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문서: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현황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서울 지하철 전동차/현황 보기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열차번호 · 기타 서울 지하철 열차번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적 전 차량번호) | ||||
1000호대 VVVF 저항 -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VVVF - | 4000호대 VVVF(상세) - |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상세) | 8000호대 | ||||
9000호대 | UL000호대 | SL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저항 · 초퍼 전동차 상세설명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초저항 | 저항 · 초퍼 | GEC 초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 ||||
차번 미정 | DL000호대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Seoul Metro 8000 Series EMU | }}} | |||
801편성 (1차분) | |||||
820편성 (2차분) | |||||
821편성[1] (3차분) | |||||
실내 모습 (1차분) | |||||
차량 정보 | |||||
<colcolor=#e6186c>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6량 1편성 | ||||
생산량 | 186량 (총 31편성)[2] | ||||
운행 노선 | 수도권 전철 8호선 | ||||
도입시기 | 1995 ~ 1996년 (1차분) | ||||
1999년 (2차분) | |||||
2023 ~ 2024년 (3차분) | |||||
2025 ~ 2026년 예정 (4차분) | |||||
2027년 예정 (5차분) | |||||
제작사 | 대우중공업 (1차분) | ||||
한진중공업 (2차분) | |||||
우진산전 (3차분) | |||||
다원시스 (4차분) | |||||
미정 (5차분) | |||||
소유기관 | 서울교통공사(801~820편성) | ||||
남양주시(821~829편성) | |||||
운영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차량기지 | 모란차량사업소 고덕차량사업소[중정비] 방화차량사업소[폐차작업] | ||||
편성번호 | 801 ~ 829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e6186c>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3,600㎜ | ||||
궤간 | 1,435㎜ | ||||
대차 | 에어스프링 DT50형 대차 | ||||
재질 | 스테인리스 스틸(1~2차분) 알루미늄(3~4차분)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 ||||
운전보안장치 |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ATO | ||||
제어방식 | 알스톰 VVVF-GTO 도시바 VVVF-IGBT 도시바 VVVF-IGBT | ||||
동력장치 | 3상 교류 유도전동기 도시바 완전밀폐형 영구 자석 동기전동기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최고속도 | 영업 | 9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3M 3T (Tc-M1-T1-M1-M2-Tc) | }}}}}}}}} |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8호선에서 운행하는 전동차.현재 29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원래는 22개 편성이 재적됐으나 7호선 철산역 화재 사고로 3량 중 1량 반소, 2량 전소된 752편성을 복구하기 위해 822편성의 3량을 752편성으로 차출했다. 이후 822편성의 남은 객차를 활용하기 위해 821편성이 7호선으로 이동하였고, 이후 9개 편성을 추가 도입하여 현재는 29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현재 815편성은 중간객차 2량이 7호선 구 712편성 중간객차로 교체 조성되어 운행하는 차량은 29대이다.
2. 편성
- 1편성 8량 증결에 대비해서 중간에 번호가 비어있다. 하지만 모든 역 승강장이 6량 길이에 맞춰서 지어져서 1편성 8량 증결은 불가능하다.
- 83##(M2)
- 85##(T2)
- 일부 편성은 앞과 뒤가 바뀐 경우도 있는데, 차륜 편마모 방지를 위해 방향전환을 하는데 고덕차량사업소까지 공차 회송 후 다시 출고하여 강동역 인상선을 거쳐 모란차량사업소로 공차회송하면서 바뀌는 것이다.
