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00:12:12

2021년 재보궐선거

4.7 재보궐선거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 선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종류 지난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제20대
2022년 3월 9일
제21대
2027년 3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2024년 4월 10일
제23대
2028년 4월 12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전국동시지방선거 제8회
2022년 6월 1일
제9회
2026년 6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재보궐선거 2024년 상반기
2024년 4월 10일
2024년 하반기
2024년 10월 16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부통령 선거 제5대
1960년 3월 15일
폐지*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민투표 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
{{{#!folding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 폐지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이후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능
}}}}}}}}}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2021년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일 : KST 2021년 4월 2일 ~ 3일 (매일 6시 ~ 18시)
투표일 : KST 2021년 4월 7일 6시 ~ 20시
선거지역
(후보)
선거 전 예상변수
여론조사
(서울·부산)
선거방송출구조사
개표
(서울 · 부산)
정당별 결과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민생당)
지역별 결과
(서울 · 부산)
2021년 재보궐선거
출구조사 영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0px"
2020년 재보궐선거 2021년 재보궐선거 2022년 3월 재보궐선거
}}}}}} ||
선거 결과
<rowcolor=#00a495> 정당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석* 2석 5석 6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0석 0석 2석 2석


[[무소속(정치)|
무소속
]]
0석 0석 1석 1석
,* 장관급 광역자치단체장 포함,
1. 개요2. 상세 내용3. 선거 일정4. 선거 지역5. 후보6. 선거 전 예상7. 변수8. 선거방송9. 여론조사10. 출구조사11. 투표 결과
11.1. 사전 투표율11.2. 투표율11.3. 투표율 분석
12. 개표 결과13. 사건 및 사고14. 기타1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투표참여 대국민행동수칙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1년 재보궐선거 정책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1년 재보궐선거 투표참여 #
2021년 4월 7일에 실시한 대한민국재보궐선거다. 주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교육감 등의 선출직 공직 가운데 2021년 2월 28일까지 궐위된 곳[2]에서 선거가 치러진다. 대표적으로 서울특별시장부산광역시장을 선출하였다.

선거 당일 기준 18세 이상인 2003년 4월 8일 이전에 출생하여 재보궐선거에 해당하는 선거구의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사람이 투표권을 가진다.[3]

이 선거에서의 국민의힘의 완승은 20대 총선에서부터 이어져온 더불어민주당의 승승장구에 찬물을 확 끼얹었고, 그렇게 바뀐 흐름은 이듬해 20대 대선에서의 정권 교체와 8회 지선에서의 국민의힘의 대승으로까지 이어진다. 이 선거로 시작된 국민의힘의 호조는 이후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에서 민주당이 대승하면서 깨진다.[4]

2. 상세 내용

21대 총선에서 1년도 지나지 않아 시행되는 선거라 국회의원 재보선은 몇 석 생기지 않을 걸로 예상되었고, 실제로 단 한 석도 성사되지 않았다. 기초단체장 재보선 역시 PK에서도 보수세가 특히 강한 일부 지역에서만 확정되어서 주목도가 낮았다. 원래대로라면 구청장, 군수 1명씩과 지방의원 몇 명 정도나 뽑는 소규모 선거가 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오거돈 성추행 사건으로 인해 가해자인 오거돈부산광역시장[5] 임기 도중 사퇴했고 박원순 성폭력 사건의 가해자인 박원순서울특별시장이 임기 중 돌연 자살로 생을 마감하면서 상황이 급변한다. 대한민국의 수도제2의 도시의 시장 자리가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장들의 성폭력 사건으로 인해 동시에 궐위하는 초유의 사태가 터지면서, 한순간에 거대 양당 모두 전력을 다해서 반드시 승리해야 할, 그야말로 전국 단위급 규모의 초대형 선거로 상황이 바뀐 것이다. 200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이후 17년 만에 판이 커졌는데, 다시 뽑는 광역자치단체장 수는 2004년 상반기의 절반인 2곳이지만, 유권자 수 면에서는 이쪽이 더 많아서 그만큼 규모도 더 크다.

