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수도권 전철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 인천교통공사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열차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한국철도공사 | 기타 수도권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적 전 차량번호) | | |||||||||
| | (여섯 자릿수)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전동차(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서울시메트로9호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
| 1000호대 저항(현황) - VVVF(현황) | 2000호대 저항(현황) 초퍼(상세 · 현황) VVVF(현황) | ||||||||||
| | | ||||||||||
| 3000호대 - 초퍼(현황) VVVF(현황) | 4000호대 - 초퍼(현황) VVVF(상세 · 현황) | ||||||||||
| | | | | ||||||||
| 5000호대 (현황) | 6000호대 (현황) | 7000호대 (상세 · 현황) | 8000호대 (현황) | ||||||||
| | | | |||||||||
| 9000호대 (현황) | 1000호대 (현황) | 2000호대 (현황) | |||||||||
| | | | | ||||||||
| 초저항 | 직각형 저항 · 초퍼 | 광폭형 GEC 초퍼 | 1세대 VVVF | }}}}}}}}} | |||||||
| 인천국제공항 연계노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인천국제공항 셔틀트레인 | ||||||||
| 1000호대 (현황) | 2000호대 (현황) | 에코비 | 미쓰비시 우진산전 | }}}}}}}}} | |||||||
| 한국철도공사 · GTX · 그 외 수도권 전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1000호대 (상세 · 현황) | 31x000호대 (상세 · 사고 · 현황) | 321000호대 (현황) | 331000호대 (현황) | ||||||||
| | | | | ||||||||
| 3000호대 (현황) | 341000호대 (상세 · 현황) | 351000호대 (상세 · 현황) | 361000호대 (현황) | ||||||||
| | | | | ||||||||
| 371000호대 (현황) | 391000호대 (현황) | D000호대 (현황) | UL000호대 (현황) | ||||||||
| | | | | ||||||||
| SL000호대 (현황) | U100호대 (현황) | Y100호대 (현황) | 1000호대 (현황) | ||||||||
| | | | |||||||||
| 초저항 | 3000호대 1차분 | A000호대 (현황)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1000호대 (현황) | 차번 미정 | 차번 미정 | 차번 미정 | ||||||||
|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 | ||||||||||
| DL000호대 | WTL000호대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개번 전(철도청 시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2030호대 (현황) | 5000호대· 6000호대 (현황) | }}}}}}}}} | }}}}}}}}} |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UL000호대 전동차 Ui-Sinseol LRT UL000 Series EMU | }}} | |||
| | |||||
| UL015편성 | |||||
| 차량 정보 | |||||
| <colcolor=#B7C450>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경전철 전동차 |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 편성 | 2량 1편성 | ||||
| 생산량 | 36량 (총 18편성) | ||||
| 운행 노선 | | ||||
| 도입시기 | 2015년 | ||||
| 제작사 | 현대로템 | ||||
| 소유기관 |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 ||||
| 운영기관 | |||||
| 차량기지 | 우이차량사업소 | ||||
| 편성번호 | UL001 ~ UL018 | ||||
| 차량 제원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B7C450> 전장 | 14,000㎜ | |||
| 전폭 | 2,650㎜ | ||||
| 전고 | 3,400㎜ | ||||
| 궤간 | 1,435㎜ | ||||
| 차중 | M: 59.6t | ||||
| 급전방식 | 직류 750V 제3궤조 집전식 | ||||
| 운전보안장치 | 안살도 STS ATC/ATO | ||||
| 제어방식 | 현대로템 VVVF-IGBT(IPM)[1] | ||||
| 동력장치 |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 최고속도 | 영업 | 70㎞/h | |||
| 설계 | 80㎞/h | ||||
| 기동 가속도 | 3.96㎞/h/s | ||||
| 감속도 | 상용 | 4.32㎞/h/s | |||
| 비상 | 4.68㎞/h/s | ||||
| MT 비 | 2M (Mc-Mc) | ||||
| 정원 | 174명 | }}}}}}}}} | |||
1. 개요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에서 운행 중인 철제탄성차륜방식의 경전철 차량이다. 현대로템에서 제작했으며 2량 1편성, 총 18편성을 도입했다. 현재 운행 중인 신분당선과 마찬가지로 완전 자동 무인 시스템 방식이다.2. 내부 구성
폭 2.65m, 길이 28m, 높이 3.4m이며 수송 정원은 174명이다. 만차 시 최대 300명까지 수용 가능하다고 한다.전동차 제작 초기에 크로스시트와 양탄자 바닥재를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한 듯 하지만 실제 반영되지는 않았다.
