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fff> | 학술연구간담회 学術研究懇談会 Research University 11 | }}} |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528CE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국대학 및 관립대학 | |||||||
| | | ||||||
교토대학 | 규슈대학 | 나고야대학 | ||||||
| | | ||||||
도쿄대학 | 도쿄과학대학 | 도호쿠대학 | ||||||
| | | ||||||
쓰쿠바대학 | 오사카대학 | 홋카이도대학 | ||||||
사립대학 | ||||||||
| | |||||||
게이오기주쿠대학 | 와세다대학 | |||||||
출처 |
교토대 학과 | 교토대 캠퍼스 | 교토대 출신 인물 |
<colcolor=#fff><colbgcolor=#00205b> [ruby(京都, ruby=きょうと)][ruby(大学, ruby=だいがく)] 교토대학 Kyoto University | ||
| ||
대학 정보 | ||
표어 | 자유의 학풍 (自由の学風) | |
국가 |
| |
분류 | 국립대학 | |
개교 | 1897년 6월 18일 ([age(1897-06-18)]주년) | |
총장 | 제27대 미나토 나가히로 (湊 長博) | |
캠퍼스 | <colbgcolor=#00205b><colcolor=#fff> 요시다 | 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요시다혼마치 |
우지 | 교토부 우지시 고카쇼 | |
카츠라 | 교토부 교토시 니시쿄구 교토다이가쿠카츠라 | |
재학생 | 학부생 | 13,038명 (2022년) |
대학원생 | 9,308명 (2022년) | |
교직원 | 교원 | 3,480명 (2020년) |
직원 | 3,978명 (2020년) | |
상징 | 교목 | 쿠스노키 |
색상 | 짙은 청색 (濃青) | |
링크 | 홈페이지 | |
SNS |
▲ 교토대학 소개 영상 |
1. 개요
교토부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립대학. 1897년에 개교한 두 번째 제국대학이며, 약칭은 쿄다이([ruby(京, ruby=きょう)][ruby(大, ruby=だい)]).[1] 3곳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요시다(吉田) 캠퍼스에 가면 교토대학 로고에 박혀 있는 쿠스노키(녹나무)를 실제로 볼 수 있다.아시아의 대표적인 연구대학 중 하나로서, 아시아 최초의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인 유카와 히데키 교수를 비롯하여 19명의 노벨상 수상자[2] 및 2명의 필즈상, 5명의 래스커상 수상자를 배출하였다. 이공 계열 분야를 필두로 인문•사회 등 여러 학문에서[3] 교토학파를 형성하고 있고 심지어 한국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에도 교토학파가 일부 파벌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2. 역사
<nopad> |
구제 제3고등학교 |
- 1869년: 양학교 및 사밀국 설치.
- 1870년: 두 기관이 합쳐져 개성소로 개조.
- 1873년: 개명학교 개교
- 1874년: 오사카영어학교로 개조
- 1885년: 대학분교로 개조
- 1886년: 제3고등중학교로 개조
- 1895년: 구제 제3고등학교로 개조.
- 1897년: 제3고등학교를 기반으로 발족된 교토제국대학 개교.[4] 제국대학령으로 1898년에 법학부를 먼저 설립할 예정이었으나, 이공학도들의 급증에 따라 이공학부를 먼저 설립하고 이후 10년간 법학부와 의학부, 문학부가 추가되었다.
- 1947년 제국대학령의 폐지로 교토대학이 됨.
- 1949년 학제 개혁으로 신제 교토대학이 됨. 교육학부 설치.
- 1952년 부속 의학전문부 폐지.
- 1992년 종합인간학부 설치
- 1993년 교양학부 폐지
- 2004년의 국립대학 법인화
3. 교가
교토대학 학가 | |||
{{{#00205b {{{#!folding 노래 가사 [ 보기 / 접기 ] 작사: 미즈나시 야큐(水梨彌久) 작곡: 시모후사 칸이치(下総皖一) 1940년 1월 18일 제정 | 일본어 | 한국어 | |
1 九重に 花ぞ匂へる 千年の 京に在りて その土を 朝踏みしめ その空を 夕仰げば 青雲は 極みはるかに われらの まなこをむかえ 照る日は ひかり直さし われらの ことばにうつる 2 緑吹く 楠の葉風に 時の鐘 つぎて響けば 人の世に まこと立つべく 現身に まこと立つべく たまきはる 命をこめて いしずえ 堅く築かん 伸びゆく 強き力の 日出づる 国の子我等 | 1절 아홉겹 꽃내음[5] 풍기는 천년의 경도에 있으니 그 땅의 아침을 딛고 그 하늘의 저녁을 우러러보면 청운은 극히 아득히 우리들의 눈을 마주하고 갠 날은 다시 빛나 우리들의 노래에 비칠지어다 2절 녹음 풍기는 녹나무 잎새바람을 따라 시대의 종이 울리면 이 세상에 참으로 설 수 있도록 현세에 참으로 설 수 있도록 죽는 날까지 한 목숨을 다해 그 초석을 견고히 쌓으리라 자라나는 강인한 힘의 해가 뜨는 나라의 우리들 |
4. 캠퍼스 및 시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토대학/캠퍼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토대학/캠퍼스#|]][[교토대학/캠퍼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조직
|
|
6. 학풍 및 성향
Freedom of academic culture.
