저격수는 빠르게 제거하는게 상책이다.
파일:건틀릿 탱커.png
파일:돌격 봇 초상화.png 체력 : 310
방벽 내구도: 400
특수 능력 : 방벽
전방에 방벽을 두르고 있는 대형 적이다. 공격 능력은 없는 수준으로 미약하니 굳이 안잡아도 별 문제는 없지만 포탑들의 효율을 크게 저해하니 냅두는건 좋지 못하다.
파일:훈렷봇.png
파일:훈련봇 초상화.png 체력 : 175
특수 능력 : 비행[7]
사격 훈련 웨이브에서만 등장한다. 타워가 공격 받지도 않고, 공격도 하지 않으니 쉬어가는 타이밍으로도 볼 수 있지만, 궁 게이지도 채워주고 처치 점수가 있어 고득점을 노린다면 최대한 많이 잡아야한다.
파일:정예 자폭.png
파일:정예 자폭 초상화.png 체력 : 325(보호막 100)
공격력: 체력 비례 최소 3 ~ 최대 200 / 용암 피해 초당 160
특수 능력 : 자폭[8], 용암 생성[9]
포탑 혹은 플레이어를 추적해 자폭한다. 데미지가 약 200 정도라 치명적이며 바닥에 용암을 남기기 때문에 뒷치기를 당하면 사실상 즉사한다. 헤드샷을 방해하기 위해서 머리를 흔들면서 접근하니 대처가 늦으면 죽는다. 자폭 후 남기는 용암은 포탑과 탑을 순식간에 박살내기 때문에 발견 즉시 조치해야한다.
파일:정예 공격.png
파일:정예 공격 초상화.png 체력 : 375(보호막 100)
공격력: 최소 14 ~ 최대 20
특수 능력 : 빠른 공격 속도
공격 봇의 강화 버전답게 좀 단단한 잡몹 수준이다. 공격 봇과 특징을 공유하니 포탑에 프리딜을 넣지 못하게만 하면 된다. 정예봇 치곤 공격력은 조금 약하거나 같은데 공격 속도가 상당히 빨라서 DPS가 높은것이다.
파일:정예 수류탄.png
파일:정예 수류탄 초상화.png 체력 : 450(보호막 100)
공격력: 거리에 따른 범위 피해 80 ~ 120 / 직격 피해 204
특수 능력 : 유탄 3연사
한 번에 3개의 유탄을 연달아 발사한다. 유탄의 공격력은 그대로지만 한번에 3개를 쏘기에 체력이 순식간에 거덜난다. 전설 난이도 끔살 원인 중 하나.
파일:정예 로켓.png
파일:정예 로켓 초상화.png 체력 : 325
공격력: 거리에 따라 최소 70 ~ 최대 90
특수 능력 : 비행[10]
체력은 일반과 동일하지만 공격력이 상당히 늘어서 상당히 위험하다. 로켓을 총 3대 발사하는데 로켓 2대를 맞으면 250 영웅도 끔살시키니 주의.
파일:정예 힐러.png
파일:정예 치유 초상화.png 체력 : 350
치유량: 치유 빔 초당 55 / 치유 파동 40
특수 능력 : 자가 회복(초당 22.5), 치유 파동
치유 봇의 피통이 늘었고, 도중도중 바티스트의 치유 파동 마냥 광역힐을 한다. 보통 돌격 봇이나 또 다른 정예 치유 봇과 같이 등장한다. 탱힐 혹은 힐돕힐 상황이 되면 딜로스를 크게 발생시키니 빠르게 잡아내는게 베스트다.
파일:정예 스나.png
파일:정예 스나 초상화.png 체력 : 200
공격력: 첫탄 75 / 후속탄 209
특수 능력 : 후속탄
