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13:46:04

국방출판지원단

인쇄창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직할부대 백색.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사학교
파일:합동군사대학교 엠블럼.svg
합동군사대학교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합동부대
파일:사이버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사이버작전사령부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지휘통신사령부
파일:국군수송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수송사령부
파일:화방사_부대마크.png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군심리전단
파일:드론작전사 부대마크.png
드론작전사령부
파일:대한민국 전략사령부_2.png
전략사령부
군 사법기관
파일:국방부 조사본부 로고_미니.svg
국방부 조사본부
파일:국방부 검찰단 휘장.png
국방부 검찰단
파일:군사법원 심볼마크.png
군사법원
정보기관
파일:국군방첩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방첩사령부
파일:attachment/국방정보본부/DIA.png
국방정보본부
근무지원단
파일:국방부 근무지원단.svg
국방부 근무지원단
파일:계룡대 근무지원단 로고.png
계룡대 근무지원단
기타 부대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의무사령부
파일:국방시설본부 마크.svg
국방시설본부
파일:fmc_logo.png
국군재정관리단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국군체육부대
파일:국방정신전력원 부대마크.svg
국방정신전력원
파일: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png
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
파일:군사편찬연구소 마크.svg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파일: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마크.svg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군 책임운영기관
파일:국방출판지원단 부대마크.svg
국방출판지원단
파일:DIDC_logo.png
국방통합데이터센터
파일:국군복지단 부대마크.svg
국군복지단
}}}<colbgcolor=#c51426><colcolor=#FFF> ※ 참고 : 국방부 조직 및 소속기관, 직할부대 예하부대
합동참모본부 [[대한민국 육군본부|{{{#!wiki style="background-color: #1e3775; padding: 0px 3px; border-radius: 8px; display: inline-block"
국방부 소속기관 국방홍보원, 국방전산정보원
국방부 산하 공공기관 한국국방연구원, 전쟁기념사업회, 국방전직교육원
국직부대 예하 국방부 조사본부 예하: 국군교도소 | 국군방첩사령부 예하 : 국군방첩학교, 국방보안연구소 | 국방정보본부 예하: 정보사령부, 777사령부 | 계룡대 근무지원단 예하: 자운대 근무지원단 | 국군의무사령부 예하 : 국군의학연구소, 국군의무학교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책임운영기관.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소속책임운영기관
<colbgcolor=#003764> 파일:정부상징.svg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중앙과학관 · 국립과천과학관
파일:정부상징.svg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국방전산정보원 · 국방홍보원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 항공교통본부
파일:정부상징.svg 농림축산식품부 국립종자원 · 한국농수산대학교
파일:정부상징.svg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국립중앙극장 · 국립현대미술관 · 한국정책방송원
파일:정부상징.svg 보건복지부 국립공주병원 · 국립나주병원 · 국립부곡병원 · 국립춘천병원 · 국립재활원 · 국립정신건강센터
파일:정부상징.svg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파일:정부상징.svg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 국립해양측위정보원 · 해양수산인재개발원
파일:정부상징.svg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파일:정부상징.svg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 화학물질안전원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휘장.svg 경찰청 국립경찰병원
파일:정부상징.svg 관세청 관세인재개발원
파일:정부상징.svg 국세청 국세상담센터
파일:정부상징.svg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 항공기상청
파일:정부상징.svg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국립축산과학원
파일:정부상징.svg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국립해양유산연구소 · 궁능유적본부
파일:정부상징.svg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 국립수목원 ·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파일:소방청 마크.svg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
파일:정부상징.svg 질병관리청 국립마산병원 · 국립목포병원
파일:정부상징.svg 통계청 통계개발원
파일:해양경찰청 OI.svg 해양경찰청 해양경찰정비창
중앙책임운영기관
파일:정부상징.svg 특허청
군 책임운영기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국방출판지원단 · 국방통합데이터센터 · 국군복지단 }}}}}}
국방출판지원단
國防出版支援團
Defense Publishing Support Group
파일:국방출판지원단.png
<colbgcolor=#c51426> 군 최고의 신뢰받는 국방지식정보 콘텐츠 지원 기관
창설일 2009년 7월 1일
소속 대한민국 국군
상급기관 대한민국 국방부
규모
역할 대한민국 국군 인쇄업무 지원
단장 2급 군무원(군무이사관) 신기진
위치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계룡대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조직
[clearfix]

1. 개요

국방출판지원단령
제1조(설치) ① 군 인쇄 및 출판 지원에 관한 업무를 통합하여 관장하기 위하여 국방부장관 소속으로 국방출판지원단을 둔다.
② 국방출판지원단은 「군 책임운영기관의 지정ㆍ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군 책임운영기관으로 운영한다.
제2조(업무) 국방출판지원단은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국방부 직할부대·직할기관 및 육군·해군(해병대를 포함한다)·공군이 필요로 하는 인쇄물, 전자출판물 및 디지털콘텐츠의 제작 및 보급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대한민국 국방부 산하 직할부대로 군에서 사용되는 공보물, 교본, 인쇄물, 그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출판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다양한 융복합 디지털 콘텐츠를 생산하는 부서이다. 국방출판지원단의 설립근거는 국군조직법 아래 국방출판지원단령에 근거한다. 또한 대한민국 국군부대마크를 비롯한 상징체계를 디자인하고 표준화하는 일도 하고 있다.

