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4998,#49aaff><tablealign=center> | 고양시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3300[통]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가좌동(가좌마을.킴스.벽산516동) | 종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일산동구청(중)) | ||
종점행 | 첫차 | 05:10(평일)/05:25(주말,공휴일) | 기점행 | 첫차 | 05:30(평일)/05:50(주말,공휴일) |
막차 | 22:55(주말, 공휴일)/23:55(평일) | 막차 | 23:20(주말, 공휴일)/00:20(평일) | ||
평일배차 | 출퇴근 6~8분/평시 6~10분 | 주말배차 | 8~15분 | ||
운수사명 | 대화교통 | 인가대수 | 13대 | ||
노선 | 가좌마을.킴스.벽산516동(파출소.조아라마트)(기점) - 가좌마을 5,6단지 - 가좌고교 - 가좌마을 2,3단지후문 - 가좌양우대우아파트 - 가좌동.구종점 - 송포초교(종점) - 가덕교 - 일산서부경찰서 - 일산서구청 - 대화역 - 백병원 - 문촌마을 - 주엽역 - 강선마을 - 일산동부경찰서 - 일산동구청(정발산역)(회차) |
2. 개요
대화교통에서 운행 중인 마을버스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02년 가좌마을 입주 시기에 개통한 11-1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신설 초기에는 중앙로가 고양종합운동장에서 끊겨 있었기 때문에, 명성운수 7번과 함께 대화마을을 거쳐서 갔다. 당시 노선은 다음과 같았다.
가좌마을.청원벽산아파트 → 가좌고교 → 청원벽산306동 - 가좌양우대우아파트 - 명성운수 가좌동 영업소 (現 가좌동.구종점) - 송포초교 - 송포분재원 - 대화동문3단지 - 대송중학교 - 양우아파트 - 송포농협 - 대화중학교 - 대화역 - 백병원 - 주엽역 - 태영프라자 (現 강선마을) - 일산구청 |
- 2009년 3월: 고양시 마을버스 개편 때 번호가 변경되었다. (개편전 11-1 → 개편후 057)
- 2011년 11월-12월: 가좌마을 구간이 현재와 같은 편도순환 운행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4. 특징
- 가좌마을 주민들의 수요를 독점하다시피 하는 노선으로 항상 이용객이 많다.
1100번과 M7646번을 극악의 배차로 만든 장본인그렇기 때문에, 대화교통에서도 상당히 신경을 쓰는 노선이다.
- 가좌마을 내에서는 상-하행의 정류장이 모두 같으므로 타기 전 버스 앞에 놓인 행선표를 확인해야 한다. "동구청 방면"과 "종점 방면" 두 가지가 있다. 여기서 "종점 방면"의 경우 카카오버스 등 버스안내시스템에서는 가좌마을.벽산A516동 정류장에서 바로 운행을 종료하는 것처럼 나오지만, 실제로는 여기서 더 가서 아래에 있는 가좌마을 순환 구간을 한 바퀴 돌고 송포초등학교에서 운행을 끝낸다.
- BIS상으로는 가좌마을6단지후문 정류장에 정차하는 것으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무정차 통과를 하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 가좌마을 순환 구간 : 가좌마을.킴스.벽산516동[기점] → 가좌마을5.6단지 → 가좌고등학교 → 가좌마을2.3단지 후문 → 가좌양우대우아파트 → 가좌동 구 종점 → 송포초등학교[종점] 해당 구간의 모든 정류장은 '동구청 방면'과 '종점 방면'이 같이 정차한다.
- 대화역에서 가좌마을 방향 막차는 0시 반(평일), 23시 반(주말, 공휴일)이다. 막차를 놓쳤다면 9701번이나 9707번을 타고 가좌동 종점까지 간 다음 외진 시골길을 10~20여 분 동안 걷던가 아니면 택시를 타야 한다. 2019년 12월 13일 이후 일산동구청 정류장에서 M7646번 버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 승하차가 매우 막장인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도록. 특히 퇴근시간대 대화역 4,5,6번출구 쪽 정류장에서는 종점까지 온 지하철 3호선 승객들과 광역버스에서 하차한 승객들이 이 버스를 타기 위해 도로 밖까지 나와 기다리는 경우까지 있다. 이때 줄을 제대로 서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되며, 이 때문에 일부 주민들은 혼잡을 피하기 위해 1100번 시간이 맞을 경우 1100번을 우선적으로 타기도 한다. 하지만 1100번은 2019년 6월 17일부터 대화역을 경유하지 않으므로, 057 대신 1100번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주엽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 오후 5시부터 11시 사이 일산선 혹은 M7106 등의 버스를 타고 서울에서 가좌마을로 돌아갈 때는 대화역 탑승 시 혼잡이 심각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주엽역에서 환승하기를 권한다. 다만 광역버스의 경우는 강선마을 정류장에서도 환승이 가능하므로 강선마을 정류장도 선택지가 될 수 있다. 대화역 환승 이외의 대안이 없는 M7731 이용자들은 지못미.
- 평일 출근시간대 예비차를 활용해 대화역까지만 운행하는 버스가 있었다. 하지만 063번의 대화역 연장 이후로는 이러한 방식의 운행을 하지 않는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