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사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라이벌/실존, 라이벌/실존/연예인, 라이벌/실존/스포츠 문서를 대상으로 아래의 합의안을 적용한다. 이는 이전 토론의 내용을 덮어쓴다. | }}}}}}}}} |
※ 근거가 제시되지 않은 예시는 일괄 삭제된 상태입니다. 근거 제시 강제 합의안의 적용 전 RAW의 목록 중 등재 기준을 만족하는 예시가 있다면 근거 링크를 추가하여 서술해주시면 됩니다. |
1. 개요
연예인 사이의 라이벌을 정리한 문서.2. 가수
2.1. 대한민국
- 1990년대 이전
- 1990년대
- 신승훈 vs 김건모[3]
- 서태지와 아이들 vs 듀스[4]
- ZAM vs 노이즈
- 룰라 vs 투투[5]
- 샵 vs 코요태[6]
- H.O.T. vs 젝스키스[7]
- S.E.S vs 핑클[8]
- god vs 신화[9]
- 2000년대
- 2010년대
- TWICE vs BLACKPINK vs Red Velvet[15]
- 더보이즈 vs Stray Kids vs ATEEZ[16]
- 2020년대
- aespa vs IVE vs NewJeans vs LE SSERAFIM[17]
2.2. 해외
3. 코미디언, 방송인
3.1. 대한민국
3.2. 해외
4. 배우
5. 영화감독
6. 성우
6.1. 대한민국
6.2. 해외
7. 인터넷 방송인
- AVGN vs NC
- PewDiePie vs T-Series
- 보겸 vs 허팝
- 세글자 vs 팡이요
- 신태일 vs 김윤태
- 철구 vs 감스트 vs 김봉준[20]
- 양띵 vs 악어 vs 도티 vs 잠뜰[21]
- 지삐 vs 지현잉 vs 요원 vs 그릴래영
- 대륙남 vs 민성[22][23]
- 장성규 vs 김민아
- 안정권# vs 백은종#
- 이중대 vs 이중선
- 이근 vs 구제역
- 옌 vs 시스터순
- 킼킼이 vs 쥬짱
- 푸르 vs 유혜디
- 한지나 vs 밍선하
- 임아니 vs 앵지
- 남순 vs 케이
- 릴카 vs 유소나
- 쏘대장 vs 혜정이1
- 에디린 vs 신나린
- 뻑가 vs 가로세로연구소
한줄 요약:병림픽 - 김민교 vs 이상호
- 악인전 vs
그렇다네(은퇴) vs 괴인협회 - 엄태웅 vs 유우성
8. 기타
- 와타나베 츄메이 vs 키쿠치 슌스케[24]
- 시마모토 카즈히코 - 후지타 카즈히로[25]
- 디즈니 vs 플라이셔 스튜디오
- 최현우 vs 이은결
- 펠릭스 젬덱스(Feliks Zemdegs) vs 매츠 벌크(Mats Valk) vs 콜린 번즈(collin burns)[26]
- 박기량 vs 김연정[27]
- 엄재경 vs 이승원[28]
- 김정민 vs 이승원[29]
- 최태성 vs 설민석[30]
- 김태호 vs 나영석
- 강형욱 vs 설채현
- 백종원 vs 이연복 vs 최현석 vs 샘 킴
- 금난새 vs 정명훈[31]
- 주호민 vs 이말년 vs 기안84
- 표창원 vs 권일용 vs 배상훈 vs 박지선
- 그 외 쌍둥이/인물 참조.
[1] 영화 국제시장에도 나온 트로트계 남성 최강자의 구도, 심지어 영호남 지역갈등 문제까지 겹쳐서 더욱더 관계가 살벌했다. 어찌보면 선동열 vs 최동원과 비슷한 사유[2] 또 다른 트로트계 남성 최강자의 구도[3] 1990년대에 활동한 솔로 남성 가수[4] 1990년대 초반에 활동한 남성 음악그룹[5] 1세대 혼성그룹[6] 또 다른 1세대 혼성그룹 대결구도[7] 1세대 보이그룹[8] 1세대 걸그룹[9] 1세대 보이그룹 두 번째 대결구도[10] 2000년대-2010년대에 활동한 솔로 남성 가수[11] 2000년대-2010년대에 활동한 남성 밴드 그룹[12] 동슈501, 2세대 보이그룹[13] 원카소, 2세대 걸그룹[14] 2세대 보이그룹 두 번째 대결구도[15] 트레블, 3세대 걸그룹[16] 즈즈즈, 3.5세대 보이그룹[17] 4세대 걸그룹[18] 일명 샤비인, 2세대인 샤이니와 비스트가 2.5세대인 인피니트와 대결구도로 엮였다. 다만 일각에서는 인피니트도 2세대로 간주하는 시각도 존재한다.[19] 미국 할리우드 영화감독계의 두 거장[20] 아프리카TV를 대표하는 거물 방송인 3대장이다.[21] 한국 마인크래프트 대표 방송인들로 유명하며, 넷 모두 중~고등학생이 주요 팬층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여담으로 웬만한 라이벌들은 대부분 서로 적대적이지 않더라도 경쟁의식을 갖고 있는데 반해 이 네 명은 서로 친한 사이이다.[22] 둘 다 친중과 친일을 기반으로 하는 방송인이자 주요 상대국에서 여성들에게 헌팅을 한다는 것이 차이점.[23] 다만 아쉽게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건 이후 에는 실내에서만 방송을 진행한다는 것이 차이점.[24] 일본 애니메이션 음악의 바흐, 헨델과 같은 원로 작곡가들이다. 위에 있는 미즈키 이치로와 사사키 이사오 모두 그들에게 곡을 받아갔을 정도.[25] 주간 소년 선데이의 라이벌이자 절친 만화가들. 이 둘의 관계는 호에로 펜에 잘 표현되어 있다.[26] 큐브계의 라이벌. 333 큐브 싱글은 콜린 번즈가 1위, 펠릭스 젬덱스가 2위이고 매츠 벌크가 3위이다 333큐브 평균 기록은 펠릭스 젬덱스가 1위, 매츠벌크가 3위이다. 콜린번즈는 현재 9위에 랭크되어있다[27] 두 사람은 치어리더 인기시대를 같이 열었고 매일 같이 인기투표를 1,2위를 독차지한다. 그러나 3년째 박기량이 항상 이긴다.[28] 2000년대 스타크래프트 리그의 전성기 시절부터 엄재경은 OGN과 온게임넷 스타리그를 대표하는 해설자였고, 이승원은 이에 맞서는 MBC게임과 MSL을 대표했던 해설자였다. 그리고 이 두 인물의 공통점은 전신으로 평가받는 각 리그의 전신으로 인정받는 대회들인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과 2002 KPGA 투어 1차 리그부터 이 두 리그의 역사의 시작과 끝을 함께했던 인물들이라는 점이다.[29] 이 쪽도 2000년대 양대 게임 방송사의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를 대표하는 해설자로 꼽혔고, 김정민은 OGN에서 최고로 평가받은 해설, 이승원은 MBC GAME에서 최고로 평가받은 해설이었다. 또한 이 둘은 스타1 공식리그 종료 이후에도 다른 종목에서도 뛰어난 해설을 자랑한다고 평가받는 공통점도 있다.[30] 최태성은 공교육에 특화된 반면, 설민석은 사교육과 공무원 시험에 특화되었다. 게다가 설민석이 책을 많이 집필하고 방송에 많이 나올 뿐만 아니라 인강 대표이사이기 때문에 인지도는 설민석이 높다.[31] 한국 클래식 지휘계의 두 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