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00:49:22

불행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희왕의 카드에 대한 내용은 불행(유희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헤일로 시리즈의 해골에 대한 내용은 해골(헤일로 시리즈)/캠페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불행 (Tough Luck)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ee,#000> 분노 환멸 · 짜증 · 투정 · 성가심 · 악의 · 자기방어 · 안달 · 분함 · 꺼림 · 진노 · 증오 · 공통
슬픔 실망감 · 무능 · 애달픔 · 후회감 · 우울 · 한탄 · 비참 · 무기력 · 좌절 · 고독 · 비통 · 공통, 애환공통
불안 공포 · 걱정 · 스트레스 · 초조 · 혼란 · 의심 · 조심 · 나약함 · 당혹
아픔 시샘 · 배신감 · 외로움 · 얼떨떨함 · 핍박 · 억울 · 괴로움 · 고난 · 버림받음 · 불행 · 피로
창피 억눌림 · 시선의식 · 부끄러움 · 열등감 · 죄책감 · 불쾌 · 한심
기쁨 고마움 · 편안함 · 들뜸 · 행복 · 믿음 · 여유 · 즐거움 · 자신감 · 용기 · 안심 · 우월감 · 희열 · 감동공통 · 성취감 · 만족 · 애환공통
사랑 내리사랑 · 형제애 · 우정 · 안갚음 · 따름 · 감동공통 · 자비 · 상냥함 · 설렘
바람 · 희망 · 탐욕 · 음욕 · 욕심 · 간절함 · 기대 · 갈급함 · 그리움 · 인색
감정의 상위 분류: 욕구 · 감성 · 이성
하버드 대학 심리학자 수전 데이비드의 분류 결과와 칠정의 요소
}}}}}}}}} ||

1. 개요2. 창작물에서
2.1. 불행 속성을 보유한 경우

1. 개요

불행( / Misfortune)은 행복하지 않은 상태를 지칭하며, 행운이 없는 상태는 '불운'이라고 한다.

엄밀히 따지면 불행은 행복의 반대말이 아니다. 불행과 행복은 서로 다른 차원의 것이며, 관여하는 부분도 다르다.[1][2]

‘타인의 불행은 나의 행복’이란 말이 있기도 하다. 다른 사람의 불행을 보면서 행복해하는 심리를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라고 한다.

소설가 이영도의 단편 '행복의 근원'에서는 행복의 근원이 불행이라고 한다.

영어권 화자는 Unfortunately를 매우 많이 사용하여 '불행하게도'같은 단어가 자주 보이면 영어 번역체임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2. 창작물에서

주로 일본 창작물에서 캐릭터 속성으로 취급되는데 예를 들어 대놓고 매번 불행한 경우는 선택지마다 맨날 꽝이 걸리고 남들보다 많은 고생을 겪는 한편 다른 캐릭터들에게 무시나 오해를 받아 존재감이 부족한 점을 개그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러나 작품의 배경이나 캐릭터의 인생이 진지하면 가차 없이 굴러져 험한 꼴을 기본으로 받게 되는데 이를 극단적으로 묘사한 속성이 마지막에 패배하는 주인공이다.

이런 속성은 저마다의 슬픔에서 나오는 묘한 매력이나 비장한 면을 만들 수 있지만 작가나 팬들을 잘못 만나면 벗어나기 힘든데 만약 작품이 개그 계열 장르라면 굴려지는게 귀여워서 더욱 수난받게 하지만 시리어스 계열 장르일땐 안타까운 나머지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편이다. 더 나아가서 원작 자체가 발암전개를 일으킨다면 도리어 팬픽으로 보완되어 달라지기도 한다.

특히 불행한 과거로 인해 타락하거나 악역이 된 경우도 많다.

2.1. 불행 속성을 보유한 경우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공식 설정상 불행이라는 개념 자체가 모티브이거나 불행과 관련된 이능력을 지닌 캐릭터만을 근거를 반드시 포함하여 기재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공식 설정상 불행이라는 개념 자체가 모티브이거나 불행과 관련된 이능력을 지닌 캐릭터만을 근거를 반드시 포함하여 기재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서은국, '행복의 기원', 21세기북스, 2014, pp 116-117[2] '행복하다'에는 '기쁘다', '만족스럽다', '즐겁다' 정도의 의미가 있지만 '불행하다'에는 그와는 달리 '안 좋은 일이 발생한다(했다)', '안 좋은 처지에 있다' 등의 의미가 있다.[3] 특히 그의 동실인 케마 토메사부로가 그 불운 피해자 중 한 명이다.[4] 사실 베넷은 갓난아기 때 한 모험가에 의해 설산에서 구조됐다. 아마도 이때 평생 운을 다 쓴 것일 수도 있다.[5] 감독이 공인으로 무슨 일이 있어도 해피엔딩은 절대 없을 거라고 쐐기를 박아버렸다.[6] 원문 : “John may survive all this shit, but at the end of it, there’s no happy ending. He’s got nowhere to go,” said Stahelski. “Honestly, I challenge you right now, here’s a question to you: How do you fucking want me to end it? Do you think he’s going to ride off into the fucking sunset? He’s killed 300 fucking people and he’s just going to walk away, everything’s okay? He’s just going to fall in love with a love interest? If you’re this fucking guy, if this guy really existed, how is this guy’s day going to end? He’s fucked for the rest of his life. It’s just a matter of time.”[7] 한술 더 떠서 시이나는 유우를 아예 역병신이라고 부르며 기피한다.[8] 단, 70권대 이전 한정. 파그마의 후예 전직 전까지는 확실한 불행 속성이었고, 전직 이후에도 확률 게임에는 매우 약한 모습을 보이나 70권대 이후로는 주인공 보정이 떡칠되어 엄청난 파워 인플레를 이뤄낸다.[9] 시즌 6에서는 자신의 삶에 큰 영향을 주었던 인물의 정체를 알아버리자(정체도 그렇지만 우선적으로는 싸울 의지를 크게 꺾어버리는 진실이 드러난다.) 큰 실망을 하게 되며 싸울 의미와 의욕을 잃어버린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