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 한국 철도의 열차번호 체계 | ||||
한국철도공사 | 고속열차 (SR 할당분 포함) | 일반열차 | 화물열차 | 광역전철 |
수도권 전철 | 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그 외 수도권 전철 | |
비수도권 광역전철 | 동남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1. 개요
한국철도공사/열차번호 중 광역전철에 대한 문서이다.2. 열차번호 체계
* 문서의 양이 많고 방대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볼 때 가독성이 상당히 떨어지므로, 가급적이면 PC 환경에서 문서를 열람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2.1. 수도권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중간 결번인 열차도 있음.
<rowcolor=#fff> 번호대 | 노선 | 운행계통 | 주요 운행구간 |
K1~K299 | | 경인선 구간 일반열차 | 연천·동두천·양주·의정부·구로-인천 |
K400~K599 | 경부선 구간 일반열차 | (의정부[1]→)광운대·구로-병점·서동탄 | |
K600~K749 | 경부장항선 구간 일반열차 | 광운대·청량리·구로-천안·신창 | |
K750~K799 | 경부장항선 구간 병점착발 일반열차 | 병점-천안·신창 | |
K800~K860 | 경부경원선 구간 구로착발 일반열차 | 구로-동두천·연천 | |
K950~K999[2] | 경원선 구간 광운대착발 일반열차 | 광운대-연천 | |
K1000~K1299 | 경인선 구간 급행열차 | 용산-동인천 | |
K1300~K1399 | 경인선 구간 특급열차 | 용산-동인천 | |
K1400~K1499 | 경부3선 구간 용산 ↔ 구로 간 급행열차[3] | 용산-구로 | |
K1600~K1699 | 경원선 구간 급행열차 | 인천·광운대-동두천 | |
K1900~K1999 | 경부선 구간 급행열차 | 지하청량리-천안·신창 / 지상서울역-천안(←신창[4]) | |
K2200~K2299 | (중앙선 구간 미운행) | 경의선 구간 일반열차 | 문산-서울역 |
K2500~K2599 | 경의선 구간 급행열차 | 문산-서울역 | |
K2600~K2699 | 임진강 셔틀열차 | 문산-임진강 | |
K3000~K3999 | | 3호선 열차 | 대화·구파발-오금[5] |
K4300~K4399 | | 4호선 안산착발 열차[6] | 당고개-안산 |
K4400~K4499 | 안산선 구간 급행열차 | 당고개-오이도 | |
K4500~K4999 | 4호선-과천안산선 | 당고개-오이도 | |
K5000~K5199 | | 경의·중앙선 전 구간 일반열차 | 문산-용문·지평 |
K5700~K5799 | 경의선(용산선) 구간 급행열차 | 문산-용산-팔당 | |
K5850~K5899 | 중앙선(경원선) 구간 급행열차 | 수색-용산-용문 | |
K6000~K6299 | | 분당선 구간 일반열차 | 청량리·왕십리-죽전·고색 |
K6400~K6499 | 분당선 구간 급행열차 | 청량리·왕십리-고색 | |
K6500~K6699 | 수인·분당선 전 구간 일반열차 | 청량리·왕십리-인천 | |
K6700~K6799 | 수인선 구간 일반열차 | 오이도-인천 | |
K6800~K6899 | 수인선 구간 급행열차 | 오이도-인천 | |
K6900~K6999 | 수인선 구간 일반열차 | 오이도-인천 | |
K7000~K7099 | | 광명셔틀 | 영등포-광명 |
K7100~K7199 | | 서해선, 경의선 공용구간 운행 일반열차 | 일산-원시 |
K7200~K7399 | 서해선 구간 일반열차 | 대곡-원시 | |
K7500~K7699 | | 경강선 일반열차 | 판교-여주 |
K8000~K8199 | | 경춘선 일반열차 | 청량리·상봉-춘천 |
K8300~K8399 | 경춘선, 망우선 구간 운행열차 | 광운대-춘천 | |
K8400~K8499 | 경춘선 급행열차 | 청량리-춘천 | |
K9000~K9999 | - | 임시열차 | E9### 혹은 U9###로 부여받는 경우도 있음. |
2.1.1. 회송열차
<rowcolor=#fff> 번호대 | 노선 | 운행계통 | 주요 운행구간 |
F0###(10량 완행) F1###(10량 급행)[1700x] F70##(4량) | 1호선 | 차량기지·주박지 최종 출고 |
- 구로기지 → 구로·영등포·노량진
