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10:10:08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200번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ae1932><tablewidth=100%>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순환 간선 지선 광역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심야
]]
마을 맞춤 공항
0~50번 51~99번 100번대 200번대
300번대 400번대 500번대 600번대
700번대 800번대 900번대 1000번대~
맞춤 마을
관련 문서
역사 /1970년 개편 이전 /2026년 개편 계획비판 및 문제점노선 조정 내역업체 목록 /공항버스
}}}}}}}}} ||


1. 개요2. 203 (시영버스) (★)3. 205 (시영버스 → 북부운수)4. 205-1 (북부운수) (★)5. 207 (시영버스) (★)6. 209 (시영버스) (★)7. 211 (시영버스 → 중부운수)8. 212 (중부운수)9. 212-1 (중부운수)10. 215 (시영버스 → 신우교통 → 흥안운수)11. 222 (시영버스) (★)12. 222 (도원교통)13. 225 (흥안운수)14. 228 (시영버스) (★)15. 229 (시영버스) (★)16. 230 (김포교통)17. 233 (시영버스) (★)18. 234 (시영버스) (★)19. 235 (시영버스 → 신우교통 → 흥안운수) (★)20. 235 (좌석) (신우교통) (★)21. 235-1 (신우교통 → 흥안운수)22. 235-2 (신우교통) (★)23. 239 (시영버스 → 삼흥운수) (★)24. 239-1 (삼흥운수 → 대성운수)25. 240 (삼흥운수 → 대성운수 → 서울승합) (★)26. 243 (시영버스) (★)27. 255 (시영버스) (★)28. 270 (시영버스 → 동성교통) (★)29. 271 (시영버스 → 수도교통) (★)30. 272 (시영버스 → 수도교통) (★)31. 273 (시영버스 → 신장운수) (★)32. 274 (시영버스 → 신장운수) (★)33. 275 (시영버스 → 삼흥운수) (★)34. 277 (시영버스) (★)35. 288 (시영버스 → 동성교통 → 신진운수 → 진화운수)36. 288-1 (신진운수 → 삼선버스) (★)37. 289 (시영버스 → 신촌교통 → 성진상운 → 관악교통) (★)38. 289-1 (관악교통)39. 289-2 (관악교통)(★)

[clearfix]

1. 개요

서울시가 오지노선 등 수요가 나오지 않는 노선들을 직접 운행한 적이 있는데, 200번대는 이런 시영버스 출신 노선들이 많이 있었다. 시영버스 자체는 2004년 개편보다 훨씬 이전에 사라졌다. 사라진 이후 각 회사에 서울시가 노선을 직권 분배했는데, 이 과정에서 번호가 바뀌지 않아 200번대 노선=시영버스 출신이라는 등식이 성립했던 것이었다.

1970년 개편으로 새로이 생겨난 200번대 노선은 다음과 같다.출처(동아일보, 1970. 3. 30, 8p)
범례
링크 2004년 이후 지금도 운행하고 있는 노선
(★) 2004년 개편 전에 이미 폐선되거나 타 지자체로 이관된 노선
둘 다 없음 2004년 개편 때나 그 이후에 폐선되거나 타 지자체로 이관된 노선

2. 203 (시영버스) (★)

시흥동에서 서울특별시청까지를 오가던 노선이었다.

3. 205 (시영버스 → 북부운수)

파일:서울 205번 1994년.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205.jpg
출처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205번
노선 (적색) 면목동종점 - 면목시장 (사가정역) - 면목역 - 면목초등학교 - (→ 상봉시장 →/← 혜원목욕탕 (혜원사거리) ← 상봉터미널 ←) - 상봉역 - 동부시장 - 휘경동입구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보문역 - 삼선교 - 창경궁 (서울대학교병원) - 안국역 - 경복궁 - 사직단 → 독립문역 → 무악재역 → 홍제역 → 녹번역 → 은평구청 → 신진공업고등학교 → 대림시장 → 가좌전화국 → 북가좌삼호아파트 → 모래내삼거리 → 사천교 → 성산회관 → 연세대학교 → 이대부고 → 금화터널 → 사직단 → 이하 역순
노선 (청색) 면목동종점 - 면목시장 (사가정역) - 면목역 - 면목초등학교 - (→ 혜원목욕탕 (혜원사거리) → 상봉터미널 →/← 상봉시장 ←) - 상봉역 - 동부시장 - 휘경동입구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보문역 - 삼선교 - 창경궁 (서울대학교병원) - 안국역 - 경복궁 - 사직단 → 금화터널 → 이대부고 → 연세대학교 → 성산회관 → 사천교 → 모래내삼거리 → 북가좌삼호아파트 → 가좌전화국 → 대림시장 → 신진공업고등학교 → 은평구청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 → 사직단 → 이하 역순
후신 272 (면목동 - 금화터널 - 남가좌동)
7025 (사직동 - 은평구청 - 북가좌동)

터져나가는 수요가 증명해주듯 면목동길에는 괴물급 노선들이 즐비했는데 지금 보면 이런 동네도 없다

17 (도선여객) 61대
131 (경성여객) 55대
567 (우신운수) 55대
205 (북부운수) 74대
19 (아진교통) 102대 이게 끝판왕

여기에 쩌리
50 (북부운수) 42대
55-3 (대원여객) 35대
까지 합치면 어후...

