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21:58:56

고양 버스 1000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02574f>
파일:고양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급행
직행좌석
좌석
일반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버스
마을

마을버스
고양누리버스
3300번: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056번: 도촌, 서촌, 멱절행 지선으로 운행
}}}}}}}}} ||

파일:고양1000_1118.png 파일:고양1000_1464.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
3.1. 개통 배경3.2. 개통, 전설의 시작3.3. 우후죽순 생긴 경쟁 노선3.4. 침체기3.5. 준공영제 전환, 그리고 되찾은 전성기
4. 특징
4.1. 수요4.2. 급행 성격 노선4.3. 한때 유명했던 폭주버스4.4. 빗자루질4.5. 유사 노선4.6. 기타4.7. GTX-A의 영향?4.8. 노선4.9.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명성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9.2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고양시 CI_White.svg 고양시 직행좌석버스 10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 1000 노선도.svg
기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동)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가(숭례문)
종점행 첫차 04:25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평일 00:00 / 토요일 23:40 / 공휴일 23:00 막차 평일 01:05 / 토요일 00:40 / 공휴일 00:00
평일배차 3~10분 주말배차 토요일 5~10분 / 공휴일 7~10분
운수사명 명성 인가대수 40대[1]
노선 대화동 - 양우아파트 - 송포농협 - 대화역 - 문촌마을 - 주엽역 - 강선마을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알미공원 / 안산공원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 무정차 - 고양경찰서 - 행신초교 - 행신동 - 소만마을 - 서정마을 - 무정차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무정차 - 연세대앞 - 금화터널 → 사직터널광화문 → 신한은행본점 → 숭례문(서울역) → 경찰청 → 금화터널 - 이후 역순
중간 출발 정류장
숭례문 방향 고양경찰서평일 07:25, 07:45, 07:50[2층]
행신초등학교평일 07:30, 07:40, 07:50
대화동 방향 없음

3. 역사

3.1. 개통 배경

3.2. 개통, 전설의 시작

3.3. 우후죽순 생긴 경쟁 노선

3.4. 침체기

3.5. 준공영제 전환, 그리고 되찾은 전성기

4. 특징

4.1. 수요

4.2. 급행 성격 노선

4.3. 한때 유명했던 폭주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명성(버스회사)/과속문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빗자루질

파일:IMG_0335.jpg

4.5. 유사 노선

한 때 경기도 전체에서 가장 많은 승객을 태우던 직행좌석버스이기도 했고, 현재도 경기도 직좌 중 승객수가 TOP 3 안에 드는 노선인지라 비슷한 노선이 많다. 볼드체로 된 노선은 배차간격이 20분 미만인 노선이다.
이들 중 일산신도시 - 서울역 구간을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노선은 1000번, 1200번, M7119번 셋 뿐이다.[29] 1100번, 1900번, M7129번, 75번은 코로나-19 이후 감차가 심해져서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어졌다.

4.6. 기타

4.7. GTX-A의 영향?

4.8. 노선

파일:고양시 CI_White.svg 고양시 직행좌석버스 1000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숭례문
02117
<colcolor=#fff> 종점 <colcolor=#fff> ← <colcolor=#fff> 신한은행본점
02233
<colcolor=#fff>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중)
13041
광화문.광화문빌딩
01129
이상 회차 구간
연세대앞(중)
13013
연세대앞(중)
13012
디지털미디어시티역(중)
12008
디지털미디어시티역(중)
12007
서정마을(중)
19404
서정마을(중)
19403
소만마을(중)
19564
소만마을(중)
19565
행신동(중)
19134
행신동(중)
19349
행신초등학교(중)
19346
행신초등학교(중)
19348
고양경찰서.토당청소년수련관(중)
19345
고양경찰서.토당청소년수련관(중)
19065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
20352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
20353
안산공원(중)
20323
알미공원(중)
20494
마두역(중)
20249
마두역(중)
20247
일산동구청(중)
20224
일산동구청(중)
20227
강선마을(중)
20166
강선마을(중)
20161
주엽역(중)
20135
주엽역(중)
20136
문촌마을(중)
20114
문촌마을(중)
20111
대화역(중)
20470
대화역(중)
20434
송포파출소.송포농협
20067
송포파출소.송포농협
20066
양우아파트
20061
현대파크아파트.양우아파트
20059
대화동
20051 · 20052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auto -11px"
세종대로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중) ▼▲ 광화문.광화문빌딩
통일로사직로
연세대앞(중) ▼
성산로
디지털미디어시티역(중) ▼▲ 연세대앞(중)
수색로
서정마을(중) ▼▲ 디지털미디어시티역(중)
중앙로
▲ 대화역
고양대로
호수로
송포파출소.송포농협 ▼
대화로
대화동대화동
}}}}}}}}} ||

