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서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대한민국| | <tablebgcolor=#fff><tablewidth=100%> | ||||
||<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중국| | | |||
| ||||
||<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일본| | | | |
||<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스포츠 중계 서비스 | | | |
||<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실시간 방송 서비스 |
||<^|1><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12.5%> ||<^|1><width=12.5%> ||<^|1><width=12.5%> ||<^|1><width=12.5%> ||<^|1><width=12.5%> ||<^|1><width=12.5%> ||<^|1><width=12.5%>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 WATCHA (주)왓챠 |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0558> 출시일 | 2016년 1월 31일 ([age(2016-01-31)]주년)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
업종 | OTT , 웹툰 서비스 | |||
|
[clearfix]
1. 개요
2012년 한국의 영화평 기록 및 추천 서비스 왓챠를 출시한 (주)왓챠에서 2016년에 '왓챠플레이'라는 이름으로 런칭한 OTT 서비스. 이후 2020년 왓챠가 왓챠피디아로 명칭을 바꾸고, 왓챠플레이가 지금의 왓챠로 이름을 변경하며 지금의 왓챠는 OTT서비스(구 왓챠플레이)를 일컫는다. 2022년 10월, 왓챠웹툰이 기존의 왓챠 서비스내 론칭하면서 영상과 웹툰을 함께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2. 지배구조
※ 2021년 말 기준.
주주명 | 지분율 |
15.8% | |
8.8% | |
6.0% | |
3.9% | |
3.7% | |
3.5% | |
3.3% | |
3.3% |
3. 운영 상황
과거에는 1달 무료 체험이었으나, 2020년부터 2주 무료 체험으로 바뀌었다.[1]왓챠피디아(구 왓챠)와는 별도로 운영되지만 계정이 연동되어 왓챠피디아에서 보고싶어요를 누른 작품이거나 높은 평점을 줬던 영화들, 혹은 팔로워들의 리스트의 영화들이 추천되는 점이 차별화되는 점이다. 다른 이용자가 매긴 별점이 노출되지 않는 넷플릭스와는 차별되는 왓챠만의 강점.
하지만 인터페이스가 점점 개악되어서, 처음에는 최 상단에 있던 이어보기나, 보고싶어요 한 영화가 하단으로 밀려나고, 개인화 되지 않은 왓챠피디아의 태그 기반의 일방적인 추천 목록들이 최상단에 뜨는 상황이다. 이미 평가하거나 시청한 영화들로 도배되는 경우도 많고, 들어가보면 왓챠피디아 예상 평점도 3점 미만인 작품들이 수두룩하다.
왓챠피디아에서 공들여 작성한 컬렉션 같은것도 전혀 연계되지 않는다. 많은 유저들이 이를 비판하지만,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이어보기' 목록이 아래로 밀려나고 있다.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한 왓챠피디아의 개인화 추천이라는 장점도, 또는 왓챠피디아의 보고싶어요나 컬렉션 같은 연계요소도 전부 내다버린 셈이다.
2014년에 일본 지사를 설립하고 2016년부터 왓챠피디아(당시 왓챠)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리고 2020년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도 제공하는 중이다.
2022년 7월 27일, 기타 게임 업계와 OTT 회사에 매각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인수 후보로 wavve의 주주인 SK스퀘어 관계사인 SK텔레콤과 쿠팡플레이를 서비스하는 쿠팡이 급부상하고 있다. #
2022년 9월 교보문고가 인수를 추진, 실사 작업을 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러나 교보문고 측은 인수설을 부인했다.#
2022년 10월 13일, 왓챠웹툰을 기존 왓챠 서비스내 론칭하며 새로운 종합 콘텐츠 플랫폼으로서의 도약을 시작했다. 요금제는 변동이 없으며, 왓챠 구독자는 기존 서비스에서 그대로 웹툰까지 추가로 구독이 가능하다. #
2022년 12월 1일 LG U+가 인수를 추진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
2022년 12월 20일 아시아경제 단독기사로 왓챠측 재무적 투자자의 반대로 유플러스로의 매각이 무산되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
4. 이용
4.1. 요금제
왓챠 요금제 | |||
종류 | | 일반 | 프리미엄 |
요금 | | 월 7,900원[3] | 월 12,900원 |
최대화질 | FHD (1080p) | 4K (2160p) | |
동시재생 | 1대 | 4대 | |
지원기기 | 모바일 / 태블릿 / PC | 모바일 / 태블릿 / PC 스마트TV / Android TV / tvOS / PS5 |
초기에는 PC 웹브라우저에서 결제할 경우 매월 4,900원으로 영화/드라마를 무제한으로 시청할 수 있었다. 사전 등록 이벤트에 참여한 유저는 메시지 전송 쿠폰으로 첫 달 100원(카드 결제는 무료)에 이용할 수 있고, 첫 달 이후로는 월마다 자동으로 4,900원이 결제된다. 안드로이드 앱 구글 결제를 이용하면 매월에 6,500원, 3개월에 15,900원이다.[4] iOS에서는 1개월 요금은 5.49미국 달러. 환율과 카드 수수료를 적용하면 안드로이드 플랫폼과 비슷하거나 약간 저렴한 편이었다.