2.1. 1~2차분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조성 (1~2차분) | |
<colcolor=#e6186c> ↑ 별내 방면 | |
81## (1) | Tc(축전지, SIV) |
82## (2) | M1(팬터그래프, HSCB, ACM, 인버터) |
84## (3) | T1(무동력객차, CM) |
86## (4) | M1(팬터그래프, HSCB, ACM, 인버터) |
87## (5) | M2(인버터, CM) |
80## (6) | Tc(축전지, SIV) |
↓ 모란 방면 |
- ##: 01~20
2.2. 3~5차분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조성 (3~5차분) | |
<colcolor=#e6186c> ↑ 별내 방면 | |
81## (1) | Tc(축전지, SIV, CM) |
82## (2) | M1(팬터그래프, ACM, L/B, 인버터) |
84## (3) | T1(무동력객차) |
86## (4) | M1(팬터그래프, ACM, L/B, 인버터) |
87## (5) | M2(인버터, L/B) |
80## (6) | Tc(축전지, SIV, CM) |
↓ 모란 방면 |
- ##: 21~29
3. 특징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도입 당시부터 LED 행선 안내판이 설치되었다. 출입문 위에 박힌 내부용 안내판도 도입 당시에는 LED 전광판이었지만, 2010년부터 LCD 모니터로 교체되면서 현재는 전 편성에 적용되었다.2003년 대구 중앙로역 참사 이후 불연재로 개조할 당시 구 서울메트로 전동차처럼 스테인레스 시트를 적용했다가 5~7호선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2010년 전 편성 안장 부분에 난연재 모켓 천을 덧씌우는 작업을 완료하였다.
2017년 7월 23일, 서울교통공사에서 8호선 1차분 전동차 90량(801~815편성)을 교체한다고 했고,[5] 2019년 교체 계획이 발표되었다.[6] 2021년 9월에 발주되어 12월에 다원시스가 낙찰되어 2025~2026년에 교체되며, 2차분 전동차 30량(816~820편성)은 2024년에 발주에 들어가게 되어 2027년 이후에 교체할 예정이다.
2017년 11월 초반부터 서울교통공사 로고가 부착됐다.
4. 분류
도입 연식에 따라 4차로 분류된다.<rowcolor=white> 분류 | 제어방식 | 도입 |
<colbgcolor=#E6186C><colcolor=white> 1차분 | VVVF GTO 알스톰 | 1995~1996년 (15편성) |
2차분 | VVVF IGBT 도시바 | 1999년 (7편성) 5개 편성 운용 |
3차분 | VVVF IGBT 도시바 | 2023~2024년 (9편성) |
4차분 | 2025~2026년 (15편성) 도입 예정 | |
5차분 | VVVF IGBT | 2027년 (5편성) 도입 예정 |
4.1. 1차분 (1995~1996)
내장재 교체 이후 내부 모습 815편성 | 내장재 개조 이전의 내부 모습 |
서울도시철도공사 시절 810편성 | 서울교통공사 개편 이후 801편성 |
1차 개통 구간(잠실역 ↔ 모란역) 운행과 함께 도입됐으며, 1995년 12월 28일 첫 도입을 시작으로 1996년 7월 31일까지 반입됐다. 현업에선 GEC차라 부른다. 서울 지하철 7호선 1차분 전동차(701~717편성)와 함께 조달되어서 두 전동차의 기계적 사양은 거의 같다.
1차분 801~803편성의 경우 1995년 당시 5호선 전 구간의 노반이 완공되지 않은 상태여서 전동차 반입과정이 다소 까다로웠는데, 금정역 → 4호선 → 충무로역 연결선을 거쳐 3호선 수서역에서 향후 연장을 대비해 탄천까지 건설된 터널구간까지 열차를 끌고 온 후, 크레인으로 수직공으로 들어올렸다. 이는 서울 지하철 5호선 1차분 반입과 같다. 그리고 나서 지상 임시선로로 이동해 가락시장역 임시터널 입구로 진입 후 8호선 임시 연결선, 그리고 8호선으로 통해 모란기지까지 이동했다. 8호선 가락시장역 회차선을 지나서 또 다른 빈 공간이 나오는데 그 쪽이 임시터널 출구 연결선로의 흔적이다. 현재는 철거로 인해 매몰되어서 막혀있다.
서울 지하철 5호선 건설지에 따르면 가락시장역 연결선로 말고도 수서기지에서 트레일러를 끌고 모란기지로 반입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도로 장애물 접촉 및 전동차 손상과 안전사고 발생 우려로 취소되었다.
이후 1996년에 5호선 전 구간 노반이 완공되면서 804~815편성은 국철 선로 - 신설동역 연결선 → 2호선 → 까치산역 연결선 → 방화기지 → 오금역 → 가락시장역 연결선 → 모란기지를 통하여 유치했다.
