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12:43:32

루 리드

Lou Reed에서 넘어옴
파일:루 리드 로고.png
Lou Reed Discograph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Lou_Reed.jpg
파일:transformer.jpg
파일:Berlin.jpg
파일:Sally_Can't_Dance.jpg
파일:Metal_Machine_Music.jpg
Lou Reed
1972
Transformer
1972
Berlin
1973
Sally Can't Dance
1974
Metal Machine Music
1975
파일:Reed_Coney.jpg
파일:Rocnrolh.jpg
파일:Lou_Reed_-_Street_Hassle_front_cover.jpg
파일:Lrbells2.jpg
파일:Lrgrowingupinpublic.jpg
Coney Island Baby
1975
Rock and Roll Heart
1976
Street Hassle
1978
The Bells
1979
Growing Up in Public
1980
파일:Bluemask.jpg
파일:Legendary_Hearts_(Lou_Reed_album_-_cover_art).jpg
파일:NewSensations_reed.jpg
파일:Loureedmistrial.jpg
파일:Lou_Reed-New_York_(album_cover).jpg
The Blue Mask
1982
Legendary Hearts
1983
New Sensations
1984
Mistrial
1986
New York
1989
파일:Songs_for_Drella.jpg
파일:Magic_and_Loss_(Lou_Reed)_album_cover.jpg
파일:Setthetwilight.jpg
파일:Ecstasy_(Lou_Reed_album).jpg
파일:LRRaven.jpg
Songs for Drella
1990
Magic and Loss
1992
Set the Twilight Reeling
1996
Ecstasy
2000
The Raven
2003
파일:Hudson_River_Wind_Meditations.jpg
파일:Metallica_Lulu.jpg
Hudson River Wind Meditations
2007
Lulu
2011
}}}}}}}}}
루 리드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파일:The_Velvet_Underground(Logo).png


{{{#!wiki style="margin: 0 -5px -0px;
{{{#000 {{{#!folding [ Discography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1967_velvetundergroundandnico.jpg
파일:1968_whitelightwhiteheat.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UXnjsolkL._SL1200_.jpg
파일:81-MKn0he4L._SL1425_.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91gGzLOqu3L._SL1500_.jpg
The VU & Nico
1967
White Light/White Heat
1968
The Velvet Underground
1969
Loaded
1970
Squeeze
1973
}}}}}}}}}}}}
}}}}}}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름 루 리드
LOU REED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개인자격)
입성 연도 2015년
후보자격 연도 1998년
후보선정 연도 2000년, 2001년, 2015년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어클레임드 뮤직의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기본적으로 역사상의 앨범/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형식의 사이트이지만,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rowcolor=#fff>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밥 딜런롤링 스톤스데이비드 보위브루스 스프링스틴
<rowcolor=#fff>6위7위8위9위10위
라디오헤드레드 제플린닐 영프린스비치 보이스
<rowcolor=#fff>11위12위13위14위15위
R.E.M.엘비스 프레슬리칸예 웨스트더 후U2
<rowcolor=#fff>16위17위18위19위20위
마일스 데이비스벨벳 언더그라운드너바나더 클래시지미 헨드릭스
<rowcolor=#fff>21위22위23위24위25위
마빈 게이핑크 플로이드엘비스 코스텔로스티비 원더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시즈
<rowcolor=#fff>26위27위28위29위30위
마돈나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더 스미스마이클 잭슨밴 모리슨
<rowcolor=#fff>31위32위33위34위35위
토킹 헤즈켄드릭 라마아케이드 파이어아레사 프랭클린비요크
<rowcolor=#fff>36위37위38위39위40위
JAY-Z제임스 브라운톰 웨이츠존 콜트레인PJ 하비
<rowcolor=#fff>41위42위43위44위45위
킹크스퍼블릭 에너미버즈비스티 보이즈조니 미첼
<rowcolor=#fff>46위47위48위49위50위
벡 한센더 큐어존 레논도어즈LCD 사운드시스템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블러크라프트베르크레너드 코헨픽시즈루 리드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조니 캐쉬소닉 유스록시 뮤직오아시스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듀크 엘링턴더 밴드아웃캐스트다프트 펑크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사이먼 앤 가펑클프랭크 시나트라척 베리프랭크 오션비욘세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조이 디비전AC/DC윌코오티스 레딩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뉴 오더메탈리카화이트 스트라입스라몬즈더 폴리스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스투지스브라이언 이노엘튼 존뱀파이어 위켄드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섹스 피스톨즈매시브 어택레이 찰스스틸리 댄블랙 사바스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케이트 부시악틱 몽키즈찰스 밍거스패티 스미스포티스헤드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건즈 앤 로지스페이브먼트수프얀 스티븐스알 그린펑카델릭
101위 ~ 4112위: 공식 사이트}}}}}}}}}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1970년대 아티스트
89위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 2023년 빌보드 직원들이 록 밴드의 리드 싱어 50위를 선정했다. 따라서 솔로 아티스트는 포함되지 않았다. 링크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믹 재거 스티비 닉스 프레디 머큐리 로버트 플랜트 커트 코베인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데이비드 번 데비 해리 조지 클린턴 보노 액슬 로즈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로버트 스미스 로저 달트리 헤일리 윌리엄스 스티븐 타일러 크리시 힌드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마이클 스타이프 크리스 코넬 잭 화이트 캐슬린 한나 데이비드 리 로스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짐 모리슨 에디 베더 캐런 오 롭 핼포드 재니스 조플린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톰 요크 루 리드 앤서니 키디스 앤 윌슨 스티브 페리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로라 제인 그레이스 오지 오스본 구스타보 세라티 체스터 베닝턴 그레이스 슬릭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조 스트러머 그웬 스테파니 이기 팝 폴 매카트니 브리트니 하워드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리암 갤러거 세르이 탄키안 코트니 러브 제리 가르시아 코리 글로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폴리스티렌 폴 웨스터버그 데이브 그롤 루벤 알바란 잭 데 라 로차
같이 보기: 가장 위대한 프론트맨 · 가장 위대한 록 가수 · 가장 위대한 알앤비 가수 · 가장 위대한 래퍼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100대 기타리스트
81위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250대 기타리스트
89위

