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08:06:08

미나리아재비

🌻 꽃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05em"
<colbgcolor=#00a495><colcolor=#fff>ㄱ가락지나물 · 개나리 · 개망초 · 개양귀비 · 거베라 · 게발선인장 · 겨자 · 구근베고니아 · 국화 · 구절초 · 군자란 · 금강초롱꽃 · 금낭화 · 금어초 · 금잔화 · 김일성화 · 꽃며느리밥풀
나팔꽃 · 난초 · 눈풀꽃 · 능소화
달래 · 달리아 · 달맞이꽃 · 닭의장풀 · 데이지 · 델피니움 · 도라지 · 동백꽃 · 들국화
라넌큘러스 · 라벤더 · 라일락 · 라차프륵 · 라플레시아 · 락교 · 로벨리아 · 로즈마리 · 리시안셔스
마거릿 · 만수국 · 망초 · 매발톱 · 매실꽃 · 맨드라미 · 메꽃 · 모란 · 목련 · 목서 · 목화꽃 · 무궁화 · 무화과 · 문주란 · 물망초 · 미나리아재비 · 미선꽃 · 민감초 · 민들레
배초향 · 백일홍 · 백합 · 벚꽃 · 베고니아 · 별꽃 · 별봄맞이꽃 · 복수초 · 봉선화 · 부용 · 붓꽃 · 브로콜리 ·블루벨
사프란 · 산수유 · 상사화 · 샐비어 · 생강나무 · 석곡 · 석산 · 쇠채아재비 · 수국 · 수레국화 · 수련 · 수선화 · 스위트피 · 시계꽃 · 시클라멘
아네모네 · 아델라이데 · 아르메리아 · 아마릴리스 · 아스포델 · 아카시아 · 아티초크 · 안개꽃 · 앵초 · 양귀비 · 양골담초 · 엉겅퀴 · 오히아 레후아 · 에델바이스 · 에리카 · 연꽃 · 영산홍 · 영춘화 · 용담 · 우담바라 · 원추리 · 월계화 · 월하향 · 유채 · 윤노리꽃 · 은방울꽃 · 은방울수선화 · 잇꽃
작약 · 장미 · 재스민 · 접시꽃 · 제라늄 · 제비꽃 · 제충국 · 제피란테스 · 진달래 · 찔레꽃
차바 · 참나리 · 참파 · 채송화 · 천수국 · 철쭉
카네이션 · 카틀레야 · 칸나 · 칼라 · 코스모스 · 크로커스
투구꽃 · 튤립
패랭이꽃 · 팬지 · 페튜니아 · 포인세티아 · 프리지어
함박꽃 · 할미꽃 · 해당화 · 해바라기 · 히아신스}}}}}}}}}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파일:미나리아재비.jpg
학명 Ranunculus japonicus
분류
<colbgcolor=#d7ffce,#0f4a02> 식물계 Plantae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미나리아재비
1. 개요2. 이름3. 사용4. 여담

[clearfix]

1. 개요

미나리아재빗과의 총칭. 기는미나리아재비·왜미나리아재비·산미나리아재비 등을 아우른다. 다른 일컫는 이름으로는 모간(毛茛), 자구(自灸) 등이 있다.

좁은 의미에서의 미나리아재비는 동속의 여러해살이풀인 Ranunculus japonicus를 이른다. 높이 50cm 가량이며, 임야지에 주로 자생한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잎자루가 길고 3개로 갈라지며,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고, 6월에 줄기 끝에서 작은 노란 꽃이 피는데, 흔히 꽃집 등지에서 라넌큘러스라고 부르는 이 바로 페르시아의 미나리아재비를 개량한 품종이다.

2. 이름

이름의 묘한 어감 덕에 이를 미나리아+재비 등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왕왕 있는데, 정확한 어원은 미나리+아재비[1]. 말 그대로 미나리와 닮았다 하여 미나리의 아재비란 이름을 갖게 되었다. 풀어쓰면 미나리 사촌 정도의 의미. 이와 비슷한 이름으로는 게아재비, 버마재비[2] 등이 있다.

이러한 어원에도 불구하고 미나리아재비와 미나리는 썩 닮은 구석이 적은데, 이에는 복잡한 사연이 얽혀있다. 쉽게 풀어서, 털개구리미나리[3], 젓가락나물 등의 정말 미나리를 닮은 식물과, 현재의 Ranunculus japonicus 등을 아울러 부르던 미나리아재비라는 토속어가, 개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던 후자에게 학칭으로 붙게 된 것. 관련 포스트 유래에 맞게, 털개구리미나리는 물가에서 자라며, 생긴 것도 털을 제외하면 얼추 비슷하게 생겼다.

영어권 나라에서는 미나리아재비를 버터컵(buttercup)이라고 부르는데, 이 식물을 소나 가축에게 먹여서(독성이 있어서 가축에게 먹일 시 위험하다) 그 우유로 버터를 만들면 버터에 노란색 색조를 준다는 잘못된 믿음에서 파생했다는 설#과, 그저 gold-cups과 butterflower의 합성어로 보는 설#이 있다.

러시아어로 미나리아재비를 "류틱"(лютик)이라고 부르는데, 독성 식물이라는 특징에서 "잔인한, 사나운" 등의 의미를 가진 형용사 "류티이"(лютый)가 나왔다.

3. 사용

약용으로 사용하며,[4]더러 연한 순은 나물로써 식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즙에 라넌쿨린(ranunculin)이라는 독이 있어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된다. 인간과 짐승 모두에게 해로우며, 특히 젖소가 미나리아재비를 먹으면 독이 든 우유를 내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5] 셰익스피어의 희극 로미오와 줄리엣에 보면 로렌조 신부가 줄리엣에게 죽은 척 잠들게 하는 약을 주는데, 약을 주면서 미나리아재비의 즙으로 만들었다고 언급한다.

4. 여담



[1] 한 항렬 위 남성 친척을 일컫는 옛 말. 아저씨 문서 참조.[2] +아재비. 사마귀의 옛 이름이며 조류인 제비미얀마와는 관계가 없다. 이를 모르고 "미얀마제비/미얀마재비"로 과도 교정하는 경우도 간혹 찾아볼 수 있다.[3] R. cantoniensis, 제주도 등지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빗과의 식물.[4] 흑사병, 설사, 구토제, 낙태약[5] 에이브러햄 링컨의 어머니가 이 때문에 사망한 이야기가 대표적이다.[6] 원판부터 민들레를 뜻하는 Dandelion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