이 노선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서울 버스 272 참조. 워낙 수요가 많은 노선이다 보니 개편 때에도 큰 틀의 변화 없이 손질을 해서 그대로 살아남았다. 개편 전 운행대수는 열 손가락 안이었고 개편 후에도 열 손가락 안에 든다.

1980년 5월 19일에 북부운수 소속 차량 1대가 차량이 앞에 가던 픽업 트럭을 피하다가 사고가 났었다.#

4. 205-1 (북부운수) (★)

파일:서울 205-1번 1994년.jpg

운행구간: 면목동 - 상봉동 - 청량리 - 신설동 - 보문동 - 혜화동 - 창경궁 - 적선동 - 연세대 - 모래내 - 북가좌동 - 응암동 - 홍은동(미미예식장)

본래 205의 좌석버전이었으나 이후 시내로 형간전환. 응암순환이 아닌, 응암을 넘어 홍은동까지 갔다가 회차했다. 2003년 205번에 통합되면서 205번의 운행대수가 62대에서 74대로 증차.

5. 207 (시영버스) (★)

시흥과 서울시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3번 입석버스였다.

6. 209 (시영버스) (★)

영등포와 한양대를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15번 입석버스였다.

7. 211 (시영버스 → 중부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211.jpg
출처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211번
노선 신월7동 - 양강중학교 - 신정역 - 목동역 - 오목교역 - 양남동로터리 - 당산동진로아파트 - 영등포시장 - 신길역 - 대방역 - 노량진역 - 한강대교 - 한강맨션 (동부이촌동) - 서빙고역 - 보광신동아아파트 - 한남동 - 버티고개역 - 약수역 - 청구역 - 신당역 - 상왕십리역
후신 6211

1967년 3월 서울특별시에서 시영버스를 창업하여 시영버스로 개통하였다. 개통 당시에는 쌍문동 - 영등포를 오가는 노선이었고 36대라는 비교적 버스 인가대수가 많은 노선이었다. 1974년 10월 8일 시영버스가 분할되어 중부운수가 창립되고 211번 버스 36대는 중부운수 소속으로 넘어가 중부운수 창립부터 함께한 최고참급 노선이다. 이후 중부운수가 목동으로 차고지 확장 이전되어 쌍문동 구간이 제기동으로 단축되고 목동으로 노선이 연장되어 목동 - 제기동을 오가는 노선으로 대폭 변경되었다. 1978년 11월 28일 목동에서 제기동까지 오던 버스가 제기동에서 청량리 - 위생병원 - 중랑교 - 동부시장 - 상봉동 - 망우리 구간으로 노선이 변경되고 1979년 5월 1일에는 망우리까지 가던 노선이 목동 - 제기동 - 청량리역 - 서울산업대(현 서울시립대) - 동대문여중 - 신답사거리 - 태양아파트 - 동마장터미널 회차로 단축되었다. 이후 1982년 일자미상 목동에서 신월동으로 차고지가 다시 이전되어 신월동으로 연장되고 청량리 - 동마장터미널 구간이 단축되고 신월동 - 상왕십리 노선으로 2004년 6월 30일까지 운행했다.

여담으로 중부운수에서 이 노선에 최초로 냉방버스를 도입하고, 또 회사 내에 전 차량 냉방화를 먼저 시행한 노선이기도 하다.

개편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6211 참조. 특이하게도 기존 211번의 6자만 붙인 형태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8. 212 (중부운수)

파일:212버스.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212.jpg
출처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212번
노선 신월7동 - 양강중학교 - 신정역 - 목동역 - 오목교역 - 양남동로터리 - 당산동진로아파트 - 영등포시장 - 신길역 - 대방역 - 노량진역 - 흑석동 - 현충원 - 구반포 - 신반포 - 고속터미널 - 반포역 - 논현역 - 영동차관아파트 (현 삼성힐스테이트아파트) - 봉은사, 코엑스북문 - 서울의료원 (현 강남분원) - 종합운동장 - 신천역 (현 잠실새내역) - 잠실역 - 성내역 (현 잠실나루역) - 올림픽회관 - 분리운행 (적색: 강동구청 - 둔촌사거리, 청색: 강동대로 - 둔촌사거리) - 둔촌동역
후신 640, 반포역부터 종합운동장까지는 3414가, 종합운동장부터 올림픽회관까지는 342가 어느 정도 대체.