}}} ||
<colbgcolor=#000><colcolor=#fff> 루 리드
Lou Reed
파일:49b8173759e47ed5e74d1c7c11a932e4dc6a91f9.jpg
본명 Lewis Allan Reed (루이스 알란 리드)
출생 1942년 3월 2일
뉴욕 주 브루클린
사망 2013년 10월 27일 (향년 71세)
뉴욕 주 사우스햄튼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78cm
학력 시라큐스 대학교 (학사)
데뷔 1967년 3월 12일 벨벳 언더그라운드 정규 1집
(데뷔일로부터 [dday(1967-03-11)]일, [age(1967-03-11)]주년)

1. 개요2. 생애
2.1. 데뷔 전2.2. 벨벳 언더그라운드 활동2.3. 솔로 활동2.4. 사망
3. 음악적 특징4. 위상5. 여담
5.1. 괴팍한 성격5.2. 가장 까다로운 인터뷰 상대5.3. 양성애자5.4. 마약
6. 디스코그래피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img.wennermedia.com/rs-114883-20131028-loureed-x500-1382985092.jpg파일:lou_reed_perfect_sound.gif
미국싱어송라이터.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멤버였다.

2. 생애

2.1. 데뷔 전

뉴욕 주 브루클린에서 태어났고, 롱아일랜드 프리포트에서 자랐다. 러시아에서 이민 온 유대인 부모 밑에서 태어났는데, 회계사였던 루 리드의 아버지는 음악, 문화, 예술 이런 것에는 관심이 없이 그저 물질주의적이고 현실적이기만 한 성향이라서 루와는 상극이었다. 가족으로는 부모님 외에 여동생이 한 명 있는데, 루는 부모 특히 아버지와 사이가 늘 안 좋았지만 여동생은 루를 이해해주고 친했다고 한다.

10대 시절 엘비스 프레슬리 등의 로큰롤리듬 앤 블루스, 두왑 음악의 팬이었던 그는 라디오를 즐겨 듣고 기타 연습을 하며 실력을 쌓아 그가 다니던 고등학교의 두왑 그룹인 "Jades" 이외에도 여러 밴드에서 연주하기도 했다. 16살이 되던 해부터는 마약을 하기 시작했다. 이후 시라큐스 대학교에 진학했는데, 대학교 재학 시절에는 잠시 로큰롤보다도 오넷 콜먼의 프리재즈에 더욱 관심을 가지기도 했고, 현대 미국 문학에도 심취하였다. 특히 냉소적이고 쿨한 분위기로 유명한 하드보일드 탐정소설 작가인 레이먼드 챈들러에 굉장히 매료되어 한때는 챈들러처럼 하드보일드 탐정소설 작가를 꿈꾸기도 했다.[1] 나중엔 밥 딜런의 포크음악에 심취하기도 했다.

2.2. 벨벳 언더그라운드 활동

시라큐스 대학에서 친구 짐 터커[2]를 통해 스털링 모리슨을 만나게 되고, 둘은 서로 같은 음악적 취향을 공유하고 있음을 깨닫고 즉석적으로 친구가 됐다고 한다. 일거리를 찾던 도중 픽윅(Pickwick)이라는 레이블에서 전업 작곡가로 잠시 일하기도 했었다. 의뢰가 들어오면 기한 내에 수십곡의 양산형 곡을 써서 납품하는 방식이었는데 훗날의 인터뷰에서는 자신을 훈련하게 해준 직업이라 의외로 마음에 들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웨일즈에서 온 음악 학도인 존 케일을 만나서 그를 통해 라 몬테 영의 미니멀리즘 음악과 드론 음악 등 전위적인 현대음악을 접하게 됐다. 그들은 서로에게 자기가 좋아하는 음악을 소개해주기도 하고 같이 연주도 하는 음악 동료가 됐다. 셋은 앵거스 맥리스를 영입하여 1965년 벨벳 언더그라운드를 결성하고 1967년에 일명 바나나 앨범을 통해 데뷔하게 된다.

벨벳 언더그라운드가 뛰어난 음악성에도 불구하고 상업적으론 계속 실패하자 음악으로 먹고 살기는 힘들겠다고 판단해서 좌절하였고 결국 1970년에 밴드에서 탈퇴한 뒤 뮤지션의 꿈을 포기하고 고향집인 롱아일랜드로 돌아가게 된다. 거기서 회계사였던 아버지의 회계사무소에서 약 1년간 타이피스트로 일했다. 팩토리 시절을 비롯한 벨벳 시절에는 마약 등 퇴폐적인 쾌락주의의 극한을 맛보며 하고 싶은거 맘대로 다 하면서 살다가 갑자기 엄격한 아버지 사무실에서 성질 죽이고 가만히 앉아서 타이핑만 치느라 얼마나 근질거리고 힘들었을지는 상상에 맡긴다. 게다가 루 리드의 괴팍한 성격을 생각해보면 그런 사무직 자체가 원체 루 리드에게는 전혀 맞지 않다.