2019년 3월 15일부터 요금제를 인상해 신규 가입 경우에는 7,900원 이상 요금제만 가입할 수 있으며 기존 일반 이용권이 베이직 이용권으로 변경되었다. 기존 고객의 경우에는 기존 요금제가 유지되지만, 기존 요금제를 해지한 경우는 신규 가입자와 동일한 요금제를 사용해야 한다.
2019년 12월 18일, 앱 업데이트와 동시에 프리미엄 이용권을 출시했다. 최대화질 4K까지 시청할 수 있고 최대 100개의 영상 다운로드, 최대 4개 기기 동시재생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경쟁 업체인 넷플릭스의 프리미엄 요금제에 비하면 1600원 저렴하지만, 특징이라고 내세운 4K 지원 영화는 몇 안되며, HDR10, 돌비 비전, 5.1 채널 등의 음향 및 화질 기술은 여전히 없고, 다중 계정 지원은 최고 요금제에서만 열어둔 등 창렬하다는 의견이 많다.
2020년 말, 돌비 비전과 애트모스 기능을 정식 도입하면서 일부 영화가 적용 받았다. 그러나, 출시된지 거의 1년이 되어가는 4K와 마찬가지로(약 50편 정도) 그 수가 매우 적다.
삼성전자와 협력해 HDR10+를 지원하는 영화가 십수편 정도 업로드 될 예정이다.
카드 결제를 함에도 ActiveX나 공인인증서 등의 잡다한 프로그램 설치가 전혀 없으며, Internet Explorer, 크롬, 파이어폭스, 오페라 등 다수 브라우저를 지원하고 심지어 맥도 지원한다.
주의 - 애플 결제로 이용권을 구독한 경우 애플 구독 시스템 특성 상 왓챠 앱이 아닌 애플 구독 설정에서 해지를 해야 한다. 왓챠뿐만 아니라 애플 구독을 지원하는 모든 서비스가 동일한 부분으로 결제를 원치 않는 경우 반드시 애플 구독에서 해지하길 바란다. 다만, 애플 결제로 구독하는 경우 왓챠 앱에서 해지가 불가해, 애플 구독에서 별도로 해지를 해야 한다.(다른 앱 동일)
주의 - 일반 이용권을 사용하던 중 프리미엄 이용권으로 변경하겠냐는 문구에 '네'버튼을 절대 클릭하면 안된다. 그 즉시 추가 메시지 없이 바로 프리미엄 이용권과의 차액만큼 기존 이용권의 기한을 줄이며 결제일을 앞당기는데, 고객센터 FAQ에 해당내용을 설명 해놓았으나 사전 팝업 공지 등이 없었다는 불만이 있었다.
4.2. 사용 가능 환경
- 웹 브라우저 (데스크톱)
- iOS / iPadOS (11.4 이상) / tvOS
- Android (4.4 이상) / Chrome Cast (2, 3, Ultra) / Google TV
- 스마트 TV (삼성/LG 16년형 이상)
- 플레이스테이션 5
4.3. 왓챠 파티
- 2021년 8월 중에, 기존 시행하고 있던 왓챠 파티 베타 (여럿이 모여 영상을 함께 보며 자유롭게 채팅하는 기능)에 유명인을 초청하는 행사를 열었다. 상영 영화와 출연한 인물은 7월 27일 영화 미스트, 작가 주호민, 8월 6일 영화 사랑의 블랙홀, 가수 옥상달빛, 8월 7일 영화 유진, 배우 한예리&기자 이은선, 8월 11일 영화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가수 10CM, 8월 13일 영화 극한직업, 감독 이병헌 외 2명, 8월 18일 영화 살인 소설, 가수 코드 쿤스트& 가수 우원재, 8월 20일 영화 캐스트 어웨이, 성우 쓰복만, 8월 25일 영화 나이브스 아웃, 번역가 황석희 , 8월 27일 영화 나는 전설이다, 배우 유인나, 가수 고영배, 8월 30일 영화 채피, 작가 침착맨이다.