自由の学風 (자유의 학풍)
교토대학은 예부터 자유로운 학풍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년 각종 캐릭터로 바뀌는 오리타선생상(折田先生像)[15]이나 코스프레 졸업식을 좋은 예로 들 수 있다. 다만 학풍의 자유로움에 취해 유급율이 높은 것이 특징. 종합인간학부의 경우 전공을 못 찾고 갈팡질팡하다가 유급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래도 이런 학풍 덕분인지 일본인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 유카와 히데키 박사[16]를 비롯해 줄기세포 분야에서 노벨상을 받은 야마나카 신야 교수까지[17] 노벨상 수상자가 많다. 2019년 기준 19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해냈다.自由の学風 (자유의 학풍)
그렇기에 "에이, 설마 노벨상 수상자도 저렇게 많이 배출한 학교에서 폐인이 그렇게 쏟아지겠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폐인 많다. '100명의 우수한 학생을 입학시켜, 1명의 천재와 99명의 폐인을 양성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 당장 요시다 기숙사에만 가 봐도 1년 내내 마작에 미쳐사는 인간들이 "졸업? 그거 먹는 건가염?"하며 마작 테이블을 점령하고 있다.[18] 여기엔 교토대 특유의 자유분방한 학풍의 영향이 크다. 즉, 실패를 허용해줘 크게 성공하는 대기만성형 인재도 나오지만 걍 실패하고 접는 케이스도 꽤 있다는 게 함정이다. 그러다보니 이런 입간판까지 나온 일도 있었는데,
가을에 편입할 곳 추천
1.) 퇴학: 학교를 때려치는 순간 그대는 자유.
2.) 도시샤대학: 캠퍼스가 멋진 학교. 뭣보다 가깝다.
3.) 도쿄대학: 교토대학을 까려면 반드시 가야 할 곳.
4.) 하바드: 고도 국제사회의 인재가 되기 위해 가야 할 곳.
5.) 와코대학: 아는 사람은 아는 학교[19]
1.) 퇴학: 학교를 때려치는 순간 그대는 자유.
2.) 도시샤대학: 캠퍼스가 멋진 학교. 뭣보다 가깝다.
3.) 도쿄대학: 교토대학을 까려면 반드시 가야 할 곳.
4.) 하바드: 고도 국제사회의 인재가 되기 위해 가야 할 곳.
5.) 와코대학: 아는 사람은 아는 학교[19]
일례로 독일어 시험 당시 교수가 시험때 뭐든지 가져와도 좋습니다 라고 했더니, 실제로 독일인을 데려온 학생이 있었다고 한다. 語学試験に外国人持ち込み可(京都大) 대학 본고사때 교토대생의 똘끼가 잘 드러나는데, 수험생들 시험 보러가는 길목에 코타츠를 설치해서 재학생들끼리 마작을 하거나, 미나토 총장의 흉상이랍시고 미나토 아쿠아 흉상을 제작해서 전시를 했다고 한다.[20] 관련 링크 영상 참고로 저 똘끼는 매년 뉴스에 나오고 있다.
교풍 때문에 동아리 활동이 어딘가 정신줄 놓은 거 같아도 진지한 동아리들도 있다. 그 중 하나가 1개에 한화로 수천만원에서 수십억대에 달하는 다기를 다도 연습에 쓰는 다도 문화 연구회 라는 동아리. 부원들도 금수저 집안의 자제들만 가려 받는다. 동아리 부원은 항상 10명 이하. 물론 일반 학생도 견학은 가능하다. 그야말로 전통 다도를 연습하고 부원들도 어디 이름 있는 가문 몇대손에 속하는 인간들이라 상호 간에 경어를 쓰고 연습 중에는 필요한 발언 이외에는 찍소리도 안 하고 표정도 굳어있다. 동아리 건물이 교내에 없고 학교 인근 시내의 전통 일본식 가옥 하나를 통째로 빌려 쓰고 있는 인간들이 있는데 바로 저 다도 동아리다. 이런 거리감 때문에 다도 연구가 아니라 금수저들끼리 친분 맺는 동아리라고 뒷담화를 당하는 편.
정치적인 관점에서 보면, 여러 인원들이 존재하는 대학가인만큼 개인차는 있겠지만, 이미지 자체는 좌익적인 성향이 강한 대학교로 인식되는 편이다. 물론 학과마다 차이는 있어서, 문과계의 경우 법학부는 전체적으로 우익적인 성향이 강한 반면[21], 다른 학부들은 좌익적인 성향을 띈다고 인식되기도 한다. 전공투 시대가 한참 지난 2000년대에도 혁마르파 학생이 중핵파 학생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2010년대 들어선 이런 유혈사태나 과격사태는 없지만 여전히 전국학생연합이 정력적으로 활동 중이다. 덕분에 넷 우익들에겐 빨갱이 학교 정도로 매도당하기도 한다. 이들은 요시다 캠퍼스 남부에서 점심 시간마다 수시로 시끄럽게 연설을 하기도 하고, 가끔 강의 시작하기 전에 강의실에 들어와서 연설하다가 강의하러 들어온 교수와 마찰을 빚는 경우도 있다. 교토가 아무리 일본공산당이 나름 선전하는 곳이라고는 해도 이렇게 꾸준히 유지되는 파워가 어디서 나오는지 의문일 정도. 좌파 성향의 교수들을 등에 업고 있어서 학생회 등에서도 이들을 함부로 못한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정확한 사실 여부는 불투명하다. 실제로 일본의 국립대학 중 최초로 민족학교(조선학교, 화교학교) 졸업생의 입학을 허용했다. 예를 들어 일제강점기 시절에 박사 학위를 딴 이태규 선생과 리승기 선생은 교토제국대학 출신이었다.
