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름에 같은 한자를 사용하는 일본의 대학에 대한 내용은 주오대학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캠퍼스 | |||
서울캠퍼스 | 다빈치캠퍼스 | |||
학교 정보 | ||||
역사 | 상징 | 학부 | 대학원 | |
재단 | 교통 | 축제 | 홍보 대사 | |
학사 제도 | 동아리 | 총학생회 | 학내 언론 | |
기숙사 | 출신 인물 | 사건 사고 | ||
운동부 | ||||
농구부 | 축구부 | 야구부 | 블루 드래곤스 | |
부속 병원 | ||||
중앙대학교의료원 | 중앙대학교병원 | |||
중앙대학교광명병원 | ||||
부속 학교 | ||||
부속유치원 | 부속중학교 |
중앙대학교 관련 틀 | |||||||||||||||||||||||||||||||||||||||||||||||||||||||||||||||||||||||||||||||||||||||||||||||||||||||||||||||||||||||||||||||||||||||||||||||||||||||||||||||||||||||||||||||||||||||||||||||||||||||||||||||||||||||||||||||||||||||||||||||||||||||||||||||||||||||||||||||||||||||||||||||||||||||||||||||||||||||||||||||||||||||||||||||||||||||||||||||||||||||||||||||||||||||||||||||||||||||||||||||||||||||||||||||||||||||||||||||||||||||||||||||||||||||||||||||||||||||||||||||||||||||||||||||||||||||||||||||||||||||||||||||||||||||||||||||||||||||||||||||||||||||||||||||||||||||||||||||||||||||||||||||||||||||||||||||||||||||||||||||||||||||||||||||||||||||||||||||||||||||||||||||||||||||||||||||||||||||||||||||||||||||||||||||||||||||||||||||||||||||||||||||||||||||||||||||||||||||||||||||||||||||||||||||||||||||||||||||||||||||||||||||||||||||||||||||||||||||||||||||||||||||||||||||||||||||||||||||||||||||||||||||||||||||||||||||||||||||||||||||||||||||||||||||||||||||||||||||||||||||
|
<colcolor=#fff> 중앙대학교 中央大學校 Chung-Ang University | |||
<colbgcolor=#004C97> 교훈 | 의에 죽고 참에 살자 Live in truth. Live for justice | ||
상 징 | <colbgcolor=#004C97><colcolor=#fff> 슬로건 | 한국의 중앙에서 세계의 중앙으로 | |
교목 | 느릅나무 | ||
교수 | 청룡 | ||
교색 | CAU BLUE (#004C97) CAU RED (#EF3340) CAU GOLD (#866D4B) CAU SILVER (#8A8D8F) CAU LIGHT GRAY (#D0D3D4)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분류 | 사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 ||
지역 | 서울특별시 | 경기도 | ||
개교 | 1916년 10월 17일 ([age(1916-10-17)]주년) 중앙유치원 | ||
설립자 | 임영신[1] | ||
총장 | 제16대 박상규 | ||
법인 |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 ||
대학병원 | 중앙대학교병원 중앙대학교광명병원 | ||
주 소 | 서울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흑석동 221) | |
다빈치 |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서동대로 4726 (내리 72-1) | ||
평동 |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교장길 8 (평동 85-15) | ||
공연예 술원[2]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이화장길 86-8 (동숭동 192-10) | ||
재 학 생 | 학부생 | 23,938명(2021년)[3] | |
대학원생 | 5,793명(2021년)[4] | ||
교직원 | 2,523명(2021년)[5] | ||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년) |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
소셜 미디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서울캠퍼스 | |||
다빈치캠퍼스 | |||
평동캠퍼스 | |||
공연예술원 | }}}}}}}}}}}} |
[clearfix]
1. 개요
중앙대학교는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산하의 4년제 사립 종합대학이다.1916년 중앙교회 부설 중앙유치원으로 설립되었고, 1922년 중앙유치원 내에 중앙유치사범과가 설치되며 전문교육기관으로서의 역사를 시작하였다. 이후 1928년 중앙보육학교 출범후 1935년 승당 임영신 박사에 의해 중앙보육학교가 인수되었고, 1937년 흑석동에 기틀을 잡으며 현재의 서울캠퍼스가 조성되었다. 이어 1946년 중앙여자전문학교, 1947년 중앙여자대학, 1948년 중앙대학을 거쳐 1953년 종합대학 중앙대학교가 출범하였다. 또한, 1972년 서라벌예술대학, 2011년 적십자간호대학과의 통합을 통해 대학의 규모를 키워 왔다. 1980년 안성시에 다빈치캠퍼스(舊 안성캠퍼스)가 설립되었고, 2011년에 본·분교 통합을 통해 현재의 이원화 캠퍼스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2008년부터 학교법인의 운영에 두산그룹이 참여하고 있다.