4.4. 개별 구매
- IPTV 기반으로 탄생해 이용권 결제 후 모든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게 아니라 '개별 구매'해야 하는 콘텐츠들이 많은 TVING이나 wavve 같은 한국 대형 OTT 서비스들과 달리, 넷플릭스와 마찬가지로 모든 콘텐츠를 이용권 결제한 고객은 모두 자유롭게 볼 수 있었다. 특히 TVING이나 wavve가 '개별 구매'로 판매하고 있는 영화를 왓챠에서는 이용권만으로도 감상이 가능한 경우가 많아 고평가를 받는 편이었다.
그러나 이용자들의 애정 어린 고평가와는 정반대로 경영난을 겪었고, 2022년 하반기 경영난 타개를 위해 시도 했던 매각이 실패한 영향인지 2022년 12월부터 '왓챠 개봉관'이라는 이름으로 '개별 구매' 해야하는 콘텐츠들만 따로 올라오는 카테고리가 생겼다.[5]
4.5. 장르별 주소
- 이달의 신작
- 공개 예정인 콘텐츠
- 왓챠 최고 인기작
- 한영 동시자막 지원작
- 왓챠 익스클루시브
- 한국 영화
- 한국 예능
- 한국 미개봉작
- 키즈 컨텐츠
- 한국어 자막 지원 한국 콘텐츠
- 곧 종료되는 콘텐츠
- 왓챠 오리지널
- 왓챠웹툰 오리지널부터 정주행 완료작까지
- Dolby Atmos • Vision UHD4K/HDR 지원작
5. 콘텐츠 목록
5.1. 왓챠 오리지널
{{{#!wiki style="color:#F985A8;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1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분류 | 제목 | 출연진 | 방송 분량 | |
영화 | 언프레임드 | 김담호, 강지석, 박효은, 박승준, 임성재, 변중희, 오민애, 박소이, 최희서, 조경숙, 신현수, 정해인, 이동휘, 김다예, 탕준상, 표예진 | 4부 | ||
예능 | 더블 트러블 | 장도연, 김지석, 임슬옹, 장현승, 태일, 인성, 김동한, 공민지, 효린, 초아, 전지우, 먼데이 | 10부 | }}} }}} }}} | |
{{{#!wiki style="color:#F985A8;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2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분류 | 제목 | 출연진 | 방송 분량 | |
드라마 | 좋좋소 | 남현우, 이과장, 강성훈, 조정우, 김태영, 김경민, 진아진, 장명운 | 시즌4 12부 시즌5 12부 | ||
시맨틱 에러 | 박서함, 박재찬 | 8부 | |||
최종병기 앨리스 | 박세완, 송건희, 김성오, 김태훈, 정승길, 차주영 | 8부 | |||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 | 한석규, 김서형 | 12부 | |||
사막의 왕 | 진구, 양동근, 장동윤, 김재화, 이홍내, 정이서, 박예린 | 6부 | |||
영화 | 시맨틱 에러: 더 무비 | 박서함, 박재찬 | - | ||
예능 | 조인 마이 테이블 | 이금희, 박상영 | 6부 | ||
지혜를 빼앗는 도깨비 | 강호동, 양세찬, 이용진, 양배차, 이정수 외 | 12부 | |||
노키득존 | 이용진, 이진호, 이창호, 곽범, 김해준, 가비, 이은지, 조나단, 강재준, 이은형 | 4부 | |||
나의 계절에게: 봄, 박재찬 편 | 재찬, 김노진, 송지오, 김원기 | 3부 | |||
인사이드 리릭스 | 김이나, 윤종신, 선우정아, 타블로, 김종완, 황소윤 | - | |||
도둑잡기 | 슬리피, 김수환, 오킹, 퓨어디, 천재이승국, 김준표, 쵸단, 호주타잔, 노말틱 | 8부 | |||
다큐멘터리 | 한화이글스: 클럽하우스 | 카를로스 수베로, 호세 로사도, 조니 워싱턴, 박찬혁, 정민철 외 | 6부 | }}} }}} }}} | |
{{{#!wiki style="color:#F985A8;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3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분류 | 제목 | 출연진 | 방송 분량 | |
다큐멘터리 | 다음 빈칸을 채우시오 | 우영(ATEEZ), 김채원(LE SSERAFIM), 큐(더보이즈), 효정(오마이걸) | 4부 | }}} }}} }}} | |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공개 예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분류 | 제목 | 출연진 | 방송 분량 | }}} }}} }}} |
5.2. 왓챠 수입/배급 영화
