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외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마카오 | 티베트 | 내몽골 | ||||
몽골 | 베트남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싱가포르 | 미얀마 | 필리핀 | 캄보디아 | 태국 | ||||
인도 | 파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부탄 | 스리랑카 | ||||
몰디브 | 네팔 | 방글라데시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
타지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위구르 | 제주특별자치도 | ||||
오키나와현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독일 |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아일랜드 |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바티칸 | 세르비아 | ||||
알바니아 | 튀르키예 | 그리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시리아 | 이란 | 이라크 | 팔레스타인 | 예멘 | ||||
바레인 | 아랍에미리트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이집트 |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알제리 | 모로코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베네수엘라 | ||||
쿠바 | 칠레 | 파라과이 | 브라질 | 가이아나 | ||||
페루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소말리아 | 케냐 | 탄자니아 |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모잠비크 | 코모로 | 모리타니 | ||||
카보베르데 | 세네갈 | 감비아 | 말리 | 니제르 |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차드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카메룬 | 적도 기니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상투메 프린시페 | ||||
가봉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에스와티니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잠비아 | 레소토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파푸아뉴기니 | 솔로몬 제도 | 팔라우 | ||||
키리바시 | 나우루 | 투발루 | 사모아 | 피지 |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한중일 | 한중러 | 미중러 | 북중러 | 미중일 |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중국·인도·파키스탄 | 중화권·아제르바이잔 | ||||
아프리카 | 아세안 | 오세아니아 | ||||||
과거의 대외관계 | ||||||||
로마 제국 | 소련 | 가야-후한 관계 | 백제-수나라 관계 | 여요관계 | ||||
당나라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 |
1. 개요2. 상세3. 국민감정 변화4. 지역별 관계
4.1. 동유럽
5. 관련 문서4.1.1. 러시아와의 관계4.1.2. 벨라루스와의 관계4.1.3. 우크라이나와의 관계4.1.4. 몰도바와의 관계4.1.5. 조지아와의 관계4.1.6. 아제르바이잔과의 관계4.1.7. 아르메니아와의 관계
4.2. 서유럽4.3. 중유럽4.4. 남유럽4.4.1. 이탈리아와의 관계4.4.2. 스페인과의 관계4.4.3. 포르투갈과의 관계4.4.4. 바티칸과의 관계4.4.5. 세르비아와의 관계4.4.6. 알바니아와의 관계4.4.7. 튀르키예와의 관계4.4.8. 그리스와의 관계
4.5. 북유럽1. 개요
중국과 유럽 국가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2. 상세
중국은 유럽연합과 관계도 또한 공들이는데 물론 경제에서는 일대일로로 협력하긴 하지만 저마다 회원국마다 사정은 다르다. 서유럽에서도 호불호가 갈리고 있으며 북유럽과 동유럽은 우호적인 입장보다 적대적인 입장이 과거사부터 궤를 같이 한다. 나토에서는 중국을 주적으로 분류했다.유럽연합(EU) 담당 장관이 EU의 27개 회원국에 대해 중국의 '분할통치'(divide and rule) 전술에 맞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중감정이 커지자 중국측은 반중 전선 구축을 막기 위해 유럽 5개국 순방에 나서고 있다.#
유럽 연합측에서 중국에 인권 문제를 제기했지만, 중국측은 일축했다.#
10월 14일에 라파엘 글뤼크스만 유럽의회 의원과 주 프랑스 중국 대사관에서 트윗으로 위구르족들과 관련해 설전을 벌였다.#
중부유럽과 동유럽을 중심으로 화웨이를 배제하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중국과 유럽연합이 상호투자협정을 원칙적으로 타결했다.#
유럽인 10명중 6명이 조 바이든 새 행정부 출범에도 중국이 향후 10년 내에 미국보다 강력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EU의회에서 중국 정부의 인권 탄압 문제를 거론하며 양측의 투자협정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중국 정부가 위구르족들을 탄압하는 것과 관련해 EU측은 중국을 제재한다고 밝혔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를 방문하고 수감중인 일함 토티를 면담하려고 했던 EU 외교대표단의 계획이 중국 정부의 반대에 의해 사실상 교착상태에 빠진 상태라고 한 외교 소식통이 확인했다.#
EU측이 신장 위구르 자치구 공안 분야 전·현직 고위 관료 4명을 제재하자 미국, 영국, 캐나다가 같은 인물들을 동시에 제재 리스트에 올렸다.#
유럽 의회가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을 결의했다.#
유럽 국가들이 일대일로에 대해 거리를 두면서 이탈리아도 탈퇴 조짐을 보였다.#
8월 6일, 호세프 보렐 EU 외교안보 고위대표가 중국을 빨리 방문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3. 국민감정 변화
코로나19로 인해 유럽내에선 반중감정이 높아지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4월 16일에 중국은 완전히 투명하지 않다고 밝혔다.#중국도 의료외교를 나서고 있으나 중국의 이중적인 태도로 사실상 중국의 신뢰는 끝장난다.# 그리고 유럽쪽에서도 중국을 멀리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4. 지역별 관계
4.1. 동유럽
4.1.1. 러시아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러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자세한 내용은 미중러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인도-중국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몽골-중국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
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 관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소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
4.1.2. 벨라루스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화권-벨라루스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벨라루스와도 소련 해체 이후 1992년에 외교를 맺었고 이후 수많은 왕래, 교류가 많다. 현재 정치적으로도 친중 성향도 있다.[1]
4.1.3. 우크라이나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화권-우크라이나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1.4. 몰도바와의 관계
몰도바는 1991년 12월 27일에 첫 외교가 있었지만 본격적으로는 1992년에 시작되었다. 베이징에 몰도바 대사관이 있다.4.1.5. 조지아와의 관계
조지아의 경우 1992년 6월에 외교를 맺었다. 조지아는 1997년 홍콩과도 무역, 왕래 등 서로 협력하기도 한다.4.1.6. 아제르바이잔과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화권-아제르바이잔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자세한 내용은 중국-아제르바이잔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
4.1.7. 아르메니아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화권-아르메니아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2. 서유럽
4.2.1. 영국과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영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2.2. 아일랜드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중화권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2.3. 프랑스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중국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2.4. 네덜란드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네덜란드-중국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2.5. 벨기에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벨기에-중국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3. 중유럽
4.3.1. 독일과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독일-중국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3.2. 스위스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중국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3.3. 폴란드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국-폴란드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3.4. 체코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화권-체코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3.5. 슬로바키아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화권-슬로바키아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3.6. 헝가리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국-헝가리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4. 남유럽
4.4.1. 이탈리아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이탈리아-중국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4.2. 스페인과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스페인-중국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4.3. 포르투갈과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포르투갈-중국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4.4. 바티칸과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바티칸-중국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4.5. 세르비아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국-세르비아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2020년에 세르비아에 무인기를 수출하였는데 이는 첫 중국군 무기 유럽 수출이다.#
4.4.6. 알바니아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화권-알바니아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4.7. 튀르키예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튀르키예-중화권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4.8. 그리스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국-그리스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5. 북유럽
4.5.1. 노르웨이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노르웨이-중국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5.2. 스웨덴과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스웨덴-중국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5.3. 리투아니아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화권-리투아니아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5.4. 에스토니아와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중화권-에스토니아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5. 관련 문서
[1] 단, 반체제 인사들은 반중 성향을 갖고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