- 병점기지 → 병점
- 광운대·성북분소 → 광운대
- 부평·인천 → 동인천
- 의정부 → 양주
- 동두천 → 소요산
- 광명기지 → 광명 ||
F2###(4량) F5###(8량) | 경의·중앙선 |
- 용문기지 → 용문·덕소
- 덕소 → 팔당
- 문산기지 → 문산
- 능곡 → 용산 ||
F3### | 3호선 | 지축기지 → 구파발·삼송 |
SF5981(주중) SF5981(주말) [수서기지x] | 수서 → 오금 | |
F4### | 4호선 |
- 창동기지 → 당고개
- 월곶·시흥기지 → 오이도
- 시흥기지 → 안산
- 안산 → 산본 ||
F6### | 수인·분당선 |
- 분당기지 → 죽전
- 시흥기지 → 오이도 ||
F74## | 서해선 | 시흥기지·안산 → 원시 |
F75##~F76## | 경강선 | 부발기지 → 부발 |
F80##~F81## | 경춘선 | 평내기지 → 평내호평·상봉 |
F8003(주중) F8001(주말) | 망우 → 상봉 | |
Q0###~Q1###[1700x] | 1호선 | 최종 출고 이전열차 |
- 구로 → 부평·영등포·용산·서울
- 노량진 → 영등포
- 광운대 → 청량리·창동·양주 ||
Q4### | 4호선 | 안산 → 오이도 |
Q2###(4량) Q5###(8량) | 경의·중앙선 |
- 문산기지 ↔ 문산
- 백마 → 대곡 ||
Q6714 Q6810 | 수인·분당선 | 신길온천 → 시흥기지 | |
Q7514 | 경강선 | 부발기지 → 부발 | |
Q8403 | 경춘선 | 평내호평 → 평내기지 | |
W0###~W1###[1700x] | 1호선 | 최종 입고 이전열차 | 서울·용산·부평 → 구로 |
W4681 | 4호선 | 월곶 → 안산 | |
W2###(4량) W5###(10량) | 경의·중앙선 |
- 팔당 → 청량리
- 대곡 → 백마
- 문산 → 문산기지 ||
Q7514 | 경강선 | 부발 → 부발기지 | |
W8016 | 경춘선 | 평내호평 → 춘천 | |
W8403 | 평내기지 → 청량리 | ||
Z2209(주말 한정) | 경의·중앙선 | [12] | 문산기지 → 문산 |
G0###(10량 완행) G1###(10량 급행)[1700x] G70##(4량) | 1호선 | 차량기지·주박지 최종 입고 |
- 영등포·구로 → 구로기지
- 병점 → 병점기지
- 천안 → 신창
- 광운대 → 이문기지·성북분소
- 양주 → 의정부
- 소요산 → 동두천
- 인천 → 부평
- 동인천 → 인천
- 부평 → 동인천
- 광명 → 광명기지 ||
G2###(4량) G5###(8량) | 경의·중앙선 |
- 덕소·팔당·용문 → 용문기지
- 덕소 → 청량리
- 문산 → 문산기지 ||
G30## | 3호선 | 구파발·삼송 → 지축기지 |
SG5982(주말 한정)[수서기지x] | 오금 → 수서 | |
G40## | 4호선 |
- 불암산 → 창동기지
- 오이도 → 시흥기지·월곶
- 산본 → 안산 ||
G6### | 수인·분당선 |
- 죽전 → 분당기지
- 오이도 → 시흥기지·신길온천 ||
G74## | 서해선 | 원시 → 안산·시흥기지 |
G75##~G76## | 경강선 | 부발 → 부발기지 |
G80##~G81## | 경춘선 | 상봉·평내호평·마석·춘천 → 평내기지 |
G8104(주중) G8086(주말) | 상봉 → 망우 |
2.2. 동남권
- 중간 결번인 열차도 있음.
<rowcolor=#fff> 번호대 | 노선 | 운행계통 | 주요 운행구간 |
K8500~K8599 | | 모든 구간 운행 | 태화강↔부전 |
K8650~K8699 | 먕양착발 전동열차 | 태화강 ↔ 망양 망양 ↔ 부전 | |
F86## | 회송 | 울산기지 출고 | 울산기지 → 망양 |
G86## | 울산기지 입고 | 망양 → 울산기지 | |
Q86## | 다이아 중간 공차회송 | 태화강 → 망양 | |
W86## | |||
울산기지 → 망양 | |||
K9000~K9999 | - | 임시열차 | E9### 혹은 U9###로 부여받는 경우도 있음. |
2.3. 대구권
- 중간 결번인 열차도 있음.
<rowcolor=#fff> 번호대 | 노선 | 운행계통 | 주요 운행구간 |
K1704~K18XX | | 모든 구간 운행 | 구미 ↔ 경산[15] |
K1701 K1703 K1757 K1763 | 동대구 착발 전동열차 | 동대구 → 경산 (편도운행) | |
K1723 K1731 K1739 K1775 K1799 K1803 | 구미 → 동대구 (편도운행) | ||
K1702 K1706 | 동대구 → 구미 (편도운행)[16] | ||
K9000~K9999 | 임시열차 | E9### 혹은 U9###로 부여받는 경우도 있음. |
개통 전에 공개된 시간표이다.
