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7 00:03:59

발트 해 공세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겨울전쟁
수오무살미 전투
콜라 전투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바르바로사 작전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비르벨빈트 작전
디에프 상륙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북캅카스 공세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스카쵸크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제1차 돈바스 공세
므가 공세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브랸스크 공세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무솔리니 구출 작전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노스케이프 해전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로가체프-즐로빈 공세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루블린-브레스트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발트해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삼란드 공세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발트해 공세
러시아어: Прибалтийская операция[1]
독일어: Baltische Operation
영어: Baltic offensive
제2차 세계 대전동부전선의 일부
width=100%
▲ 발트해 연안으로 진격하는 소련군
날짜
1944년 9월 14일 ~ 11월 24일
장소
소련 리투아니아 SSR,라트비아 SSR,에스토니아 SSR을 비롯한 발트해 연안
원인
소련군의 발트 3국 탈환 시도
독일 북부집단군 섬멸 시도
교전국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소련|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
지휘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이반 바그라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이반 바그라먄
]]
(제1 발트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안드레이 예료멘코|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안드레이 예료멘코
]]
(제2 발트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이반 마슬렌니코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이반 마슬렌니코프
]]
(제3 발트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이반 페듀닌스키|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이반 페듀닌스키
]]
(제2충격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이반 치스차코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이반 치스차코프
]]
(제6근위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이반 류드니코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이반 류드니코프
]]
(제39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페르디난트 쇠르너|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페르디난트 쇠르너
]]
(북부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카를 힐페르트|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카를 힐페르트
]]
(제16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에르하르트 라우스|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에르하르트 라우스
]]
(제3기갑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테오도어 부세|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테오도어 부세
]]
(제1군단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펠릭스 슈타이너|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펠릭스 슈타이너
]]
(제3SS기갑군단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발터 크뤼거|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발터 크뤼거
]]
(제6SS의용군단 사령관)
결과
소련군의 승리
영향
소련군이 발트 연안 탈환
북부집단군이 쿠를란트에 갇히면서 쿠를란트 포위전 시작
전력 병력 1,546,400명
야포 17,480문
전차/자주포 3,080대
항공기 2,640기
병력 571,579명[2]
전차 262대
돌격포 299문
항공기 321기[3]
피해규모 전사/실종 61,468명
부상 218,622명
야포 2,593문
전차/자주포 522대
항공기 779기
전사 7,045명
실종/포로 9,244명
부상 32,819명



1. 개요2. 1944년 가을의 북부 전선3. 전투 서열
3.1. 독일군3.2. 소련군
4. 1단계 : 발트해에 도달한 소련군
4.1. 라트비아 전역 : 리가 공세4.2. 에스토니아 전역 : 탈린 공세와 에스터 작전
5. 2단계 : 쿠를란트와 메멜에 갇힌 독일군
5.1. 라트비아 전역 : 리가 탈환과 쿠를란트 포위전5.2. 리투아니아 전역 : 메멜 공세와 메멜 포위전
6. 공세 종료 : 문순드 상륙 작전7. 결과

[clearfix]

1. 개요

발트해 공세는 독소전쟁을 통틀어 북부전선에서 소련의 마지막 전략적 공세[4]이자 1944년의 마지막 대규모 공세[5]이다. 이 공세로 소련은 쿠를란트 지역을 제외한 발트 3국을 전부 탈환했으며 독일군은 북부 집단군이 쿠를란트에 갇히고 28군단이 메멜에 갇혀 각각 종전시까지, 1월까지 포위전을 펼치게 된다.

2. 1944년 가을의 북부 전선


3. 전투 서열

3.1. 독일군[6]

3.2. 소련군[14]

4. 1단계 : 발트해에 도달한 소련군

4.1. 라트비아 전역 : 리가 공세

4.2. 에스토니아 전역 : 탈린 공세와 에스터 작전

5. 2단계 : 쿠를란트와 메멜에 갇힌 독일군

5.1. 라트비아 전역 : 리가 탈환과 쿠를란트 포위전

5.2. 리투아니아 전역 : 메멜 공세와 메멜 포위전

6. 공세 종료 : 문순드 상륙 작전

7. 결과


[1] 발트해 작전[2] 9월 1일 기준이며 추가로 42,833명의 준군사조직이 있었다. 다만, 저 50만 명은 후방부대를 전부 합친 전력이므로 최전방 전투 병력은 30만명 정도였을 것이다.[3] 9월 5일 기준[4] 이후 종전시까지 북부 전선의 유일한 교전지역이던 쿠를란트에서의 공세는 전황을 바꾸는 전략적 공세라고 보기는 힘들다.[5] 전선군 단위가 아닌 전략적 규모로 볼 때 기준이며 전선군 단위로는 공세가 몇 번 더 있었다.[6] 9월 16일 기준[7] 9월 25일에 그라서 분견군이 되었다가 10월 29일에 다시 클레펠 분견군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11월 10일에 해산되어 사령부는 제25군 사령부가 된 뒤 네덜란드로 이동했고 휘하 부대들은 16군과 18군에 배속됐다.[8] 정식명칭은 Obergruppenführer로 상급집단지도자로 번역가능하며 2차대전기 서방권 중장, 소련군 상장, 독일군 병과대장과 동급이다.[9] 11월 9일까지[10] 11월 9일에 보병대장으로 진급[11] 10월 30일에 16군단으로 명칭이 바뀌고 사령관인 필립 클레펠 기병대장은 10월 20일부터 나르바 분견군의 사령관이 된다.[12] 북부 집단군에 임시로 배속[13] 9월 20일에 상급대장으로 진급[14] 9월 1일 기준, 전선군 순서는 북쪽에서 남쪽으로[15] 10월 5일에 상장으로 진급[16] 10월 16일에 해산되어 휘하 부대들은 레닌그라드 전선군과 제2 발트 전선군, 스타브카 예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