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30 19:53:49

국민통합정부

파일:미얀마 국장.svg 미얀마 국민통합정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000 60%, #cc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ECE5B6;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2664; padding: 3px 0px"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000,#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세계
맹주
유럽
· · · · · · · · · · · · ·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
· ·
아시아&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 공산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비동맹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colbgcolor=#222> 주요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colcolor=#000,#ddd>봉쇄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 트루먼 독트린
전반부
(1947~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렬 · 6.25 전쟁 · 쿠바 혁명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68운동 · 프라하의 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69~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79~1985)
흑묘백묘론 · 악의 제국 연설 ·그레나다 침공·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5~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국제 기구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 COMECON)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
미얀마 연방 공화국
국민통합정부
အမျိုးသားညီညွတ်ရေး အစိုးရ
National Unity Government
{{{#!wiki style="margin: -16px -10px"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장.svg
문장 }}}
[ 미얀마 국민통합정부 구성 발표문 ]
파일:myanmar_nug.jpg
번역본

미얀마 연방 공화국

미얀마 연방의회 대표 위원회

공고번호 23/2021

2021년 4월 16일

국민통합정부의 구성

2020년 치러진 모든 정당의 민주선거 결과 국민의 위임으로 부여된 권한을 가진 미얀마 연방의회(CRPH) 대표 위원회는 2021년 3월 31일 발간된 연방 민주주의 헌장(성명: 19/2021)에 따라 다음 각료들로 국민통합정부를 구성했다.

윈 민: 대통령
아웅 산 수 치: 국가고문
두와 라시 라: 부통령
만 윈 카잉 탄: 국무총리
진 마 아웅: 연방정부 외교부 장관
르윈 코 랏: 연방정부 행정자치부 장관
<colbgcolor=#ce2b2b><colcolor=#ffffff> 웹사이트 미얀마 국민통합정부 웹사이트
정부 형태 임시 정부
정치 체제 연방제, 대통령제(간접 선출)
의회민주주의CRPH
대통령 윈 민[1]
국가고문 아웅 산 수 치[2]
대통령 권한대행[3] 두와 라시 라[4]
국무총리[5] 만 윈 카잉 탄[6]
군사 미얀마 시민방위군

1. 개요2. 행적
2.1. 2021년 4월
2.1.1. 4월 1일2.1.2. 4월 12일2.1.3. 4월 16일2.1.4. 4월 18일2.1.5. 4월 21일2.1.6. 4월 23일2.1.7. 4월 24일2.1.8. 4월 25일2.1.9. 4월 27일2.1.10. 4월 28일2.1.11. 4월 29일
2.2. 5월
2.2.1. 5월 2일2.2.2. 5월 3일2.2.3. 5월 4일2.2.4. 5월 5일2.2.5. 5월 6일2.2.6. 5월 7일2.2.7. 5월 8일2.2.8. 5월 10일2.2.9. 5월 11일2.2.10. 5월 12일2.2.11. 5월 13일2.2.12. 5월 14일2.2.13. 5월 15일2.2.14. 5월 16일2.2.15. 5월 17일2.2.16. 5월 18일2.2.17. 5월 19일2.2.18. 5월 20일2.2.19. 5월 23일2.2.20. 5월 25일2.2.21. 5월 26일2.2.22. 5월 27일2.2.23. 5월 29일2.2.24. 5월 30일2.2.25. 5월 31일
2.3. 6월
2.3.1. 6월 2일2.3.2. 6월 3일2.3.3. 6월 4일2.3.4. 6월 9일2.3.5. 6월 10일2.3.6. 6월 11일2.3.7. 6월 14일2.3.8. 6월 18일2.3.9. 6월 22일2.3.10. 6월 25일2.3.11. 6월 27일2.3.12. 6월 30일
2.4. 7월
2.4.1. 7월 2~3일2.4.2. 7월 6일2.4.3. 7월 7일2.4.4. 7월 8일2.4.5. 7월 10일2.4.6. 7월 12일2.4.7. 7월 14일2.4.8. 7월 15일2.4.9. 7월 17일2.4.10. 7월 18일2.4.11. 7월 19일2.4.12. 7월 20일2.4.13. 7월 21일2.4.14. 7월 29일
2.5. 8월
2.5.1. 8월 3일2.5.2. 8월 4일2.5.3. 8월 8일2.5.4. 8월 8일2.5.5. 8월 11일2.5.6. 8월 13일2.5.7. 8월 15일2.5.8. 8월 19일2.5.9. 8월 20일2.5.10. 8월 24일2.5.11. 8월 26일2.5.12. 8월 27일2.5.13. 8월 29일2.5.14. 8월 30일2.5.15. 8월 30~31일2.5.16. 8월 31일
2.6. 9월
2.6.1. 9월 2일2.6.2. 9월 7일
3. 내각4. 군대5. 웹사이트6. 관련자료
6.1. 관련 링크6.2. 관련문서