한편 간사이에 있는 대학 중에선 제일 학점을 따기 쉬운 대학에 속한다는 소문이 있지만 사실 다른 대학과 비교했을 때 특별히 학점을 따기 쉬운지는 의문이다. 이전에는 우, 양, 가, 불가로 점수를 매겼으나, 2015년 입학자부터 A+, A, B, C, D, F의 6단계 평가로 바뀌었고, 2016년도 입학자부터 GPA제도가 도입되어 F 학점이 성적표에 남게 되었다.[22]
7. 입시
7.1. 학부 입시
- 일반 선발
일반 선발에서 입학자의 대부분을 선발한다. 모든 수험생이 지원가능하며, 센터시험 응시가 필수이다. 센터시험을 치고나서 1차 합격한 인원에 한해 대학에서 본고사를 보게 된다. 물론 외국인도 일반 선발을 할 수 있지만 일반 선발을 통해 교토대에 입학하는 외국인은 현지에서 고등학교를 나온 게 아니라면 드물다. 그나마 중국인 출신이 많은 편. 수학이나 영어등 다른 과목들은 어떻게든 하더라도 국어가 상당히 걸림돌이다. 일본 최상위권 학생들도 어려워하는 한문과 고전을 완벽히 해석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 그나마 도쿄대학보다는 국어의 비중이 작은 것이 다행(?).
- 종합형 선발
전공 특화생들을 뽑는 특색입시이다. 공통적인 요소로 고등학교 내신+센터시험+특색시험+면접이 들어간다. 문제 난이도가 높아서 70% 정도 맞추면 면접을 노려볼 만하다. 기준은 모 해에는 80점 만점에 59점이 커트였다는 설이 도는데, 공식적인 커트는 공개되지 않는다만 분위기 상으론 대충 이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한국에서 대학 논술이 한창 성행하던 당시에 심화논술 문제 정도의 수준을 생각하면 된다. 각 문제는 출제된 이듬해 5월부터 2년간 특색시험 홈페이지에 공개된 후 내려간다. 단 일부 과의 경우(공학과 등) 평가하는 분야의 특징 등으로 인해 기출문제를 공개하지 않는다.
- 학교추천형 선발
전공 특화생들을 뽑는 특색입시 중 하나. 모집학과별로 요구되는 일정 기준 이상의 학업성적과 고등학교장의 추천서가 필요하다.
- 사비 외국인 유학생 특별 선발[23]
약학부와 공학부만이 모집하고 있다. 농학부는 2019년도 입학생을 마지막으로 더이상 유학생 선발전형으로 유학생을 모집하지 않는다. 고등학교 성적과 졸업증명서 등을 제출한 뒤 출원사전심사를 한다. 출원사전심사를 통과한 학생들만이 이제 TOEFL이나 EJU 점수등을 제출 한 뒤 본고사와 구두시험(또는 면접)을 보고 최종 선발을 한다. - 공학부(2.28) : 구두시험. 정보학과는 수학시험을 부과
- 약학부 : 논문 + 면접
- 외국학교 출신자 전형
법학부와 경제학부만이 모집하고 있다. 국적 제한이 걸린 유학생 특별 선발과 다르게 재외국민 일본인도 모집한다. 고등학교 내신성적, TOEFL, 졸업증명서 등을 제출하여 출원사전심사를 통과한 학생들만이 이제 EJU 점수 등의 서류을 제출 한 뒤 본고사, 구두시험(또는 면접)을 보고 최종 선발을 한다. - 법학부
- 경제학부[24](2.25~26) : 소논문(사회과학과 관련된 지문 두개를 읽고 문제에 답하는 형식) + 면접
- 학사입학 시험
4년제 대학 학사학위 취득자 대상이며, 2학년으로 편입학된다. - 문학부
- 교육학부
- 의학부 인간건강과학과
- 종합인간학부 (교토대학 졸업자 한정)
- 이학부 (교토대학 졸업자 한정)
- 편입학 입시
단기대학, 고등전문학교, 4년제 대학 졸업자 및 4년제 대학 2학년 수료자 대상이며, 3학년으로 편입학된다. - 법학부
- 경제학부
- 공학부 (고등전문학교 출신자 한정)
- Kyoto iUP (Kyoto University International Undergraduate Program)
6개월 간의 예비교육을 이수하므로 전부 4.5년. 입학한 뒤 일본어와 일본 문화를 배우기 때문에 입학할 때 일본어는 필요 없다.
- 국비유학
문부과학성 선발 장학생으로 외국인 전형으로 못 가는 학부에 유학이 가능하다.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2018년도를 마지막으로 폐지된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에 응시해서 6~15등 정도의 성적을 거두면 공학부나 농학부에 입학할 수 있었다. 2010년대 들어서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지원 인원 감소와 합격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의 상대적 저하로 인해 합격해도 EJU나 자체 수학 시험을 통과해야지 입학할 수 있도록 바뀐 적이 있었다. 문과계 국비유학생도 맘에 안 들면 입학을 받지 않는 경우가 있다.