2. 상세

파일:국군인쇄창 MI.svg
국군인쇄창 시절 MI
대한민국 국군해방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열악한 와중에도 수많은 공보물과 교본 등을 인쇄하여 배포하였다. 그러나 군외 민간인쇄업자에게 의뢰한 특성상 군사인쇄물의 정보유출은 막을 수 없었고, 군에서도 자체적인 인쇄조직의 필요성을 실감하여 1952년 부산 영도에서 창설되었고 1956년 4월 19일 대통령령에 의해서 육군인쇄창령이 제정되면서 육군인쇄창이 존립근거가 마련된다. 이후 대한민국 공군대한민국 해군에도 각각 인쇄창이 창설된다. 인쇄창 중 장비와 규모가 가장 방대한 것은 대한민국 육군이었으며 국직부대 인쇄물도 위탁처리한 것으로 보인다.

육군인쇄창은 대한민국 해군대한민국 공군군수사령부와 통합된 것과 달리 각 야전군사령부가 위치한 지역에도 예하조직을 편성하였다. 육군인쇄창 본부는 1996년까지 부산에 위치해있었다가 계룡시로 이전하였다. 1970년대까지 국내에서 대량의 인쇄와 제본을 할 수 있는 곳이다보니 일부 민간부문의 출판물도 위탁받아 처리했다고 한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국내 인쇄역량이 크게 성장하면서 군사정보 인쇄에 집중하였다. 대부분 군내에서만 유통 소비되는 인쇄물은 대부분 인쇄창에서 제작한 것이다.

인쇄창의 조직구성은 대부분 간부 + 대한민국 군무원이며 극소수의 병사로 구성되어 있다. 애초에 전문조직이다 보니 병사는 거의 경비요원이나 업무보조요원 정도로만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와 가장 많이 공격받는 조직이 되었다. 가뜩이나 전방이 병력부족으로 허덕이는데 충분히 민간위탁도 가능한 인쇄부문에서 간부와 병사를 별도로 배치해야 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이후 국방개혁 추진과 더불어 점차 간부와 병사의 배치를 줄이고 군무원 비율을 계속 늘리며 최후인 2009년에는 아예 3군의 인쇄창을 합병하고 국직부대로 변경하여 국군인쇄창을 창설하였다. 이 과정에서 국군인쇄창 병력은 대대급 규모에서 2개 중대급 규모로 줄어들었다.[1] 얼마나 군무원 비율을 늘렸던지 2009년 창설 당시에는 창장부터 직원들까지 260명 전원이 군무원으로 채워졌다.[2] 초대 인쇄창장의 경우 육군 인쇄창장이었던 김도필 대령[3]이 전역 후 군무원 신분에서 다시 국군인쇄창장으로 임명되었다. 조선일보는 여기에 대해서 민간공모직임에도 불구하고 군 출신이 임명되었다며 비판하기도 하였다. 1대 김도필 창장 이후 2대 창장은 학군 18기 이재수 예비역 대령이 맡았으며 2016년 박진학 예비역 대령(육사40기)이 3대 창장을 맡았다. 물론 공군은 아직까지 인쇄창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곳이 있는데, 몇몇 인쇄물은 공군교육사령부 교수학습혁신센터에서 인쇄된다고 한다.

기관장은 출판지원단장으로 부르며 대한민국 국방부장관이 임기제 일반군무원으로 채용하도록 되어있다. 현재는 5대 신기진 출판지원단장이 재임중이다.

2021년 7월 20일부로 부대 명칭을 국방출판지원단으로 변경하고, 국방부 산하 부대·기관의 출판지원기관으로서 새 출발을 시작했다. #

3. 조직



[1] 이 부대는 2004-2006 기준 대략적인 인원구성은 현역 간부 약 15명, 군무원 약 300명, 사병인원 약130명(7개 내무반 = 본부소대(1내무 = 중대행정+취사+PX+CP+상근 등등) + 수송대(2내무) + 경비소대(3-4내무) + 보급소(5내무) + 행정부서(6내무 = 인쇄공장 업무) 7내무=인쇄공장+대대급 행정부서(행정, 보급, 관리, 경리, 정훈 등등...) 부대편재는 대대급이지만 사병인원은 중대급이었다.[2] 이 부대는 부산 광안리에서 창설되어서 꾸준히 군무원수가 300명을 유지하고 있었다. 은퇴자 외에 새로운 인원을 거의 뽑지 않았고, 군무원 직종도 인쇄직으로 특수직종이라 제한된 인원과 폐쇄적인 부대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인쇄창장은 현역이지만 창장 및 간부는 총 15명 정도이고, 그에 반해서 군무원은 약 300명정도 되었다 그리고 부창장은 부이사관급(3급 군무원)이었다 바꾸어말하면 사병+간부는 자주 인원이 바뀌지만 군무원 막내가 18~20년차 군무원이었고 텃새가 엄청 심했다(일반현역들이 힘을 못썼다...)[3] 육군인쇄창은 예전 부관감실 소속 육직부대였고, 부관감이 원스타였기 때문에 대령이면 부관병과에서 꽤 높은 위치였다(2006년 쯤 부관감실이 인사사령부로 통합되면서 지휘관 계급이 중장으로 바뀌었다.). 진급심사 당시에 계룡시에 찌라시가 붙어서 진급에 실패 했으나 몇년뒤에 민간전문가로 다시 인쇄창에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