1979년 8월 18일 211번 버스에서(현 서울 버스 6211) 15대가 분리되어 목동 - 고속터미널 - AID아파트 - 잠실시영아파트로 운행하였다. 211번과 함께 중부운수의 최고참급 노선이다. 1982년 4월 17일 목동 - 잠실 - 둔촌동 구간으로 운행했던 버스가 양천구 신월동으로 연장되면서 신월동 - 신정동 - 목동 - 영등포 - 노량진 - 흑석동효사정 - 국립현충원 - 이수교 - 고속터미널 - 논현동 - 영동시장 - AID아파트 - 봉은사 - 서울의료원 - 남서울대운동장 - 잠실역 - 성내역(현 잠실나루역) - 강동구청 - 둔촌동으로 연장되었다. 이후 1980년대 중반 일자미상 목동에 있던 차고지가 신월동으로 이전되면서 동사 211번과 같이 신월동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이후 서울 남부지역의 승객들이 많아져 차량이 증차되었고 서울을 동서로 횡단하던 장거리 노선으로 64-1번의 형간전환 이전까지 서울시내를 다니는 시내버스 중 최장길이의 괴물노선.이 되었다. 2004년 6월 30일까지 운행한 후 2004년 7월 1일 폐선되었다.

막차시간이 신월동 차고지 기준 22:20에 출발해서 둔촌동에서 회차할 때 자정 가까이 되었고, 차고지에 도착하는 시간이 25:40 가까이 되었다.

대개편 때 서울의료원 - 둔촌동 구간이 단축되었다. 개편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640 참조. 이후 삼성역까지 다니다가 신논현역으로 단축되었고 현재는 강남역까지 운행하고 있다. 212번이 폐선되고 640번 버스가 강남역까지만 운행하면서 강동구와 송파구에서 영등포와 목동, 신월동으로 한 번에 가는 직통 버스가 사라져 서울 지하철 2호선을 타고 영등포구청역에서 수도권 전철 5호선으로 환승하거나 잠실역.롯데월드에서 360번 버스를 타고 강남역에서 640번 버스를 타고 영등포시장, 목동, 신월동으로 환승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여담이지만, 이 노선이 다닐 당시, 중부운수서울승합은 서로 앙숙이였다. 21번 버스와 212번 버스는 신길역 - 논현역. 종합운동장 - 둔촌동까지 중복 노선이었는데 특히 흑석동에서 고속터미널 구간, 종합운동장에서 잠실 구간에서 서로 과속 신호위반 가로막기 등을 시전하면서 운행하였다. 그러다가 서울승합이 과속과 신호위반으로 추돌사고를 한 번 일으키자, n년 연속 평가 1위라는 타이틀을 달고 다니며, 엿을 먹이고 다녔다(...) 다만 개편 이후로도 서울승합은 여전히 서울에서 난폭운전이 꽤 심한 회사라는게 함정.

9. 212-1 (중부운수)

파일:P1010096.jpg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212-1번
노선 신월7동 - 양강중학교 - 신정역 - 목동역 - 오목교역 - 양남동로터리 - 당산동진로아파트 - 영등포시장 - 신길역 - 대방역 - 노량진역 - 흑석동 - 현충원 - 구반포 - 신반포 - 고속터미널 → 반포미도아파트 → 법조단지 → 교대역 → 대법원 → 성모병원 → 사평대로 → 삼호가든사거리 → 고속터미널 → 이하 역순
대체노선 640, 3420

212번의 지선으로, 1989년 8월 14일에 신설되었다. 당시에도 현재와 유사하게 신월동 - 법조단지 간을 운행하였다. 하지만 대개편때 폐선되었다. 관련 게시물

10. 215 (시영버스 → 신우교통 → 흥안운수)

파일:215시영.jpg
시영버스 운행 당시.

파일:CQ1553bb1e0889de.jpg
신우교통 운행 당시. 해당 면허는 현재 105번에서 2024년식 현대 일렉시티로 운행 중이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215.jpg
흥안운수 운행 당시. 해당 면허는 말소되었다.

출처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215번
노선 상계주공7단지 - 노원역 - 도봉면허시험장 - 노원고등학교 - (→ 방학사거리 → 신도봉시장 → 성황당 →/← 방학삼성아파트 ← 도봉시장 ← 도봉성우아파트) - 노원교 - 수락산역 - 마들역 - 노원역 - 중계역 - 하계역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먹골역 - 중화역 - 중랑교 - 휘경동입구 - 청량리 → 새마을금고 → 경동시장 → 청량리 → 이하 역순
후신 1145146 (상계동 - 중화역), 105 (중화역 - 청량리)

시초는 113번 입석+좌석버스로 도봉동과 서울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때 시영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위와 같이 변경되었다.

이후 1974년에 운수업체가 변경되어, 당시에는 도봉동 - 동1로 - 왕산로 - 용두사거리 - 동대문 → 청계4가 → 종로4가 → 이하 역순의 경로로 운행하였다. 1983년에 동대문으로, 1990년대 초반에 경동시장으로 단축된 이후로는 대개편 때까지 큰 변화 없이 운행했다.

운행댓수는 28대였으며 배차간격은 5분이었다. 첫차는 04:30, 막차는 22:30이었다. 특이점이 있다면 2003년에 10-1, 117번에서 다니던 가스차를 이 노선에 몰아주었는데 이는 가스충전이 편리했기 때문.[1] 그리고 도봉동 구간은 상하행이 달라서 경동시장 방면은 동일로 경유였고, 상계7단지 방면은 마들길을 경유했다.