- 그 외
7.2. 석박사 입시
한국과 같이 전기모집과 후기모집(재모집)으로 나뉘고 입학은 10월 혹은 4월 입학 중에 고를 수 있다. 응시료는 2020학년도 입학생 모집 기준 30,000엔. 다만 서류의 배송료, 입금 수수료 등은 별도로 든다.전공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나 필기시험, 연구발표, 면접 순서로 시험을 치르며, 필기시험의 경우 과목별로 논문 한두편이 첨부되어있고 논문에 대한 문제를 푸는 식이다. 대부분은 TOEFL 등의 영어 시험의 점수를 제출하고, 일부는 영어 본고사 시험도 치르는데 유명 과학자들의 글이 지문으로 나온다. 필기시험 성적이 조금 떨어지더라도 연구발표와 면접에서 점수를 후하게 주는 편이다. 그러나 입학시험 성적이 후에 장학금 추천에 영향을 크게 주기때문에 단순 통과의례로 봐서는 안된다.[25] 일부 연구과에서는 유학생 특별 입시 전형을 실시하고 있어, 일반입시 TO와 상관없이 비교적 쉽게 원하는 연구실에 배속받을 수 있다. 다만, 외국 국적일지라도 일본의 고등학교, 혹은 일본의 대학을 졸업했다면 유학생 전형은 이용할 수 없다. 물론 미리미리 가려는 연구실과 조율을 하는 것이 필수이다.
외국대학 출신의 대학원 진학자들은 연구생이라는 신분으로 입학 전에 먼저 반년~1년 정도 연구실에 소속되어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대학원 입학 전에 연구실 분위기에 익숙해지고 연구를 위한 일본어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이다. 또한 대학원 입학을 위해서는 필기 시험을 쳐야 하기 때문에 그 시험의 족보(기출문제)를 받고 시험 공부를 하는 기간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공계의 경우에도 이 '연구생'을 거치는 경우가 많은데, 일본 대학 이공계의 경우 학부 3학년 중반부터나 늦어도 4학년때부터는 개별 연구실[26]에 소속되어 졸업논문을 위한 실험을 진행한다. 그래서 일본에서 이공계 학부를 나오면 그 전공에 대해 전반적인 지식은 학부생 레벨일지라도, 학부생활 중 1년 가까이 연구실에 틀어박혀서 한 분야에 관한 연구만 했으므로,[27] 해당 전공에 대한 연구 수행 능력은 어느 정도 레벨을 가지고 석사 과정에 진학한다. 그러나 외국대학 학부 출신인 경우 이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 대학원에 입학하기 전에 반년~1년 간 연구생으로 연구실에 소속되어 공부 및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교토대학 공학부의 경우 석사 진학률이 무려 88.3%으로, 상당히 높다. 교토대 뿐만 아니라 일본 대학의 특이한 점은, 이공계라면 거의 대부분 석사에 진학한다는 점이다. 참고 그 이유는 일본의 대기업은 석사 학위 이상의 이공계 학생을 상당히 선호하기 때문으로, 이 때문에 최상위권 대학의 대학원은 당연히 경쟁률이 매우 높아 심지어는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 재수를 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다고 한다. 반면, 문과 계열은 대학원 진학률이 반대로 대한민국보다도 낮은데, 이는 문과는 대학원을 졸업해도 기업에서 그닥 인정해 주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가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교토대학 대학원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는 연구과는 의학연구과로, iPS 세포나 PD-1 등 2010년대에 노벨상을 2명이나 배출하여 인기가 드세다. 의학연구과 (의과학 석사)의 경우, 입학정원이 20명 밖에 되지 않을 뿐더러, 온갖 나라에서 진학을 희망하는 외국인과 경쟁하는 등의 이유로 야마나카 신야 교수의 노벨상 수상 직전인 2009년의 경쟁률이 6:1을 기록하는 등, 유래가 없는 상당한 경쟁률을 자랑한다. [28] 다만, 2020년대 부터는 입학허가 정원은 여전히 20명으로 고정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30명 가까이 합격시키는 경우가 있어 다소 경쟁률이 하락하였다.
8. 세계대학평가
| |||||||
<colbgcolor=#00205b><colcolor=#fff> 연도 | QS | THE | ARWU | CWUR | USN & WR | CWTS P(10%) | Nature Index |
2024 | 46위 | 55위 | - | 26위 | 168위 | 71위 | - |
9. 국제 교류
한국 대학과의 학술 교류 협정은 다음과 같다. 대학간 학술 교류 협정 체결 현황 참조. (괄호 안의 연도는 학술 교류 협정을 체결한 연도.) 참고로 교환유학의 경우, 이 중 경북대학교,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이 가능하다.교환협정 체결대학 목록
- 경북대학교(1980년)
- 서울대학교(1991년)
- 연세대학교(1998년)
- 고려대학교(2002년)
- 한국과학기술원(2005년)
- 포항공과대학교(2007년)
- 건국대학교(2012년)
- 이화여자대학교(2020년)
10. 출신 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교토대학 출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교토대학 출신#|]][[분류:교토대학 출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토대학/출신 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토대학/출신 인물#|]][[교토대학/출신 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기타
- 창작물에서의 교토대학
- 서브컬쳐에서 에로만화가 코우메 케이토[29], 야마모토 유타카, 코우사키 사토루[30] 등을 배출하고 있다. 이것은 교토대에 와보면 납득이 갈 것이다. 아마도 제일 편차치가 높고 오타쿠가 많은 학교가 아닐까 싶다. 앞서 설명한대로 이학부가 제일 심하다.
