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5 02:24:39

북캅카스 공세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nopad> 1939년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겨울전쟁
수오무살미 전투
콜라 전투
<nopad> 1940년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nopad> 1941년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바르바로사 작전(독소전쟁)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nopad> 1942년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비르벨빈트 작전
디에프 상륙 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nopad> 1943년
북캅카스 공세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스카쵸크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제1차 돈바스 공세
므가 공세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브랸스크 공세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무솔리니 구출 작전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노스케이프 해전
<nopad> 1944년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로가체프-즐로빈 공세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크림 반도 공세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루블린-브레스트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코브라 작전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발트해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nopad> 1945년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삼란드 공세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북캅카스 전략 공세 작전 '돈 작전'
러시아어: Северо-Кавказская стратегическая наступательная операция 'Операция «Дон»'
독일어: Nordkaukasische Operation 'Operation Don'
영어: North Caucasus Strategic Offensive 'Operation Don'
제2차 세계 대전동부전선의 일부
파일:북캅카스 작전.jpg
날짜
1943년 1월 1일 ~ 2월 4일
장소
교전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소련|]]
지휘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안드레이 예료멘코|
안드레이 예료멘코
]]
(남부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이반 튤레네프|]]
(자캅카스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콘스탄틴 베르시닌|
콘스탄틴 베르시닌
]]
(자캅카스 전선군 항공부대 사령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안드레이 그레치코|
안드레이 그레치코
]]
(제56군 사령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
(A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
(제4항공함대 사령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
(제1기갑군 사령관)
결과
소련군의 승리
소련군의 캅카스 탈환
영향
독일 A집단군이 쿠반에 고립
전력 병력 1,145,300명
피해 규모 전사/실종 69.627명
부상 84,912명
야포 895문
전차/자주포 220대
항공기 236기

1. 개요2. 1943년 겨울의 캅카스 전선3. 전투 서열
3.1. 소련군3.2. 독일군
4. 전개5. 결과

[clearfix]

1. 개요

북캅카스 공세는 천왕성 작전, 소토성 작전으로 독일군의 남부 전선이 무너지자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스카쵸크 작전, 즈베즈다 작전과 함께 1942년 여름과 가을에 빼앗긴 지역을 탈환하기 위해 펼친 대규모 공세이다. 앞선 3개의 작전은 B 집단군과 돈 집단군이 방어하던 돈강 유역과 로스토프, 돈바스를 향한 공세였다면 북캅카스 공세는 A 집단군이 방어하던 캅카스를 향한 공세였다. 소련 남부 전선군[1] 좌익과 자캅카스 전선군은 4기갑군의 우익과 1기갑군, 17군을 밀어내고 코카서스를 대부분 탈환하는데 성공했고 코카서스 유전의 안전도 공고히 할 수 있었다. 독일 A 집단군은 돈 집단군에 1기갑군을 넘기고 17군만 보유한 상태로 쿠반 지역에 갇혀버렸고 1기갑군은 간신히 탈출하는데 성공하여 남부 집단군[2] 휘하로 이동해 프레터-피코 분견군[3]을 흡수한 뒤 도네츠 강 유역에 배치됐다.

2. 1943년 겨울의 캅카스 전선

3. 전투 서열[4]

3.1. 소련군

3.2. 독일군

4. 전개

5. 결과


[1] 공세 직전에 스탈린그라드 전선군을 개칭하면서 편성됐다.[2] 돈 집단군이 2월 12일에 개칭[3] 원래 30군단 사령부였고 이후 다시 30군단이 된다.[4] 1월 1일 기준[5] 1월 1일에 스탈린그라드 전선군을 개칭하면서 편성[6] 1월 24일에 북캅카스 전선군으로 재편[7] 2월 5일에 북캅카스 전선군에 배속, 3월 15일에 흑해군이 해제되고 휘하 야전군들은 북캅카스 전선군 직할로 배속[8] 1월 5일부터, 1일 시점에서는 18군 사령관이었으나 5일에 서로 위치를 바꾸면서 56군 사령관이 되었고 두 사람은 바뀐 위치에서 북캅카스 공세를 진행했다.[9] 2월 1일에 원수로 진급[10] 제5군단[11] 42년 8월 26일에 1항공군단으로부터 창설됐고 2월 17일에 다시 1항공군단으로 개칭[12] 돈강 중류의 B 집단군 지원[13] 42년 11월 25일에 1대공포군단으로부터 창설됐고 2월 6일에 다시 1대공포군단으로 개칭[14] 코카서스의 A 집단군 지원[15] 돈강 하류의 돈 집단군 지원[16] 스탈린그라드의 6군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