2004년 대개편 때에는 도봉동 구간을 남겨 1145번으로 바꾸고[2] 한성여객으로 넘겼으나 노원교차고지에서 철수하려던 146번과 통폐합되어 2005년 여름에 폐선되었다. 동시에 146번이 노원교에서 7단지영업소기점 - 도봉동 - 노원교 - 동일로 구간이 연장되었다.

11. 222 (시영버스) (★)

파일:seoul-1970s-15.jpg
운행구간: 광장동 - 면목동 - 청량리 - 종암동 - 정릉 - 홍은동 -신촌

1970년대 초반 동부운수에 불하되어 1973년 5월 5일 522번으로 변경되었다.

12. 222 (도원교통)

운행구간 (1기): 정릉 (국민대) - 길음동 - 삼선교 - 종로 - 중앙시네마 - 한남동 - 신사동 - 압구정 미성아파트 - 압구정역/압구정 현대백화점 - 언주로 - 개포주공1단지 - 일원동 - 수서동 - 수서역
파일:222버스.jpg
해당 면허는 현재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2015년식으로 있다.
파일:external/pds27.egloos.com/c0209256_588a9353131a8.png 파일:222번.jpg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222번
노선 (도원교통종점 ← 국민대학교 ←) 도원교통종점 - 길음시장 - (← 길음역 ←) - 미아리고개 - 돈암동 - 삼선교 - 대학로 - 종로 5, 4, 3, 2가 - (→ 무교동 → 을지로입구, 광교 →) - 중앙시네마, 서울백병원 - 남산1호터널 - 한남동 - 한남대교 - 압구정역 - 신구중학교 - 관세청 (현 서울세관) - 경복아파트 (현 아크로힐스논현) - 영동전화국 (현 KT 강남지사) - 개나리아파트 (현 역삼자이아파트) - 영동세브란스병원 - 개포동현대아파트 → 개포고등학교 → 개포중학교 → 개포주공1단지 → 개포동현대아파트 → 이하 역순
후신 1011 (정릉 - 무교동), 405 (중앙극장 - 개포동) → 두 노선 모두 폐선, 이후 472가 중앙극장에서 압구정역까지, 141이 언주로 구간을 대체 중이다.

운행구간 (2기): 정릉 (국민대) - 길음동 - 삼선교 - 종로 - 중앙시네마 - 한남동 - 신사동 - 압구정 미성아파트 - 압구정역/압구정 현대백화점 - 언주로 - 개포주공1단지

198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 원래 동사가 운행하던 도시형 2번 버스의 좌석형 버전이였다. 그러나 당시 좌석 2번 및 도시형 22번 버스가 있었기 때문에 222번을 달았다. 즉, 시영버스 출신 노선이 아니다. 이후 남산운수 폐업으로 779번이 폐선되면서 2번과 같은 마포 방향 노선이 아닌 강남 방향 노선으로 바꿨다. 1997년 10월 도시형으로 형간전환하면서 수서역 회차에서 개포주공1단지 회차로 단축하였다.

2004년 개편 이전까지 12-3번과 함께 남산1호터널을 관통하던 몇 안되는 도시형 일반버스 노선이었다. 그나마도 둘 다 강남역을 가지 않았고, 이는 1005-1번이 성공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남산순환로(소월로)를 거쳐 강남역을 가던 83-1번이 있기는 했지만, 지하철은 커녕 서울 면허 버스로도 4대문 안 지역과 강남을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없어 경기도 좌석버스로 이동해야 했던 이상한 상황은 개편 이후로 470,741번이 생기며 많이 개선된다.

공식적으로 개편 때 폐선되었으나, 사실상 두 노선으로 분리되었다. 강남 구간은 서울 버스 405번(현재 노선과는 전혀 무관한하지 않은 개포동 - 서울역 간 노선, 도선여객에서 운행.)이 강남 - 중앙극장을 대체해주었는데 222번의 주 수요구간과 비껴나가는 구간을 선정하는 바람에 신통치 않은 결과가 나와 2005년 4월 폐선되었고, 또한 강북으로는 당사에서 1011번이 정릉 - 광화문 간을 대체해 주었는데, 역시 2005년에 폐선되었다. 언주로 구간은 141번이 대체 중이다.

