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02574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똑버스 | |||
마을 | 마을버스 고양누리버스 | ||
3300번: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056번: 도촌, 서촌, 멱절행 지선으로 운행 | |||
1. 개요
대덕운수에서 운행하는 똑버스 노선.2. 노선 정보
고양시 똑버스 고양똑버스01번출(식사동-대곡역)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위시티1단지후문.양일초교) | 종점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장동(대곡역) | ||
종점 행 | 첫차 | 06:00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09:30 | 막차 | - | ||
평일배차 | 12분[1] | 주말배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대덕운수 | 인가대수 | 4대 | ||
노선 | 위시티1단지후문.양일초교 → 위시티3.4단지 → 위시티주상복합단지 → 위시티5단지 → 일산자이센트리지.위시티블루밍5단지 → 일산자이센트리지.일산자이더헤리티지 → 은행마을3단지.일산자이센트리지 → 대곡역 |
고양시 똑버스 고양똑버스01번퇴(대곡역-백마역-식사동)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위시티1단지후문.양일초교) | 종점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장동(대곡역) | ||
종점 행 | 첫차 | 17:10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21:10 | 막차 | - | ||
평일배차 | 15~20분[2] | 주말배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대덕운수 | 인가대수 | 4대 | ||
노선 | 위시티1단지후문.양일초교 - 위시티3.4단지 - 위시티주상복합단지 - 위시티5단지 → 은행마을3단지.일산자이센트리지 → 대곡역 → 백마역 → 일산자이더헤리티지, 일산자이센트리지 → 위시티5단지 → 이후 역순 |
고양시 똑버스 고양똑버스01번 | |
운수사명 | 대덕운수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장동(대곡역)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1동(백마역 및 백마학원가 일대) (지정된 기종점이 존재하지 않음)[3] |
종점 | |
운행시간 | 09:30~17:10(평일 주간) 21:30~00:00(평일 야간) 06:30~00:00(주말 및 공휴일) |
운행대수 | 4대 |
3. 역사
- 2022년 8월, 경기도에서 식사동을 경기도 DRT 사업 예비 대상지로 선정했음을 발표했다.
- 2023년 6월 20일부터 26일까지 시범 운영, 27일부터 정식 개통됐다.
- 2023년 11월 18일부터 출근노선의 식사2지구[4] 경유, 평시 및 주말 호출노선의 백마학원가 운행 확대, 원당역과 풍산역에서 운행 제외 등 세부사항들이 변경되었다.
- 2023년 12월 14일부터 오전 6시부터 9시 30분까지, 오후 5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출퇴근시간에는 똑타앱을 부르지 않고 현장 결제도 가능하다. 그러나 현장 탑승자는 기본 입석승차이므로 예약자가 탑승하면 자리를 양보해주어야 하니 이용시 주의.
4. 특징
- 똑버스가 개통하기 전에 식사동의 위시티 입주민들이 창릉신도시의 교통대책으로 발표된 '식사~대곡' 트램이 완공되기 전까지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대곡역까지 운행하는 입주민 전용 셔틀버스를 운영하였다. 똑버스가 개통하면서 셔틀버스는 폐지되었다.[5]
- 일반적인 똑버스와 다르게 최초로 '노선 DRT'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일부 고정된 노선을 운행한다. 이를 위하여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는 호출을 하지 않고도 이용을 할 수 있다. 식사동 주민들의 셔틀버스라는 목적도 지니기 때문이다. 출퇴근 시간에는 마을버스를 탈 때처럼 교통카드를 찍고 탑승하면 된다. 다만 똑타 앱(예약자) 전용 단말기와 현장탑승 전용 단말기가 다르니 잘 확인하고 태그해야 한다. 단 고정노선이라도 현금승차는 불가하다.
- 하차벨이 없다. 대신 노선DRT는 매 정류장마다 한 번씩 뒷문을 여닫는다. 이 타이밍을 노려서 내리거나 다른 승객이 내릴 때 눈치껏 같이 내리자.
- 전철셔틀에 가까운 노선으로, 광역버스는 식사동에 들어가는 노선을 제외하면 3800번, 9700번만 연계가 된다. 근데 9700번은 강남행 노선이라 9600번으로 대체가 가능하고, 3800번은 원당마을에서 타는 게 낫기에 광역버스 연계는 의미가 없다. 2024년 12월 28일부터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과도 연계가 가능하므로 향후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 평일 출근시간 노선은 대곡역에서 운행을 종료하고 식사동 출발지까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해 공차회송한다. 따라서 평일 출근시간에는 식사동에서 대곡역으로 이동할 때만 이용이 가능하며, 대곡역이나 백마역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 마을버스를 타야 한다. 반대로 퇴근시간 노선은 양 방향 다니지만 식사동->대곡역이 백마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 입석 일반버스라서 승객을 태운 상태로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나 새빛로에는 절대로 진입하지 않고 식사동에서 대곡역으로 바로 가는 승객밖에 없는 경우 호국로로 다닌다. 단 승객이 없는 상태로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와 호국로 등으로 다니기도 하는 듯 하다.
- 식사동 전 지역이 아닌 도시화된 지역만 운행한다. 오히려 식사동 북부는 다른 똑버스가 다니고 있다.
- 노선DRT의 식사동 구간은 100번과 거의 일치한다.
- 풍산동 일대를 미경유하므로 퇴근시간대 백마역->식사동은 타 노선보다 빠르므로 이 노선이 3분 정도 뒤에 들어온다면 타 노선보다 똑버스가 먼저 도착하는 편이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대곡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역, 백마역[6]
- 수도권 전철 서해선: 대곡역, 백마역[7]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대곡역
- 일반 철도역: 대곡역(무궁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