보호 대상인 탑과 25m 이상의 위치에서 생성된다. 따라서 거리 비례 데미지 감소가 있는 영웅은 정예 저격봇을 잡기 어렵다. 보통 처치하기 어려운 장소에 있거나 정예 봇들과 섞여서 나오니 대처하기 까다롭다. 첫탄은 그냥 일반 저격수 봇 보다 약한 피해를 주지만 이후 후속탄은 체력 200 이하는 무조건 죽을 수 있는 강력한 탄을 발사한다.[11] 주로 기둥에 있기보단 바닥에서 저격을 하지만 간혹 기둥에서 저격을 하기도 한다.
파일:정예 탱커.png
파일:정예 탱커 초상화.png 체력 : 400
방벽 내구도: 500
공격력: 63
특수 능력 : 밀치기 파동
주기적으로 주변의 적을 피해를 주면서 밀쳐내는 특수능력이 추가되어 있다. 방벽도 단단하고 피통도 높아 몸빵 능력이 상당하다.
절벽으로 떨어뜨리면 리스폰 지역에서 일정 체력을 잃은 상태로 재스폰된다. 따라서 낙사 전략이 먹히지 않는다. 중수 ~ 초고수 까지는 영웅들이 궁극기를 쓰지 않지만 전설부터는 특별한 능력은 없는 대신 궁극기를 쓰니 주의해야 된다.
파일:토르비욘 건틀릿.png 체력 : 750
사용 스킬 : 대못 발사기(우클릭), 과부하, 포탑 설치[12]
이동속도가 아주 빠른 750의 체력을 가진 토르비욘이다. 이동속도가 빠르고 포탑을 설치하는 것 외에는 주의할 요소는 없다. 포탑 설치 갯수에 제한이 없어 내버려두면 여러개의 포탑이 생긴다.
파일:솜브라 건틀릿.png 체력 : 200
사용 스킬 : 기관권총, 해킹, 바이러스, 위치변환기
솜브라 3인조다. 체력은 200. 셋이 한 번에 모여서 해킹과 바이러스를 뿌려대니 멍때리면 해킹당한 뒤 점사에 녹을 위험이 있다.
파일:바스티온 건틀릿.png 체력 : 575
사용 스킬 : 설정: 강습[13], 재설정, 철갑(지속 능력)
돌격 봇 다수와 바스티온 3인조다. 돌격 봇의 AI가 구려서 바스티온을 지키지는 않지만 바스티온 3마리는 상시로 강습 모드이고 3마리의 강습 모드는 화력이 살벌하니 주의할 필요가 있다.
파일:윈스턴 건틀릿.png 체력 : 750
사용 스킬 : 테슬라 캐논(좌/우클릭), 점프 팩, 방벽 생성기, 원시의 분노(궁극기)
파일:솔저76 건틀릿.png 체력 : 650
사용 스킬 : 펄스 소총, 나선 로켓, 질주, 생체장, 전술 조준경(궁극기)
파일:바티스트 건틀릿.png 체력 : 500
사용 스킬 : 생체탄 발사기(좌/우클릭), 치유 파동, 증폭 매트릭스(궁극기)
전설 난이도의 경우 윈스턴, 솔저, 바티스트로 이루어진 탱딜힐 3인조가 등장한다. 전설 난이도답게 체력이 뻥튀기 되어있는 상태라 처치가 매우 어렵고, 솔저의 경우 화력도 부담스러워 정예 봇들과 솔저의 집중 포화를 받으면 굉장히 치명적이다. 팀단위 점사는 필수이고, 정예봇의 뒤치기에 죽지 않게 신경을 바짝 곤두세워야한다. 웨이브 동안 3인조가 총 3번 등장하는데, 단순히 클리어가 목적이라면 마지막에 등장하는 3인조는 안잡아도 되지만, 고득점이 목표라면 엄청나게 높은 처치 점수를 주기 때문에 20초 남짓의 짧은 시간 안에 처치해야한다.