2.3. 솔로 활동

그러다가 1971년이 되자 루 리드는 다시 음악을 시작하고자 했고, 런던으로 넘어간 그는 RCA 레코드와 계약한 뒤 예스의 스티브 하우, 릭 웨이크먼 등의 세션들이 참여한 첫 솔로 앨범을 냈지만 상업적으로 실패하게 된다. 첫 앨범의 다소간 삽질 끝에 이후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음악에 깊은 인상을 받았던 데이비드 보위의 설득과 도움에 힘입어 두번째 솔로 앨범인 Transformer를 발표한다. 두왑과 로큰롤을 기조로 벨벳에서 선보였던 퇴폐적이면서 쓸쓸한 멜로디 감각을 되살려낸데다가, 이 앨범에서 프로듀서와 편곡, 백킹 보컬 등을 맡으며 큰 영향력을 행사한 데이비드 보위의 글램 록적인 세련미까지 어우러져서 뛰어난 명반으로 호평을 받게된다. 특히 나른하면서 감미로운 발라드인 "Perfect Day"와 도회적인 퇴폐미가 느껴지는 "Walk on the Wild Side"가 큰 사랑을 받았고, 이 두 곡은 오늘날까지도 루 리드의 대표곡으로 남아있다.

이 앨범은 차트 성적과 판매고로 보자면 벨벳 시절보다 훨씬 좋았다. 특히 글램 록이 큰 인기였던 당시 유럽에선 적지 않은 인기를 누렸고, 티렉스데이비드 보위에 이은 또 하나의 글램 록 스타 탄생이라는 식으로 대접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루 리드는 거기서 만족하지 않고 'Berlin'이나 'Metal Machine Music'같은 실험적이고 급진적인 세계로 나아갔고, 히트 앨범인 트랜스포머같은 글램 록을 계속 원했던 팬들이 떨어져 나가버린다. 그리고는 다시 컬트적인 인지도로 돌아가 조용히 작업을 이어나간다. 중간에 'Coney Island Baby'나 'Street Hassle, The Blue Mask'같은 수작들을 발표하면서 평단의 지지를 얻고 펑크 록 뮤지션들의 지지를 받긴 했지만 잘 팔리는 뮤지션은 아니었다.

얼터너티브 록 열풍이 분 90년대 들어서 본격적으로 재평가되었다. 1989년 'New York' 앨범을 발표하면서 호평과 골드 레코드를 수상하며 분위기가 달라지더니 1992년 'Magic And Loss'로 영국 차트 6위를 차지한데다 벨벳 언더그라운드도 록큰롤 명예의 전당에 올라 잠시나마 재결성 공연을 가져 열화같은 지지를 받으면서 기나긴 비인기의 설움을 털어냈다. 그 후 타계할 때까지는 원로로써 꾸준히 활동해왔다. 2010년 고릴라즈의 3번째 앨범 Plastic Beach에서 Some Kind of Nature의 피쳐링으로 참여했다. 그 해 글래스톤베리 페스티벌에서도 고릴라즈의 무대에 올랐다. 2011년 11월 31일 메탈리카와의 합작 앨범 Lulu를 발매했지만 혹평 일색을 받았다. 완전 상극인 두 뮤지션이 좀처럼 조화되지 않았다는 평.

2.4. 사망

오랜 시간 동안 마약 복용과 과음 등으로 인한 간염당뇨병을 앓고 있었던 루 리드는 말년에는 건강이 상당히 좋지 않았고 결국 간 질환으로 2013년 10월 27일, 자신의 집에서 타계하게 된다.[3]

사망하기 얼마 전에 간 이식 수술을 받은 뒤 한동안 건강이 회복되었으나 다시 증상이 급격히 나빠진 뒤에 결국 사망했다.

3. 음악적 특징

기본적으로 비트 세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많이 받은 뮤지션이며 특히 작사 스타일에서는 전설적인 비트 시인인 앨런 긴즈버그의 영향을 많이 받아 스포큰워드와 요설, 금기 파괴를 추구했다. 그리고 레이먼드 챈들러 등의 하드보일드 소설의 열광적인 팬이기도 했다. 앤디 워홀의 영향을 받아 아방가르드와 로큰롤, 포크, 블루스를 1930년대의 퇴폐주의 감성과 섞었고 (루 리드 자신을 포함한) 뉴욕 지하세계 성소수자들의 현실을 솔직하게 노래했다. 그리하여 당시 미국 대중음악시장의 주도적인 세력이었던 미 서부지역의 록음악과는 차별화된 뉴욕 언더그라운드 세계의 독특한 정서를 담은 록음악을 만들었다.

보컬은 성량이 그렇게 좋지 않고 기교가 특출나진 않지만[4] 음침하고 낮은 톤으로 중얼거리다가 위악적으로 쏘아붙이는 특유의 분위기가 매력이다. 단순히 기교적으로 잘 부르는게 능사가 아니라 감정을 노래로 표현해내는 능력이 중요하다는 걸 보여주는 좋은 예. 물론 Pale Blue Eyes처럼 리드 특유의 보컬미가 잘 드러나는 곡들도 있다.