- 애니메이션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31] 등에서 교토대학의 생활이 소개되고, 주류에서는 카모가와 호르모 등 창작계열에서 소재로 다뤄지는 경우는 많지만, 동경대에 비하면 적은 편. 대학 자체가 소재로 나온 작품은 동경대학 이야기 말고는 찾기 힘들거 같다. (드래곤 사쿠라나 러브히나도 있다.)
- 동방 프로젝트 비봉클럽의 우사미 렌코와 마에리베리 한이 교토대 학생이다. 다만 설정이 근미래인지라 렌코가 다니는 물리학부와 메리가 다니는 정신과학부는 현재 교토대학의 학제에 해당하지 않는다. 아마 물리학부는 이학부 물리학·우주물리학계, 정신과학부는 문학부 행동·환경문화학계에 해당한다고 보면 무난할듯 싶다.
- 탐정 갈릴레오의 드라마판의 유카와 마나부 교수가 있는 제도대학의 무대이기도 하다. 엔딩롤을 보면 교토대학에서 로케했다고 한다.[32] 유카와 교수 이름 자체가 상술된 노벨상을 수상한 이론물리학자 유카와 히데키에서 따왔다.
- 신세기 에반게리온 - 이카리 유이 ,후유츠키 코조: 형이상 생물학 창안. 이카리 신지의 어머니. 교토대 형이상 생물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이후 이카리 유이와 겐도의 제의에 따라 네르프 부사령관이 되었다.
- 스펙(드라마) - 토마 사야 : 이학부 출신이라는 언급이 있었다.
- 동급생 - 사죠 리히토 : 부계 대대로 교토대 출신이다.
- 다이쇼 소녀 전래동화, 쇼와 소녀 전래동화 - 시라토리 하카루가 3고 출신이라는 설정이다.
- HELLO WORLD의 주인공 카타가키가 나오미가 진학한 케이토대학(京斗大学)이 영락없이 교토대학의 모습이다. 작품의 무대가 교토이며 대학로고부터 유사하다. 케이토대학 교수 센코 츠네히사 연구팀에 소속되어 만든 가상현실장치가 작품의 핵심 시스템으로 작용한다.
- 사건 및 사고
- 일본에서 학생운동이 최고조에 달하던 60년대, 도쿄대학의 야스다 강당 점거사건과 비슷하게 1968년 청년의사연합 교토대 지부가 주도한 의대 대학원 입시 거부에 참여하지 않은 수험생들이 청의련 멤버에게 폭행당한 이른바 청의련 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도쿄대학과 같은 입시중단 사태는 없었다.
- 2011년 3월 초, 학부 입학 시험을 치르는 수험생이 휴대 전화로 영어 및 수학 시험 문제를 야후 게시판에 질문하고, 누군가 이에 대해 정답을 올려주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 외에도 여러 대학에서 같은 문제가 발생했으나, 아무래도 지명도가 높았던 교토 대학이 가장 여론의 뭇매를 많이 맞았다. 시험을 치르는 동안 약 20분마다 한 문제 씩, 2~3개의 오타를 제외하고는 수식까지 정확히 올라왔기 때문에 문제가 사전 유출된 것이 아닌가 하는 소문도 돌았으나, 대략 1주일 후 잡힌 범인(재수생이었음)을 조사한 결과, 실제로 모든 문제를 핸드폰으로 입력하여 전송한 것으로 드러났다.
- 2018년, 성균관대학교에선 교토대학 출신[33] 카와이 신스케 자연과학부 외국인강의전담교수 강의에, 학생들이 출석 관련 정책을 악용해 일반물리학 과목에서 극소수 수강생만 출석하다가 발각되어 대량으로 F학점을 받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결국 해당 학생들은 삼성장학금 등이 짤리고 학부제 전공진입도 자기가 원하는 과를 못 가는 사태를 맞이하여 이를 지켜본 성균관대 학생들은 꼬시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이에 카와이 신스케 교수는 재평가받았다.
- 국제적인 종합 평가로는 2023년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36위(일본 2위), 2023년 CWUR에서 26위, 2021년 ARWU에서 37위 등을 기록하고 있다. 학술 연구 성과 지표인 네이처 인덱스에선 세계 랭킹 2022년 42위(일본 2위) 등이다. 출신 인물에 대한 국제적인 평가의 경우, 세계 고용선호대학 평가 GEURS 세계 대학 랭킹에서는 2021년 43위, 2022년 42위 등을 차지하고 있다.
