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17:28:29

나태

슬로스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슬로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슬로스라는 이름의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슬로스(강철의 연금술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드래곤빌리지2의 드래곤에 대한 내용은 슬로스(드래곤빌리지2)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ee,#000> 분노 환멸 · 짜증 · 투정 · 성가심 · 악의 · 자기방어 · 안달 · 분함 · 꺼림 · 진노 · 증오 · 공통
슬픔 실망감 · 무능 · 애달픔 · 후회감 · 우울 · 한탄 · 비참 · 무기력 · 좌절 · 고독 · 비통 · 공통, 애환공통
불안 공포 · 걱정 · 스트레스 · 초조 · 혼란 · 의심 · 조심 · 나약함 · 당혹
아픔 시샘 · 배신감 · 외로움 · 얼떨떨함 · 핍박 · 억울 · 괴로움 · 고난 · 버림받음 · 불행 · 피로
창피 억눌림 · 시선의식 · 부끄러움 · 열등감 · 죄책감 · 불쾌 · 한심
기쁨 고마움 · 편안함 · 들뜸 · 행복 · 믿음 · 여유 · 즐거움 · 자신감 · 용기 · 안심 · 우월감 · 희열 · 감동공통 · 성취감 · 만족 · 애환공통
사랑 내리사랑 · 형제애 · 우정 · 안갚음 · 따름 · 감동공통 · 자비 · 상냥함 · 설렘
바람 · 희망 · 탐욕 · 음욕 · 욕심 · 간절함 · 기대 · 갈급함 · 그리움 · 인색
감정의 상위 분류: 욕구 · 감성 · 이성
하버드 대학 심리학자 수전 데이비드의 분류 결과와 칠정의 요소
}}}}}}}}} ||
<colbgcolor=#ddd,#222>가톨릭 · 정교회 칠죄종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1f2023>죄목교만인색질투분노음욕탐욕나태
한자
영어pridegreedenvywrathlustgluttonysloth
라틴어superbiaavaritiainvidiairaluxuriagulapigritia
반대 개념겸손자선친절인내정결절제근면}}}}}}}}}
파일:Sloth-by-James-Todd.jpg
James Gilbert Todd[1]의《Sloth (From Seven Deadly Sins)》

1. 개요2. 언제나 나쁠까?3. 관련 명언들4. 대중문화 속의 나태5. 관련 문서

1. 개요

/ Pigritia

나태근면과 반대 개념이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나태함이란 그냥 뭘 하기 싫다는 소극적인 의미의 게으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해야 할 일을 거부하는 것이다. 즉, 자신의 의무를 저버리는 것을 뜻한다. 못 하는 것이 아니라 안 하는 행위가 만드는 죄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봤을 때 나태는 신께서 내려주신 재능[2]을 능동적으로 거부하고 태업하는 행위로, 신께 반역하는 행위다. 성서에 적힌 관련 일화가 유명하다. 주인들에게 달란트를 나눠주었는데, 한 종은 자신이 받은 달란트를 이용해 더 많은 달란트를 벌어 주인에게 사랑을 받고, 다른 종은 달란트를 그저 묵혀두어 주인에게 꾸짖음당한다.

이는 정교회에서 5번째 죄악으로 치는 슬픔에 잠긴 무기력한 상태와는 다른, 적극적으로 그걸 안 하겠다는 누가 봐도 그렇게 보이는 사보타주다. 예를 들어 양치기가 별 이유 없이 을 치지 않고 있으면 그건 죄악으로서의 나태다. 양치기가 자신의 아버지가 죽었다는 이유로 슬픔에 잠겨 양을 치지 않고 나무 그늘에 앉아서 울고 있다면 그건 나태가 아니다. 단, 정교회는 6번째로 사보타주와 가까운 나태를 지적하고 있다. https://orthodoxwiki.org/Vices 참고.