대한민국의 제1, 2도시이자 인구수 2, 3위의 경합지역 광역지자체장의 재보선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며 이렇게 되면 960만 서울 시민[6]과 340만 부산 시민[7]까지 대한민국 인구 4분의 1의 민생과 직결된 대규모의 재보궐 선거가 되면서 2022년에 있을 20대 대선의 전초전 성격을 띠게 되어 미니 대선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선거의 중요성이 급상승했고, 양당 모두 사활을 걸고 임해야 할 상황이 되었다.

위와 같이 규모와 중요성이 큰 선거로 예상되고 있기에 출구조사를 진행하기로 결정됐다. 이미 박원순서울시장이 처음 당선된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서울시장 선거에서 출구조사가 진행된 바 있다.

3. 선거 일정

파일:2021년재보궐선거 주요사무일정.png
서울이나 부산 등 선거 실시지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으나 타지에서 대학을 다니는 등의 이유로 선거일 혹은 사전투표 기간에 본가로 가기 어려울 경우, 거소투표로써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및 관할 구청 웹사이트에서 거소투표신고서 양식을 다운로드 받아,[8] 3월 20일 18시까지 주민등록지 관할 구청이나 읍/면/동사무소로 송부한다. 그러면 거소(학교 기숙사 등)로 투표용지를 발송해 주며, 투표용지에 볼펜 등으로 기표하고 회송용 봉투에 넣어 우편발송하면 끝난다.

우편요금은 수취인(국가/지자체) 부담. 단, 거소가 선거 실시지역 안에 있을 경우, 거소 주변의 사전투표소에 방문하여 사전투표를 하면 된다.[9]

4. 선거 지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재보궐선거/선거 지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1년 재보궐선거 지역구
광역자치단체장
서울<colbgcolor=#fff,#1f2023>서울특별시장더불어민주당 박원순 사망 (보궐)
부산부산광역시장더불어민주당 오거돈 사퇴 (보궐)
기초자치단체장
울산남구청장더불어민주당 김진규 당선 무효 (재)
경남의령군국민의힘 이선두 당선 무효 (재)
광역의회의원
서울강북구 제1선거구더불어민주당 김동식 당선 무효 (재)
경기 구리시 제1선거구더불어민주당 서형열 사망 (보궐)
충북보은군 선거구무소속 박재완 사퇴 (보궐)
전남순천시 제1선거구더불어민주당 김기태 사망 (보궐)
고흥군 제2선거구더불어민주당 박금래 사망 (보궐)
경남고성군 제1선거구더불어민주당 이옥철 당선 무효 (재)
의령군 선거구국민의힘 손호현 사퇴 (보궐)
함양군 선거구국민의힘 임재구 사망 (보궐)
기초의회의원
서울영등포구 바선거구더불어민주당 허홍석 당선 무효 (재)
송파구 라선거구더불어민주당 김장환 사망 (보궐)
울산울주군 나선거구더불어민주당 박정옥 사망 (보궐)
경기파주시 가선거구민중당 안소희 피선거권 상실 (보궐)
충남예산군 라선거구국민의힘 유영배 당선 무효 (보궐)
전북김제시 나선거구무소속 온주현 사퇴 (보궐)
전남보성군 다선거구더불어민주당 정광식 피선거권 상실 (보궐)
경남의령군 다선거구국민의힘 손태영 사퇴 (보궐)
함안군 다선거구국민의힘 김정선 피선거권 상실 (보궐)

5. 후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재보궐선거/최종 후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선거 전 예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재보궐선거/선거 전 예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변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재보궐선거/변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선거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재보궐선거/선거방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론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재보궐선거/여론조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출구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재보궐선거/출구조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투표 결과

11.1. 사전 투표율

일자·시간별 사전 투표율[10]
선거인 수: 12,161,624명
4월 2일
<rowcolor=#373a3c,#ddd> 시간 투표자 수 누적 투표율
<colbgcolor=#f5f5f5,#2d2f34> 7시 36,949 0.30%
8시 76,046 0.63%
9시 132,075 1.09%
10시 223,040 1.83%
11시 332,736 2.74%
12시 438,345 3.60%
13시 540,569 4.44%
14시 654,456 5.38%
15시 773,468 6.36%
16시 888,986 7.31%
17시 1,003,442 8.25%
18시 1,112,167 9.14%
4월 3일
<rowcolor=#373a3c> 시간 투표자 수 누적 투표율
7시 1,151,427 9.47%
8시 1,207,756 9.93%
9시 1,285,108 10.57%
10시 1,396,648 11.48%
11시 1,526,794 12.55%
12시 1,657,264 13.63%
13시 1,776,918 14.61%
14시 1,906,576 15.68%
15시 2,045,133 16.82%
16시 2,187,785 17.99%
17시 2,335,505 19.20%
18시 2,497,959 20.54%