도입 당시 5호선 1차분 전동차와 외관이 비슷하지만 전장품이 다르고 출입문 무늬도 5호선 2차분과 같이 전통 창살무늬형으로 되어있다. 또한, 5호선 1차분 전동차와 동일한 반계폐형 창문이 적용됐으나 불연재 개조와 함께 모든 차량의 창문이 통유리로 개조됐다. 교체된 창문 하단쪽에는 5호선 1차분과 마찬가지로 한글라스가 아닌 듀오라이트 로고가 부착되어 있다. 2차분과 달리 유리색이 살짝 갈색빛을 띈다.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중 410~413, 415, 418, 420~424, 426편성,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한진중공업 제작분) 중 224~225, 227, 229~248편성,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 중 705, 709편성과 동일한 GEC-알스톰에서 제작한 VVVF-GTO 인버터가 장착됐다.
서울도시철도공사 구도색 시절 803편성 |
813편성의 8113호는 선로검측기가 달려있다.
동일한 차종인 7호선 1차분 전동차보다 재적수는 2대가 더 적지만 2차분의 재적 수가 8호선 쪽이 7호선보다 적은 편이라서 7호선 1차분과는 달리 8호선 내의 운행 비율이 가장 높은 전동차이다.
2020년 5월 815편성은 차체 하부 균열로 운행이 중지됐고 동일기종인 7호선 1차분 차량들이 705, 709편성을 제외하고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일선에서 물러나게 되자 퇴역한 712편성의 7212, 7712호 객차가 2023년 5월 26일 새벽에 도봉차량사업소에서 고덕차량사업소로 트레일러로 이송되어 8215, 8715호 객차로 재조성을 시행하고 시운전을[8] 완료 후 2023년 12월 1일부로 815편성이 운행에 복귀하여[9] 평일 출퇴근 한정시간대에만 운행했다가 어느정도 차량 성능의 안정화가 이루어지게 되어서 2024년 1월 24일부로 815편성이 장다이아로도 운행을 시작했다.
815편성 중 8215, 8715호(7212, 7712호 출신) 한해서만 CCTV 설치가 되어있었다.[10]
2023년 7월 812편성이 천호역에서 고장이 나서 운행이 잠시 중지되었으나 현재는 고덕차량기지에서 수리가 완료되어 정상운행 중이다.
2026년부터 신형 전동차로 교체가 시작될 예정이다. 4차분 시운전 기간까지 합하면 못해도 2027년까지 전부 교체할 예정이다. 총 30~31년을 채우고 교체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다원시스 차량들의 반입이 지연되고 있어서 퇴역이 상당히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11] 이로 인해 2024년 기준으로 810~815편성에 CCTV가 설치되었다.
4.2. 2차분 (1999)
서울교통공사 개편 이후 820편성 | 내장재 개조 이전의 내부 모습 |
- 모란차량사업소 소속
- 8호선(6량): 816~820편성 (총 5편성)
- 천왕차량사업소(前 모란차량사업소) 소속
- 7호선(8량): 821~822편성 (총 2편성)
- 제작사: 한진중공업
- 제어방식: VVVF-IGBT(도시바)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2차 개통 구간(잠실역 ↔ 암사역) 운행과 함께 도입됐으며, 1999년 2월 24일부터 5월 8일까지 도입됐다. 현업에서는 도시바차로 불린다. 이 역시 서울 지하철 7호선 2차분 전동차(718~763편성)와 함께 입찰 조달되어 두 전동차의 사양은 동일하다.
차체 공법이 비드가 없는 판판한 민짜였다. 이러한 차체 공법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에도 사용됐다.
IGBT 2레벨 인버터를 최초로 적용한 차량이며, IGBT 소자를 사용한 전동차 중에서는 대한민국 전동차에선 영업운전도 최초이다.
전반적인 차체 베이스는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를 베이스로 한 반면에 창문은 부산 2호선 차량과는 달리 처음으로 일체형 통유리를 사용했으며 이 차량을 베이스로 부산교통공사 2호선 2차분 전동차가 거의 동일한 사양으로 제작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초기분,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보다 앞선 사양이고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와 함께 한국형 표준 전동차 개발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한국형 표준 전동차의 시제차를 보면 인테리어와 운전대, 냉방기, 대차가 7~8호선 전동차와 동일하고 그 외의 행선지 표시기나 차체 외부의 표시등 배열도 거의 유사하다.