[clearfix]

1. 개요

2021년 미얀마 쿠데타로 군부가 정권을 장악하자 이에 대항하여 4월 1일 연방의회 대표위원회(CRPH) 주도로 구성된 민주공화제 정부이다. 현재 임시 과도정부 형태를 띠고 있으며, 서방국가 등 국제 사회의 공식 인정을 받고자 노력하고 있다. 미얀마 군부에서는 해당 조직을 테러단체로 지정했다.

영어 약자 해설
[ 펼치기 · 접기 ]
||<-2><rowbgcolor=#00a100><rowcolor=white> 약자 || 뜻 ||
군사
<colbgcolor=#ce1126><colcolor=white> AA[7] 아라칸군
CNF[8] 친 민족전선
CDF[9] 친주 방위군
EAO[10] 소수민족 무장조직
KIA[11] 카친 독립군
KNLA[12] 카렌 민족해방군
KNPP[13] 카레니 민족진보당
KNU[14] 카렌민족연합
MNDAA[15] 미얀마 민족민주주의동맹군
TNLA[16] 타앙 민족해방군
UWSA[17] 와주 연합군
PDF[18] 인민방위군
<colbgcolor=#ce1126><colcolor=white> MPDF[19] 만달레이 인민방위군
HPDF[20] 흘레구 인민방위군
KNDF[21] 카레니 민족방위군
TPDF[22] 따무 인민방위군
UG[23] 게릴라군
정부
CDM[24] 시민 불복종 운동
CRPH[25] 연방의회 대표위원회
NLD[26] 민주주의민족동맹
NUG[27] 미얀마 국민통합정부
SAC[28] 국가행정평의회(군부)
기타
CTF[29] 코로나19 태스크 포스
NCA[30] (미얀마군과 소수민족반군들이 체결한)
전국휴정협정
VFU[31] 미얀마 연방대학

2. 행적

경과가 아닌, NUG, CRPH의 행적을 서술해주길 바랍니다.

미얀마 연방군, PDF(혹은 이외의 민주 진영 무장단체) 관련은 아래의 군대 문단을 참조하십시오.

2.1. 2021년 4월

2.1.1. 4월 1일

2.1.2. 4월 12일

2.1.3. 4월 16일

2.1.4. 4월 18일

2.1.5. 4월 21일

2.1.6. 4월 23일

2.1.7. 4월 24일

2.1.8. 4월 25일

2.1.9. 4월 27일

2.1.10. 4월 28일

2.1.11. 4월 29일

2.2. 5월

2.2.1. 5월 2일

2.2.2. 5월 3일

2.2.3. 5월 4일

2.2.4. 5월 5일

2.2.5. 5월 6일

2.2.6. 5월 7일

2.2.7. 5월 8일

2.2.8. 5월 10일

2.2.9. 5월 11일

2.2.10. 5월 12일

2.2.11. 5월 13일

2.2.12. 5월 14일

2.2.13. 5월 15일

2.2.14. 5월 16일

2.2.15. 5월 17일

2.2.16. 5월 18일

2.2.17. 5월 19일

2.2.18. 5월 20일

2.2.19. 5월 23일

2.2.20. 5월 25일

2.2.21. 5월 26일

2.2.22. 5월 27일

#

2.2.23. 5월 29일

2.2.24. 5월 30일

2.2.25. 5월 31일

2.3. 6월

2.3.1. 6월 2일

2.3.2. 6월 3일

2.3.3. 6월 4일

2.3.4. 6월 9일

2.3.5. 6월 10일

2.3.6. 6월 11일

2.3.7. 6월 14일

2.3.8. 6월 18일

2.3.9. 6월 22일

2.3.10. 6월 25일

2.3.11. 6월 27일

2.3.12. 6월 30일

2.4. 7월

2.4.1. 7월 2~3일

2.4.2. 7월 6일

2.4.3. 7월 7일

2.4.4. 7월 8일

#1 #2

2.4.5. 7월 10일

2.4.6. 7월 12일

2.4.7. 7월 14일

2.4.8. 7월 15일

2.4.9. 7월 17일

2.4.10. 7월 18일

2.4.11. 7월 19일

2.4.12. 7월 20일

2.4.13. 7월 21일

2.4.14. 7월 29일

2.5. 8월

2.5.1. 8월 3일

2.5.2. 8월 4일

2.5.3. 8월 8일

2.5.4. 8월 8일

2.5.5. 8월 11일

#

2.5.6. 8월 13일

2.5.7. 8월 15일

2.5.8. 8월 19일

2.5.9. 8월 20일

2.5.10. 8월 24일

2.5.11. 8월 26일

2.5.12. 8월 27일


떼인 장관은 "군부 인사들의 친척들이나 반군부 세력에 맞선 민병대들이 공격당하거나 학살당한다면, 군정은 반군부 세력이 집단학살 범죄를 저질렀다고 올가미를 씌울 것"이라고 말했다.