4.9. 일평균 승차인원

고양시 직행좌석버스 1000번
<rowcolor=#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2년 15,944명 -
2013년 13,327명 ▽ 2,617
2014년 13,764명 △ 437
2015년 12,191명 ▽ 1,573
2016년 11,004명 ▽ 1,187
2017년 10,381명 ▽ 623
2018년 10,171명 ▽ 210
2019년 9,423명 ▽ 748
2020년 6,573명 ▽ 2,850
2021년 6,675명 △ 102
2022년 7,600명 △ 925
2023년 10,156명 △ 2,556
※ 모든 연도 6월 평일을 기준으로 했으며, 하차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colcolor=#0060b5,#49aaff> 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 주요 지역 간 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min-height: 26px"
{{{#!folding [ 서울특별시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서울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영등포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당산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촌
파일:Seoulmetro2_icon.svg 홍대입구, 합정
파일:Seoulmetro2_icon.svg 강남 (파일:Seoulmetro3_icon.svg 양재)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파일:AREX_icon.svg 김포공항
파일:Seoulmetro5_icon.svg 송정역
파일:Seoulmetro6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DMC
상암, 수색
}}}}}}
[ 인천광역시 · 경기도 방면 ]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53864> 파일:정부상징.svg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역급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직행
좌석
<colbgcolor=#ee2737><colcolor=#fff>가평 · · · · ·
고양 ·
광명 · · ·
광주 · · · · ·
구리 ·
군포
김포 · · · · · · · · ·
남양주 · · · · · · · · · · · ·
성남 · · · · · · · · · · · ·
수원 · · · ·
시흥 ·
안성 · ·
양주 · · · ·
양평 ·
연천
오산 · ·
용인 · · · · · · · · · · · · · · · · · ·
의정부 · · ·
의왕
이천 ·
파주 · ·
평택 · ·
포천 · · ·
하남 · · · ·
화성 · · · · · · · · · ·
}}}}}}}}} ||

파일:경기도 휘장.svg 자동차전용도로 미경유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2737>파일:가평군 CI_White.svg<colcolor=#fff><colbgcolor=#ee2737>가평 · ·
파일:고양시 CI_White.svg 고양
1000[2]
· · ·
파일:광주시 CI_White.svg 광주 ·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김포 ·
파일:수원시 CI_White.svg 수원 · ·
파일:안산시 CI_White.svg 안산 · ·
파일:용인시 CI_White.svg 용인 · ·
파일:파주시 CI_White.svg 파주
7500[주]
· · · ·
기타 · · [미] ·
[2] 2층버스 운행 노선 / [주] 주말에만 운행, 2층버스 운행 노선 / [미] 면허지 미경유 }}}}}}}}}