2005년에 7호선 방화 사건으로 2량이 전소, 1량이 반소된 752편성을 복구하기 위해 822편성 3량이 이동되면서 822편성이 휴차되었다. 이후에 821편성과 남은 822편성 2량이 763편성으로 조합되었고 7호선으로 이적되어서 현재는 총 5개 편성(816~820편성)으로 운행하고 있다. 821~822편성은 763편성으로 재조합된 이후에도 한동안 분홍색 도색으로 운행하다가 2012년 하반기쯤에 7호선 색상으로 수정됐다. 822편성에서 남은 8022호는 SR 전동차 목업으로 재활용됐다.[12]
이 전동차가 첫 운행을 시작할때만 해도 노선 길이에 비해서 도입된 차량 댓수가 지나치게 많다는 국토교통부 지적이 있어서 7호선으로 차출하는데 큰 문제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동안 결번이었던 현재 821~822편성은 거의 20년만에 편성번호가 다시 재부활하여 신규로 도입된 별내선 연장분 3차분 전동차가 가져갔다.
한국의 도시철도차량 표준규격은 사실상 이 전동차 사양을 기준으로 정했다. 2005년 이후 변경된 사양도 있지만 기초적 사양은 한동안 8호선 2차분 전동차 사양에 고정되었다가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신형 차량이 견인전동기를 PMSM를 적용하면서 그 당시 정립된 표준 사양은 19년 만에 깨졌다.
ATO 주행 시 정차 흐름이 매우 불안정한 경우가 간혹 있다. 급제동이 걸리다 정차 직전에 천천히 제동이 걸리는 경우도 있는데다가 진입 속도 역시 더뎌서 위와 같이 중간에 급제동이 한 번씩은 걸릴 때가 잦다.
2021년, 전면 행선안내기의 글씨체가 맑은고딕체로 변경됐다.
818편성은 객실 내 CCTV 시범 설치 차량이며, 2021년 국토교통부 시정 명령에 의거하여 2023년 CCTV가 설치되지 않은 편성들도 모두 추가 장착했다.
2027년부터 신형 전동차로 교체가 시작될 예정이다. 5차분 시운전 기간까지 합하면 못해도 2028년까지는 전부 교체될 예정이다. 총 28~29년을 채우고 교체하는 것이다. 7호선 쪽이 먼저 교체된 1차분과 달리 2차분은 8호선 쪽이 먼저 교체될 예정이다.
유도전동기를 도입한 마지막 차량으로 3차분부터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만 도입한다.[13]
4.3. 3차분 (2023~2024)[14]
<rowcolor=white> 821편성 | 내부 모습 824편성 | 출입문 상단 LCD 모니터 |
- 모란차량사업소 소속
- 8호선(6량): 821~829편성 (총 9편성)
- 제작사: 우진산전
- 제어방식(동력장치): VVVF-IGBT(PMSM)(도시바)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6석-6석-6석-3석
2024년 8월 10일 별내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전동차로 남양주시에서 발주하였다. 총 9편성 54량이 제작된다.[15] 남양주시에서 소유하지만 서울교통공사가 수탁 관리하며 도시바제 PMSM이 들어가게 된다.[16]
동일 사양인 서울교통공사 5호선 5000호대 4차분(501~525편성) 및 서울교통공사 7호선 7000호대 5차분(701~717편성)과는 달리 전면부에 8호선 노선색 띠가 둘러져 있고 TC칸 측면 도색라인이 운전실 문까지 이어지며 손잡이가 수평 방향이 아닌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었으며 출입문 창틀 모양이 과거처럼 비슷한 형태로 적용되었다.[17]
그리고 일반석 컬러에도 차이점이 있는데 5호선 4차분과 7호선 5차분의 일반석이 각각 노선 컬러로 조성된 반면 8호선은 컬러가 분홍색이므로 노선색상 임산부석과의 혼동과 혼란을 없애기 위해서 일반석의 컬러를 화이트로 조성했다.
수인·분당선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9~10차분(351F44~351F60, 351F79~351F83편성)과는 달리 조성을 기존 3M3T(TC-M'-T-M'-M-TC)로 그대로 유지했다.[18]
원래 차량 납품은 2022년부터 2023년 8월까지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별내선 개통지연과 일산선 차량 및 5호선 차량의 납품지연으로 1년이나 늦은 2023년 6월 30일부터 반입이 시작되었다.