13. 225 (흥안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225.jpg
해당 면허는 현재 1139번에서 2017년식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로 운행중이다.출처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225번
노선 상계4동 - 동아불암아파트 - (→ 영신약국 → 새마을금고 →/← 상계역 ←) - 상계동주유소 - 노원역 - 상계주공 3, 6단지 - 상계주공 2, 4단지 - 한국성서대학교 - 상명고등학교 - 청계초등학교 - 용동초등학교 - 노원경찰서 - 서울온천 - 노원자동차검사소 -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 원자력병원입구 - 공릉동두산아파트 - 북부지방법원 (현 서울생활사박물관) - 태릉입구역
후신 1134 (폐선)

235번이 폐선되면서 2002년 9월 30일부로 신설된 노선이었다. 신설당시의 인가댓수는 7대, 배차간격은 15~20분. 첫차 05:00, 막차 23:40. 그렇지만, 제대로 된 홍보가 없었던지라 태릉입구 - 노원역 구간은 38-1번에게 완전히 밀려버렸고, 굴곡도 쓸데없이 많았던터라 메리트가 없었다.[3]

결국 차량 2대가 60~9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유령노선으로 전락하고 말았고 주말에는 아예 운행도 안 했다.

이렇게 폐선되는 듯 했지만, 대개편을 맞아 상계7단지 출발로 바뀌고, 태릉입구역에서 석계역까지 연장되면서 1134번이 되었다. 하지만 1132번1141번에 비해 배차가 턱없이 길었고[4], 운수업체도 별다른 의욕을 보이지 않아 하계역 - 석계역 구간이 잘렸고[5] 결국 2005년 5월 10일부로 폐선. 운행 차량 4대는 1142번에 증차된다.

특이점이 있다면, 의외로 상계로 상계4동 - 노원역 구간을 완주하는 유일한 노선이었다는 점, 태릉입구 회차 시에 먹골역까지 가지 않고 중랑역로를 경유하여 회차했다는 점이 있다.

14. 228 (시영버스) (★)

화곡동과 용두동, 구 동마장터미널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2번 좌석버스였다.

15. 229 (시영버스) (★)

파일:20049.jpg
개화동과 영등포구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2번 입석버스였다.

16. 230 (김포교통)

파일:6A15F9FD-834F-4605-97A2-49254E3403F1.jpg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230번
노선 인천시 불로동 (길훈아파트) - 동성아파트 - 여우재고개 - 홈플러스 - 김포축협 - 김포시장 - 김포고등학교 - 김포시청 - 조리미 - 장곡 - 고촌 - 개화검문소 - 개화산역 - 공항중학교 - 송정역 - 공항전화국
후신 6641 → 폐선 이후 김포 버스 60이 전 구간 대체 중이다.

130번(청색)이 단축되면서 번호가 230번으로 변경되었다. 당초 계획은 노선분리없이 불로동하고 전혀 상관없는 장기동 출발 노선으로 잡혀있었다. 대개편 때 방화동으로 연장되면서, 서울 버스 6641이 되었고 기점도 방화동 본사로 바뀌었다. 이후 다시 송정역으로 단축되었다가 또 다시 방화동 본사로 연장되었다.

첫차는 기점(불로지구)기준 04:30, 막차는 23:20이었고 종점(송정역) 기준 첫차 04:55, 막차 23:50이었다.

17. 233 (시영버스) (★)

구평동(現 종로구 평창동)과 공무원아파트(현 이촌역 한가람아파트)를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11번 좌석버스였다.

18. 234 (시영버스) (★)

운행구간: 불암동 - 삼육대학교 - 태릉선수촌 - 화랑대 - 석계역 - 월곡역 - 길음역 - 정릉 - 국민대학교 - 평창동 - 상명대정문

19. 235 (시영버스 → 신우교통 → 흥안운수) (★)

운행 구간: 상계4동 - 공릉구길/동1로 - 먹골역 - 중화동 - 청량리 - 동부시립병원 - 상왕십리역 - 무학여고 - 언주로 - 테헤란로 - 잠실종합운동장

본래 상계동(당고개)에서 동대문까지 운행했던 것을 가락시장까지 연장했다가 종합운동장으로 단축했다. 흥안운수에 인수된 후에는 수요가 잘 안나온다는 이유로 파행운행을 일삼았고, 결국 2002년 8월에 폐선되었다. 이 노선을 없애고서 225번을 신설했는데 그 225번은 235번을 능가하는 막장노선이었다.

20. 235 (좌석) (신우교통) (★)

1990년 9월 신설, 도시형과 달리 가락시장까지 계속 운행하다가 유령노선으로 전락, 1999년 4월 공식 폐지되었다.

21. 235-1 (신우교통 → 흥안운수)

파일:2001_05_235-1.jpg
2001년 6월의 모습. 광고는 영화 진주만(2001)이며 벤 애플렉, 조쉬 하트넷, 케이트 베킨세일 주연.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235-1.jpg
출처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235-1번
노선 상계4동 - 동아불암아파트 - (→ 영신약국 → 새마을금고 →/← 상계역 ←) - 상계동주유소 - 상계중학교 - 백병원 - 노원역 - 마들역 - 수락산역 - 도봉역 - 오봉초등학교 - 방학2동사무소 - 도깨비시장 - 거성학마을아파트 - 도봉소방서 - 방학사거리 - 쌍문역 - 창동중앙약국 - 창동시장 - 창동건영아파트 - 수유역 → 미아역 → 성북시장 → 삼양동입구사거리 → 삼양사거리 → 빨래골 → 화계사입구 → 대한병원 → 수유역 → 이하 역순
후신 1139 (상계동 - 방학동), 1127 (쌍문역 - 수유역)

1980년대에 신설되었으며, 당시엔 신우교통 소속이었다. 원래는 방학역을 지나 쌍문역, 수유역, 미아역, 송천동사무소, 삼양시장 순으로 경유했다.