2.5.13. 8월 29일

2.5.14. 8월 30일

2.5.15. 8월 30~31일

2.5.16. 8월 31일

2.6. 9월

2.6.1. 9월 2일

2.6.2. 9월 7일

}}}
{{{#!folding [ 번역본 ]
미얀마 국민 여러분, 지난 2021년 2월 1일 민 아웅 흘라잉이 이끄는 군사반란세력이 국민이 민주적 절차를 통해 선출한 민주 정부를 전복하고 독재 군사위원회를 결성했습니다.
군사반란세력이 권력을 찬탈한 뒤 우리 국민은 단 하루도 평온하지 못했습니다.
국민은 평화롭게 민주주의를 요구하며 집회를 벌였지만, 군사반란세력은 이를 잔혹하고 비인간적인 방식으로 탄압했습니다.
국민을 무차별 총격 살해하고, 불법 구금하고, 부당한 법 조항을 들먹이며 형을 선고해 감옥에 가두는 상황이 8개월 가량 이어졌습니다.
군사반란세력은 민간인 거주 지역, 종교 시설, 병원, 교육 시설을 가리지 않고 점령하여 국민을 근거리에서 감시하고 위협하며 불법 연행, 약탈, 강도, 방화와 같은 반 인륜적 전쟁 범죄를 저지르는 모습을 전 세계가 지켜보았습니다.
국민은 정의로운 방법으로 쿠데타에 맞섰으나, 군사반란세력은 이를 폭력과 불의로 탄압했습니다.
하여 우리 국민은 이에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저항하고 있습니다.
국민통합정부(NUG)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국민의 정부로써 의무를 다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선포합니다.

1. 금일, 2021년 9월 7일을 기해 군부독재 타도를 위한 저항 전쟁을 개시합니다. 이 전쟁은 국민을 위한 전쟁이기에 전국 각지의 국민 모두는 독재자 민 아웅 흘라잉이 이끄는 군사반란세력에 대항해 계층과 지위를 막론하고 총력전을 벌어주시기 바랍니다.
2. 시민방위군(PDF)은 자신이 속한 지역에 있는 군사반란세력과 그 추종세력에 맞서 주시기 바랍니다.
3. 군사반란세력이 임명한 행정관과 정부관리자는 현 직책에서 당장 사퇴하시기 바랍니다.
4. 시민방위군은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주십시오. 위 세 가지 당부가 이행될 수 있도록 힘써주십시오. 시민방위군의 복무신조를 철저히 준수하며 국민을 위해 싸워주십시오.
5. 시민방위군은 자신이 속한 지역의 국민의 생명과 재산 시민사회를 보호하기 위한 계획을 상세히 수립한 뒤 행동해 주기를 바랍니다.
6. 국민 여러분은 금일을 기해 불필요한 외출이나 여행을 삼가주시고 개개인의 안전을 위해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 주십시오. 식량과 의약품을 비축하십시오. 시민방위군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지원해주십시오. 국민 여러분께서는 군사반란세력의 동향과 특이사항을 파악하는 즉시 시민방위군에 소식을 전해주십시오.
7. 소수민족 무장단체 일동은 민 아웅 흘라잉과 예하 군사반란세력에 맞서 총력전을 벌여주시기 바랍니다. 자신의 영토와 지역사회를 온힘 다해 지켜냅시다.
8. 군사반란세력이 유지하고 있는 구체제를 온 국민이 힘을 한데 모아 무너뜨립시다. 민의로 통치가 이루어지는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각계각층은 국민의 요구에 귀 기울이며 계획을 수립하십시오.
9. 군사반란세력의 획책에 넘어가 국민의 뜻을 이반한 국경수비대(BGF) 등 군사반란세력 추종세력은 지금 당장 국민의 편으로 돌아와 국민의 적에 맞서 함께 싸웁시다.
10. 우리의 혁명은 정의를 위한 싸움입니다. 이는 영속적인 연방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위해서 필수불가결합니다.
11. 우리나라가 엄혹한 시기에 어렵게 내린 결정이니만큼 이웃국가와 아시아, 그리고 전 세계 모든 국가와 유엔이 우리의 상황을 이해해주리라 믿습니다.
12. 민중 혁명이 시작되었습니다. 민 아웅 흘라잉에 복종하고 있는 군인, 경찰, 공무원은 즉시 시민방위군과 접촉하여 국민의 편에 서주십시오. 더불어 민족통합정부의 국방부와 내무부로도 연락을 취해주십시오.
13. 금일을 기해 군사반란세력을 위해 일하고 있는 공무원 일동은 출근을 멈추십시오.
14. 국내외에서 군사반란세력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목숨을 잃은 순국열사에 깊은 존경을 표하며 우리 정부는 이를 국가적 차원에서 기록하고 기리겠습니다.
국민 여러분, 전국 각지에서 총 궐기를 일으켜주십시오. 국민의 단결, 창의적인 생각, 날카로운 지성, 굳건한 정신에 의해 우리의 혁명은 더욱 빨리 완수되리라 믿습니다. 군사독재자 민 아웅 흘라잉과 군부독재체제를 미얀마에서 영구적으로 근절하여 평화로운 국가 건설과 정의롭고 공정한 연방민주주의체제를 건설하고 나면 미얀마 연방은 전 세계에서 다시금 그 명예와 영광을 되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혁명은 반드시 성공합니다.
}}}