기타리스트로서의 역량도 뛰어난데. 쓰리 코드 위주의 강박적인 연주는 후대 펑크 록 기타리스트들 모두에게 영향을 끼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5] 그 외에도 이펙터를 이용한 실험적인 사운드는[6]후대 소닉 유스, 마이 블러디 발렌타인으로 대표되는 노이즈 신, 슈게이징 신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받는다. 화려한 기타 솔로는 자제하는 편이지만. Forever changed등의 곡에서 기타 연주등은 굉장히 높게 평가받는다.

로큰롤, 두왑, 모타운 등의 알앤비, 프리재즈, 그리고 상기한 스포큰워드와 밥 딜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딜런에게는 음악 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선글래스를 착용하는 외모 스타일이나 매스컴상에서 잘 웃지 않고 냉소적인 언행, 매스컴과 거리 두는 신비주의 경향 등에서도 큰 영향을 받았다.

4. 위상

록 음악의 가장 중요한 가수/작곡가 중 한 명으로, 로큰롤이 예술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대담한 작품을 만든 사람이다.
AllMusic평가
미국 인디 음악의 대부이자 역사상 가장 독창적이고 영향력 있는 위대한 록 뮤지션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5. 여담

파일:external/violdam6.files.wordpress.com/lou-reed-and-nico-c1967.jpg

1967년 벨벳 언더그라운드 활동 당시[7]. 오른쪽의 여성은 독일 출신 배우.가수 니코.

파일:external/factmag-images.s3.amazonaws.com/loureed09112013.jpg

말년의 모습.

5.1. 괴팍한 성격

흔히 한국에서 록씬 3대 독설가를 키스 리처즈, 존 라이든 그리고 노엘 갤러거로 꼽고, 여기다가 존 레논프랭크 자파를 추가하는 경우가 있는 정도지만, 루 리드는 사실 이들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괴팍한 성격으로 악명이 높았다. 한국에서는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인지도가 낮아서 이 사실이 잘 안 알려졌을 뿐이다.

원래 천재적인 예술가들이 개인적 성격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지만, 그 중에서도 루 리드는 특히 심한 축에 든다. 루 리드 사후에 그의 여동생이 회고한 바에 따르면, 학창시절부터 극심한 조울증을 평생 동안 앓아와서, 자기가 기분이 좋을 땐 유쾌하다가도 자기 기분이 조금만 안 좋아지면 이유 없이 주변 사람에게 불같이 화내고 종종 폭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특히 여자에 대해서 폭력을 휘두르는 경우가 많았다고 하며, 1973년에 결혼한 첫 번째 아내인 베티 크론스타드(Bettye Kronstad)는 짧은 결혼생활이 루 리드의 폭력과 학대로만 가득했다고 회고했다.

친구이자 루의 커리어가 살아나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준 은인격인 데이빗 보위에게도 폭력을 행사한 적이 있다. 1979년에 레스토랑에서 보위를 비롯한 지인들과 식사 중에 루 리드가 보위에게 자신의 다음 앨범을 프로듀싱해줄 것을 부탁하자 보위는 마약중독 등 나쁜 습관 먼저 끊고 좋은 컨디션으로 음악에 임해야만 도와주겠다고 시큰둥하게 말했다.[8] 이에 자존심에 상처를 받은 다혈질의 루 리드가 보위의 얼굴을 기습적으로 몇 대 가격했고 갑자기 맞은 보위가 반격하려 했지만 지인들이 말리는 바람에 더 이상의 큰 싸움으로 번지진 않고 헤어졌다. 이 사건은 목격한 여러 사람들에 의해 소문이 퍼졌을 뿐 아니라 현장에 같이 있었던 멜로디메이커 지의 기자에 의해 기사화까지 되어 유명해진다. 이 뒤로 둘은 수년간 서로 연락을 안 하고 사실상 절교한 상태였으나 나중에 화해하게 된다.

한마디로, 무슨 이유로 언제 폭발할지 종잡을 수 없는 심히 불안정한 성격.

루 리드의 전기인 'Notes From The Velvet Underground'을 쓴 전기작가 하워드 자운스는 집필 과정에서 루 리드의 친구, 음악계 동료, 학창시절 동창, 친척 등 그를 가장 잘 아는 지인 140여 명을 직접 인터뷰 취재했는데, 그들 모두가 이구동성으로 루가 인성, 성격 면에선 끔찍한 사람이었다는 평가를 내렸다. 원문 기사 벨벳 언더그라운드 등 루 리드의 '음악'에 대해선 열렬한 팬이었던 작가 하워드 자운스는 이런 지인들의 한결같은 인터뷰 취재 결과에 대해 몹시 당황스러웠다고 한다. 위대한 뮤지션의 생생한 전기를 쓰려고 많은 지인들을 취재했는데 결과는 책주인공에 대한 지인들의 악담만으로 채워지게 생겼으니 말이다.[9]

위 기사에서 앤디 워홀의 동료이자 팩토리 시절부터 루와 아는 사이였던 폴 모리세이는 전기 집필을 위해 루 리드에 대한 질문을 받자 루 리드의 전기 제목은 "혐오스런 씹새끼" 혹은 "지구상에 살았던 최악의 인간" (The Hateful Bitch [or] The Worst Person Who Ever Lived) 정도가 알맞다고 쏘아붙였을 정도이다. 생전엔 아무리 싫었더라도 사람이 죽은 후라면 그래도 좋은 말을 해주는게 일반적인데, 오죽했으면 다들 저럴까 싶다.