{{{#!wiki style="color:#F985A8;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극장 개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목 | 장르 | 제작 국가 | 상영 시간 |
시네마 천국 Cinema Paradiso | 드라마 | 이탈리아 | 124분 | |
스왈로우 Swallow | 스릴러 | 미국 | 95분 | |
리틀 조 Little Joe | 미스터리 | 오스트리아 영국 독일 프랑스 | 105분 | |
점보 Jumbo | 드라마 | 프랑스 | 91분 | |
바그다드 카페 리마스터링 Bagdad Café | 드라마 | 독일 | 108분 | |
구독좋아요알림설정 Spree | 범죄 | 미국 | 92분 | |
라이더스 오브 저스티스 Retfærdighedens ryttere | 액션 | 덴마크 | 116분 | |
데이팅 앰버 Dating Amber | 코미디 | 영국 | 92분 | |
아네트 Annette | 뮤지컬 | 프랑스 | 140분 | |
티탄 Titane | 스릴러 | 프랑스 | 108분 | |
나의 집은 어디인가 Flee |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프랑스 | 89분 | |
레벤느망 L'événement | 드라마 | 프랑스 | 99분 | |
쿠폰의 여왕 Queenpins | 코미디 | 미국 | 110분 | |
애프터 양 After Yang | 드라마 / SF | 미국 | 95분 | |
듀얼: 나를 죽여라 Dual | 스릴러 / SF | 미국 | 94분 | |
크레이지 컴페티션 Competencia oficial | 코미디 | 스페인 | 114분 | |
유랑의 달 流浪の月 | 드라마 | 일본 | 150분 |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OTT 공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목 | 장르 | 제작 국가 | 상영 시간 |
보이 Boi | 드라마 | 스페인 | 110분 | |
70 빈라덴 70 Binladens | 액션 | 스페인 | 105분 | |
마법에 빠졌어요 Chambre 212 | 코미디 | 프랑스 | 87분 | |
냠냠 Yummy | 호러 | 벨기에 | 88분 | |
사르가소해의 기적 To thávma tis thálassas ton Sargassón | 범죄 | 그리스 | 120분 | |
X&Y | 코미디 | 스웨덴 덴마크 | 112분 | |
약파는 친구들 Lo dejo cuando quiera | 코미디 | 스페인 | 98분 | |
골디 Goldie | 드라마 | 미국 | 88분 | |
상어 Los tiburones | 드라마 |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 79분 | |
아담 Adam | 코미디 | 미국 | 95분 | |
비츠 Beats | 드라마 | 영국 | 101분 | |
다이애나 케네디: 과카몰리 철학 Diana Kennedy: Nothing Fancy | 다큐멘터리 | 미국 | 73분 | |
화이트 라이 Baldy | 드라마 | 캐나다 | 96분 | |
열다섯, 마흔다섯 El doble más quince | 드라마 | 스페인 | 99분 | |
아랍 블루스 Un divan à Tunis | 코미디 | 프랑스 | 87분 | |
리틀 걸 Petite fille | 다큐멘터리 | 프랑스 | 84분 | |
이멜다 마르코스: 사랑의 영부인 The Kingmaker | 다큐멘터리 | 미국 | 101분 | |
진실과 거짓 사이 Port Authority | 드라마 | 프랑스 미국 | 101분 | |
헬무트 뉴튼: 나쁘거나 혹은 아름답거나 Helmut Newton: The Bad and the Beautiful | 다큐멘터리 | 독일 | 89분 | |
토탈리 언더 컨트롤 Totally Under Control | 다큐멘터리 | 미국 | 124분 | |
모굴 모글리 Mogul Mowgli | 드라마 | 영국 | 89분 | |
밈 전쟁: 개구리 페페 구하기 Feels Good Man | 다큐멘터리 | 미국 | 93분 | |
파피차 Papicha | 드라마 | 프랑스 | 108분 | |
싸이코 고어맨 Psycho Goreman | 호러 | 캐나다 | 94분 | |
리버풀 FC: 엔드 오브 스톰 The End of the Storm | 다큐멘터리 | 영국 | 99분 | |
고! 록스! Rocks | 드라마 | 영국 | 93분 | |