나태는 약속을 안 지키거나 자기 할 일을 타인에게 떠넘기는 경우가 태반이기 때문에 당연히 가족이나 지인에게도 큰 스트레스를 준다. 이는 자기에게 맡겨진 일을 거부함으로써 자기에게 부여된 누군가의 믿음을 무시하는 것이고, 이에 이유가 존재하지 않고 단순히 귀찮고 힘들다는 것이 이유라면 나태한 것이다. 그렇다고 시키는 일이 뭐가 되었건 간에 그걸 그냥 해야 하는 거라서 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키르케고르가 말한 나태함은 그런 걸 안 하는 것이다. 뭐든 시킨다고 다 하는 게 아니라, 안 하면서 그 일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는 것이다.

죄악이 될 수 있는 나태함은 그렇게 맡겨진 일도 안 하고 그 일의 의미에 대해 생각조차 안 하는 것이다. 경제 및 위기 등의 움직여야 할 상황에서 게으름을 부리면 당연히 도움이 눈꼽만큼도 안 되므로 다른 사람에게서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다.

별다른 죄책감 없이 가장 빠지기 쉬운 유혹이기도 하다. 작업하는 도중에 살짝살짝 농땡이 피우는 것도 그렇고, 수업 시간에 딴짓하거나 자는 것도 그렇다.

열심히 했으나 운이 없어 노력에 대한 보상을 받지 못한 사람이나 단순히 현실 감각만 잃은 경우[3]는 구제의 여지라도 있지만 나태한 사람은 집요한 심리치료와 고강도의 재활훈련등 여러 전문적인 개입이 없으면 답이 없다.

의지박약하고도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해당 문서 참고.

2. 언제나 나쁠까?

게으름, 나태함을 쉽게 판단하고 무작정 나쁘게 보는 것도 좋지 않다. 의학적인 관점에 있어서 게으름과 나태함은 인체가 체력을 모두 소진하고 스트레스가 극에 달하여 몸이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강제로 휴식을 취하게 만들면서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되려 게으름을 두려워하여 과하게 몰아붙이는 현대 사회에 있어선 잠깐의 여유나 휴식조차도 게으름으로 치부하고 판단하는 경우도 적잖다. 이 경우 후폭풍으로 몰려오는 번아웃 증후군으로 생기는 우울증 등을 포함한 각종 정신적 증후들에 자유롭기 힘들다. 참고로 번아웃 증후군인터넷 이용자들 사이에서도 종종 목격된다. 현대인이 얼마나 무의식적인 시간 강박에 매몰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나태하다고 쉽게 판단될 수 있는 무력함을 증상으로 동반하게 되는 우울증이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4] 같은 다양한 질병들도 존재한다.

나태함을 불러오는 좌절감, 낮은 자존감은 치료에 실패한 환자나 특정 업무에서 성과를 달하지 못한 사람에게 쉽게 찾아오는 무력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사람에게 있어서 자신의 목표가 좌절되고 실패할 수록 살아가는 데에 대한 이유를 잃어가기 쉽고, 이런 사람에게 통상적인 책임감을 상기시키는 건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통상적인 인간은 목적을 갖고 살고 있으며 활력이 떨어지고 기력이 떨어진 채 목적을 잃고 방황하며 심각할 정도로 나태함과 게으름을 보이는 사람들은 반드시 그 이유가 있고 도움이 필요하다.

물론 게으름과 나태에 익숙해져 적응이 되어 스스로 나태함이 문제 된다는 것조차 인지 못하는 경우는 정도에 따라서 환경적 변화가 필요하지만 근본적 원인을 찾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도가 지나치게 나태함을 경계하는 정신력만능주의로 주변 사람이나 자신을 몰아붙이고 괴롭힐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빌 게이츠는 힘들고 복잡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나태한 사람을 찾는다고 발언했으며 나태한 사람은 복잡한 문제를 간결하고 편리하게 해결하려고 한다며 고평가했다.

예를 들어 군더더기 많은 서류 작업을 컴퓨터 알고리즘으로 편리하게 정리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복잡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작정 뛰어들기보단 최적의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해 머리를 굴리는 일이 많다.

결론적으로 자기 소모(체력, 정신 등)의 결과로 나오는 피로[5]는 죄악으로 취급되는 나태가 아니다.