출입문의 넓이가 용인경전철처럼 광폭형이다. 객차 1량에 출입문이 왼쪽 2개, 오른쪽 2개가 있으며, 문 사이의 거리가 좀 있다.
안내 LCD는 출입문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역 안내 UI는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와 비슷한 것이 특징이며, 객차간 연결 통로 부분과 전동차 앞뒤 부분에 광고와 날씨 정보, 열차의 현재 속도가 나오는 LCD가 별도로 달려있다.
3. 편성
|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UL000호대 전동차 조성 | |
| ↑ 북한산우이 방면 | |
| UL1## (1) | Mc(견인전동기, 추진제어장치) |
| UL2## (2) | Mc(견인전동기, 추진제어장치) |
| ↓ 신설동 방면 | |
4. 분류
도입 연식에 따라 1차로 분류된다.- IPM이 적용된 IGBT는 초록색 배경이다.
| <rowcolor=#ffffff> 분류 | 제어방식 | 도입 |
| <colbgcolor=#b7c450><colcolor=white> 1차분 | VVVF IGBT 현대로템 | 2015년 (2량 18편성) |
5. 그 외
부산김해경전철이나 김포 골드라인의 전동차처럼 객차간 연결부에 관절대차 방식을 사용한다.승강장에서 출입문이 열리고 닫힐 때 삐- 삐- 삐- 하는 경고음이 울린다. 열차 구동음 초반부는 서울 지하철 9호선 9000호대 전동차와 유사하며 중후반부는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와 유사하다.[2]
차량의 가속력이 꽤 좋다고 평가받는다. 열차의 기동가속도가 거의 4km/h/s에 달하고 정지상태에서 가장 높은 토크를 발휘하는 전기모터의 특징을 고려하면, 체감 가속력이 꽤나 높다. 손잡이를 잡지 않았을때 출발할때 자칫하면 넘어질 수도 있다. 실제로 출발 후 20초가 채 안 되는 시간에 60km를 넘기는 모습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러나 급감속이나 급정거가 좀 잦은 편이다. 운행중에 진동과 소음도 상당히 심한 편인데, 마치 낡은 쇼핑카트에 타고 달리는 듯한 은은한 진동이다. 멀미를 잘 하는 사람은 어지러움을 느낄 수도 있다. 물론 노선 자체가 굴곡이 좀 있는 편이라 더 그런 것도 있다.
지상에서는 이 열차의 모습을 아예 볼 수 없다. 우이신설경전철 전 구간이 지하인데다 차량기지까지 지하에 건설했기 때문이다. 차량 반입은 창원 현대로템에서 트레일러로 1량씩 운반 후, 수직공으로 지하 차량기지로 내렸다.[3]
김포 골드라인의 전동차가 이 열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또한 김포 골드라인과 동일하게 승강장이 2량 규격으로 지어져 있어 향후 증결은 불가능하다.
혼잡 완화를 위해 환승역을 이용하는 고객은 차량 바닥의 환승역 이름 칸에 서있어야 한다.