3. 내각

미얀마 국민통합정부 내각
[ 펼치기 · 접기 ]
||<rowbgcolor=#00a100><rowcolor=white><-5> 정부 수반[44]
연방 민주주의 헌장에 따라 임명된 미얀마 연방 공화국 국민통합정부 수반[45] ||
<colbgcolor=#ce1126><colcolor=white> 대통령 U Win Myint[46]
대통령 권한대행[47] Duwa Lashi La
국무총리[48] Prime Minister Mahn Winn Khaing Thann
국가고문 Daw Aung San Suu Kyi[49]
<rowcolor=white> 정부 부처[50]
미얀마 국민통합정부는 다음과 같은 정부 부처를 임명하였습니다.[51]
<rowcolor=white> 정부 부처[52] 연방 민주주의 헌장에 따라 임명된
미얀마 연방 공화국 국민통합정부 연방장관[53]
연방 민주주의 헌장에 따라 임명된
미얀마 연방 공화국 국민통합정부 차관[54]
외무부[55] Daw Zin Mar Aung U Moe Zaw Oo
내무부[56] U Lwin Ko Latt Khu Hte Bu
국방부[57] U Yee Mon Daw Khin Ma Ma Myo Nai Kao Rot (MSICC)
연방부[58] Dr. Lian Hmung Sakhong U Chit Tun Maing Win Htoo
재무부[59] U Tin Tun Naing U Min Zayar Oo
인도주의 재난관리부[60] Dr. Win Myat Aye Naw Htoo Phaw
국제협력부[61] Dr. Sa Sa[62] Hkaung Naw
교육부[63] Dr. Zaw Wai Soe Ja Htoi Pan Dr. Sai Khaing Myo Tun
보건부[64] Dr. Shwe Pon
환경천연자원부[65] Dr. Too Khaung Khun Bedu
여성청년소년부[66] Naw Susanna Hla Hla Soe Daw Ei Thinzar Maung
인권부[67] U Aung Myo Min Ba Ham Htan
노동부[68] Nai Tun Pe (a) Nai Suwunna U Kyaw Ni (a) U Kyaw Kyaw
법무부[69] U Thein Oo 없음
소통정보기술부[70] U Htin Lin Aung 없음
전력부[71] U Soe Thura Tun Lahpai Maw Tun Awng
상무부[72] Daw Khin Ma Ma Myo 없음
출처: 미얀마 국민통합정부 웹사이트

4. 군대

반군부 진영 무장단체
미얀마 시민방위군(PDF)
<colbgcolor=green><colcolor=white>따무 시민방위군(TPDF)
친주 방위군(CDF)
카레니 민족방위군(KNDF)
친 민족전선(CNF)[73]
카친 독립군(KIA)[74]
게릴라군(UnderGround, UG)
파일:카렌 민족해방군기.svg 카렌 민족해방군
초록색 - NUG와 연대, 빨간색 - NUG와의 연대 거부

5. 웹사이트

National Unity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웹사이트
NUG 웹사이트의 과거 (Wayback Machine)
* 4월 16일, 웹사이트 오픈 #
* 5월 15일, 인권부와 노동부의 장/차관이 추가되었다. #
* 6월 3일, 중규모 업데이트를 했다. #