3. 관련 명언들

Failure is not our only punishment for laziness; there is also the success of others.
우리의 나태에 대한 벌로서 우리의 실패뿐만 아니라 다른 이의 성공이 있다.
쥘 르나르
Far from idleness being the root of all evil, it is rather the only true good.
나태함은 모든 악의 뿌리이기는커녕 진정한 선의 극치이다.
쇠렌 키르케고르
맹인으로 태어난 것보다 더 불행한 것은, 시력은 있되 비전이 없는 것이다.
헬렌 켈러
삶이 비극인 것은, 우리가 너무 일찍 늙고 너무 늦게 철이 든다는 점이다.
벤저민 프랭클린
불쾌함은 나태함과 똑같은 것이지요.[6]
젊은 베르터의 고뇌
움직이지 않는 까마귀는 굶어 죽는다.
아이슬란드의 속담
게으른 자는 악마의 베개이다.
네덜란드의 속담
태만한 자는 긴 침도, 짧은 침도 없는 시계이다. 가령 움직이기 시작했다 하더라도 멎어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W. 쿠퍼(영국의 시인)
그러므로 태만은 어머니이다. 태만에는 도적이라는 아들과 기아라는 딸이 있다.
빅토르 위고
젊어서 덕을 닦지 못하고 재산도 쌓지 못한 사람이 늙고 병들어 후회한들 무엇하리.
법구경(法句經)
물이 흐르지 않으면 썩듯이 태만은 둔한 몸을 쇠약하게 만든다.
오비디우스
거울을 지나치게 보는 처녀는 물레질할 틈이 없다.
프랑스의 속담
하루가 늦으면 열흘이 손해.
일본의 속담
게으른 자여, 개미에게로 가서 그 하는 것을 보고 지혜를 얻어라. 개미는 두령도 없고, 간역자(看役者)도 없고, 주권자도 없으되, 먹을 것을 여름 동안에 예비하여 추수 때 양식을 모으느니라.
<구약성서> 잠언 6.6~8
Für den Fleißigen hat die Woche sieben Heute, für den Faulen sieben Morgen.
부지런한 사람에게는 1주일에 7번의 오늘이 있고, 게으른 사람은 7번의 내일이 있다.
독일의 속담
태만은 모든 일을 망친다.
R. 버어튼(영국의 동양학자)
고기가 썩으면 구더기가 생기고, 생선이 마르면 좀벌레가 생긴다. 태만함으로써 자신을 잊는다면 재앙이 곧 닥칠 것이다.
순자
태만한 자는 매주 7일의 휴일을 주는 주인을 좋아한다.
레만(독일의 역사가)
젊었을 때의 태만한 자는 늙어서 도적이 된다.
덴마크의 속담

4. 대중문화 속의 나태

신곡 연옥편에서 나태의 죄를 지은 자들이 연옥에서 뺑뺑이를 도는 벌을 받는다.

5. 관련 문서


[1] 미국의 화가.(1937~)#[2] 달란트(파생어: 탤런트)[3] 열심히 노력했으나 현실적이지 않은 분야(예: 수집, 업적 달성 등등)에 집중한 경우는 지금부터라도 정신을 차리고 현실에 집중하면 대부분은 충분히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 그들은 원래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4] 한 예로, 역사적 현실 고증이 상당히 뚜렷한 옛날 만화 맨발의 겐에서는 피폭의 한 증상으로서 삶에 대한 무력감이 동반될 수 있다는 대사가 나온다.[5] 애초에 예수도 힘들면 쉬라고 말했으며 마가복음 6장 30-33절에는 '휴식은 결코, 낭비나 사치가 아니다'라고 적혀 있다.[6] 작중 베르터의 대사. 불쾌함을 느낄 때 스스로 각성할 수 있는 힘이 생기면 나태함에서 벗어나게 되어 만사가 손쉽게 풀린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우울증 때문에 불쾌함을 느낀다면 그걸 그냥 체념하며 나태해질 게 아니라 적절한 처방을 찾아 나서야 한다는 것.[해방] 나태의 저주로부터 해방됐다.[해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