3.2. 영웅

봇들이 헤드를 맞으면 피해를 크게 받아서 처리가 쉽기 때문에 헤드 판정이 없는 영웅들이 대체로 잘 사용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3.2.1. 돌격

높은 DPS 혹은 잡몹 처리 능력을 모두 갖춘 탱커가 유리하며, 가능하면 지원 영웅의 힐을 안받고 버틸 정도로 강한 탱커가 적합하다.

랭킹 상위권 돌격 영웅은 대부분 D.Va이고 오리사, 마우가가 뒤를 이어 많다.

3.2.2. 공격

높은 DPS와 쫄처리 능력, 상황을 타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지속 피해 능력을 가진 딜러가 선호된다. 고득점을 노린다면 궁극기로 봇 물량을 쓸어담을 수 있는 딜러나 10라운드의 영웅들을 빠르게 잡아낼 수 있는 딜러도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

랭킹 상위권 공격 영웅은 대부분 토르비욘이고 캐서디와 솔저, 소전 정도가 간간히 보인다.

3.2.3. 지원

높은 DPS, 화력 지원, 아군 보조가 가능한 지원 영웅이 유리하다.

랭킹 상위권 지원 영웅은 젠야타와 바티스트가 반반을 가져가고 있다.

4. 공략

랭킹을 경쟁하는 협동 모드인 만큼 고득점을 목표로 경쟁하게 된다. 점수를 얻는 요인은 기본적으로 적 처치, 문장 수집, 라운드 클리어로 크게 세 요소로 나눌 수 있다. 영웅 조합은 적 처치 능력, 문장 수집 능력, 개인 유틸리티의 세 요소를 고려하는 것을 권장한다.

5. 평가

PVE 모드중 가장 기믹이 많고 새로운 새로운 적 병력들도 단순 재활용이 아닌 정예병력 외형까지 새로 만들었을 정도로 임무 모드보다 더 다채로운걸 할 수 있다. 이전에 선보이려다 만 보급 시스템도 간접적으로 탑을 강화하는 식으로 특수 능력을 체험도 해볼 수 있다.

무엇보다 모든 영웅들을 다 쓸 수 있으며 3인으로 플레이하는 방식이라 플레이수 확보에도 큰 어려움까진 없으며 솔로 모드를 공식 지원하기에 심심풀이로서 해볼 가치는 있다.

다만, 이 모드도 반복 플레이에 있어서 향후에 새로운걸 더 넣지 않는다면 기존 임무 모드보다 더 나을 뿐 실질적으로 다를바 없다는 문제점을 공유 하고 있긴하다. 더 다양한 타워 업그레이드를 추가하거나 혹은 일부 영웅이라도 작은 스킬 트리를 만들어 에너지를 지불해 사용하게끔 한다거나 적 병력들이 훈련용 봇과 영웅 재활용 뿐만 아닌 널 섹터[14], 탈론, 정켄슈타인의 좀닉, 보스몹이나 특수 스펙[15][16]을 가진 적측 영웅 바리에이션도 나와야 된다 보고 있다. 영웅 연마 자체가 공식 스토리적으로 아무런 연계성이 없는데다 마지막 라운드에서 대놓고 다른 영웅들이 뜬끔없이 튀어나오기에 이런것들이 나와도 별 문제가 없을 수 있다.

결국 사용률 저조로 인해 11시즌 부터 건틀릿 모드가 삭제되기로 예정되었다.

6. 기타


[1] 매칭 시간이 30~2분을 넘기면 자동으로 AI와 매칭되게 한다.[2] 이때문에 비활성화된 탑이 공격에 맞더라도 체력이 깎이진 않는다.[3] 처음에는 50, 새로고침을 하면 100, 200, 400인 식으로 2배 늘어난다. 400 부터는 또 새로고침을 하면 800이 되는데 이는 퍼펙트 클리어로 깨도 800까지 모으는게 불가능한 구조라 사실상 400이 마지막 새로고침 비용으로 봐야 된다.[4] 체력 비례의 피해를 준다.[5] 5초 동안 유지되다가 없어진다. 방벽은 따로 피해를 줘 파괴가 가능하다.[6] 일부 로켓 봇만 비행 한다.[7] 일부 훈련용 봇만 비행 한다.[8] 체력 비례의 피해를 준다.[9] 자폭하든 플레이어가 죽이든 용암을 남긴다.[10] 일부 로켓 봇만 비행 한다.[11] 사운드도 더 묵직하게 들리는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12] 포탑을 회수 제한 없이 설치하는게 가능하다.[13] 기본 상태가 강습이라 계속 기관포를 쏜다.[14] 구세대 옴닉의 반란 당시 널 섹터 포함[15] 단순 수치를 조정하기만한 영웅을 제외한 스킬에 변화점이 있는 영웅들[16] 올림포스 쟁탈전: 모든 영웅들, 옴닉의 반란: 리메이크 전 널 섹터 바스티온과 오리사, 정켄슈타인 시리즈: 신부 솜브라, 성역의 시험: 악마 오리사, 주술사 라마트라, 전리품 고블린 정크랫, 도살자 로드호그, 아즈모단 레킹볼, 릴리트 모이라, 특수 능력을 가진 플레이어블 영웅, 콘서트 대격돌: 폭시 제임스, 마왕 처치: 마왕 라인하르트, 꼭꼭 숨어라: 도적 키리코, 사랑은 화살을 타고: 갈래 화살 한조, 체험 모드 및 만우절 패치때의 영웅 스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