국문 약칭은 중대(中大), 영문 약칭은 CAU, 구호는 의혈중앙(義血中央)이다.
2. 역사
중앙대학교 공식 홍보영상 역사편 (2019) |
2.1. 임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973, #004c97, #004c97, #003973);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3대·5대 임영신 | 2대 황소향 | 4대 임민규 | 6대 방우영 | 7대 임철순 |
8대 김희수 | 9대 박용성 | 10대 김철수 | 11대 박용현 | 12대 이현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973, #004c97, #004c97, #003973);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3대 임영신 | 2대 임성희 | 4대 임철순 | 5대 이석희 | 6대 문병집 |
7대 이재철 | 8대 하경근 | 9대 김민하 | 10대 이종훈 | 11대 박명수 | |
12대 박범훈 | 13대 안국신 | 14대 이용구 | 15대 김창수 | 16대 박상규 |
3. 상징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상징 문서 참고하십시오.4. 교가
중앙대학교 교가 |
남산이 영을 넘어 바라보이고
뒤로는 관악산이 높이 솟았네
한강수 구비치는 노들의 강변
명수대 송림속에 우뚝선 중앙
의에 죽고 참에 삶이 모교의 정신
세계에 빛내세 우리 중앙대학교
삼천리 이강산에 꽃을 피우려
굳세고 지혜롭게 모여들었네
진선미 거룩한맘 길러온 정성
힘차게 나라위해 몸바친 중앙
의에죽고 참에 삶이 모교의 정신
세계에 빛내세 우리 중앙대학교
김태오 작사, 나운영 작곡
뒤로는 관악산이 높이 솟았네
한강수 구비치는 노들의 강변
명수대 송림속에 우뚝선 중앙
의에 죽고 참에 삶이 모교의 정신
세계에 빛내세 우리 중앙대학교
삼천리 이강산에 꽃을 피우려
굳세고 지혜롭게 모여들었네
진선미 거룩한맘 길러온 정성
힘차게 나라위해 몸바친 중앙
의에죽고 참에 삶이 모교의 정신
세계에 빛내세 우리 중앙대학교
김태오 작사, 나운영 작곡
5. 캠퍼스
5.1. 서울캠퍼스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서울캠퍼스 문서 참고하십시오.5.2. 다빈치캠퍼스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다빈치캠퍼스 문서 참고하십시오.6. 재단
자세한 내용은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문서 참고하십시오.7. 학부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학부 문서 참고하십시오.8. 대학원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대학원 문서 참고하십시오.9. 세계대학평가
중앙대학교 세계 대학 순위 | |||||||
<colbgcolor=#004C97><colcolor=#fff> 연도 | QS | THE | ARWU | CWUR | USN & WR | CWTS P(10%) | Nature Index |
2019 | 397위 | - | 501-600위 | 646위 | 864위 | -위 | 464위 |
2020 | 412위 | 501-600위 | 601-700위 | 655위 | 893위 | -위 | 474위 |
2021 | 403위 | 601-800위 | 701-800위 | 654위 | 949위 | -위 | 467위 |
2022 | 414위 | 601-800위 | 701-800위 | 637위 | 977위 | -위 | 497위 |
2023 | 392위 | 601-800위 | 701-800위 | 625위 | 1036위 | - | 464위 |
2024 | 494위 | 401-500위 | - | 632위 | 1049위 | - | - |
2025 | 489위 | - | - | - | - | - | - |
10. 학사제도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학사제도 문서 참고하십시오.11. 동아리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동아리 문서 참고하십시오.12. 총학생회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총학생회 문서 참고하십시오.13. 학내 언론
중앙대학교의 학내 언론으로는 미디어센터 소속 중대신문(학보사), 중앙헤럴드, UBS(대학방송국), 교지(총 20개) 등이 있다.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학내 언론 문서 참고하십시오.