지역별 최종 사전 투표율
<rowcolor=#373a3c,#ddd> 지역 선거인 수 사전투표자 수 투표율
<colbgcolor=#f5f5f5,#2d2f34> 서울 8,425,869 1,849,324 21.95%
부산 2,936,301 547,499 18.65%
울산 344,488 41,803 12.13%
경기 203,758 13,402 6.58%
충북 29,212 5,420 18.55%
충남 15,921 2,596 16.31%
전북 20,825 2,466 11.84%
전남 86,735 15,316 17.66%
경남 98,515 20,133 20.44%

이전 선거 사전투표율과 비교
1일차
<rowcolor=#373a3c,#e5e5e5> 시간 2017
대선
2018
지선
2020
총선
2021
재보선
<colbgcolor=#f5f5f5,#2d2f34> 7시 0.35% 0.34% 0.41% 0.30%
8시 0.76% 0.69% 0.86% 0.63%
9시 1.39% 1.24% 1.51% 1.09%
10시 2.38% 2.04% 2.52% 1.83%
11시 3.53% 2.92% 3.72% 2.74%
12시 4.64% 3.71% 4.90% 3.60%
13시 5.80% 4.49% 5.98% 4.44%
14시 7.06% 5.39% 7.19% 5.38%
15시 8.28% 6.26% 8.49% 6.36%
16시 9.45% 7.09% 9.74% 7.31%
17시 10.60% 7.90% 10.93% 8.25%
18시 11.70% 8.77% 12.14% 9.14%
2일차
시간 <rowcolor=#373a3c,#ddd> 2017
대선
2018
지선
2020
총선
2021
재보선
7시 12.06% 9.13% 12.65% 9.47%
8시 12.50% 9.54% 13.25% 9.93%
9시 13.15% 10.14% 14.04% 10.57%
10시 14.15% 10.98% 15.16% 11.48%
11시 15.44% 11.97% 16.46% 12.55%
12시 16.82% 12.99% 17.80% 13.63%
13시 18.17% 13.98% 19.08% 14.61%
14시 19.66% 15.10% 20.45% 15.68%
15시 21.22% 16.28% 21.95% 16.82%
16시 22.78% 17.48% 23.46% 17.99%
17시 24.34% 18.72% 24.95% 19.20%
18시 26.06% 20.14% 26.69% 20.54%

11.2. 투표율

시간별 투표율[11][12]
주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시도지사 결과표만 제대로 나옴.[13]
선거인 수: 12,161,624명
시간 <rowcolor=#373a3c,#ddd> 시간별
투표수
누적
투표수
누적
투표율
출처
<colbgcolor=#f5f5f5,#2d2f34> 7시 178,561 178,561 1.5% #
8시 267,514 446,075 3.7% #
9시 313,615 759,690 6.2% #
10시 341,336 1,101,026 9.1% #
11시 381,811 1,482,837 12.2% #
12시 342,031 1,824,868 15.0% #
13시[14] 2,836,696 4,661,564 38.3% #
14시 286,993 4,948,557 40.6% #
15시 268,889 5,217,446 42.9% #
16시 263,098 5,480,544 45.1% #
17시 266,405 5,746,949 47.3% #
18시 267,842 6,014,791 49.5% #
19시 299,293 6,311,084 51.9% #
20시 556,386 6,867,470 55.5% #
지역별 투표율
<rowcolor=#37313c,#ddd> 지역 선거인 수 투표자 수 총 투표율
서울 8,425,869 4,903,624 58.2%
부산 2,936,301 1,547,296 52.7%
울산 344,488 132,234 38.4%
경기 203,758 48,652 23.9%
충북 29,212 13,591 46.5%
충남 15,921 7,368 46.3%
전북 20,825 6,693 32.1%
전남 86,735 34,701 40.0%
경남 98,515 52,230 53.0%
투표율 최저 지역은 파란색, 투표율 최고 지역은 빨간색으로 표기.

