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敎育學科 / Department of Education사범대학에서 교육학을 전공하는 학과로서 교육 전반을 배운다. 사범대학의 학과이고 교직 과정이기 때문에 교생실습도 가야 하고, 학부과정 중 인성검사도 받아야 하며, 심폐소생술도 배워야 한다. 교직과정 이수 후 졸업하면 교육학 2급 정교사 자격증이 나와서 고등학교의 교양과목인 '교육학'을 가르칠 수 있지만, 교양과목으로 교육학을 채택한 학교가 거의 없다. 그나마 장점이 있다면, 다른 교과교육과들이 교과내용과 교과교육론에 집중하고 교직 수업을 통해서 교육학을 배우는 것과는 달리, 교육학과는 전공 수업에서 교육학을 배우기 때문에 교육 이론과 이슈에 대해 더 접할 기회가 많다는 것이다.
배우는 과목들 상당수가 이름 앞뒤로 '교육'이 붙어있다. 교육학개론, 교육과정, 교육심리, 교육철학, 교육사, 교육공학, 교육사회, 특수교육학개론, 교육법, 교육행정, 교육경영, 교육재정 등.[1] 여기에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등 세기 힘들 정도로 많은 세부 학문이 존재하고, 교수들이 개설한 수업들까지 겹치면 수는 더 많아진다. 교육학이라는 학문적 특성 때문에 어지간한 학자와 인문계 학문은 한 차례씩 배우게 되며, 이 때문에 학부과정만으로 특정 분야를 숙달 하는 것은 아무래도 무리가 있다. 그래서인지 대학원 진학률이 높은 편이며, 대학원에 진학해야만 심도 있게 공부할 수 있는 듯하다. 아니면 석사·박사 학위가 높은 자리로 올라가는 데 어느 정도 영향이 있을지도.
2. 복수전공
교육학과는 복수전공 안 하면 교육학만 배우고 나가는 학과다. 그래서 복수전공으로 흥망이 좌우된다. 상담이나 도서 같은 비교과 또는 교과 복수전공을 하면 2급 정교사 자격증이 2개가 나오고, 중등교원임용경쟁시험에도 교육학이 있기 때문에[2] 복수전공만 잘 선택하면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지만, 행여라도 복수전공에 실패하면 난감해진다.복수전공을 하지 않고 교생실습을 나가면 보통 도덕이나 윤리 교과를 가르치게 되어있다. 그래서 예전에는 복수전공을 안 해도 윤리교사 자격증을 부여해서 정 안 되면 윤리교사 임용고시를 쳤다. 하지만 윤리 과목 자체가 국영수에 비해 비인기 과목이고, 2010년대 들어서는 이 같은 혜택마저도 대부분 폐지되었다.
대부분 복수전공을 노리며 입학하기 때문에 2학년 진급 시 신청하는 복수전공이 탈락하면 엇학기에 비사범대 교직이수를 하거나, 심지어는 유급이나 재입학을 해서라도 보통 국어나 영어를, 혹은 본인이 이과 성향이 강하다면 수학 같은 주요 과목을 따려고 고군분투한다. 사회나 과학 탐구 과목 교육과는 설치되어 있는 사범대가 많이 없는데,[3] 그런 경우 교직과정이 설치되어 있는 일반 학과를 복수전공 하면 된다.
교육학과 자체도 은근히 복수전공 커트라인이 높은데, 이는 국어교육과나 영어교육과 학생들이 복수전공으로 교육학과를 많이 선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범대 내 다른 학과들과 비교해 타 학과 출신들을 전공 수업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사범대학 복수전공 특성상 복수전공을 해도 학점이 별로 줄지 않는다. (단전공 60~70학점 / 복수전공 50+50학점) 그래서 들어야 하는 학점이 2배로 뻥튀기 되어 성적관리가 힘들고,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교직 과목까지 복수로 들어야 하는 학교면 그저 눈물이 앞을 가린다. 이 때문에 초반에는 다들 교사를 꿈꾸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기업이나 대학원 쪽으로 눈을 돌린다. 은근히 취업이 잘 되는 학과로 사범대 안에서도 가장 높은 취업률을 자랑한다. 주로 기업의 인사담당이나 인적자원개발부서, 연구소, 교육관련기업 등에 취업하며, 사범대 중에서는 진출할 수 있는 분야가 가장 넓은 전공이다.참조 기업 외에도 공공기관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제법 있는데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등 많은 기관에 진출한다. 연구 관련 정규직으로 들어가려면 박사 학위는 필수다. 타 교육관련 공공기관 일반 직원들도 전산, 회계 등 특정 업무, 직군을 제외하면 석사 학위를 보유하지 않은 사람이 드물 정도로 가방끈이 다들 길다.
3. 여담
일본에는 2013년에 가쿠슈인 대학 문학부에 교육학과가 신설되었는데, 한국의 교육학과와 이름은 같지만, 초등학교 교사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신설된 첫해에 아키히토의 둘째 손녀인 카코가 입학했으나, 이듬해 여름에 중퇴하고 다른 학교로 옮겼다고.4. 설치 대학
4.1. 수도권
사립대학
* 강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육학과[A][7]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성신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세종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교육학과[A]
* 숙명여자대학교 문과대학 교육학부[A]
*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교육학부[A]
*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강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육학과[A][7]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성신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세종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교육학과[A]
* 숙명여자대학교 문과대학 교육학부[A]
*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교육학부[A]
*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4.2. 관동권
4.3. 호서권
4.4. 영남권
사립대학
*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계명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교육학과[A]
* 신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계명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교육학과[A]
* 신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4.5. 호남권
[1] 열거된 대부분의 과목이 교직과목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사범대학 학생이라면 누구나 여기에 열거된 대부분의 과목들을 이수한다.[2] 1교시 필수 과목으로 모든 응시자는 반드시 응시해야 2교시 전공A/B를 응시할 수 있다. 교육학 문제는 논술형으로 1문제가 출제된다.[3] 특히 일반사회교육과는 수도권에 겨우 4개 대학만 존재하며, 심지어 그 중 두개가 이화여대와 성신여대라서 남학생의 경우 선택지가 서울대와 인하대, 2개로 줄어든다.[A] 사범대학 소속이 아니다.[5] 교육부의 교원수급정책 콘트롤을 받는 타 학교와 달리 원격대학 특성상 이게 어려워 졸업시에도 교원 자격증이 발부되지 않는다. 원래 시초가 2년제나 사범학교 출신의 당시 현직 초등교사의 재교육을 위한 초등교육과로 출발한 역사적 원인도 있다.[A] [7] 원래는 사범대학 소속이었으나 사범대학이 해체되면서 문과대학으로 이전했다가 2017년 단과대학 체제 개편으로 문과대학이 글로벌인문·지역대학으로 바뀌면서 사회과학대학으로 소속이 바뀌었다.[A] [A] [A]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