2001년에 신우교통이 흥안운수에 합병되면서 흥안운수 소속이 되었다. 그리고 동년 12월부터 한성버스의 경영난으로 인해 20번, 20-2번이 파행운행 상태가 되자 20번이 다니던 '도봉전화국 - 신창시장 - 태영데시앙아파트'[6] 구간과 20-2번이 다니던 '방학2동사무소 - 원약국 - 거성파스텔학마을아파트' 구간을 추가로 다니게 되었다. 당시 댓수는 22대였으며 5~8분 간격이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도봉역 이남 구간이 단축되면서 도봉산역에서 회차하게 되었고 1139번이 되었다. 이후 2005년 1월에 안방학동 구간이 연장, 환원된다. 삼양동까지 가는 구간은 2005년에 조정된 1128번이 대체하고 있다.

22. 235-2 (신우교통) (★)

운행구간: 상계4동 - 상계역 - 중계주공4~6단지 - 중계시영3단지 - 노원경찰서 - 경기공고 - 서울산업대 - 안마을 - 묵동구길 - 중화동 - 동부시장 - 위생병원(현 삼육서울병원) - 시조사삼거리 - 청량리역 - 용두동사거리 - 상왕십리역 - 왕십리역 - 삼표레미콘, 경마장(현 서울숲) - 성수대교 - 도산공원 - 관세청 - YMCA - 선릉역 - 삼성역 - 종합운동장 - 잠실3단지 - 잠실역 - 송파 - 가락시장(회차)

1993년 8월 10일 중계아파트단지 수요를 위해 235번에서 갈라져 나온 노선. 117-1번과 마찬가지로 응봉동 단축 후 폐선되었다.

23. 239 (시영버스 → 삼흥운수) (★)

운행구간: 성남시 금광동 - 신구전문대 - 단대5거리 - 제일시장 - 성남시청 - 경원대 - 대유공전(현. 동서울대학) - 복정동 - 세곡동 - 헌인릉 - 말죽거리 - 강남역 - 영동4거리 - 신사역 - 한남동 - 약수역 - 장충체육관 - 동대문운동장 - 을지5가 - 신당동 - 상왕십리 - 왕십리 - 마장동 - 청량리 - 휘경동

1974년 10월 30일 39번 운행분 일부 차량으로 외대앞(휘경동) - 성남시 금광동을 오가는 노선으로 개통되었다. 휘경동, 청량리에서 강남 성남을 오갈때 을지로6가, 서울운동장, 약수동, 한남등으로 돌아가는 굴곡 노선으로 인해 소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제3한강교를 건너 강남대로, 헌릉로와 복정역 - 태평역 구간에서는 사람들이 별로 없어 과속 난폭운전이 매우 심한 노선 중의 하나였다. 이후 휘경동 - 을지로5가 구간이 단축된 이후 1985년에 폐선.

24. 239-1 (삼흥운수 → 대성운수)

파일:Youth.Sketch.1987.XviD.AC3.CD1-WAF.avi_000552512.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239-1.jpg
출처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239-1번
노선 금광동기점 (신구대학사거리) - 금광1, 2동사무소 - 단대오거리 - 종합시장 (신흥역) - 성남시청 (현 성남시의료원) - 중앙시장 (태평역) - 경원대역 (현 가천대역) - 복정역 - 세곡동사거리 - 헌인릉 - 탑성마을 - 양재역 - 강남역 - 논현역 - 신사동사거리 → 신사역 → 신사동고개 → 언북중학교 → 학동사거리 → 갤러리아백화점 → 압구정역 → 신사중학교 → 신사사거리 → 이하 역순
후신 440, 금광동 - 태평역 구간은 성남 버스 3-1, 단대오거리 - 양재역 구간은 452가 대체 중이다.

2004년 기준으로 일 운행 대수는 42대, 배차간격은 3~5분이었다. 대개편 때는 4422번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2008년 10월에 간선버스로 승격과 동시에 강남대로 중앙차로 경유로 바뀌였다. 서울 버스 440 참조.

25. 240 (삼흥운수 → 대성운수 → 서울승합) (★)

운행구간: 명일동 - 고분다리 - 천호동구4거리 - 천호동 - 영파여고 - 서울중앙병원 - 올림픽회관 - 성내역(명일동 방면) - 잠실역(롯데월드) - 석촌호수 - 송파 - 가락시장 - 문정동 - 장지동 - 복정동 - 대유공전[7] - 경원대[8] - 태평동 - 성남시청 - 제일시장 - 단대5거리 - 신구전문대 - 성남시 금광동

1998년 12월 폐지.

26. 243 (시영버스) (★)

상계동과 서울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4번 입석+좌석버스였다.

