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0:49:44

고양 버스 96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02574f>
파일:고양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급행
직행좌석
좌석
일반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버스
마을

마을버스
고양누리버스
3300번: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056번: 도촌, 서촌, 멱절행 지선으로 운행
}}}}}}}}} ||

파일:고양96비야디.jpg 파일:고양96일렉시티.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대체 노선4.2. 사건사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고양교통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5.4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고양시 CI_White.svg 고양시 일반버스 9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 96 노선도.svg
기점 [출발]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대성산업)
[도착]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식사동빌라단지)
종점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서암리(통진두레문화센터.청룡사)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5:00
막차 23:30 막차 23:30
평일배차 20~40분 주말배차 25~60분
운수사명 고양교통 인가대수 10대
노선 (대성산업 →) 식사동빌라단지 - 동국로삼거리 - 삼성캐슬.삼학법보사 - 해들마을 - 풍산역 - 저동중고교 - 일산동부경찰서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 - 일산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김포IC - 고촌역 - 장곡.고촌고등학교 - 풍무역 - 사우역.김포고 - 김포초교 - 나진교 - 한강로사거리 - 누산사거리 - 수참.하성입구 - 도사리 - 마송 - 통진두레문화센터.청룡사

3. 역사

파일:고양 96 노선도(2017).svg}}}
파일:고양 96 노선도(2024).svg}}}

4. 특징

4.1. 대체 노선

4.2. 사건사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경기도 휘장.svg 고속도로 경유 경기도 일반형버스
<colbgcolor=#009775><colcolor=#373a3c> 고양시 96
시흥시 5601 5602
양평군 33-1, 4, 5 2000-2

<colcolor=#0060b5,#49aaff> 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 주요 지역 간 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min-height: 26px"
{{{#!folding [ 서울특별시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서울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영등포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당산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촌
파일:Seoulmetro2_icon.svg 홍대입구, 합정
파일:Seoulmetro2_icon.svg 강남 (파일:Seoulmetro3_icon.svg 양재)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파일:AREX_icon.svg 김포공항
파일:Seoulmetro5_icon.svg 송정역
파일:Seoulmetro6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DMC
상암, 수색
}}}}}}
[ 인천광역시 · 경기도 방면 ]
||


[1] 2009년 고양시 버스 번호 정비 시, 도시형버스는 두 자리를 쓰도록 했다.[2] 정확히는 우측으로 150m 정도 떨어져 있는 고양국제고등학교 정류장에서 승차가 가능하다.[3] 고촌으로 가지는 않지만, 아라대교에서 내려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4] 현재 배차간격이 긴 편이기 때문에 백석역으로 가서 3호선+서해선+김포 골드라인 경로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5] 다만 이쪽은 직행좌석버스인 만큼 중간중간 무정차 정류장이 꽤 있다. 3000번의 경우 인천면허로 강화도 내부에 진입하며, 3000-1번의 경우 김포면허로 강화도 직전까지인 포내2리까지 간다.[6] 88, 97 모두 배차가 좋지 못하다.[7] 일산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