특히 마음에 안 드는 사람은 서슴없이 까버리기로 유명한 프랭크 자파와는 벨벳 언더그라운드 시절부터 악연이 깊었다. 프랭크 자파는 벨벳 언더그라운드 2집의 실패 상황을 We're Only in It for the Money의 수록곡에서 대놓고 박제시켰었고, 이에 화가 단단히 난 루는 멤버 스털링 모리슨[10]이 인터뷰에서 반강제로 자파의 음악성을 비판하게 만듦으로써 둘 사이의 안좋은 감정은 상호비방전으로 발전했다.

이렇게 비정상적일 정도로 성격이 안 좋았던 루 리드도 나이를 먹은 1990년대 이후부터는 과거보단 유해졌다는 평을 듣기 시작했고, 특히 로리 앤더슨과 동거하며 안정적인 생활을 하던 2000년대엔 옛날보단 성격이 훨씬 나아졌다는 얘기가 종종 나온다.[11]

그 성질머리에도 불구하고 자신에게 큰 영향을 준 선배 가수인 디온(가수)과는 사이가 매우 좋았다. 한동안 종교음악만 만들던 디온이 대중음악으로 복귀할때 폴 사이먼과 함께 그의 앨범에 여러 차례 참여했으며, 1989년 디온이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자 헌사를 바쳤다.

5.2. 가장 까다로운 인터뷰 상대

기자들에겐 록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인터뷰 대상자로 꼽힌다. 인터뷰 전에 되도록 최근 작품에 대해서만 질문을 하도록 사전 약속을 받고, 인터뷰 도중 이에서 벗어나는 질문(자신의 옛날 작품에 대한 질문이나 사적인 질문, 다른 뮤지션에 대한 질문 등)이 들어올 경우 그때부터 Yes, No 등의 성의 없는 답변만 퉁명스레 늘어놓거나 서로 모순되는 엉터리 답변들을 짓궂게 하며 질문자를 혼란스럽게 괴롭히고 가지고 논다. 예를 들어 1974년에 호주 공연 갔을 때 그곳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마약 하느냐는 질문에 "No"라고 대답해놓고는, 번 돈을 어디에 쓰냐는 질문에는 "On drugs."("마약 사는 데 쓴다.")라고 답변해서 기자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드는 식이다. 이런 태도는 기자들에 대한 루 리드의 깊은 혐오감이 근본적인 이유다. "기자란 가장 하등한 족속들이다."[12]라고 노골적으로 깠을 정도다. 그래서 신보 홍보차 어쩔 수 없이 언론 인터뷰를 진행하긴 하지만, 인터뷰의 목적인 신보 이외의 질문들에 대해서는 성의 있는 진심어린 답변보다는 기자를 놀리고 괴롭히는 트롤링으로 일관하는 것.

개인적으로 친하거나 예술적으로 흠모하는 사람에 대해서도 기분 좋을 땐 물론 칭찬을 했다가도, 뭔가 자기 심사가 뒤틀리면 전에 한 말과는 정반대되는 악담을 퍼붓곤 했다. 존 케일 등 벨벳 동료들에게는 물론이고 심지어 리드에게 가장 영향을 준 뮤지션 중 하나인 밥 딜런에 대해서도 악담을 한 인터뷰가 여러번이다. 존 레논비틀즈에 대해서도 인터뷰에서 질문 받을 때마다 악담을 자주 퍼부었지만, 존 레논의 곡인 Mother를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위대한 곡이라고 찬양하고 존 레논 트리뷰트 공연에도 여러번 참여하는 등 인터뷰 때와는 정반대인 모순적인 태도도 자주 보였다. 루 리드의 음악 세계를 분석한 책인 "Lou Reed: Between The Lines"에 나온 루와 저자(Mike Wrenn)와의 진지한 대담에서 루 리드는 "비틀즈는 역사상 가장 놀라운 작곡가들이다. 비틀즈의 해산은 더 이상 비틀즈 음악이 나오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깨닫기 어려울 정도로 무척 슬픈 일이다... 우리는 필 스펙터가 손 보기 전의 오리지널 "겟 백" 앨범의 부틀렉 테잎을 듣곤 했다. 그건 대단한 음악이었다."[13] 라며 오히려 극찬했었고, 1967년도 인터뷰에서는 비틀즈의 조지 해리슨을 로저 맥귄과 함께 가장 좋아하는 기타리스트로 꼽기도 했다. 동료 존 케일도 "비틀즈는 벨벳을 더 열심히 분발하도록 자극하고 우리 자신의 자전거를 타게 한(우리만의 음악을 만들게 한) 원동력이었다. 러버소울은 잠깐 반짝이는 것 이상의 음악이었다. 그것은 풍부한 아이디어를 담고 있었고, 난 조지 해리슨이 인도 악기들을 흡수시킨 방식을 사랑했다. 루 리드와 나는 사린다를 활용해서 음악 만들기를 시도했는데, 우린 단지 노이즈를 얻기 위해서였지만 시타를 사용해서 노르웨이전 우드처럼 훌륭한 멜로디를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것은 매우 도취하게 만드는 앳모스피어를 담고 있었다. 비틀즈처럼 그런 독특한 사운드나 느낌을 낼 수 있는 이는 없다고 본다."[14] 라며 비틀즈 음악(특히 비틀즈 중기 음악)이 벨벳에게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음을 밝히기도 했다. 루 리드는 라이브 공연에서 Mother, Jealous Guy, Happy Christmas (War is Over)[15] 등 존 레논 곡들을 여러 차례 커버해 부르기도 했다.[16] 벨벳 시절에도 비틀즈의 곡을 연습 삼아 커버하곤 했었는데, 예를 들어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미공개 음원들을 담은 부틀렉 앨범인 "All Tomorrows Parties bootleg"에 수록된 벨벳의 잼 연주 중간에 루 리드가 비틀즈의 'Day Tripper'를 커버연주하는 것도 잠깐 나온다.