별내선 연장분으로 도입됨에 따라 광고방송은 송출되지 않는다.
별내선 영업시운전 개시일인 2024년 5월 25일에 824~825편성을 시작으로 6월 3일 826편성까지 운행에 들어가면서 현재 전 편성이 운행중이다.
2호차와 3호차, 4호차와 5호차 사이에 통로문이 있지만 평상시에는 문을 개방한 상태로 운행한다.
단, 821편성은 도입 당시 역방향 상태로 반입되었기 때문에 운행개시할 때도 역방향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823, 826~827편성은 도입 당시 정방향이었으나 시운전하면서 역방향으로 바뀌었다. 이는 시운전 도중 고덕기지에서 방향전환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모란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이다. | |||||
<rowcolor=#fff> 편성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colbgcolor=#ffdbff,#330032><colcolor=#e6186c> 821 | 2023년 6월 30일 | 2024년 5월 27일 | 충북선 도안역 | 경부선 의왕역 |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822 | 2023년 7월 13일 | ||||
823 | 2023년 8월 28일 | ||||
824 | 2023년 9월 25일 | 2024년 5월 25일 | |||
825 | 2023년 11월 16일 | ||||
826 | 2023년 12월 14일 | 2024년 6월 3일 | |||
827 | 2024년 1월 29일 | 2024년 5월 27일 | |||
828 | 2024년 1월 25일 | 2024년 5월 26일 | 충북선 오송역 | ||
829 | 2024년 1월 29일 |
4.4. 4차분 (2025~2026 예정)
<rowcolor=white> 외부 최다투표작 | 내부 최다투표작 |
- 모란차량사업소 소속
- 8호선(6량): 801~815편성 (총 15편성)
- 제작사: 다원시스
- 제어방식(동력장치): VVVF-IGBT(PMSM)(도시바)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6석-6석-6석-3석
1차분 전체를 대체할 목적으로 생산될 차량이며 서울교통공사 5호선 5000호대 전동차 5차분과 동시에 구입하도록 계획이 수립됐다. 2021년 12월에 입찰을 진행했고, 입찰 결과 다원시스가 낙찰됐다.[19]
2022년 9월 16일부터 9월 22일까지 디자인 투표가 이루어졌다. 외, 내부 모두 3안으로 확정됐다.[20]
5호선 5차분과 동일하게 도시바 PMSM을 사용한다고 한다. 우진산전 차량과 부품이 호환되도록 하여 정비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21]
해당차량의 목업이 2023년 3월에 나왔다.
이 차량까지 도입되면 기존의 형광등 차량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모란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이다. | |||||
<rowcolor=#fff> 편성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colbgcolor=#ffdbff,#330032><colcolor=#996cac> 801 | 2025년 ~ 2026년 예정 | 도입 예정 | 미정 | 미정 |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802 | |||||
803 | |||||
804 | |||||
805 | |||||
806 | |||||
807 | |||||
808 | |||||
809 | |||||
810 | |||||
811 | |||||
812 | |||||
813 | |||||
814 | |||||
815 |
4.5. 5차분 (2027 예정)
2차분 전체를 교체하기 위해 도입되며, 대한민국 최초로 도입 때부터 IGBT를 탑재한 전동차의 대차분이다. 또한 서울교통공사 최초로 통유리창을 적용한 차량의 대차분이기도 하다. 2025년 1월 14일에 1호선 노후전동차 대차분 16개 편성, 4호선 증차분 3개 편성과 통합 발주 예정이다.[22] 이 차량까지 모두 반입하면 8호선 차량중 유도전동기와 공기식 출입문을 장착한 차량, 수동 통로문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최근 철도차량 제작업체 평가기준 등을 살펴보면, 코레일과 서울ㆍ부산교통공사 등에서 납기지연 사례 등 이행능력 평가항목에서 패널티(감점)를 강화하는 추세라서 서울교통공사 8호선 2차분 대체분도 이행능력 평가를 하여 입찰을 진행하게 될 전망이다.#
모란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이다. | |||||
<rowcolor=#fff> 편성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colbgcolor=#ffdbff,#330032><colcolor=#996cac> 816 | 2027년 예정 | 도입 예정 | 미정 | 미정 |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817 | |||||
818 | |||||
819 | |||||
820 |
5. 기타
- 방향전환 주기가 다른 노선에 비해서 상당히 길다. 거의 4년에 한 번 할 듯 말듯한데, 모란차량기지에 루프선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덕차량기지로 중검수를 받으러 가서 루프선을 돌고 나오는 형식으로 방향을 전환한다. 하지만 요즘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거의 정방향 상태로만 운행한다.
