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08:20:59

2023년 수단 내전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수단 내전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5deg, #007229 10%,transparent 10%), linear-gradient(to bottom, #d21034 10%, #FFF 10%, #FFF 90%, #000 90%)"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7229> 상징 <colcolor=#000,#fff>국기
역사 역사 전반 · 누비아 · 다르푸르 술탄국 · 앵글로-이집트 수단 · 마흐디 운동 · 다르푸르 학살 · 2021년 10월 수단 쿠데타 · 2023년 수단 내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하르툼 대통령궁
외교 외교 전반 · 수단 여권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경제 경제 전반 · 수단 파운드
국방 수단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키스라) · 수단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수단 아랍어) · 카스카라
인물 가파르 니메이리 · 오마르 알 바시르 · 사디크 알마흐디 ·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지리 백나일강 · 청나일강 · 다르푸르 · 사하라 사막
민족 수단 아랍인 · 누비아인 · 누바족 · 바까라족 · 베쟈족 · 푸르족
}}}}}}}}} ||

파일:이집트 국장.svg 이집트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0> 제2차 세계 대전
,1940 ~ 1945,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제1차 중동전쟁
,1948 ~ 194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제2차 중동전쟁
,1956,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북예멘 내전
,1962 ~ 197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he_Mutawakkilite_Kingdom_of_Yemen.svg.png 예멘 왕국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제3차 중동전쟁
,1967,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비아프라 전쟁
,1967 ~ 1970,
파일:비아프라 국기.svg 비아프라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제2차 리비아 내전
,2014 ~ 2020,
파일:리비아 국기.svg 국민합의정부
예멘 내전
,2015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파일:알 카에다.png 알 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3년 수단 내전
,2023 ~ 현재,
파일:신속지원군 엠블럼.png 신속지원군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 ||

ساحل
2020년대 사헬 쿠데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 #00000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친서방 성향 반서방 성향
쿠데타 <colcolor=#000,#ddd> 주도 세력
2020년 말리 쿠데타 <colbgcolor=#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Coat_of_arms_of_Mali.svg.png 말리 군부
2021년 말리 쿠데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Coat_of_arms_of_Mali.svg.png 말리 군부
2021년 기니 쿠데타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군부
2021년 10월 수단 쿠데타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과도주권위원회
2022년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Coat_of_arms_of_Burkina_Faso.svg.png 부르키나파소 군부
2023년 수단 내전 파일:신속지원군 엠블럼.png 신속지원군
2023년 니제르 쿠데타 파일:니제르 국기.svg 국가보위전국위원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1369a3, #000 40%, #000 60%, #e63a1a)"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냉전 탈냉전
주요 사건
2008~ 2019 남오세티야 전쟁 · 대침체 · 북한의 2차 핵실험 · 대청해전 · 천안함 피격 사건 ·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 · 연평도 포격전 · 시리아 내전 · 2012년 가자 전쟁 · NSA 기밀자료 폭로사건 · 북한의 3차 핵실험 · 유로마이단 혁명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 2014년 크림 위기 · 돈바스 전쟁 · 2014년 가자 전쟁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 예멘 내전 · 북한의 4차 핵실험 · 북한의 5차 핵실험 · 북한의 6차 핵실험 · 세르게이 스크리팔 암살 미수 사건 · 미국-중국 무역 전쟁(화웨이 규제명령) · 아르테미스 계획 · 중국발 펜타닐 미국 유포 · 2019년 베네수엘라 정치 위기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홍콩 보안법 논란 ·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 · 영국 정부의 대응)
2020 ~ 현재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 라이언에어 4978편 벨라루스 강제착륙 사건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 알렉세이 나발니 독살 미수 사태 · 2020년 벨라루스 시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 미얀마 내전 · 2021년 가자 전쟁 · 2021년 벨라루스-유럽 연합 국경 위기 ·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 · USS 칼 빈슨함 F-35C 추락 사고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2년 세르비아-코소보 분쟁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2022년 이란 시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2년 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 발각(국내 사례) ·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 중국 정찰풍선 사건 · 2023년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 · 2023년 북한 천리마-1 발사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 2023년 수단 내전 · 2023년 니제르 위기 · 2023년 북러정상회담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2024년 예멘 공습 · 진실의 약속 작전 · 헤즈볼라 전쟁) · 서방권의 로비투 회랑 건설 수주 · 한국-쿠바 수교 · 알렉세이 나발니 사망 사건 · 2024년 북한 대남 오물 풍선 살포 사건 · 2024년 북러정상회담 · 정보사령부 군무원 군사기밀 유출 사건 · 2024년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 2024년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다마스쿠스 함락) ·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국제 기구
·
제1세계 EU · Quad · 파이브 아이즈 · AUKUS · CANZUK · CHIP4 · IPEF · MSMT · TIAR · GUAM
제2세계 독립국가연합(СНГ|CIS) · 집단안보조약기구(ОДКБ|CSTO) · 유라시아경제연합(ЕАС|EAEU)
군사 대결 구도
NATO군 vs 러시아군 · Quad vs 중국군 · 한국군 vs 북한군 · 사우디군 vs 이란군 · 예멘군 vs 후티 반군 · 이스라엘군 vs 팔레스타인군 · 세르비아군 vs 코소보군 · 조지아군 vs 압하지야군 & 남오세티야군 · 몰도바군 vs 트란스니스트리아군 }}}}}}}}}}}}