[1] 2층버스 5대 포함, 평일은 40대, 토요일은 30대 내외, 일요일 및 공휴일은 20대 내외로 운행한다.[2층] [3] 2010년대 초반 완공. 예전에는 이 자리가 건널목이었다.[4] 중앙로 - 승전로로 주간선이 바뀐 이후 이전 상황을 모르는 철도 동호회에서는 수도권 전철 3호선이 왜 원당 - 구파발까지 돌아가느냐는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나온다. 일산신도시 3호선 구간과 경의선 대곡 이남 구간을 대곡역에서 직결하는 것은 급전 방식(직류-교류), 신호 방식(ATC-ATS), 통행방향, 교외선/경의선/서해선 선로 공용 문제로 불가능하다.[5] 1990년대 중후반 시작, 2016년 일산 요진 와이시티 입주로 완료.[6] 노선 총 인가대수는 20대이다. 동해운수공동 배차 노선으로 개통했다.[7] 초창기 공동 배차에 참여했던 동해운수915-1번 직선화 및 급행 노선이라는 의미가 있다.[8] 이들 중 현재까지 살아남은 노선은 좌석버스에서 시내버스로 형간 전환한 903-1번915-1번뿐이다.[9] 1000번이 가지 않는 2호선 신촌역 수요가 남았지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 이후 이쪽에 승객을 뺏겨 1990년대까지 운행하던 신촌행 노선은 대부분 사라졌다.[10] 탄현.중산 - 중앙로 - 서울역. 1200번보다 빨랐지만 평시 30~40분이라는 긴 배차간격으로 인해 수요 창출이 어려웠고, 결국 2008년 12월 20일 폐선.[11] 한때 행신동 무정차를 내세워 1000번과 경쟁을 할 정도로 잘나갔던 노선이었으나, 지속적인 수요 하락과 코로나19 타격으로 배차간격이 벌어지며 폐선되었다.[12] 일산가좌동 - 원당 - 구파발 - 역촌동 - 독립문 - 서울역 - 삼각지역 - 용산역. 수요 저조로 2005년 7월 1일 폐선.[13] 현 773번을 서울도시가스에서 대화역으로 보내고, 서울역까지 연장한 것과 동일한 구간 운행.[14] KTX 개통 이전까지 일산에서 새마을호를 포함한 철도 이용을 위해서는 914번 등을 이용해 영등포역으로 가는 경우가 많았다.[15] 5대 투입. 이 중 2대는 기존 MAN 2층버스 대차분이다.[16] 숭례문 방향 한정으로, 출근시간대에는 일산신도시 쪽에서 자리가 거의 찬다. 이 때문에 행신동에 도착하면 높은 확률로 자리가 얼마 없거나, 만석으로 지나치기 때문에 행신동에서는 버스를 탈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17] 1위는 대전 B1번, 2위는 수원 7770번이다.[18] 다만 M7119번은 대광위 전환으로 이전보다는 주말 배차간격이 나아져 현재는 주말 배차간격이 20~25분이다.[19] 일산 방향은 대곡역(중), 흰돌마을(중), 일산동부경찰서(중), 백병원(중) 정류장을, 서울 방향은 백병원(중), 일산동부경찰서(중), 호수마을(중), 백석역(중), 대곡역(중) 정류장을 무정차한다.[20] 과거에는 행신동 구간에서 행신초, 행신동(중) 2개 정류장에만 정차했지만 현재는 5개 정류장 모두 정차한다.[21] 명성운수, 구 신성교통 서울법인, 신성여객, 선진운수, 제일여객, 신촌교통, 동해운수 등 소속[22] 대화역에서 서울역까지 거리는 30km를 약간 넘으니 이론적으로 차고지부터 서울역까지 시속 60km 속도로 단 한 차례도 쉬지 않아야 35분만에 도착할 수 있다. 실제로 이 당시 차량은 새벽시간대라 마두역 이후 타고내리는 손님이 없어 연대앞조차도 지나고 광화문까지 논스톱으로 달렸다.[23] 어쩌다가 드물게 1900번 첫차에게 추월당한 전례가 있었다. 1900번은 개통 당시부터 화정지구를 경유했으며, 생긴 이유 자체도 3호선, 9701번 등의 화정지구 수요를 먹기 위해서 만든 것이었다. 아마 1900번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1000-1번(풍동지구 출발 - 마두역부터 1000번과 동일) 시절을 말하는 것일 듯.[24] 1200번은 경의중앙선 개통 이후 광역 수요가 다소 줄었고, 행신동 광역수요와 많은 구간 수요로 간신히 버티는 중이며, M7106번도 출퇴근시간에는 수요가 많지만 가온누리엠의 M7731 몰아주기의 영향인지 감차 후 폐선했다. 1100번과 1900번은 단 두 대로만 운행하고 있다. 이들 중 그나마 현상유지를 하는건 1000번, 1200번뿐이다. 대신 3호선은 화정으로 돌아가고, 경의중앙선은 배차간격이 그다지 좋지 않다. 그리고 둘 다 광화문, 시청 쪽 업무지구로 가려면 서울역, 경복궁역에서 떨어져 있어서 환승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려도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다. 대화역부터 연세대학교까지는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여 정시성을 보장하기도 하고.[25] 시간을 절약하고 싶다면 연세대나 이화여대에 내려서, 간선버스로 갈아타 경복궁으로 가야 한다.[26] 고양경찰서의 경우 1900번과 M7129번 등은 일산 방향은 중앙차로가 아닌 가변차로 정류소에 정차하므로 상, 하행 모두 첫번째로 만나는 정류소는 행신초등학교이다. 