14. 출신 인물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출신 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15. 홍보대사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홍보대사 문서 참고하십시오.16. 웹사이트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웹사이트 문서 참고하십시오.17. 축제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축제 문서 참고하십시오.18. 교통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교통 문서 참고하십시오.19. 사건 사고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사건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20. 중앙대학교의료원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의료원 문서 참고하십시오.20.1. 중앙대학교병원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병원 문서 참고하십시오.20.2. 중앙대학교광명병원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광명병원 문서 참고하십시오.21. 부속기관
- 부속유치원
중문과 후문 사이 비탈길에 위치해 있으며, 부지가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제3캠퍼스로 공시되어 있다. 의외로 유치원 주변의 숲까지 포함하면 넓은 부지를 갖고 있다. 교사는 모두 중앙대학교 출신. 중앙대학교가 유치원에서 시작된 만큼, 1916년에 설립되어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명문 유치원이다.
- 부속초등학교
중앙대학교병원 바로 뒤편[6]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이들 집에서 학교까지 거리가 먼 탓에[7] 강남, 동작지역 곳곳에 다니는 노란 스쿨버스가 집 근처에서 등교하는 학생들 태우려고 서 있는걸 볼 수 있다. 버스와는 다르게 별다른 학교 표시가 없어서 티는 안 나지만, 스쿨버스 이외에도 여의도 지역 근처에는 태우러 다니는 노란 봉고차도 여러대 있다. 사립초등학교이므로 무료인 국/공립초등학교와 달리 비싼 학비[8]를 받으며, 유복한 집 아이들이 많이 다닌다.
- 부속중학교
흑석동 소재. 대학과 거의 붙어 있어서 제2의학관과 학생회관 사이에서 잘 내려다보인다.
- 부속고등학교
1965년 설립. 본래 흑석동에 부속고교와 부속여자고교가 있었으나 두 학교가 합치면서 1997년에 도곡동으로 이전하였다. [9] 도곡역 1번 출구와 가깝다. 학교를 다시 중앙대학교 캠퍼스 인근으로 이전하려 했으나 주민 반대가 심해서 관뒀다고 하지만 이전 후 강남 8학군 버프를 크게 받고 명문고로 성장했다. 최근 들어 인근 흑석동 주민들은 흑석뉴타운 사업과 함께 고등학교 신설을 요구하는 중이다.[10]
- 중앙대학교 어린이집
- 중앙대학교의료원 어린이집
22. 여담
- 의혈이라는 학교 슬로건답게 과거 운동권의 주축이었던 학교 중 하나. 대표적인 것이 4.19 혁명과 6.3 항쟁. 본교 출신인 이재오 특임장관과 이명박 대통령의 인연도 6.3항쟁이 그 시작이었다.
- 교수들의 시국선언 또한 잦다. 2009년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사건으로 촉발된 대학 교수들의 시국선언에 서울대에 이어 두 번째로 참여했다. 그리고 2013년 국정원 여론조작 사건 , 2014년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에 시국선언을 했다.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처음 보도된 지 2주도 안된 11월 3일에도 시국선언을 발표했으며 2023년 한일정상회담 1달 후에도 외교참사라며 시국선언을 했다.
- 2018년 기준 15개대 사립 대학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평가액 중 재단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은 43.9%(보유액 1333억원)로 9위이다. #2018년 11월 2일 베리타스 알파 기사 #대학재정알리미 #2018 사립대학 재정통계 지표 보고서
- 참여정부 시절에 이뤄진 로스쿨 인가 당시 로스쿨 인원 발표 하루 전날 모 신문 측에서 평가자료를 입수하여 인원을 미리 발표했는데, 여기서 80명 정원을 배정받은 것이 확인되자 반짝 축제 분위기였던 적이 있었다. 그러나 정작 공식발표날은 중앙대가 30명이 줄은 50명으로 나왔다. 흑역사이자 설레발이었던 셈이었다. 인가를 받지 못한 대학들의 항의 때문이었다는 설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인원이 감축된 것이 아니라 몇몇 대학만이 감축당했으며, 또한 그 감축 때문에 후보 대학들에 대한 평가는 이미 완료된 시점이었고 그 평가대로 인원이 배정된 것인데도 로스쿨별 인원 수의 순위가 바뀌었다. 어쨌거나 이 사건 때문에 지금도 많은 동문들이 이를 박박 갈고 있다.