2023년 수단 내전
2023 Sudan Conflict
전황 지도
파일:7월 전황.png
신속지원군 통제
수단 정부군 통제
수단인민해방운동(SPLM-N) 통제
기간
2023년 4월 15일 ~ 진행 중
(쿠데타 개시일로부터 [dday(2023-04-15)]일)
장소
수단 전 지역
교전 국가 및 세력

[[수단 공화국|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수단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수단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수단
]]
파일:신속지원군 엠블럼.png 신속지원군
[[에티오피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1]
수단인민해방운동
지원 국가 및 세력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2]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A]

[[이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A]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A]

[[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6]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7]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8]

[[니제르|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9]

[[차드|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국민의회(리비아)|
파일:리비아 국민군기.svg
리비아 국민군]][10]
[[바그너 그룹|
파일:바그너 그룹 깃발.svg
바그너 그룹]][11]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12]

[[케냐|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13]

[[우간다|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14]
지휘관

[[수단 공화국|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압델 파타 엘 시시
파일:신속지원군 엠블럼.png 모하메드 함단 다갈로
파일:신속지원군 엠블럼.png 압둘라힘 함단 다갈로
압델아지즈 알 힐루
병력
약 110,000 ~ 120,000명 약 70,000 ~ 150,000명
피해

[[수단 공화국|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T-55 7기 파괴
T-72 1기 파괴
85-IIM식 전차 1기 파괴
Su-25 3기 파괴
An-72 1기 파괴
An-12 4기 파괴
An-26 3기 파괴
Mi-24 7기 파괴[출처]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MiG-29 1기 파괴
Mi-17 1대 파손
Il-62M 1대 파괴
이집트군 200명 포로[16]
최소 15000명 ~ 15만명 사망 / 난민 217만명 발생 / 민간인 피난민 772만명 이상[17]
1. 개요2. 배경
2.1. 내전 이전의 쿠데타 시도2.2. 쿠데타 파벌의 갈등2.3. 서방의 실책
3. 전개
3.1. 2023년
3.1.1. 4월3.1.2. 5월3.1.3. 6월3.1.4. 7월3.1.5. 8월3.1.6. 9월3.1.7. 10월3.1.8. 11월3.1.9. 12월
3.2. 2024년
3.2.1. 1월 ~ 6월3.2.2. 7월 ~ 12월
4. 대응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2023년 수단 내전 관련 사진자료
파일:2023_sudan_coup_T-55_cropped.webp
파일:Screenshot_20230416_184606_NAVER.jpg
정부군 소속의 T-55 전차 하르툼 국제공항에서 피어오르는 연기

2023년 4월 15일 수단준군사조직신속지원군(Rapid Support Forces, RSF)이 하르툼 전투를 시작으로 일으킨 내전이다.

하르툼을 포함한 수단 전역의 도시에서 공습, 포격, 총격전이 발생하였고, 대통령궁, 국가 주요시설, 외교공관, 병원, 철도, 항만이 공격 받으며 수단 정부는 실질적 마비 상태에 빠졌다.

분쟁 지역 내 재외국민 구출작전에 있어서 대한민국 공군 공정통제사가 두 번째로 작전에 투입된 사례이며, 대한민국 육군 제707특수임무단은 작전 투입된 사실이 공개된 첫 사례이다.