나이키 스캔들 Nike's Big Bet: Alberto Salazar and The Fine Line of Sport | 다큐멘터리 | 캐나다 | 83분 | |
시바 베이비 Shiva Baby | 코미디 | 미국 | 77분 | |
크립토주 Cryptozoo | 애니메이션 | 미국 | 90분 | |
슬라롬 Slalom | 드라마 | 프랑스 | 92분 | |
나의 뮤즈, 그림 도둑 The Painter and the Thief | 다큐멘터리 | 노르웨이 | 106분 | |
웰컴 투 체첸 Welcome To Chechnya | 다큐멘터리 | 미국 | 107분 |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소년 Världens Vackraste Pojke | 다큐멘터리 | 스웨덴 | 107분 | |
늑대소년 테디 Teddy | 호러 | 프랑스 | 88분 | |
콘솔 워즈 Console wars | 다큐멘터리 | 미국 | 91분 | |
우리에겐 아무 일도 없었다 Do Not Hesitate | 스릴러 | 네덜란드 | 93분 | |
아르센 뱅거: 무패의 전설 Arsène Wenger: Invincible | 다큐멘터리 | 프랑스 | 95분 | |
마약왕의 아들, 에스코바르 더 무비 Escobar by Escobar | 다큐멘터리 | 프랑스 | 81분 | |
더 브레인: 인공지능의 미래 Cinq nouvelles du cerveau | 다큐멘터리 | 프랑스 | 103분 | |
리틀 나이츠, 리틀 러브 アイネクライネナハトムジーク | 로맨스 | 일본 | 119분 | |
걸스 걸스 걸스 Tytöt tytöt tytöt | 로맨스 | 핀란드 | 100분 | |
완벽한 도쿄의 맛 食と真 狂おしく愛しいシェフたち | 다큐멘터리 | 일본 | 79분 |
6. 타 OTT와의 비교
6.1. 넷플릭스와의 비교
한국의 주요 OTT서비스로서 넷플릭스와 자주 비교된다. 일반적으로 넷플릭스는 대중적인 블록버스터 계열 위주의 컨텐츠가 많은데 비해서, 왓챠는 상대적으로 비주류에 가까운 고전 영화나 인디영화, TV시리즈가 많은 경향이 있다.왓챠가 넷플릭스보다 확실히 우위인 부분은 2000년대 방영한 옛날 드라마들과 예능 프로그램들, 고전 홍콩 영화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실상 한국 프로그램들 중 오래된 것을 한꺼번에 모아보고 싶다거나, 한국 단편영화, 홍콩 영화 및 드라마의 팬이라면 넷플릭스 보다는 왓챠를 선택할 이유가 더 많다.
그러나, 넷플릭스와 비교하면 영상의 화질 및 음향 품질 및 균일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2020년 들어서 왓챠도 요금제도 개편과 동시에 4K, HDR 지원 등 화질 면에서는 개선되고 있으나, 넷플릭스와 비교하면 같은 컨텐츠라도 화질, 음질의 차이가 심하다. 같은 영상을 같은 1080p 해상도로 재생했을 때도 화질의 차이가 눈에 띄게 나타난다. 문제는 같은 해상도의 컨텐츠에서 넷플릭스의 화질이 더 좋은데도 불구하고 용량은 왓챠 쪽이 더 크다는 점이다. [6] 이는 왓챠의 기술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로 단기간에 해결되기는 어렵다.
다만 화질에 관해서는 왓챠에도 한 가지 장점이 있기는 하다. 바로 모든 기기에서 동일하게 높은 해상도를 제공한다는 것.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HBO 맥스, 디즈니+, 훌루 등의 경우 저작권 보호를 위해 Widevine DRM을 이용하기 때문에 Widevine DRM L1을 지원하지 않는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는 고해상도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저가형 중국산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으로 넷플릭스를 재생할 경우 십중팔구 SD 화질로밖에 재생이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7] 허나 왓챠는 넷플릭스와 달리 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저가형 기기로도 고화질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다만 Widevine DRM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용자 입장에서의 장점이지, 절대 생산자 입장에서는 장점이 될 수 없다. 애초에 저작권 보호를 위한 DRM이기 때문.