- 교토대학은 일본의 슈퍼글로벌대학으로 지정되어 있어 학부/연구과를 졸업하고 일본 고도인재 외국인 대상 포인트 우대제도 신청 시 가산점 10점을 받을 수 있다.[34]
- 매년 졸업식 때 학생들이 작정하고 코스프레 복장으로 졸업식을 진행하고 있다. 해당 영상을 보면 치타맨과 샤아 아즈나블도 있다. 1996년 졸업식. 역시 비범하다. 2017년 졸업식 때는 박근혜 퇴진 촛불집회 때 사용한 피켓 등을 코스프레한 용자도 나타났다.# 썰에 의하면 한국에서 1년 정도 유학한 일본인이라고 한다. 또한 학교 문화제 때도 작정하고 코스프레 차림으로 메인 교정 같은 곳에서 단체로 춤을 추기도 한다.[35]
- 교토대는 매년 11월마다 열리는 학교 축제인 11월제(11月祭, November Festival, 약칭 NF)의 테마를 기괴하게 정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그 역사와 전통은 아래와 같다. 사실 1959년 첫 개최 이래 1970년대에 이르기까지의 축제 테마는 축제라기보다는 사실상의 대규모 반전평화 집회였으며 상당히 진중했다. 하지만 1980년을 기점으로 학내 좌익의 목소리가 약해지기 시작하면서 축제 테마가 기이해지기 시작한다. 본격적으로 맛이 가기 시작한 때는 진지했던 이전까지의 주제와는 달리 척 봐도 뭔가 이상해진 게 느껴지는 1982년부터. 그런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면 별로 재미는 없다고 한다.
- 1959년 제1회 - 전후파의식(戦後派意識)의 해명
- 1960년 제2회 - 독점자본주의사회에 있어 마조히즘과 사디즘의 의식
- 1961년 제3회 - 졸음의 계절에 있어 우리의 인사
- 1962년 제4회 - 고향상실의 시대와 우리들
- 1963년 제5회 - 뭘 먹을 땐 말을 생각하지 마라
- 1964년 제6회 - 아아, 자연사(自然死) - 이 내추럴한 것
- 1965년 제7회 - 새로운 역사는 우리의 손으로, 다가오는 폭풍, 해신의 목소리를 뛰어넘어, 진실을 찾는다. 함께 생각하며 전진하자 진정한 학문문화를 추구하며
- 1966년 제8회 - 청년이여, 그 눈망울로 진실을 보라
- 1967년 제9회 - 뿌리자, 대학에 새로운 씨앗을. 쌓아가자 인류의 지혜. 울려라 드높은 창조의 뿔피리. 밀려드는 전화(戰火)의 폭풍을 날려버려라 나아가라 다져라 반전자유의 길
- 1968년 제10회 - 사색에서 연대로! 종장. 영결의 아침 - B52. 그대들의 조국 70년 6월 23일. 벗이여, 그대와 일본해방의 날은 가깝다
- 1969년 제11회 - 스스로의 손으로 새로운 대학의 창조를, 교토대에서 진실의 목소리를, 그리고 연대를, 일본의 새 아침을 향해...
- 1970년 제12회 - 역사의 시련에 응하려 하는 우리들. 잃어버린 격류 속에서 과학자의 눈을! 거짓의 고고함에 이별을 고하라. 인민의 연대에 숨을 불어넣자. 그대의 그 날쌔고 사나운 팔로
- 1971년 제13회 - 어둠을 찢고 불타오르는 봉화. 주시하라! 지금 이 때, 허식에 가득찬 성곽이 모습을 나타냈다. 분쇄하라! 벗이여, 끓어오르는 분노를 담아...
- 1972년 제14회 - 폭풍우를 뚫고 불타번지는 변혁의 불꽃 역사에 묻고자 하는 우리 갈고 닦아라! 이성의 눈 살아있는 사고, 만들자! 새로운 대학 그리고 새로운 과학
- 1973년 제15회 - 창조의 불을! 연대의 고리를! 지금이야말로 그대의 손에 반전ㆍ자유의 노래
- 1974년 제16회 - 지금 모순 속에서 외침이 ─ 자, 자네는 어쩔 것인가. 인류부재의 위기적 현실. 그 근원과 배경
- 1975년 제17회 - 흐름 속. 움직이지 않는 것을 찾아
- 1976년 제18회 - 불태우자! 새로운 문화의 불꽃을. 갈고닦자! 젊은 지성을. 학술문화의 격류여 쌓아가라! 젊은이의 미래를!
- 1977년 제19회 - 내일을 살아가는 우리. 미래를 믿고 돌진하라. 만들어라, 학생의 마을을. 쌓아라, 학생의 문화를
- 1978년 제20회 - 뒤바꿔라, 인류의 역사를. 바라보자, 청년의 미래를. 되돌리지 마라, 역사의 수레바퀴. 우리의 문화는 우리의 손으로
- 1979년 제21회 - 지금 새로운 시대를 향하는 동료들이여. 수백 년을 내포한 사상을 가져보지 않겠는가
- 1980년 제22회 - 벗이여! 이 변혁의 때. 시대의 태동에 귀를 귀울여 함께 연주하자 희망의 교향악을
- 1981년 제23회 - 지금, 전쟁과 평화의 대립하는 때. 80년대의 갈 길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우리 손에
- 1982년 제24회 - 풀뿌리도, 꽃도 피면 무릎꿇고 손마주쳐 기도하며 목메어 운다 사람은 과거로 돌아갈 수 없다 피-피-햐라라 피-햐라라
- 1983년 제25회 - 만성일경, 극제색, 시끌벅적 않는 백성에게, 재미없음
- 1984년 제26회 - 바다를, 거친 바다를 바라보던 그녀는 중얼거렸다 "나는 누구?"
- 1987년 제29회 - 흰 유방 위의 11월
- 1988년 제30회 - 뒤에서 들여다보면 보인다.
- 1989년 제31회 - 타락으로의 유혹.
- 1990년 제32회 - ....그리고 창조 - 풀뿌리에서 태어나는 르네상스.
- 1991년 제33회 - 하면 발광, 안 하면 비겁.
