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조약(條約/Treaty), 협정(協定/Agreement), 협약(協約/Convention), 의정서(議定書/Protocol), 헌장(憲章/Charter, Constitution), 규정(規程/Statute), 규약(規約/Covenant) 등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 협약의 정의에 따라 '명칭에 관계없이, 서면 형식으로 국가 간에 체결되며, 또한 국제법에 의하여 규율되는 국제적 합의'의 목록을 서술하는 문서이다.약칭이 같은 조약이라도 체결 연도에 따라 완전히 다른 조약일 수 있다. 특히 비엔나 협약은 매우 많고, 파리조약, 톈진조약(天津條約)등도 불리는 명칭만 같은 뿐 체결 연도에 따라 완전히 다른 조약이 병존한다. 하나의 조약을 두고 여러 명칭이 국내에서 혼용될 경우 괄호를 통해 병기하며, 동명의 조약이 있는 경우 관련 사건이나 연도를 함께 표기한다.
2. 실제
2.1. 예정
- 범대서양무역투자동반자협정(아직 완성 안 됨)
- RCEP(아직 완성 안 됨)
2.2. 종류
3. 가상
3.1. 가상 조약
3.2. 가상 협정
4. 관련 문서
List of treaties5. 관련 항목
[1] 니케아 제국과 제노바 공화국 간 체결된 조약.[2] 일본어 한자표기 '神奈川 条約'. 한국식 한자음으로 그대로 읽어 '신내천 조약'으로 칭하는 경우도 있으나 드물어 병기하지 않음.[3] 2019년 6월 현재 이 톈진 조약에 관한 별도의 문서가 없다. 나무위키내의 톈진조약 문서는 하술된 청-일본간의 1885년 톈진 조약을 다루고 있으므로, 이 1858년의 톈진 조약과는 다르다. 이 1858년 톈진조약은 2차 아편전쟁의 결과로, 영국, 프랑스, 미국, 러시아가 청나라(중국)으로부터 추가 개항과 외교관의 베이징 주재(駐在), 외국인의 중국 여행과 무역의 자유, 선교사 보호와 기독교 선교 자유를 보장받았다.[4] 2023년 10월 현재 나무위키에는 해당 문서가 없다. 당시 일본과 청나라(중국)사이에 처음으로 대등한 입장으로서 맺은 조약.[5] http://ko.wikipedia.org/wiki/%EC%98%81%EC%9D%BC%EB%8F%99%EB%A7%B9[6] http://ko.wikipedia.org/wiki/%ED%8F%AC%EC%B8%A0%EB%A8%B8%EC%8A%A4_%EC%A1%B0%EC%95%BD[7] http://ko.wikipedia.org/wiki/%ED%8F%AC%EC%B8%A0%EB%8B%B4_%ED%9A%8C%EB%8B%B4[8] http://ko.wikipedia.org/wiki/%EB%A1%9C%EB%A7%88_%EC%A1%B0%EC%95%BD[9] 환경변경기술의 군사적 또는 기타 적대적 사용의 금지에 관한 협약, 군사적 목적으로 지진 등의 자연재해를 발생시키는 행위를 금지함[10] 1997년 7월 1일 영국, 홍콩을 중국에 정식 반환.[11] 소련을 해체하고 독립국가연합(CIS)을 창설하는 것에 합의한 조약[12] 훗날 EU(유럽 연합)의 기초가 되는 조약. http://ko.wikipedia.org/wiki/마스트리흐트_조약[13] 미국·캐나다·멕시코 등 3개국 사이에서 94년 1월부터 발효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필두로 한다. 특히 북미자유무역협정은 줄여서 나프타라고 부른다. 당연히 석유화학(특히 나프타(Naphtha))업계에 한정되지 않는다.[14] http://ko.wikipedia.org/wiki/암스테르담_조약[15] https://en.wikipedia.org/wiki/Strategic_Offensive_Reductions_Treaty[16] http://ko.wikipedia.org/wiki/리스본_조약_(2007년)[17] 실제 남극조약과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