외국어 영상을 직접 번역한 후 영상과 자막을 따로 인코딩해 출력하는 넷플릭스와 달리, 왓챠는 직접 번역하지 않고 배급사를 통해 자막이 함께 인코딩된 영상을 그대로 가져온다. 따라서 영상마다 자막의 폰트 모양과 크기가 천차만별이며, 질적인 차이도 크다.
음성 선택이 전혀 지원되지 않았다가 근래에는 일부 영상에 음성 선택을 지원한다. 그래도 아직은 많이 부족한 편.
또한 영상의 원본 화면비와 상이한 버전의 작품들이 존재한다. 2.35:1 비율로 촬영된 원본 화면비가 16:9로 표시되는 경우와, 반대로 4:3 화면비가 기본인 고전 티비시리즈의 아래위를 눌러놓은 듯한 찌그러진 화면으로 서비스하는 경우도 있다. 경쟁 업체인 넷플릭스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이는 비단 왓챠만이 아닌 타 한국 OTT에서도 콘텐츠 수급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다.
일본 애니메이션을 많이 서비스하고 있는 것은 확실한 장점이나, 기존의 미리 심의를 받아둔 유통사의 소스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모자이크 편집이 심한 편이다. 다만 이건 넷플릭스를 포함한 한국 수입 애니메이션에 똑같이 벌어지고 있는 문제점이라 왓챠의 잘못이라고 보긴 어렵다.
넷플릭스와 심의경로도 다르다. 초기 왓챠는 케이블에 납품되는 영상을 그대로 서비스 했었기 때문에 넷플릭스에 비해서 작품 등록이 빨라 다작으로 승부수를 볼 수 있었다.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2017년부터는 VOD용이 등록된다. 케이블용 영상 역시 VOD로 바뀌면서 720p 화질이었던 영상들 역시 1080p의 화질로 자연스럽게 바뀌었다. VOD용으로 업데이트가 된것들 중엔 이미 모자이크가 된 영화들이 적지만 있다.[주의]
넷플릭스에 비해 이러한 문제점들도 있기는 하지만 나름 차별화되는 장점들도 있는 탓에 한국 시장에서 어느 정도 선방하고 있다.
2020년 만우절을 맞아 넷플릭스에서 추천 작품을 골라주는 왓플릭스를 탄생시켰다. 해당 서비스는 왓챠피디아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하다. 링크
2022년 말부터 Widevine DRM이 적용되어 DRM security level 3인 안드로이드 기기는 SD화질로 재생된다. 링크
6.2. wavve, TVING과의 비교
- wavve - 콘텐츠 면에서 많은 부분 겹친다. 왓챠 자체가 한국 지상파 방송의 다시보기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일부 wavve와 겹치며, 왓챠 특유의 비디오 DVD 대여점스러운 콘텐츠 편성[9] 역시 wavve 또한 비슷하게 하고 있어서 겹친다. 특히 기존에 왓챠와 계약을 맺고 있던 HBO가 계약 종료 후 wavve와 계약함에 따라 왓챠가 킬러 콘텐츠로 내세우고 있었던 왕좌의 게임, 섹스 앤 더 시티, 소프라노스 등의 많은 HBO 콘텐츠들이 wavve로 옮겨가 국내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wavve와 왓챠는 많은 경우 받아서 제공하는 소스 자체가 아예 동일한 편인데, 왓챠의 경우 과거 넷플릭스와 비교되어 비판을 들은 후 신경 쓰려는 노력을 했기 때문에 일부 콘텐츠들의 경우 오히려 wavve 보다 왓챠의 영상 소스가 더 좋은 편이다.[10]
- TVING - 왓챠, wavve와 겹치는 콘텐츠[11]들을 제외하면 오리지널이나 왓챠가 제공하지 않는 CJ계열 작품이 많아서 크게 이미지가 겹치지는 않는다. 오히려 왓챠가 신경쓰고 있는 오리지널 드라마나 오리지널 영화 부문에서 왓챠가 따라잡기 힘든 대기업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6.3. 웹툰 서비스
확실하게 차이가 있던 넷플릭스 외에 TVING이나 wavve 같은 한국 대기업 OTT가 부상해 겹치는 콘텐츠들을 대거 서비스 하면서 왓챠만의 특징이 점점 사라지는 것에 대한 타개책이었는지, 2022년 하반기부터 갑자기 왓챠 오리지널 웹툰 서비스를 시작했다. 프리미엄 이상 이용권을 결제한 경우 이용이 가능하다.6.4. 인명 데이터의 충실한 관리
- 넷플릭스와의 비교 - 원래 영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다루는 서비스에서 시작한 만큼, 크레딧(감독/배우)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충실한 관리에 있어서 만큼은 대한민국 내에서 넷플릭스와 쌍벽을 이룬다. 오히려 넷플릭스의 경우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표기법이 아닌 자체적인 발음을 따르는 경우도 있어, 한국 내에서는 오히려 왓챠의 크레딧 데이터 관리가 1위에 가깝다.