27. 255 (시영버스) (★)

목동에서 어린이대공원을 경유하여 망우리를 잇는 노선이다.
1973년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경유노선이 500번대로 변경되면서, 555번(우성버스 555번과는 무관한 노선.)이 되었다. 1974년 10월 28일 중부운수에 불하되었다.

28. 270 (시영버스 → 동성교통) (★)

천호동 - 을지로5가를 운행하던 노선이다.
이 노선의 지선은 광주대단지의 유일한 버스였으나 단 6대만으로 운행했다(...).
1973년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경유 노선이 500번대로 변경되면서, 570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 문서에서 570번 항목을 참조.

29. 271 (시영버스 → 수도교통) (★)

거여동과 시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5번 입석버스였다.
1973년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경유 노선이 500번대로 변경되면서, 571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 문서에서 571번 항목을 참조.

30. 272 (시영버스 → 수도교통) (★)

송파와 서울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8번 입석버스였다.

1973년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경유 노선이 500번대로 변경되면서, 572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 문서에서 572번 항목을 참조.

31. 273 (시영버스 → 신장운수) (★)

파일:26614.jpg
하남(신장)과 을지로5가를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9번 입석버스였다.
1973년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경유 노선이 500번대로 변경되면서, 573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 문서에서 573번 항목을 참조.

32. 274 (시영버스 → 신장운수) (★)

하일동(현 강일동)과 서울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10번 입석버스였다.
1973년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경유 노선이 500번대로 변경되면서, 574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 문서에서 574번 항목을 참조.

33. 275 (시영버스 → 삼흥운수) (★)

수진리(현 수진동)과 천호동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16번 입석버스였다.

34. 277 (시영버스) (★)

파일:external/snvision.seongnam.go.kr/201602163549625.jpg

헌릉로(당시 대곡로)가 개통하면서 신설되었다. 당시 노선은 '광주대단지 - 을지로5가'

1981년에 대성운수가 인수함에 따라 성남시-동대문운동장을 운행하는 739번 좌석버스로 재편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00번대 문서를 참조.

현재 폐선된 407번의 전신이다.

35. 288 (시영버스 → 동성교통 → 신진운수 → 진화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288.jpg
출처 사진 구석의 깨알같은 상문중고등학교
동성교통에서 운행했던 시절. 이 사진은 1970년대경 사진으로 추정되며 그 당시까지는 강남 지역이 발전하기 이전 시절이라 지금과는 매우 다른 모습이다.
파일:kvntnsw2v45e5m9ezqrr289f7wb0.png
파일:288.png
진화운수로 형간전환후 운행했던 시절.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288번
노선 수서역 - 수서삼성아파트 - 일원역 - 삼성서울병원 - 중동고등학교 (대청역) - 개포동 공무원아파트 - 개포주공5단지상가 - 경기여자고등학교 - 개포도서관 - 개포고등학교 - 도곡역 (그랑프리백화점) - 한티역 - 영동세브란스병원 - 역삼럭키아파트 - 뱅뱅사거리 - 무지개아파트 - 남부터미널 - 서울고등학교 - 방배동신동아아파트 - 방배역 - 내방역 - 가야병원 - 방배동삼호아파트 - 흑석동 효사정[9]
후신 4511 → 폐선 이후 강남05가 대청역 - 개포고, 4432가 개포고 - 뱅뱅사거리, 4319가 뱅뱅사거리 - 내방역 구간을 대체 중이다.

노선의 시초는 106번 입석+좌석버스로, 원지동/옛골과 서울시청을 잇는 노선이었다. 서울시에 편입된 지 얼마 안된 강남(영동) 지역을 지나는 최초의 시내버스였다.

1970년 대개편을 거치면서 시영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이 때 288번으로 변경되었다.

이 노선의 노선권이 1972년 6월 20일에 동성교통으로 넘어갔고, 이후 1988년에 신진운수에 노선이 매각되었다.

1997년 흑석동에 위치하였던 중대부고가 도곡동으로 이전하면서 62-1번과 통학 수요를 나누어 먹으며 잠시 황금기를 맞이하기도 했으나 그것도 잠시 1998년 졸업과 함께 통학 승객이 감소하게 되었고 2000년 4월경에 사업면허 반납과 함께 진화운수가 인수하였다.

노선투자 소홀로 인해 2000년 9월 용산역으로 단축되었다.

2001년 5월에 흑석동 효사정 앞으로 단축되었다.