이전 선거 투표율과 비교[15][16]
<rowcolor=#373a3c,#ddd> 시간 2011
서울
2017
대선
2018
지선
2020
총선
2021
재보선
<colbgcolor=#f5f5f5,#2d2f34> 7시 2.1% 2.5% 2.2% 2.2% 1.5%
8시 6.2% 5.6% 4.6% 5.1% 3.7%
9시 10.9% 9.4% 7.7% 8.0% 6.2%
10시 15.5% 14.1% 11.5% 11.4% 9.1%
11시 19.4% 19.4% 15.7% 15.3% 12.2%
12시 22.7% 24.5% 19.7% 19.2% 15.0%
13시 26.8% 55.5% 43.5% 49.7% 38.3%
14시 29.5% 59.9% 46.8% 53.0% 40.6%
15시 32.0% 63.7% 50.1% 56.5% 42.9%
16시 34.7% 67.1% 53.2% 59.7% 45.1%
17시 37.2% 70.1% 56.1% 62.6% 47.3%
18시 39.9% 72.7% 60.2% 66.2% 49.5%
19시 42.9% 75.1% 51.9%
20시 48.6% 77.2% 55.5%

11.3. 투표율 분석

파일:Screenshot_20210922-164740_Chrome.jpg
파일:2021재보선연령별분석.jpg

2021년 7월 선관위에서 투표율 관련 보고서를 제출했다. #

사전투표 투표율은 최종 20.54%를 기록했고, 7회 지선(20.14%)보다는 높게, 19대 대선(26.06%)과 21대 총선(26.69%)보다는 낮게 나왔다. 재보선 사전투표율로는 역대 가장 높은 수치이다.

이어 본투표에서도 최종 투표율이 55.5%를 기록하면서 50%의 투표율을 돌파해 재보선 역대 투표율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는 부산보다는 서울의 투표율이 더 높게 나왔으며, 70대 이상 고령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의 투표율이 남성보다 높았다.

서울, 부산시장 선거에서는 모든 연령과 성별집단에서 보궐선거 기준 최고 투표율이 나왔다. 다만 젠더이슈가 화두로 떠오른 20대 남녀 투표율은 과반에 미치지 않았고[17], 20대 남성의 투표율이 동나이대 여성 대비 더 낮게 나왔다. 젠더갈등과 20대 남녀 유권자 표심 해석을 놓고 각 당과 진영이 저마다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할 소지가 있어보인다. 향후 치러질 전국 단위 선거에서는 보다 쉬운 일반화 가능한 선거 결과가 도출될 것이다. 전국 단위 선거, 특히 대선은 투표율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12. 개표 결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재보궐선거/개표 결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1. 지역별 결과 분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재보궐선거/지역별 결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2. 정당별 결과 분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재보궐선거/정당별 결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사건 및 사고

14. 기타

선거 홍보 포스터
파일:2021년 재보궐선거 포스터.png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7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5. 같이 보기