- wavve, TVING과의 비교 - 왓챠에게 위협이 되는 대기업 OTT의 경우 wavve는 왓챠와 비슷한 방식으로 충실한 관리를 보여주는 편이지만 주연이나 조연 같은 분량에 관계 없이 자체적으로 보유중인 콘텐츠 데이터를 기준으로 순서가 정리되는 경우가 많아 조연 배우들이 앞 순서로 표기 되면서 주연 배우가 크레딧 표시에서 빠지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TVING의 경우에는 OTT 중 가장 빵점짜리 크레딧 관리를 보여주고 있는데 크레딧을 클릭 태그로 활용한 검색 기능 자체를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크레딧에 표기되는 인명이 같은 인물임에도 제각각이거나 중국 콘텐츠처럼 대량으로 어려운 인명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경우 실제 배우 이름이 아니라 극중 배역 이름을 배우 이름으로 잘못 등록해놓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왓챠의 인물 데이터 관리 만큼은 단연 돋보이는 실정이다.
7. 논란 및 사건 사고
7.1. 2019년 트리 오브 라이프 자막 논란
2019년 5월 서비스 중인 영화 트리 오브 라이프에 아마추어 번역가가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린 불법 자막을 무단으로 사용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었고, 왓챠 측에서는 논란이 일자 즉각 서비스 중지 후 자막을 수정하여 재업로드하였다. 링크7.2. 2021년 데이터 사용량 논란
2021년 6월 경 한 왓챠 이용자가 사용하지 않은 데이터 요금으로 수십만원이 청구된 사례가 있었다. #@@ 글에 제시된 내역서를 보면 1분 30초 가량의 시간 동안 무려 480MB가 사용된 것으로 나온다. 일단 왓챠 측은 입장문@을 낸 상태이다.왓챠 어플리케이션이 가입자의 스마트폰을 그리드 컴퓨팅 등의 기술을 사용해 미디어 서버처럼 사용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으나네이트판 원본, 위키트리 기사, 이는 2021년 8월 5일 왓챠가 공식 사과문을 공개함에 따라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 해당 사과문에 따르면 "왓챠에는 P2P 트래픽 분산 로직 등 왓챠의 서버 트래픽 또는 타인의 트래픽을 다른 이용자에게 전가하는 형태는 왓챠 서비스 내 어떠한 곳에도 적용되어 있지 않다"라고 밝혔다. 문제가 된 사안에 대해서는 "모바일 기기에서 스트리밍으로 감상하시는 경우, 영상 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기기에 다운로드 받은 다음 이를 순서대로 정렬하여 화면에 재생하는 과정을 거치는 데 현재까지 확인한 바로는 해당 모바일 기기에서 위와 같은 다운로드 요청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반복된 것이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즉, 버그는 맞으나 그리드 컴퓨팅은 아니라는 것. 왓챠 트위터 링크
7.3. 2021년 침착맨 왓챠 파티 중 서버 다운 사고
2021년 8월 30일 10시 경 진행 된 침착맨의 <채피> 왓챠 파티 베타를 시작한 지 몇 분만에 동시 파티원 수가 3,000명까지 불어나며 왓챠 서비스 전반에 장애가 생긴 사건이다. 시작한 지 10~20분 파티 일부 기능들이 마비가 되며 왓챠측에서 고객공지문을 올리고 점검하는 듯 하였으나 결국 30분경에 서버가 다운됨으로써 홈페이지 접속 시 504 에러가 발생했었다.해당 문제는 당일 11시 30분~40분 사이에 모바일, PC 순으로 복구되었다.