- 1992년 제34회 - 다른 사람들이 오른쪽이라면 나는 왼쪽.
- 1993년 제35회 - 꽃도 열매도 있다, 뿌리도 잎도 없다
- 1995년 제37회 - 나는 교토대생이로소다. 이성은 더 이상 없다.[36]
- 1996년 제38회 - 지성과 우매함의 융합
- 1997년 제39회 - 미치는 것은 한 때의 수치, 미치지 않는 것은 평생의 수치.[37]
- 1998년 제40회 - 타락의 길도 한 걸음부터.
- 1999년 제41회 - 멋진 쓸데없는 에너지.
- 2000년 제42회 - 무인도 댄스.
- 2001년 제43회 - 그건 그거고 이건 이거.
- 2002년 제44회 - 총장! 교토를 점거했습니다!
- 2003년 제45회 - 역시 교토대.
- 2004년 제46회 - 넘어질 때는 앞으로.
- 2005년 제47회 - 모처럼이니까.
- 2006년 제48회 - 흘러넘치는 재능의 낭비.
- 2007년 제49회 - 만끽! 모라토리엄
- 2008년 제50회 - 학점보다 중요한 무언가를 찾아서
- 2009년 제51회 - 잃어버린 상식 대신에
- 2010년 제52회 - 분류할 수 없는 낭비가 있다
- 2011년 제53회 - 1년에 한번하는 발전계획
- 2012년 제54회 - NF, 출석점 있나 말입니다?
- 2013년 제55회 - 교토대를 되찾는다. 대학의 이상, 모습을 이야기 하는 것은, 학생입니다.
- 2014년 제56회 - 「 」[38]
- 2015년 제57회 - 이 바보... 내가 옆에 있잖아!
- 2016년 제58회 - ぽきたw 魔剤ンゴ!? ありえん良さみが深いw 京大からのNFで優勝せえへん? そり!そりすぎてソリになったw や、漏れのモタクと化したことのNASA✋ そりでわ、無限に練りをしまつ ぽやしみ〜[39][오타쿠]
- 2017년 제59회 - 전쟁에 가담한 대학에서 평화를 희구하는 대학으로. 군사연구할 틈이 있으면, 모두 어깨동무하고 놀기나 하자고!
- 2018년 제60회 - NF 테마는 당국에 의하여 철거되었습니다.
- 2019년 제61회 - 헛소리 하지 말고, 헛소리 하라고
12.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05b, #00205b)" {{{#!wiki style="margin: -7px" | <tablebgcolor=#00205b><tablebordercolor=#00205b>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이 까닭에 당시 경성제국대학의 약칭은 '경대(京大)'가 아닌 '성대(城大)'였다.[2] 각 대학별 노벨상 수상자 통계 참고. 위 수치는 세계 일반적으로 세는 방법인 동문, 연구원, 교원 수를 전부 합한 기준.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인 학, 석, 박사호 취득 대학으로 카운트하면 아시아 2위로, 8명을 배출했다. University Count가 따로 존재할 경우 그 수치를 존중하는 경우도 있음.[3] 인문 사회의 경우 철학과 동양사학을 중심으로 중문학, 불문학, 법학, 경제학 등.[4] 일본의 두 번째 제국대학.[5] '아홉겹'이란 수도의 중심에 겹겹이 둘러싸인 궁궐을 뜻하는 코코노에(九重,ここのえ)의 의미를 겸하는 은유적 표현이다. 학교가 위치한 교토는 지금의 도쿄에 해당하는 에도 천도 이전까지 약 천 년간 일본의 수도이자, 천황의 거처가 있는 곳이었다. 한국이나 중국에서도 흔히 구중궁궐(九重宮闕)이라는 표현이 쓰이곤 하는데 코코노에(한자로 '구중')는 바로 여기에서 유래한 단어다.[6] 사실 구 제국대 경제학부 중에서 역사가 깊음에도 불구하고 조금 위상이 밀린다.[7] 현재는 쓰이지 않는 표현이다.[8] 수상자의 약 50%가 노벨상을 수상하였다.[9] 같은 강의실에 계속 앉아서 여러 교수님이 돌아가면서 가르치는 것은 결국 똑같다. 실습할 때는 다른 건물로 이동하기도 하지만. 이론은 B동의 4층의 대형 강당 혹은 기념강당에서 주로 수업한다.[10] 2016년 기준 교토대학 홈페이지의 메인 페이지에는 학내의 주요 연구성과만을 모아 하나씩 게재하여 주고 있는데, 의학연구과에서 나온 정말 굵직굵직한 게재 논문이 거의 매주 갱신되고 있다.[11] 한국의 주요대형병원, 예를 들어, 서울시 연건동에 위치한 서울대학교병원의 1,700병상이나 서울성모병원의 1,300병상과 비교해서는 적어보일지 모르나, 교토시는 고작 인구 144만명의 지방도시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대전광역시에 병상규모가 빅5급인 병원이 들어선 것과 마찬거지.[12] 약대가 설치된 대학이 너무 많아 약사로서 가질 수 있는 메리트가 그다지 많지 않다.[13] 물론 농학부가 약한 건 아니다. 입결에서 농학부 일부 학과는 웬만한 과를 앞선다.[14] MBA과정은 이 대학원에서 담당한다. 박사과정도 존재한다.