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한국 | 중국 | 일본 | 유럽 | 창작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작위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한자문화권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王 왕 | 公 공 | 侯 후 | 伯 백 | 子 자 | 男 남 | 君 군 | }}} | ||||||
<colbgcolor=#989898> 체계 | 이성왕 | 오등작(개국작) · 이십등작 | 외명부 | 봉호 · 존호 · 궁호 | |||||||||||||
왕작 | 친왕(親王) · 사왕(嗣王) | 국왕(國王) · 군왕(郡王) · 현왕(縣王) | 국공(國公) | |||||||||||||
군작 | 대원군(大院君) · 대군(大君) · 부원군(府院君) | 경(卿) · 윤(尹) · 정(正) · 수(守) · 령(令) · 감(監) · 장(長) | 위(尉) | |||||||||||||
유럽 | ||||||||||||||
제후층 | 대공 · 프린스 · 공작 · 후작 · 백작 | |||||||||||||
성주층 | 자작 · 남작 | 영주 · 준남작 · 기사 · 에스콰이어 | |||||||||||||
동유럽 | 크냐지 · 보이보드 · 보야르 | 드루지나 | |||||||||||||
동로마 제국 | | 카이사르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 |||||||||||||
신성 로마 제국 | 선제후 | 퓌르스트 · 주교후 · 제국백 · 궁정백 · 변경백 · 방백 | 성백 · 제국기사 | |||||||||||||
중양 | ||||||||||||||
군주·제후 | | 라자 · 말리크 · 샤 · 술탄 · 칸 | |||||||||||||
봉신·관료 | | 파샤 · 아미르 · 셰이크 · 베이 · 랄라 · 아가 · 나와브 · 샤리프 · 사이이드 · 마르즈반 · 노얀 · 콩타이지 · 조논 | |||||||||||||
기타 | ||||||||||||||
| 태자(세자·도팽) · 공왕 · 소군(小君) · |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cc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4db1><colcolor=#fff> 역사 | 카마그 몽골 | 몽골 제국(원나라, 오고타이 칸국, 차가타이 칸국, 킵차크 칸국, 일 칸국, 동방 3왕가) | 북원 |
정치 | 쿠릴타이 | 칸(대칸 · 역대 대칸) | 역대 몽골 제국 대칸 & 역대 오고타이 칸국 칸 & 역대 원 황제 | 역참 | |
외교 | 여몽 관계 | |
사법 · 치안 | 몽골 제국군(천호제 | 케식) | 법률 | |
도성 · 궁궐 | 카라코룸(에르데네 조 사원) | 대도 | 샤나도 | |
경제 | 교초 | |
문화 | 몽골어 | 몽골 문자(파스파 문자) | 원조비사 | |
인물 | 야율초재 | |
기타 | 색목인 | }}}}}}}}}}}}}}} |
1. 개요
몽골 제국의 제도. 칸을 중심으로 하는 계층적 지배구조로 백호제, 만호제라고도 한다.십진법에 기초를 두어 10단위로 편성되었으며, 몽골 제국 군사 조직의 구조이자 동시에 사회 행정의 구조이다.
2. 어형
언어별 명칭 | ||
몽골어 | [ruby(Мянган, ruby=Myangan)] | |
한국어 | 천호(제) | |
일본어 | [ruby(ミンガン, ruby=Mingan)] [ruby(千戸, ruby=Senko)]([ruby(制, ruby=sei)]) | [1] |
중국어 | [ruby(千戶, ruby=Qiānhù)]([ruby(制, ruby=zhì)]) | |
페르시아어 | [ruby(مینگان, ruby=mingan)] [ruby(هزاره, ruby=hāzāra)] | [2] |
영어 | Mingghan |
밍간은 몽골어로 그냥 '1000'이라는 뜻이다.
몽골 제국은 정복지마다 밍간을 설치했으며, 이는 피정복민 사이에서는 현지 언어로 치환해서 불렸다. 예를 들어 한자문화권에서는 "천호", 이란 및 아랍 문화권에서는 "하자라"([ruby(هزاره, ruby=hāzāra)])라고 불리는 식인데, 원대(元代) 한문 사료에서 보이는 "명안"(明安)이라는 인명도 실제로는 이 몽골어 '밍간'의 음역에 해당한다.
동아시아권에서는 전통적으로 중국에서 기록된 한문 사료에서의 역어를 따라 "천호제" 및 "천호", "천호장" 등으로 표기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몽골어나 페르시아어 등 타 언어권 사료의 이용이 확산되고 중국 중심적인 사관에 대한 비판이 이루어지면서, 그리고 나아가 몽골사를 연구한 일본의 학자 스기야마 마사아키(杉山正明)의 지적처럼 '천호'라는 말은 중화식의 호(戸) 개념을 전제하고 있는 번역이므로 인(人)을 기초단위로 했던 유목민에게는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의식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스기야마 마사아키는 기존의 "천호" 대신에 "천인대"(千人隊)를 새 용어로 제안하였으며, 일본의 몽골사학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적을 받아들여 밍간을 천인대라고 번역하는 용례가 늘어나고 있다.
3. 조직
몽골어 | 번역 | 역할 |
투먼 | 만호장(萬戶長) | 칭기즈 칸의 직계 혈족에게 4~10여개의 천호를 소속시킨 지위. |
밍간 | 천호장(千戶長) | 천호제의 근간. 1,000명 정도의 병사를 공출 가능한 집단의 우두머리. |
자우트 | 백호장(百戶長) | 천호에 소속, 100명 정도의 병사를 공출 가능한 집단의 우두머리. |
아르반 | 십호장(十戶長) | 백호에 소속, 10명 정도의 병사를 공출 가능한 집단의 우두머리. |
칭기즈 칸은 몽골의 사람들을 95개의 천호(千戶)로 나누고, 95명의 천호장(千戶長)을 임명했다. 천호 위에는 만호를 두었고, 천호장은 자신의 아래에서 백호장과 십호장을 임명할 수 있었다. 예케 몽골 울루스는 이전의 여러 부족들을 해체해 각 천호로 재분배했다. 만호와 천호의 수장은 노얀, 백호와 십호의 수장은 다루가로 불렸다.
또한 천호장과 백호장의 자제들을 모아서 '케시크테이'라는 칸의 친위대를 편성했다.
한국사에서도 여몽관계로 몽골풍을 받아들였던 고려 후기에서 천호제를 도입해 진변만호부, 순군만호부 등으로 여말선초까지 널리 수용하였다.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의 고조부 이안사(목조)또한 원나라의 천호장(밍간)이었으며, 천호 직위는 그의 자손들이 대대로 세습했다. 조선의 개혁으로 천호제는 철폐되었으며 조선 무관의 직책인 만호는 천호제의 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