이 내전으로 2024년 수단의 취약국가지수는 109.3점을 기록하여 세계 2위[18]를 기록하기에 이른다. 2013년 이후 11년 만에 취약국가지수 Top 3에 이름을 올린 셈이다.[19]

2. 배경

2.1. 내전 이전의 쿠데타 시도

수단에서는 2019년 이래 이미 2차례의 쿠데타 시도가 발생한 바 있고, 이번 쿠데타 시도는 세 번째로 발생한 쿠데타이자 대규모 내전이다.

수단은 독재자 오마르 알바시르의 유혈 철권통치 과정에서 남수단이 분리 독립하고 빈곤이 심화되는 등 국가적인 위기를 겪었다. 이것을 해결한다는 명분으로 2019년 당시 군부가 일으킨 것이 첫 번째 쿠데타였는데, 결과적으로 알바시르 대통령을 축출하는 데는 성공했으나 당시 민중의 손으로 민주화를 직접 이루겠다는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기도 했기에 불만을 갖는 시민들이 많았다.

군부는 이러한 비판을 의식해 야권과 합동으로 주권위원회를 구성하여 권력을 분점하고 압달라 함독을 총리로 선출했다. 그러나 이는 말뿐인 조치로, 주권위원회의 주도권은 항상 군부에 있었으며 그마저도 함독 총리가 민주화 로드맵을 세우면서 민정 이양 움직임을 보이자 군부는 두 번째 쿠데타로 대응하였다.

2차 쿠데타는 함독 총리를 구금하고 주권위원회를 일방적으로 해산하는 과정까지 속전속결로 이뤄졌다. 하지만 국제 사회의 압박과 시민들의 대규모 항의 시위가 잇따르자 쿠데타를 주도한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대통령은 함독 총리를 복권하였다. 허나 이 역시 이미 알부르한이 대통령 자리에 오른 시점에서 그저 요식행위에 불과했다. 함독 총리가 이듬해 1월 2일에 사임한 이후로는 알바시르 정권 시절과 별다를 게 없는 공고한 군사독재 체제가 완성되었다.

2.2. 쿠데타 파벌의 갈등

두 차례의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알부르한은 바로 대통령직에 취임하고 정부를 구성했으나, 그에게 방해 요소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신속지원군(Rapid Support Forces, RSF)'은 쿠데타 과정에서 군부의 커다란 조력자이자 충실한 하수인이 되어준 세력으로, 정규군과 별개의 군사 조직, 즉 민병대로 활동하면서 민주화 시위를 유혈 진압하고 군부가 원활하게 국가 권력을 장악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들은 그 공로로 내각 곳곳에 인선되었고, RSF의 사령관인 모하메드 함단 다갈로는 알부르한에 이은 권력 2인자로 불렸다. 이 당시 RSF는 알부르한 중심의 군부독재 체제에서 군부와 양립할 수 있는 유일한 외부 세력이었다.

하지만 두 가지 세력으로 구성된 파벌이 대개 그렇듯이, 새로운 수단 체제의 평화도 오래가지 못했다.

알부르한과 함단 다갈로는 수단의 정치와 관련된 여러 이슈에서 견해차를 보이며 갈등을 지속했다. 대표적으로 알바시르 정권 시절 러시아가 수단에 자신들의 해군기지를 건설하려 맺은 협정에 대해 알부르한은 서방과의 관계 악화 우려를 이유로 파기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지만, 함단 다갈로는 러시아군 해군기지 건설을 지지하며 대체로 친러적인 입장을 보였다. #

특히 RSF를 수단 정규군에 2년 내로 통합해야 한다는 알부르한의 주장은 오래 전부터 RSF의 전적인 지휘권을 갖고 있던 함단 다갈로의 역린을 크게 건드렸다.# 결국 2022년~2023년에 걸쳐 RSF는 10만명 규모의 조직원들을 수단 전역에 배치하여 긴장을 조성했으며, 수단 정부는 이를 위협으로 간주하였다. 서로 험악해지기만 하던 정부와 RSF의 관계는 2023년 4월 15일에 폭발하여 본격적인 유혈 사태로 발전하였다.