6. 관련자료

6.1. 관련 링크

6.2. 관련문서


[1] 현재 구금 중이나, 형식적으로 대통령에 임명되었다.[2] 구금 중이나 국민통합정부 국가고문으로 임명.[3] 원래는 '부통령'이어야 하나, 현재 대통령이 구금을 당하고 있어 부통령이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었다.
NUG도 현재 '부통령'보다는 '대통령 권한대행'이라는 단어를 더 많이 쓰고 있다.
[4] CRPH는 자체적으로 임명, 미얀마 국민통합정부의 부통령을 맡게 되었다. 두와는 본명이 아니라 카친족에게 쓰이는 호칭이다.[5] 현행 미얀마 헌법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CRPH가 헌법의 폐지를 선언하며 만든 임시 헌장으로 인해 신설되었다.[6] 쿠데타 발발 전 민족회의(상원) 의장. 만은 본명이 아니라 카렌족에게 쓰이는 호칭이다.[7] Arakanese Army[8] Chin National Front[9] Chinland Defence Force[10] Ethnic Armed Organizations[11] Kachin Independence Army[12] Karen National Liberation Army[13] Karenni National Progressive Party[14] Karen National Union[15] Myanmar National Democratic Alliance Army[16] Ta'ang National Liberation Army[17] United Wa State Army[18] Peaple's Defence Force[19] Mandalay Peaple's Defence Force[20] "Hlegu Peaple's Defence Force[21] Karenni National Defence Force[22] Tamu Peaple's Defence Force[23] UnderGround[24] Civil Disobedience Movement[25] Committee Representing Pyidaungsu Hluttaw[26]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27] National Unity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28] State Administration Council[29] Covid-19 Task Force[30] the Nationwide Ceasefire Agreement[31] Virtual Federal University[32] 미얀마에서의 폭력 즉각 중단, 군부와 민주진영 사이의 대화 시작, 아세안 특사·대표단의 대화 중재미얀마 방문, 인도적 지원[33] ECOWAS, Economic Commuity of Western African States[34] /민방//, PDF 등 다른 명칭으로도 불린다.[35] PDF를 뜻함[36] 언론은 이를 궤변이라고 표현했다...그럴만도 하지[37] 국제인권단체들과 로힝야족 단체들이 2017년 로힝야 집단학살 범죄를 국제 심판대에 올리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온 곳 중 하나이다.[38]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의 측근, NLD 중앙집행위원[39] 코로나19 태스크포스[40] 36차례나 무장 충돌이 이뤄짐[원본] Spring Lottery Raising the Flag of Victory[42] 2017년 로힝야 집단학살 범죄를 국제 심판대에 올리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온 곳 중 하나이다.[43] 미얀마 전체 공무원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치이다.[44] Heads of Government[45] Heads of National Unity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appointed in accordance with the Federal Democracy Charter[46] 현재 구금 중[47] 원래는 부통령이어야 하나, 대통령구금당하는 바람에...[48] 현행 미얀마 헌법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CRPH가 헌법의 폐지를 선언하며 만든 임시 헌장으로 인해 신설되었다.[49] 현재 구금 중[50] Ministries[51] National Unity Government of Myanmar has appointed follow ministries[52] 한글 명칭은 언론에서 사용하는 대로 표기한다.[53] Union Ministers of the Republic of Union of Myanmar National Unity Government appointed in accordance with the Federal Democracy Charter[54] Deputy Ministers of the Republic of Union of Myanmar National Unity Government appointed in accordance with the Federal Democracy Charter[55] Ministry of Foreign Affairs[56] Ministry of Home Affairs and Immigration[57] Ministry of Defence[58] Ministry of Federal Union Affairs[59] Ministry of Planning, Finance and Investment[60] Ministry of Humanitarian Affairs and Disaster Management[61] Ministry of International Cooperation[62] 사사 대변인[63] Ministry of Education[64] Ministry of Health[65]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66] Ministry of Women, Youths and Children Affairs[67] Ministry of Human Rights[68] Ministry of Labour[69] Ministry of Justice[70] Ministry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 Technology[71] Ministry of Electricity & Energy[72] Ministry of Commerce[73] NUG, PDF와 동맹 협정 채결[74] 하지만 전작권을 자신들이 갖고 국민통합정부는 1도 관여하지 않아야 한다는 약속을 받아내는 등 불안함을 내포한 연대이다.[75] 자세한 내용은 5번 문단 참조[76] 팔로잉에 들어가면 다른 관련 계정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