이후 2004년 대개편 때 3423번(수서역~남부터미널)과 4511번(남부터미널~흑석동)으로 분해되었으나, 이 두 노선마저 2005년 3월, 8월에 폐선되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강남에서 도심으로 갈 때 동호대교를 거치지 않고, 교통량이 많은 강남과 한강대교로 돌아서 간다는 이유로 언론에 실리기도 했다. 동아일보, 1999.10.11., 29p

방배동에서 흑석동 방면으로 가는 유일한 버스였는데 폐선 이후 지금까지도 방배동(정확히는 방배로 구간)에서 흑석동 방면으로 가는 버스 노선이 없다. 흑석동이나 환승 후 노량진 방면으로 갈 승객들에게 있어 꽤나 불편한 부분

36. 288-1 (신진운수 → 삼선버스) (★)

운행구간: 양재동 - 양재역 - 숙명여고 - 은마아파트 - 삼성역 - 종합운동장 - 잠실 - 송파구청

신진운수 시절 양재동 동산마을 - 양재역 - 숙명여고 - 은마아파트 - 삼성역 - 종합운동장 - 잠실 - 방이동 - 가락시장 노선으로 운행. 양재역 - 우면동 지선 노선도 운행. 이후 814번으로 변경

1996년 폐선.

양재역에서 잠실역 구간은 4319번이 계승하고 있다.

37. 289 (시영버스 → 신촌교통 → 성진상운 → 관악교통) (★)

파일:1711290310196.png
운행노선: 서울대 - 신림동 - 신림역 - 봉천역 - 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역 - 사당역 - 이수역 - 구반포 - 신반포 - 고속터미널 - 신사역 - 한남동 - 약수역 - 장충체육관 - 동대문운동장

서울대 - 신사역으로 노선이 단축되었고 1995년 11월 15일 신사역에서 고속터미널 구간 단축 후 1998년 7월 1일 289-1번과 통합 형식으로 폐선.

38. 289-1 (관악교통)

파일:관악교통_289-1번.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289-1.jpg
깨알같은 퀸카로 살아남는 법
두 디젤차량은 2010년에 조기대차되었으며, 현재는 모두 한 번 더 대차되어 643번에서 전기버스로 운행중이다.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289-1번
노선 호압사입구 - 시흥2동 벽산아파트 - 산복터널 - 삼성산주공아파트 - 미림여자고등학교 - 대학동 고시촌 - 신림중학교 - 서울대학교 - 관악구청 - 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역 - 사당역 - 이수역 - 이수교 - 구반포 - 신반포 - 고속터미널 - 삼호가든 (현 사평역) - 금강빌딩 (현 KCC빌딩) → 서초동진흥아파트 → 서초2동사무소 → 우성아파트 → 강남역 → 교보타워사거리 → 금강빌딩 → 이하 역순
후신 54126515 (호압사 - 서울대입구역), 643 (서울대입구역 - 강남역)으로 분할

서울 버스 5412 참조. 2008년 폐선. 현재는 서울 버스 643서울 버스 6515로 갈라졌다.

1997년까지는 역삼동까지 운행하였으나, 289-2번과 통합한 후 289-2번의 노선을 따르게 되었다.

39. 289-2 (관악교통)(★)

운행구간(1기): 미림여고 - 서울대 - 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역 - 사당역 - 이수역 - 구반포 - 신반포 - 고속터미널 - 서초동진흥아파트 - 강남역
운행구간(2기): 시흥2동 - 낙성대역

1997년에 289-1번과 통합되었다.

이후 2000년대 초반 시흥2동 - 낙성대역 간 노선으로 부활했으나, 얼마 못 가 폐선되었다.
이전 문서로
(100번대)
다음 문서로
(300번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2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2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해당 차량들의 경우 전부 대개편 때 서울교통네트웍으로 차출되었다가 2005~2006에 흥삼한 세 회사에 디젤차 대차분으로 다시 넘어갔다.[2] 당시 교통계획에 의하면 동일로 구간은 105, 146번에 몰빵하게 되었다. 그래서 지선버스가 된 215번은 끽해야 개편 이전에는 38-1번 밖에 없었던 노원길에 1154번과 같이 추가로 투입된다.[3] 노원역 이후가 압권인게 상계백병원에서 꺾어서 상명중고등학교를 찍고 다시 꺾어서 대진여고를 거쳐 중계역으로 갔다. 통학수요를 노릴 의도였겠지만 400m 거리를 1.4km으로 돌아가는 막장성을 보여주었다. 게다가 이 굴곡은 1번 더 나와서 중계근린공원사거리에서 꺾어서 올라간 후 노원경찰서와 서울온천, 대진고를 경유한 후 하계역으로 내려갔다. 당연하지만 225번은 굴곡진 노선, 긴 배차간격, 흥안운수 특유의 불친절과 난폭운전까지 더해지니 왕복 6차로의 노원길을 쭉 따라가는 38-1번에게 처절하게 발렸다.[4] 그 1141번도 20~30분 간격이었지만 1134번은 더 심각했다.[5] 결과적으로 보면 상계7단지 - 백병원 - 대진고 - 중계역 - 노원경찰서 - 하계역이라는 기형적인 노선으로 다니게 되는데, 차라리 걸어가는 것과 별 차이가 없는 수준이었다.[6] 이 구간은 2021년 현재 1127이 다니고 있다.[7] 현재의 동서울대학교[8] 현재의 가천대학교[9] 단축 이전에는 한강대교를 넘어서 신용산역 - 삼각지역 - 서울역 → 남대문시장 → 신세계백화점 → 서울역고가차도 → 서울역 → 이하 역순으로 운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