- 1~2차분 802, 804~805, 815~816편성의 TC칸은 2009년에 자전거 전용칸으로 개조됐다. 단, 3차분(821~829편성)은 TC칸에 모두 자전거 전용칸이 장착된 채로 도입됐다.
- Why? 전기전자에 2차분이 나온다.
5.1.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2003년 대구 중앙로역 참사 이후 1~2차분의 내장재를 교체했다.5.2. 조성 변경
<rowcolor=#fff> 편성 | 교체투입된 차량 | 편성제외된 차량 |
<colcolor=#e6186c> 815 | 7212, 7712 | 8215, 8715 |
교체투입된 차량 조성 타 차량으로부터 편입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T) | 4호차 (M') | 5호차 (M) | 6호차 (Tc) | 비고 | ||||
815 | 8115 | 7212 | 8415 | 8615 | 7712 | 8015 | [24] |
[1] 원래는 2차분에 있었던 편성이었으나 후술한 방화 사건으로 인한 사정으로 7호선으로 이적한 후 거의 20년만에 재도입한 편성이다.[2] 2005년 1월 3일에 서울 지하철 7호선 철산역 부근에서 일어난 서울 지하철 7호선 방화 사건으로 피해를 입은 752편성의 복구 및 763편성의 신조를 위해 사용된 구 821~822편성을 포함한다. 현재는 815편성 중 8215, 8715호(7212, 7712호로 대체)와 구 822편성 중 8022호 휴차 상태이므로 8호선에서 172량, 7호선에서 11량으로 총 183량이 운행 중이다.[중정비] [폐차작업] [5] 「서울 5∼8호선도 20년 넘었다…"2024년까지 834량 교체 추진"」 연합뉴스, 2017-07-23[6] 「서울지하철 4·5·7·8호선 신형 전동차로 교체」 한겨레, 2019-07-25[7] 관련 이미지, 디지털성남문화대전[8] 서울특별시 > 원문정보 > 결재문서[9] 복귀 후 첫 운행: SMRT8046-8051번 열차[10] 7호선 전동차는 부평구청 연장에 맞춰서 모든 열차에 CCTV가 설치되었다.[11] 원래는 2024년부터 했어야 했으나 4호선 구형차량 대차분을 먼저 제작해야 해서 지연된 것이다.[12] 8호선에서 7호선으로의 이동은 연결선로의 상태를 고려했을 때 8호선에서 5호선으로 다시 2호선을 경유해서 1호선을 거치면서 7호선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다.[13] 서울교통공사는 2021년 이후부터 직교류 구간이 있는 1, 4호선을 제외하고 신차 반입시 PMSM을 적용하는 안을 채택했기에 구 서도철 소속 차량들의 대차분이나 연장분은 PMSM 적용으로 나왔다. 1, 4호선은 직교류 구간 문제 때문에 못한 것이다. 그러나 2024년 4호선 직류 대차분도 PMSM을 적용했다.[14] 남양주시 소유, 서울교통공사 수탁 관리[15] 서울특별시 > 원문정보 > 결재문서[16] 관련 게시글[17] 5, 7호선 우진산전 신차와 다른 디자인이다.[18] 수인·분당선의 경우 왕십리 ↔ 서울숲역 간 구배에서의 출력 향상을 위해 조성을 바꾼 것이다.[19] 관련 게시글[20] 서울교통공사 5, 8호선 신조전동차 298칸 디자인 선호도 조사, 서울특별시, 2022년[21] 이는 5, 7호선도 마찬가지다.[22] 국토교통부 > 사업정보 > 발주계획 > 물품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입찰/계약정보 > 입찰공고 및 결과[23] 구 821~822편성도 7호선 이적전에 내장재를 교체해서 사실상 해당된다.[24] 2, 5호차: 712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