6.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
| ● 부산김해경전철 | 부산-김해경전철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 | |
| ● 의정부 경전철 | 의정부경전철 U100호대 전동차 VAL208 | |
| ● 용인 에버라인 | 용인경전철 Y100호대 전동차 INNOVIA Metro Mark II | |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 |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
|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UL000호대 전동차 | |
| ● 김포 골드라인 | 김포 골드라인 1000호대 전동차 | |
| ● 서울 경전철 신림선 |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 |
| ● | 서울 경전철 위례선/차량 | |
| ● | 동북선도시철도주식회사 DL000호대 전동차 (가칭) | |
| ● | 부산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 |
| ● | 광주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
| ● | 양산 도시철도 1000호대 전동차 | |
| ● | 대구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 |
| ● | 대구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 |
| ● | 대전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
| ● | 울산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 |
| | |||||||||||
|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동차 (EMU/DMU/PP) | ||||||||||
| 🚄 고속열차 |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집중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KTX[라](34개 편성 한정) | KTX-산천 SRT |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KTX-이음 | 우즈베키스탄 아프로시욥 EMU-250 | KTX-청룡 SRT EMU-32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용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HSR-350X운행 불가 | HEMU-430X |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연구·개발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EMU-370 |
| 🚅 간선형·준고속형 전동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EMU-18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ITX-청춘 | GTX-A A000호대수도권 전철 | |||||||||
| GTX-B수도권 전철 | GTX-C수도권 전철 |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EMU-15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ITX-새마을 |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EMU-150 | |||||||||
|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4차분수도권 전철 | 우크라이나 철도공사 HRCS2 | ||||||||||
| 🚆 디젤동차 |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DEC[퇴역] | NDC[퇴역]- | |||||||||
| DHC-PP[퇴역] | 경복호[대우] | ||||||||||
| CDC[퇴역] | RDC[퇴역] | ||||||||||
| 수출차량 보기 | |||||||||||
| 🚇 통근형·근교형 전동차 |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한국철도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EEC(수도권 통합환승x)[퇴역] | 1000호대 저항제어 2~8차분(상세)[퇴역] | |||||||||
| 인버터 제어 1세대[대우] | 일산선 전용 1세대(상세)[퇴역] | ||||||||||
| 인버터 제어 2세대 | 인버터 제어 3세대 | 인버터 제어 4세대 |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서울교통공사(세대별 분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000호대 저항제어[대우][현공] | 2000호대 직각형 저항제어·초퍼제어 1~8차분[퇴역] | 2000·3000·4000호대 광폭형 GEC 초퍼제어 1~5차분[퇴역] | ||||||||
| 1000·4000호대 VVVF 1세대(상세)[대우][현공] | 5000호대 VVVF 1세대[현공] | 7000·8000호대 VVVF 1세대[대우] | |||||||||
| 6000호대 VVVF 2세대[현공] | 7000·8000호대 VVVF 2세대[한진] | 2000·3000호대 VVVF 2세대 | |||||||||
| 9000호대 VVVF 3세대 3~4차분 | 5000호대 VVVF 3세대 | 2000·4000호대 VVVF 3세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수도권 전철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항철도 1000호대(수도권 통합환승x) | ||||||||||
| 공항철도 2000호대 1~3차분 |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1~2차분 | ||||||||||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1[대우]~2차분 | 네오트랜스 D000호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부산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000호대 1세대(1~7차분)(상세)[한진][현공] | 1000호대 2세대(8~10차분) | |||||||||
| 2000호대 1[한진]~2차분 | 3000호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광역시 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한진]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 |||||||||
|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제작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 표준형 전동차 | AUTS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출용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미국 SEPTA Silverliner V | 싱가포르 J151형 | 타이완 EMU600 | ||||||||
| 타이완 EMU900 | 홍콩 정관오선·뚱충선 미쓰비시 합작 EMU | 홍콩 동철선 EMU | |||||||||
| 그 외 수출 차량보기 | |||||||||||
| 🚊경전철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철제차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1차분 | |||||||||
| 우이신설경전철 UL000호대 | 김포골드라인 1000호대 | ||||||||||
| 동북선 DL000호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자기부상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에코비 (UTM-0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트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무가선 저상 트램 | 수소전기 트램 보기 | 수출차량 보기 | |||||||
| 🚂 기관차 견인 (Locomotive/Passenger Cars/Generator Cars) | |||||||||||
| ⚙️ 기관차 | |||||||||||
|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디젤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교통공사 7000/#00호대 디젤기관차[대우][현공] | ||||||||||
| 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기기관차[라][퇴역] | 한국철도공사 7100~7500호대 디젤기관차 국가철도공단 7500호대 디젤기관차[라][현공] | ||||||||||
|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기관차[라] |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기관차[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전기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8000호대 기관차[라][대우](4량 한정) | 한국철도공사 8100호대 전기기관차[라][대우] | |||||||||
|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기관차[라](73량 한정) | 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기관차 | ||||||||||
| TCDD(터키 철도청) 전기기관차 |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전기기관차 | ||||||||||
| 💺 객차 |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국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새마을호 장대형 객차[대우] | 무궁화호 격하 특실[퇴역] | |||||||||
| 무궁화호 클래식 객차[한진] | 무궁화호 나뭇결 객차[대우][한진] | ||||||||||
|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 |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해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미국 LA 메트로링크 2층 운전객차 | 그 외 수출차량 보기 | |||||||||
| ⚡️ 발전차 (문서 이동) | |||||
| [라]: 라이센스 제작 [퇴역]: 전량 퇴역 [현공]: 현대정공 제작 [대우]: 대우중공업 제작 [한진]: 한진중공업 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