8. 여담
- 인디영화부터 배추도사무도사 같은 옛날 애니메이션까지, 이게 여기 왜 있지 싶을 정도로 의외로 희귀한 작품들이 상당히 많다.
- 초창기에는 기본적인 UI이나 콘텐츠 소스 관리 측면에서 초보적이다 싶을 정도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점차 발전했다. UI의 경우 모바일 환경에서는 한국 다른 대형 OTT 서비스의 앱 보다 쾌적하게 굴러가는 편이기도 하며, 관례대로 유통사가 주는 소스를 그대로 올려놓기만 했던 콘텐츠 소스 관리도 어느 정도 최소한의 관리를 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다.[12]
- 팬더믹 기간 동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격리자에게 1개월 무료쿠폰을 주기도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협의해 서비스를 실시했다. 기사
- 한국 다른 OTT와 마찬가지로 장애인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넷플릭스가 한국어 자막 읽기, 장면 설명 등을 내보내고 있는 것에 반해 왓챠는 전무 하다가 2021년 7월 27일부터 한국 영화 일부에 배리어 프리 자막을 제공하기로 하면서 조금은 나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 삼성 스마트TV는 2016년 생산분부터만 왓챠 앱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2015년까지 생산된 스마트TV로는 왓챠 내장 앱을 이용할 수 없으며(넷플릭스는 내장되어 있다), 왓챠 앱을 설치할 수도 없다. 폰 쉐어링이나 기타 미러링을 이용해야 TV에서 왓챠를 볼 수 있으나, 상술한 압축 및 최적화의 한계 때문에 영상-음성 싱크로가 심각하게 어긋난다는 평이 많다.
- 2021년 1월 27일에 한국 대형 OTT 서비스인 wavve가 서비스 장애로 인한 VOD 재생 불가, 어이없는 사과랑 보상, 막장 고객 대응 등 사태가 발생하면서 왓챠의 서비스와 고객관리 등 재평가를 받고 있다. 일부는 wavve의 VOD 오류로 인해 왓챠로 넘어와서 결제한 사람도 있다.
[1] 그러나 친구초대 링크를 타고 가입하면 무료체험 2주를 더 주기 때문에 사실상 1개월 무료체험이 가능하다.[2] 재가입 불가[3] 개월에 따른 이용권 결제 주기에 따라 3개월 20,900원(월 7,000원 꼴), 6개월 39,900원(월 6,700원 꼴), 12개월 73,900원(월 6,200원 꼴)이다.[4] 구글플레이를 거쳐 결제할 경우에 30%의 수수료를 구글에 지불하므로 그만큼 추가된 것으로 추정된다.[5] 다만 왓챠의 많은 콘텐츠가 한국 대형 OTT 서비스인 TVING과 wavve와 겹친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넷플릭스의 방식이 아니라 한국 대형 OTT들의 방식을 따르는 '개별 구매' 적용이 향후 긍정적으로 작용할지는 알 수 없다. 비슷한 서비스라면 중소기업(왓챠) 보다는 대기업(TVING, wavve)을 선택하는게 일반적인 소비 심리이기 때문이다.[6] 또한 픽셀수와는 별개로 작품마다 실질 해상도 차이가 심하다. 어떤 영화는 대충 봐선 넷플릭스와 크게 차이가 없으나 또 다른 영화는 dvd만도 못한 화질이기도 하다. 원래 그런 것도 아니고 35mm 필름을 스캔해서 복원한 블루레이까지 출시된 영화인데도 그런 경우가 있다.[7] Widevine DRM L1을 지원하는 삼성 스마트폰에서도 DeX를 실행해 다른 화면을 연결하는 경우 SD 화질밖에 지원되지 않는다.[주의] 2020년 즈음부터는 넷플릭스 역시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중국 드라마의 경우 케이블 납품 소스를 그대로 받아 제공하는 숫자가 늘어났기 때문에 심의경로나 소스 관련 비교는 옛날 일이 되었다.[9] 고전 홍콩영화 등을 제공하는 부분[10] 정상적인 화면 비율, 블러 처리 없는 애니메이션 등[11] 일본 드라마, 중국 드라마[12] 예를 들어 이누야샤의 경우 TVING과 wavve는 4:3 비율을 억지로 16:9로 납짝하게 눌러놓은 소스를 그대로 서비스 하고 있지만, 왓챠와 넷플릭스는 정상적인 4:3 비율로 서비스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