해외의 벨벳/루 리드 팬들 사이에서도 루의 이러한 종잡을 수 없는 언행 때문에 그의 본심이 무엇인지가 자주 분석의 주제이기도 한데, "루의 음악을 믿지, 그가 기자에게 내뱉은 말들은 굳이 믿지도 말고 큰 의미를 두지 말라."라는게 결론인 듯.

5.3. 양성애자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성적 매력을 느끼는 양성애자였다. 그런데 정확히 말하면 게이 성향이 훨씬 강했다고 추측된다.

여성과 3번 결혼했지만 첫 번째는 얼마 되지 않아서, 두 번째는 14년만에 파경을 맞았고, 세 번째로 결혼한 로리 앤더슨과도 이성적인 연인이라기보다는 정신적인 친구이자 동반자에 더 가까웠다는게 주변인들의 평가다. 첫 번째 결혼 상대였던 베티 리드는 루가 자신과 성적 관계를 시도한 적이 거의 없었고 결혼 생활 중에도 게이클럽을 드나들며 남자들과 바람을 피웠다고 훗날 밝히기도 했다.

10대 시절에 여동생 등의 여자옷을 몰래 입다가 부모에게 들켜서 혼나기도 하는 등 여자옷 입는걸 좋아하는 복장도착증 성향이 일찌감치 있었다고 한다. 결국 고등학생 때 남자친구와 동성애를 벌이다 발각되기도 했다. 아들이 정신병에 걸렸다고 생각한 부모에 의해 정신병원에 강제로 입원됐으며 당시에 성행하던 전기쇼크 치료[17]를 반복해서 받았다.[18] 그것도 매주 3번씩 무려 8주 동안이나! 이 혹독한 전기충격 요법은 루 리드에게 평생의 트라우마를 안겼는데, 퇴원한 후 상당 기간 동안 단기 기억 상실증이란 부작용이 생겨서 책을 한 페이지 읽고 넘기면 바로 다 까먹어서 전 페이지로 돌아와 다시 읽는 걸 반복해야 했고, 한동안 마치 식물인간이 된 듯한 느낌이었다고 한다. 이때 당한 고통에 대한 분노로 인해 성격도 더욱 삐뚤어지고 부모를 비롯한 모든 것에 증오심과 반항심을 가지게 됐다.

시라큐스 대학 재학 시절엔 여자친구도 사귀었지만, 앤디 워홀 팩토리 시절부터 동성애와 이성애를 모두 즐기는 양성애자 라이프 스타일로 굳어진다. 73년에 베티 리드라는 여자와 결혼했으나 루 리드의 남성 편력은 계속됐고 결혼생활은 파탄이 나서 결국 이혼했다. 70년대 중반엔 레이첼(Rachel)이란 여자 가명으로 유명했던 남성 동성애자와 상당 기간 동거하며 '공개 연애'까지 한다. 레이첼은[19] 성전환 수술을 하지 않아서 생물학적으론 여전히 남성이었지만 여장을 하고 다니는 복장도착자였다. 루 리드와 사귈 당시의 레이첼의 사진들.[20] 레이첼에게 바치는 루 리드의 연가가 바로 Coney Island Baby와 Crazy Feeling이다.

파일:lou&rachel.jpg파일:lou&rachel2.jpg
루 리드와 레이첼 커플의 연애 3주년 기념 파티 때의 달달한 모습. 이 날 루 리드가 3주년 기념으로 레이첼에게 최고급 다이아몬드 반지를 선물해주기도 했다.[21]

루 리드는 'Ninth Circle' 등 뉴욕의 유명 게이 바(gay bar)들의 오랜 단골이기도 했다. 1970년대에 공연 중에 관객들한테 말을 하다가 "진짜배기 루 리드를 알고 싶나? 뒤로 돌아. 이제 허리 숙여(...)." ("You wanna know the real Lou Reed? Turn around. Now bend over.")라는 유머러스한 말을 남기기도 했다.

1980년에는 뉴욕의 은밀한 S&M 동호회그룹에서 만난 실비아 모랄레스[22]란 여성과 두번째로 결혼했지만 1994년에 이혼했다. 세번째이자 마지막 부인은 아방가르드 뮤지션이자 행위예술가로 유명한 로리 앤더슨이다. 로리 앤더슨과는 1980년대부터 친분이 있던 사이였는데 나중엔 연인관계가 되어 20여년간 동거해왔고, 결국 2008년에 법적으로 결혼했다.