3. 여담
- 현재 K1900번대를 사용하고 있는 경부선 급행열차의 경우 과거 용산착발로 운행했다. 청량리급행으로 연장되면서 평일 일부 열차가 금천구청역이나 의왕역에 정차하고, 금정역에 정차하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경인선 완행열차의 배차 간격이 고무줄 배차로 바뀌는 불편함이 생겼다. 기존 급행 선로를 이용하다 완행 선로를 공유하는 것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4. 둘러보기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열차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속열차 | 일반열차 | 광역전철 | 화물열차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편성번호 ·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편성번호 | 차량번호 | 차량번호여섯 자리 | SR 임대·소유 차량번호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전동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속열차 | <colbgcolor=#fff,#1c1d1f> | |||
간선열차 | |||||
관광열차 | 200000호대(8호기 한정) | ||||
광역전철 | |||||
도입 예정 | [[KTX-I#s-5|{{{#ffffff EMU-370}}}]] 연구중 | ||||
개번 전 | 2030호대(1993~2011) | ||||
전량 퇴역 | 1000호대(상세)(1974~2020) · 초저항(1974~2014) | ||||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속열차 | <colbgcolor=#fff,#1c1d1f> | |||
간선열차 | |||||
관광열차 | |||||
광역전철 | |||||
도입 예정 | |||||
개번 전 | 2030호대/현황 | ||||
전량 퇴역 | 1000호대/현황 | ||||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현황 보기 · 디젤동차 현황 보기 | |||||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 |
수도권 광역전철 전동차/현황 보기 (한국철도공사 열차번호 · 기타 수도권 광역전철 열차번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섯 자릿수) | | | | |||||||
| | | }}}}}}}}} | ||||||||
| | | |||||||||
1000호대 (상세) 초저항 | 31x000호대 (상세 · 사건 사고) | 3000호대 | 341000호대 (상세) | ||||||||
| | | |||||||||
321000호대 | 331000호대 | 351000호대 | 361000호대 | ||||||||
| | | |||||||||
371000호대 | 391000호대 | 1000호대 | 2000호대 | ||||||||
| | | | ||||||||
D000호대 | U100호대 | Y100호대 | 1000호대 | ||||||||
| |||||||||||
A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1000호대 | 차번 미정 | 차번 미정 | 차번 미정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동남권 광역전철 전동차/현황 보기 (열차번호코레일 제외 노선 · 열차번호코레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동해선) |
| | | | ||||||
1000호대 1세대(상세) 2~3세대 | 2000호대 | 3000호대 | 4000호대 | ||||||
| | ||||||||
1000호대 | 381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미도입 전동차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5000호대 | 차번 미정 | 차번 미정 | }}}}}}}}}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대구권 광역전철 전동차 (열차번호대구교통공사 · 열차번호코레일 · 차량번호대구교통공사 · 차량번호코레일) | |||||||
1000호대 (현황) | 2000호대 (현황) | 3000호대 (현황) | 392000호대 (현황)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미도입 전동차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4000호대 | 차번 미정 | 5000호대 | 차번 미정 | }}}}}}}}}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1] 평일 2회 하행 한정[2] S900~S949번 열차번호는 서울 지하철 1호선 및 경원선 구간 지하서울역착발 서울교통공사 일반열차이다.(지하서울역-의정부·양주)[3] 말만 급행이지 실제로는 용산-구로 구간 모든 역에 정차한다.[4] 상행 한정[5] 일산선만 운행하는 열차(대화-삼송) 및 서울교통공사 관리구간만 운행하는 열차(구파발-오금) 전부 포함[6] 금정행 하행, 산본발 상행 포함[7] 모든 고속열차 및 일반열차의 회송과 마찬가지이다. 승하차 지연은 물론이고 입출고가 늦어지는 변수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회송열차의 다이어가 수정되는 것은 물론이며 회송 구간 역시 바뀔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작성된 열차는 모두 기본적으로 자주 회송되는 구간이다.[1700x] 다만 1700~1800번대는 대경선에서 사용중.[수서기지x] 수서 및 오금행 한국철도공사 차량은 수서기지에서 주박하지 않는다. 또한 이 회송 운행에 한하여 서울교통공사의 열차번호를 적용받는다.[1700x] [1700x] [12] 머릿글자가 N, O, 또는 Z일 경우, 이는 장비차량의 이동 또는 구원운전 등 특수한 경우에 사용된다. 관제설비에서 일반열차와 구분하기 위함이다.[1700x] [수서기지x] [15] K1715 및 K1722 상하행 각각 한 편씩 휴일에 운휴이다.[16] K1706 열차는 휴일에 운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