[1] 제20대 대통령 선거와 동시 실시.[2] 일부 지역은 궐위사유가 발생함에도 미실시.[3] 민법 상 연령은 출생일부터 하루로 계산해서 생일 하루 전날 나이가 바뀌기 때문에 2003년 4월 8일에 태어난 사람도 이번 재보궐선거에서 투표가 가능하다.#[4] 그 이전에는 202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이 울산 남구의원을 따온 것을 사실상 판정승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5] 소속 정당에서도 제명되었다.[6] 유권자 수 842만 5869명[7] 유권자 수 293만 6301명[8] 관공서 홈페이지 특성상 익스플로러로 들어가는 게 편하다.[9] 예시로, 인서울 대학교를 다니는 부산광역시 출신 학생이라면 사전투표 기간에 기숙사나 자취방 근처의 사전투표소 아무 곳이나 찾아가서 투표하면 된다.[10] 사전투표상황은 해당시간의 ‘10분 전’에 집계된 자료입니다. (18:00 제외)[11] 투표상황은 해당시간의 정각에 집계된 자료입니다.[12] 각 시간별 투표자 수는 잠정 투표자 수입니다.[13] 이번 선거는 서울, 부산시장 외에 타 선거 투표자 수가 선관위 홈페이지에서 제대로 집계되지 않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시도지사 결과값만 메인에 표출되고 나머지 시군구청장, 시도의원, 시군구의원 선거는 별도 메뉴에 따로 정렬돼 있다. 이 때문에 시군구청장, 시도의원, 시군구의원 선거를 전부 포괄한 전체 재보선 투표율은 1시간마다 나오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련 연합뉴스, 뉴시스, 뉴스1 등 관련 보도를 직접 확인해야 한다.[14] 13시부터 사전투표, 거소투표 투표자 수 합산 시작. 누적 투표수에 포함되어 반영됨.[15] 사전투표, 선상투표, 거소투표, 재외선거의 투표수 합산 시작. 누적 투표수에 포함됨.[16] 2011 재보궐선거 투표율 중 서울의 투표율만 기재. 연합뉴스8시 투표율10시 투표율[17] 투표장에 나오지 않은 기권자가 더 많다는 말이다.[18] 연합뉴스 기사에서 정강이를 걷어찼다는 부분이 있다. 링크 #2 참고.[19] 17통, 18통, 20통 1~2반 제외.[20] 의령군수, 경남도의원.[21] 의령군수, 경남도의원, 의령군의원.[22] 사실 이번 선거에 나가 당선되는 3인 모두에겐 정말 좋은 기회이다. 결국 많은 지방 정치인들의 최종 목표는 국회의원일 텐데, 말단 기초의원부터 국회의원 공천을 받으려면 사실상 기초의원→광역의원→기초단체장 2~3선의 커리어를 쌓는 게 보통이기 때문에, 최소 12년은 넘게 걸릴 것이다. 하지만 이번 재보궐선거를 통해 그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당선인들에겐 정말 좋은 기회라고 할 수 있다.[23] 2011년 박원순, 2021년 오세훈[24] 사실 부산시장 자리는 1995년 광역시 개칭 이후로 서울대와 고려대 출신들이 줄곧 나눠먹고 있다. 서병수 시장만 서강대 출신.[25] 박형준과 김영춘은 고려대 2년 선후배로, 박형준이 문예부(문학 동아리) 회장을 할 때 신입생 김영춘이 신입 부원으로 들어와 박형준이 많이 데리고 다니면서 친해져 박형준이 자신이 살던 자취방을 김영춘에게 물려주기도 했다고 한다.[26] 오세훈은 자진 사퇴, 박원순은 성추행자살.[27] 실제로 고려대학교 교우회에서 박형준, 오세훈, 김영춘 교우의 서울·부산시장 후보 선출을 언급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28] 예외적으로 1년 전의 21대 총선에서 광진을 지역구에 출마 여성 후보인 고민정에 패했지만, 이번 보궐선거에서 광진구에서도 박영선을 앞서는 득표율을 기록해 간접적으로 설욕했다.[29] 최초 캡쳐 이후 광주사랑방부동산 '광사부 내집갖기'로 카페명을 변경하였다.[30] 네이버 검색을 통해 접근하면 확인이 가능하다.[31] 박원순 전 서울시장은 자살하지 않았어도 민선 5기인 2011년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민선 6,7기까지 연임해 어차피 8회 지선에는 출마가 불가능한 상태였다.[32] 심대평충남지사가 4선 광역단체장, 우근민제주지사가 5선 광역단체장을 지내긴 했지만 심 전 지사는 첫 번째 집권은 노태우 전 대통령에 의한 관선직으로 시작했고 민선은 나머지 3선 연임으로 끝냈으며 우 전 지사도 노태우 전 대통령에 의한 관선직으로 시작해 김영삼 전 대통령까지 연임했으며 민선으로 재선을 했다가 중간에 쉬고 3선이 되었다. 즉 민선직에 당선되었다가 잠시 물러난 후 다시 당선된 사례가 오세훈이 처음은 아니지만, 민선만으로 4선이 된 사례는 광역자치단체에서는 현재까지 전무하다.[33] 한편 박영선과 같은 MBC 출신인 배현진(송파구 을)은 오세훈 지원 유세에 참여했다.[34] 둘 다 박씨와 오씨의 근본이자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밀양 박씨해주 오씨이기도 하다. 두 명의 박 시장이 모두 종교가 딱히 없는 무종교인 것도 비슷하다.[35] 박씨는 본관이 여러 개가 있지만(밀양, 반남, 함양 등....) 전부 박혁거세 계열이다. 오릉 문서 참조.[36] 사실 좀 다른점을 꼽자면 이 선거는 재보궐선거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