[15] 그 참상 참고로 실제 오리타선생상은 박물관에 있다. 그러나 2021년도부터는 학교 측에서 설치하자마자 철거를 요구하는 경고문을 붙이고 있어서 학교 측이 욕을 먹고 있다. 2021년엔 총장의 성과 이름이 같은 미나토 아쿠아, 2022년엔 후와 미나토 총장상이 따로 세워져서 여기에도 학교 측에서 철거 요구 경고를 붙였는데 후자는 총장이 대노했는지 두 장이나 붙였다(...).[16] 1949년 물리학상. 교토대학에는 유카와 기념관이 있다.[17] 고베대학 의학부 졸업, 오사카시립대학 의학 박사. 쥐를 이용한 iPS 세포의 유도제작까지는 교토대학과 연관이 없고 NAIST에서 했다. 이후 인간 세포를 이용한 iPS 세포의 유도제작은 교토대학으로 이직한 뒤에 이루어졌다.[18] 신만이 아는 세계로 히트치기 전까지 니트질한 작가 와카키 타미키도 이 대학 입학자였다.[19] 사가와 잇세이.[20] 그 흉상에 누가 공물까지 바쳤다고 하는데 결국 철거되었다.[21] 도쿄대 법학부가 좌익적인 성향이 있어서 상대적으로 교토대 법학부는 우익성향이다라는 카더라가 있는데 사실 이는 1933년 다키가와 의원면관 사건으로 진보주의적이던 교토제국대학 법학부가 한번 박살이 났기 때문이다. 그 자리를 메꾼 게 당시 도쿄제국대학(=즉 교다이보다 훨씬 근왕파적이고 제국주의적인) 출신들이었다. 도쿄제대 출신 무라타 같은 교수들이 다키가와가 그만둔 형법강의에서 자신의 주관주의적 형법 독본을 자신만만하게 읽어내려갔다는 학부생의 증언이 있다(장경학, 법학부 37학번.).[22] 2015년도 입학자 까지는 불가 학점 혹은 F 학점을 딴 과목이 자동으로 성적표에서 사라졌다.[23] 사실 일부 학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학부들이 유학생 수용에 소극적이다. 물론, 일반 선발로 오겠다는 외국인을 막거나 차별하지는 않는다. 위에서도 말했다시피 중국인의 경우 일반 선발로 입학사는 사람이 어느 정도 되는 편이다. 다만 유학생이 적다고 해도 교환학생으로 오는 단기유학생 및 대학원에서 오는 유학생들을 합치다 보면 생각보다 유학생 수가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편이다. 한국인도 찾아보면 도처에 숨어있고 중국인은 그 압도적인 수와 뭉치는 성향으로 군단을 이루고 다닌다. 그 외에도 많은 나라 다양한 인종의 학생들이 캠퍼스 곳곳을 지나다닌다.[24] 원래 경제학부는 외국인 유학생 특별 선발을 실시했으나 2021년도부터 외국학교 출신자 전형으로 갈아타면서, 현역생~재수생까지만 지원자격을 부여하고 있다.[25] 중국인 유학생 급증으로 이제까지 쉽다고 여겨진 문부과학성 장학금 학교추천도 요즘에는 박터진다. 학교내 1차 선발에서 각 학부 또는 연구과에서 딱 1명씩 추천하여 교내 2차 선발에서는 학부/연구과끼리 경쟁하기때문에 유학생이 가장 많은 공학계열 학부 추천은 헬이다. 그렇게 경쟁하여 5-6명정도가 교토대 추천을 받고 그중에서 약 3-4명정도가 문부과학성 장학금을 받게 된다.[26] 한 학부에는 2~10개 정도의 학과가 있고, 한 학과에 5~10개 정도의 전공이 있고 그 전공에는 10~20개 정도의 연구실이 부속되어 있다. 즉, 꽤나 다양한 주제 중 선택하여 심화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27] 졸업논문을 위한 연구를 제외하고도, 평소 학과공통 실험 같은 것을 다 합치면 어쩌면 한국 석사보다 실험기간만큼은 더 길지도 모른다.[28] 당시 입시 경쟁률
[29] 꽃가루 소녀 주의보[30] 아이돌 마스터 작곡가[31] 애초에 원작자인 모리미 토미히코도 이 학교 출신이고, 작가가 쓴 대부분의 소설의 배경 역시 교토다. 작가가 말하길 아버지가 교토대엔 이상한 놈들이 잔뜩 있다는 소리를 듣고 바로 이 학교로 가기로 했다고.[32] 근데 사실 다른 지역 찍고 교토대 시계탑만 합성한거다. 교토대에 촬영할 만큼 건물이 예쁜 곳이 별로 없어서.[33] 대학원은 옥스퍼드 대학교를 나왔다.[34] 즉, 해당 대학 졸업 시 어지간하면 요건 점수 70점을 바로 채우게 되어 있어서 일본 영주권이 빠른 시간으로 나온다.[35] 영상에 나온 캐릭터들은 도검난무-ONLINE-의 캐릭터들이다.[36]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첫 구절의 패러디. 그런데 나쓰메 소세키는 교토대와는 라이벌인 도쿄대학 출신이다. 응?[37] 질문하는 것은 잠시의 수치, 질문하지 않는 것(모르는 것)은 평생의 수치라는 말의 패러디.[38] 오타가 아니고 정말로 공백이다.[39] 급식체 같은 느낌.[오타쿠] 구문에서 二浪からのセイク를 京大からのNF로 치환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