2.3. 서방의 실책

"수단 사태는 우리 잘못"…미국 前고문의 뼈아픈 반성문
“수단 사태는 우리 잘못”…美외교전문가, 반성문 쓴 이유는?
수단 분쟁은 우리 잘못이다(뉴욕타임스 오피니언)
미국의 정책이 수단에서 전쟁의 길을 열었다(포린폴리시)

이번 수단 내전의 경우 미국을 위시한 서방진영의 잘못된 외교 정책과 수단 군벌에 대한 오판 또한 원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확히는 국제사회와 서방이 분쟁 해결을 중재하는 과정에서 무장단체나 군벌의 이익을 과도하게 대변한 것과 수단 민주화를 바라는 미국 등 서방의 미숙한 개입이 문제였다는 것.

2019년 당시 오마르 알바시르의 30년간의 잔혹한 독재[20]를 무너트릴 기회라고 생각한 미국을 위시한 서방국들은 독재 정부를 전복시키는데 마땅한 수단이 없는 상태에서 수단 군부를 끌어들였으나, 문제는 미국이 끌어들인 군부 세력이 민정으로의 권력 이양을 등한시한 채 선거 시일이 다가오자 다시 2021년 10월 수단 쿠데타를 일으켜 과도 정부를 붕괴시키고 자신들이 집권한 것이다. 그럼에도 미국은 독재가 종식된 상황에서 언젠가는 민간에 권력을 돌려줄 것이라는 쿠데타 군부의 약속을 믿고 그들을 일단 주시했다.

또한 수단 내전의 요인으로 지목된 신속지원군과 수단 정부군 통합 시도는 미국과 유엔임무단이 추진한 화해 협상과 안보 부문 개혁방안의 일환인데, 이는 결과적으로 권력을 놓기 싫었던 양측 수장이 각자의 세력을 불리도록 부채질하는 결과만 가져왔다.

3. 전개

3.1. 2023년

3.1.1. 4월

파일:Screenshot_20230416_184331_NAVER.jpg

파일:Screenshot_20230422_080820_NAVER.jpg
포격으로 파괴하르툼 국제공항항공기들.

3.1.2. 5월

3.1.3. 6월

3.1.4. 7월

3.1.5. 8월

3.1.6. 9월

3.1.7. 10월

3.1.8. 11월

3.1.9. 12월

3.2. 2024년

3.2.1. 1월 ~ 6월

3.2.2. 7월 ~ 12월

4. 대응

4.1. 프라미스 작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라미스 작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관련 문서



[1] 4월 19일에 수단 정부군과 더불어 이집트군과 일시적인 군사충돌을 겪었다.[2] 2023년 8월부로 지원을 종료했으나 수단 정부군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내전 초기 당시 이집트 정부는 수단 정부군에게 전투기와 정규군을 지원했지만 엘시시 대통령은 이집트군 훈련을 위해 지원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집트와 수단은 원래 할라이브나일 강 수자원 문제로 갈등을 빚던 사이였으나, 에티오피아가 청나일강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을 지으면서 광역 어그로를 끌자 나일 강의 수자원에 의존도가 높은 이집트와 수단은 에티오피아와 적대시하는 마음으로 함께 에티오피아와 대립하다가 이후 예멘 내전에서도 후티에 대응하기 위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예멘 정부군을 같이 지원하면서 관계가 서서히 개선되고 있다.[A] 수단 정부편 지지서명 제출.#[A] [A] [6] 바그너 그룹과 연관된 공통점 때문에 9월 말부터 우크라이나군 일부가 수단군을 지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7] 수단 신속지원군을 제재하면서 정부군을 지지하고 있다.[8] 수단군 군사고문/교육 및 캐나다 자국민을 포함한 동맹국가 국민들을 구출하기 위해 캐나다 특수작전전력사령부 요원들을 급파했다.[9] #[10] 리비아 동부 토브룩 정부 국민의회의 군벌.[11] CNN 보도[12] #[13] #[14] #[출처] Oryx #[16] 현재는 이집트로 돌아갔다.[17] 현 수단 인구가 5000만 명 남짓이다.[18] 2023년에는 7위(106.2점)였다.[19] 사실 수단은 오마르 알바시르 집권기인 2006~2007년에는 취약국가지수 1위를 기록한 적까지 있었던 국가다.[20] 수단 공화국의 7대 대통령이자 독재자며 학살자다. 사실상 수단이라는 국가를 말아먹은 장본인이며, 2차 대전 후 한 손에 꼽히는 최악의 학살자다. 실제로 이 사람의 철권통치 때문에 죽어간 국민 수만 대략적으로 잡아도 1,640,000명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