그러나 까놓고 보면 1100, 1900번은 코로나19로 인한 감차 이후 지금까지도 파행 운행중이며, 그나마 평일에 준수한 배차간격으로 운행하는 M7106번도 2023년 이후로 배차가 급격하게 늘어났으며, 주말에는 아예 운행을 하지 않다가 폐선했다. 9714번은 2024년 8월 30일에 폐선되었고, M7129번은 존재감이 없으며, 2000번은 시내버스로 전환 및 노선을 단축한 상태로, 실질적으로 제대로 운행하는 건 1000번과 1200번뿐이다. 어차피 소요시간은 다들 비슷비슷하므로, 무작정 1000번 보내고 M버스 기다렸다 타는걸 굳이 추천하지는 않는다. 거기에 700번은 결정적으로 일반시내버스라서 운행 속도도 매우 느리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에는 비추.[27] 그리고 1200번에는 휴차했던 디젤차들 투입으로 그 자리를 메꿨다.[28] 다만 1000번과 1200번은 입석금지는 아니고, 너무 위험하지 않을 정도로만 입석을 받는다.[29] 이전에는 M7119번도 배차 긴 노선 중 하나였지만, 준공영제 전환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평일 10~20분, 주말에는 20~25분으로 줄어들었다. 특히 주말 배차간격이 30~60분에서 20~25분으로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에 주말 수요가 M7119번으로 분산될 것으로 보인다.[30] 인천 1000번은 서울역전우체국 앞에서, 고양 1000번은 숭례문에서 타야 한다. 정 모르겠으면 일산 1000번 어디서 타냐고 물어보자. 인천 1000번과 외관으로 구별할 수 있는데, 고양 1000번은 은색 바탕에 빨간색과 검은색 도색이 칠해진 대광위 R도색이지만 인천 1000번은 서울과 같은 100% 빨간 도색이다.[31] 해당 차량들은 2013년 혹은 이전에 출고하여 고속화도로를 경유하지 않는 저 세 노선에서만 주구장창 뛰었기 때문에 안전띠가 없다.[32] 기존 1000번 차량들은 1100번, 1200번으로 흩어졌다.[33] 1100번에서 넘어왔다. 1100번이 킨텍스 지하차도를 경유하면서 2층 버스가 들어가기 어려워서 이 노선으로 넘어온 것이다.[34] 5대 중 2대는 기존의 만 라이온스 더블데커의 대차분이고 나머지 3대는 2층버스 추가투입분이다.[35] 특히 일산서구 쪽에서는 킨텍스역에서 GTX-A를 타면 서울역까지 걸리는 시간이 10분대로 대폭 줄어든다. 현재 1000번은 속도제한과 신호, 서울 시내 구간 정체로 인해서 대화역에서 타면 1시간~1시간 30분이 소요되어서 일산서구 쪽 출퇴근 수요는 GTX A로 빠질 것으로 보인다. 광화문 통합역사가 비용 문제로 무산되어 수요가 빠져나가기 힘들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철도는 정시성이 큰 무기이고 GTX-A는 최고속도 180km/h인 광역급행철도라는 것도 무시 못한다.[36] 다만 1000번은 환승을 안 해도 된다는 장점이 있기에 환승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1000번을 이용하겠지만, GTX-A로 수요가 분산될 확률이 현재로서는 매우 높다.[37] GTX-A는 연신내역을 거쳐 서울역으로 가기 때문에 타격을 못 입힌다.[38] 경의중앙선 신촌역이 근방에 있지만 이쪽은 선로용량 포화로 인해 배차간격이 30분~1시간에 한 대 꼴이고, 정문과는 살짝 떨어져 있다. 반면에 1000번은 시간표를 안 봐도 될 정도로 배차간격이 짧고 연세대학교 정문 앞에 정차한다. GTX-A 개통 후에 출퇴근 수요가 감소한다면 대광위와 협의를 통해 1200번과 함께 이대후문에 정차하면서 이화여대 통학수요를 추가로 노릴 수도 있다.[39] 도심, DMC 간 출퇴근수요와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 신촌권 대학교 통학 수요.[40] 햇빛마을 23단지, 서정마을, 소만마을, 샘터마을 등. 이쪽 아파트는 GTX를 타려면 대곡역까지 버스를 타고 역주행을 해야 하는데, 대심도라 역이 깊은 곳에 있어서 시간이 약간 걸릴 것으로 보인다. 광화문역 건설이 무산된 지금은 업무지구로 가려면 서울역에 내린 후에 다시 환승을 해서 와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있다.[41] 이 아파트 단지들은 행신역, 화정역이 약간 멀리 떨어져 있고, 고양 BRT 상의 정류장들이 더 가까이 있어서 버스 접근성이 좋다. GTX 탑승을 위해 대곡역으로 가려고 해도 광화문 업무지구를 안 거쳐서 환승저항이 발생한다. 고양경찰서, 행신초등학교, 행신동, 소만마을, 서정마을 정류장이 해당한다.[42] 연세대학교까지는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교통 정체 영향을 덜 받는다.[A] 신한은행본점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310m.[A] [45] 일산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46] 광화문.광화문빌딩 정류장 하차시 6번 출구와 연계.[47]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정류장 하차시 6번 출구와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