- 2011년 5월 2일에는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학교에 내왕하여 중앙대 학생들과 함께 한 자리에서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문제는 그 자리에서 중앙대의 본·분교 통합 로비사건이 터지고야 말았다. 이로 인해 2015년 상반기 학교가 많이 시끄러웠고, 전 총장인 박범훈 당시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은 징역 3년의 실형이, 박용성 전 이사장[11]에겐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되었다.
- 2016년 11월 26일에는 박근혜 즉각 퇴진 5차 범국민행동 참가를 위해, 일 안하는 서울캠 총학생회 대신 운동권 소모임(청년하다 중앙대지부 의혈하다, 약 100여명)과 일부 학과 학생회가 주축이 되어 약 1,000명이 의혈기를 내걸고 한강을 건넜다.[12] 최종적으로는 박근혜 탄핵까지 이뤄졌으니 '의혈이 한강을 건너면 역사가 바뀐다'는 징크스는 어쨌든 유효하게 되었다.
- 과거 '6개 사립대학 공동 입시 설명회'에 참가하는 대학 중 하나였다. 나머지 5개교는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한양대였으며 예전엔 7개 사립대학이 공동으로 여는 설명회였으나 연세대학교는 2009년 탈퇴했다.
- 2015학년도 수시모집에서 무려 80,000여 명이 지원하는 기염을 토했다. 심지어 화학신소재공학부는 논술전형 마감 경쟁률이 155대 1이었고 이 해 중앙대학교는 원서 접수비로만 48억을 벌어들였다. 2017학년도 수시모집에서도 역시 무려 81,497여 명이 지원하였다. 전국 4년제 대학중 지원자수가 가장 많았다. 중앙대는 논술 최저학력기준이 인서울 주요 대학들 중 가장 높음에도 불구하고 논술 경쟁률이 1:55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 서울캠퍼스의 5자리 우편번호가 06974이다.
- 보통 줄여서 중대로 부르는게 일반적이지만 요즘 들어 앙대로 줄여부르는 사람들이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늘고 있다. 한양대-냥대와 비슷한 이미지의 귀여움을 어필 할 수 있다...
- 가끔 중앙대의 영어 명칭인 Chung-Ang을 Chun-Gang으로 읽어서 춘강대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한다.
23. 관련 문서
- 중앙대학교/역사
- 중앙대학교/상징
- 중앙대학교/서울캠퍼스
- 중앙대학교/다빈치캠퍼스
- 중앙대학교/학부
- 중앙대학교/대학원
- 중앙대학교/출신 인물
- 중앙대학교/사건사고
- 중앙대학교/학사제도
- 중앙대학교/동아리
- 중앙대학교/총학생회
- 중앙대학교/학내 언론
- 중앙대학교/웹사이트
- 중앙대학교/기숙사
[1] 대한민국 초대 상공부 장관,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2] 예술대학 공연영상창작학부 연극전공, 공간연출전공이 사용하는 건물이다.[3] 휴학생 8,024명, 학사학위취득유예학생 703명 미포함[4] 휴학생 1,100명 미포함[5] 학부 (전임 968명, 비전임 1089명), 대학원 (전임 103명, 비전임 333명)[6] 2010년까지만 해도 원래 병원은 저만치 훨씬 뒤에 있었다. 그런데 2011년쯤 원래 위치에 있던 병원은 철거하고 새로 학교 뒤에 지은 탓에 학교의 운동장이 다른 초등학교에 비해 상당히 좁은 것을 볼 수 있다.[7] 집 근처로 배정되는 국/공립초등학교와 달리, 사립초등학교에는 학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학생들도 다닌다.[8] 학교를 졸업한 유경험자에 의하면 3개월 당 기본 150만원은 깔며, 여기다가 자녀들의 방과 후 특수활동, 스쿨버스, 교복 등까지 하면 더 나온다.[9] 현재의 중앙대학교 병원 부지가 예전의 고등학교 소재지였다.[10] 흑석고등학교가 2026년 3월 개교 예정에 있다.[11] 직전 막말 파문으로 이사장 자리를 내놓은 상황이었다.[12] 이 도보행진도 집회로 신고되어 경찰의 보호 하에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