5.4. 마약

6,70년대의 록뮤지션 치고 마약 안 해본 이가 있겠냐만은 루 리드는 그 중에서도 가장 심하게 마약을 했던 걸로 정평이 나있다. 롤링 스톤즈키스 리처즈, 에릭 클랩튼과 함께 록계의 삼대 마약왕. 그 셋은 그렇게 마약을 많이 하고도 살아남은게 신기할 정도라고 록계의 지인들이 놀랄 정도다.

이미 시라큐스대학 대학생 시절 때부터 헤로인 등 다양한 마약을 사용해왔다. 아무리 마약왕이라고 해도 워낙 오랫동안 많은 양의 마약을 해왔기 때문에 80년대 들어서는 천하의 루 리드도 건강악화와 위기 의식으로 인해 마약을 끊게 된다. 마약을 끊기 위해 대신 술을 엄청 많이 마셨고, 나중엔 망가진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복싱과 태극권(T'ai chi)을 수련하고 바이크 라이딩을 취미생활로 즐기기도 했다. 중국인 출신인 태극권 스승의 영향으로 동양 명상 등에 심취하기도 했다. 심지어 루 리드의 라이브 공연 무대에 그 태극권 스승을 등장시켜서 루가 노래를 부르는 동안 스승이 옆에서 느릿느릿한 동작으로 무술시범을 하는 퍼포먼스를 하기도 했다.

6. 디스코그래피

파일:Lou_Reed.jpg
Lou Reed(1972)

솔로 데뷔작으로 예스릭 웨이크먼과 스티브 하우가 세션으로 참여했지만 리드의 미니멀한 스타일과 세션의 화려한 연주 테크닉이 물과 기름처럼 어울리지 않은 범작.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미발표곡 모음 VU와 수록곡이 상당수 겹치는데, 비교해 들어 보면 확연하게 이러한 부조화가 드러난다.
파일:transformer.jpg
Transformer(1972)

명실상부 루 리드의 대표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ransformer(앨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Berlin.jpg
Berlin(1973)

롤링 스톤 선정 2012년 500대 명반 344위

밥 에즈린(프로듀서. 앨리스 쿠퍼의 앨범들이나 핑크 플로이드The Wall 등으로 유명)이 참여한 콘셉트 앨범. 지나치게 느리고 우울한 분위기 탓에 상업적으로는 실패했으나, 후일 재평가받아 컬트적인 지지를 얻은 앨범.
파일:Sally_Can't_Dance.jpg
Sally Can't Dance(1974)

글램 록 스타일로 회귀. 상업적으로는 성공했으나 마약중독 탓인지 음악적으로는 매너리즘에 빠졌다.
파일:Metal_Machine_Music.jpg
Metal Machine Music(1975)

보컬이나 다른 악기 없이 기타 노이즈가 여러 겹의 레이어로 뒤덮인 4곡(한 면에 1곡씩)이 담긴 더블 앨범. 일반적인 귀로는 반복되는 소음만이 들릴 뿐이다. 발매당시의 엄청난 비판과 처참한 상업적 실패로 루 리드 개인뿐만 아니라 음반사(RCA)에도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갖가지 음악 평론가로부터 별점테러를 받고 '최악의 앨범' 2위에 랭크될 정도.[23]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글렌 브랑카, 소닉 유스 등의 노이즈록 뮤지션들의 등장과 함께 재평가되었고, 최초의 노이즈 음악 중 하나로까지 평가가 상승되었다. 한 마디로 시대를 앞서간 앨범.[24]피치포크는 이 앨범에 무려 8.7점을 주며 고평가했다. 참고로, 루 리드 솔로 커리어 최고로 꼽히는 Transformer가 8.4이다. 물론 여전히 논쟁 속에 있는, 걸작보다는 괴작에 가까운 앨범이다.

1976 Coney Island Baby
글램 록보다는 컨트리/블루스 스타일에 가까와진 가장 차분한 앨범. 당시 루 리드가 사귀던 동성애인이었던 레이첼[25]과의 사랑이 주 모티브가 된 앨범.

1978 Street Hassle
역대 최초로 바이노럴 효과를 사용해 녹음한 상업 음반이다. 음악적으로도 그럭저럭 괜찮은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1982 The Blue Mask
기타리스트 로버트 퀸이 참여하면서 벨벳 언더그라운드 시절 사운드로 회귀했다는 평가를 들은 수작.

1989 New York
스트레이트한 로큰롤을 선보이며 오랜만에 비평적/대중적 성공을 거둔 앨범.

1990 Songs for Drella (with John Cale)
벨벳 시절의 동료 존 케일과 오랜만에 함께 작업한 앤디 워홀 트리뷰트 앨범. 벨벳 언더그라운드라는 밴드의 음악적 정체성을 만들었던 핵심 멤버 둘이 뭉친 만큼 평론가들로부터 높은 평을 받았다.

1992 Magic and Loss

1996 Set the Twilight Reeling

2000 Ecstasy

2003 The Raven

2007 Hudson River Wind Meditations
루 리드의 마지막 솔로 앨범으로, 4 트랙의 반복되는 엠비언트 드론 음악이다. 호불호가 갈리는 앨범이지만 피치포크에서 8.4점을 줬다.#

2011 Lulu (with Metallica)
메탈리카와의 협연 자체가 처음엔 상당한 화제가 되었으나 결과는 물과 기름처럼 따로 놀면서 리드와 메탈리카 모두에게 흑역사가 된 앨범. 루 리드 특유의 뒤틀린 멜로디를 중얼거리는 보컬과 메탈리카의 무지막지한 음량은 어울리기 힘들었다는 게 세간의 평가. 앨범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마지막 곡도 각자의 개성이 살아있기 보다는 메탈리카가 루 리드에 맞춘 곡이었다.[26]

[1] 이런 하드보일드 소설들이 루에게 미친 영향은 이후 벨벳과 루의 음악 활동에서도 작사나 곡 분위기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루는 자기의 음악은 하드보일드 문학을 음악으로 표현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했을 정도.[2] 후에 영입된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드러머, 모린 터커의 남자 형제이다.[3] 죽기 하루 전에 공식 페이스북으로 트와일라잇 스파클 vs 메탈 머신 뮤직이라는 글을 올렸었다. #[4] 그래도 딜런보다는 조금 더 기교가 낫다. 가성을 많이 쓰는 쪽.[5] 애초에 벨벳 언더그라운드는 0세대 펑크 밴드이다.[6]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게 Metal machine music.[7] 썬글라스 쓴 패션은 밥 딜런을 따라 한 것이다.[8] 물론 보위도 마약에 쩔어 살던 시절이 있었지만 이 당시에는 마약을 끊은 상태였다.[9] 이런 경우엔 예술작품을 창작자와 떨어트려 놓고 오직 작품만 볼 것이냐 아니냐 등의 문제도 대두된다.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자기를 감동시킨 위대한 예술작품이 알고 보니 중범죄, 흉악범죄를 저지르거나 범세계적인 악행에 가담한 인간이 만든 것이었다면 그 작품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 이런 문제. 미켈란젤로 메리시 다 카라바조, 레니 리펜슈탈, 필 스펙터, 로만 폴란스키, 바르그 비케르네스가 가장 좋은 본보기가 될 듯.[10] 루 리드와는 다르게, 개인적으로 그를 알았던 지인들 모두 그의 인성을 높히 평가할 정도로 평소 주변과 갈등을 빚지 않았다고 한다.[11] 모리세이는 모두가 말하는 것처럼 루 리드의 성격이 그렇게 나쁘고 까탈스럽냐는 데일리 텔레그래프의 질문에 자신도 만나기 전에는 그런 줄 알았는데, 예상과 달리 굉장히 친절했다고 답한 바 있다.[12] "Journalists are the lowest form of life."[13] "The Beatles are the most incredible songwriters ever. I don't think people realize how sad it is that the Beatles broke up. That means there's not going to be any more Beatles music... We were hearing this bootleg tape of the original Get Back album before Spector, and it's really fabulous."[14] "They were a driving force in the Velvets, and made us work harder and got us on our bikes. Rubber Soul was where you were forced to deal with them as something other than a flash in the pan. It was rich in ideas and I loved the way George managed to find a way to include all those Indian instruments. Lou and I had tried to work with the sarinda. We were only playing it just to get a noise but I realized you could play melody on the sitar as good as Norwegian Wood. Norwegian Wood had this atmosphere of being very acid. I don’t think anybody has ever got that sound or that feeling as well as the Beatles."[15] 유튜브엔 "War is Over"라는 짧은 제목으로 올라와 있다.[16] 공연에서 남의 곡을 부르는 일이 거의 없는 루 리드로서는 이례적이다.[17]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에도 나오는 그 치료법이다. 저 치료법의 부작용이 의료계에서 많이 드러난 후인 현재는 횟수와 방식, 강도 등을 훨씬 조심스럽고 안전하게 시행된다. 그러나 당시만 해도 동성애를 치료할 대상이라고 판단하고 비윤리적으로 강도높은 치료를 감행하던 시절이다.[18] 사후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실제로 루 리드는 10대 시절에 조현병과 조울증 판정을 받았고 평생 그런 증세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즉 단지 동성애 하나 때문에 정신병원 입원 및 강제 치료를 받았던 게 아니었던 것이다.[19] 본명은 리처드 험프리스 (Richard Humphreys)였고 크로스드레서 일을 했었다. 1990년에 AIDS로 사망했다.[20] 루 리드보다 훨씬 키가 크고 거구다.[21] 그런데 이 무렵 이후로 둘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돼서 결국 결별했다. 다툼의 주 원인은, 레이첼은 성전환 수술을 원했지만 루는 거시기가 그대로 달린 상태가 좋다며 성전환 수술 받는 것을 반대했기 때문이었다(...)[22] 전직 스트리퍼였고, SM계에선 SM플레이의 지배자(dominatrix) 역할을 했었다고 한다.[23] 참고로 1위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Having Fun with Elvis on Stage'로 무대의 토킹 사운드만 수록되고 음악은 일절 삽입되지 않는 앨범이다.[24] 노이즈 씬의 거장인 메르츠보우는 이 앨범을 본인의 음악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앨범 중 하나로 꼽았다. 이 앨범의 제목에서 따온 'Metal Acoustic Music'이라는 앨범을 발매하기도 했다.[25] 여자 이름이지만 가명이고 실제론 남자다.[26] 아이러니하게도 솔로 데뷔작과 마지막 앨범 모두 세션 혹은 참여 뮤지션과의 부조화로 아쉬운 결과를 내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