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8 21:09:01

알로이스 브루너


[[독일의 전쟁범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전범과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루돌프 헤스 | 마르틴 보어만궐석재판 | 발두어 폰 시라흐 | 발터 풍크 | 빌헬름 카이텔 | 빌헬름 프리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알베르트 슈페어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알프레트 요들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에리히 레더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카를 되니츠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프리츠 자우켈 | 한스 프랑크 | 헤르만 괴링자살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볼프람 지퍼스 | 루돌프 브란트 | 발데마르 호펜 | 카를 겐츠켄

에르하르트 밀히

오스발트 폴 | 아우구스트 프랑크 | 게오르크 뢰르너 | 한스 뢰르너 | 프란츠 아이렌슈말츠

빌헬름 리스트 | 로타르 렌둘릭 | 발터 쿤체

울리히 그라이펠트 | 베르너 로렌츠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

오토 올렌도르프 | 에리히 나우만 | 파울 블로벨 | 베르너 브라우네 | 에두아르트 슈트라우흐 | 마르틴 잔트베르거 | 오이겐 슈타임레 | 발데마르 클링겔회퍼 | 하인츠 요스트 | 구스타프 아돌프 노스케 | 프란츠 직스

헤르만 호트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게오르크 폰 퀴힐러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빌헬름 케플러 |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 리하르트 발터 다레 | 한스 라머스 | 빌헬름 슈투카르트 | 오토 디트리히 | 고틀로프 베르거 | 발터 셸렌베르크 |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별개의 재판
미국 마우트하우젠 재판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 에두아르트 크렙스바흐 | 아돌프 추터
미국 부헨발트 재판

요시아스 추 발데크피르몬트 | 일제 코흐
미국 말메디 재판

요제프 디트리히 | 헤르만 프리스 | 요아힘 파이퍼
영국 하멜른 재판

카를 에버하르트 쇤가르트 | 요제프 크라머 | 이르마 그레제
영국 아우리히 재판

쿠르트 마이어
영국 헤롤트 재판

빌리 파울 헤롤트
네덜란드 리페르트 재판

미하엘 리페르트
네덜란드 헤이그 재판

한스 라우터
소련 리가 재판

프리드리히 예켈른
프랑스 님 재판

빌헬름 비트리히
프랑스 보르도 재판

하인츠 라머딩결석재판

아르투어 그라이저 | 아몬 괴트 | 요제프 마이징거 | 루돌프 회스 | 요제프 뷜러 | 알베르트 포르스터
폴란드 슈트로프 재판

위르겐 슈트로프
폴란드 코흐 재판

에리히 코흐
체코슬로바키아 리디체 재판

쿠르트 달루게 | 카를 헤르만 프랑크
서독 만슈타인 재판

에리히 폰 만슈타인
서독 부흐 재판

발터 부흐
서독 모아빗 재판

에리히 바우어
이스라엘 아이히만 재판

아돌프 아이히만
동독 블뢰체 재판

요제프 블뢰체
서독 뒤셀도르프 재판

프란츠 슈탕글
서독 트레블링카 재판

쿠르트 프란츠 | 빌리 멘츠
서독 소비보르 재판

쿠르트 볼렌더자살
서독 볼프 재판

카를 볼프
이탈리아 프리프케 재판

에리히 프리프케
프랑스 바르비 재판

클라우스 바르비
21세기 이후 나치 전범 재판

요제프 쉬츠
학살 사건 홀로코스트 | 독일 친위대의 전쟁범죄 | 독일 국방군의 전쟁 범죄 | 바비야르 학살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벨라루스 점령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말메디 학살 | 그래뉴 학살 | 르 파라디 학살 | 바르샤바 봉기 진압
종전 전 사망한
전쟁범죄
혐의자
아돌프 히틀러 | 요제프 괴벨스 | 마르틴 보어만 | 하인리히 힘러 | 리하르트 글뤽스 | 오딜로 글로보츠닉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이름프리트 에베를 | 쿠르트 폰 고트베르크 | 에두아르트 바그너 | 프리드리히 크뤼거 | 필리프 보울러 | 한스-아돌프 프뤼츠만 | 헤르베르트 바케 | 베른하르트 루스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발터 모델 | 한스 크렙스 이상 자살
헤르만 페겔라인처형 | 아르투어 네베처형 | 카를 오토 코흐처형 | 에리히 회프너처형 | 빌헬름 카나리스처형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처형 | 볼프 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도르프처형 | 지크문트 라셔처형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암살 |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암살 | 테오도어 아이케전사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암살 | 페르디난트 폰 자메른 프랑케네크암살 | 오스카 디를레방어의문사 | 롤란트 프라이슬러폭사 | 프리츠 비트전사 | 카를 항케 | 에른스트 하인리히 슈마우저 | 프란츠 치라이스
실종된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리히 뮐러
기소되지 않은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츠 라이네파르트 | 쿠르트 발트하임 | 디트리히 폰 콜티츠
생체 실험 T4 작전
생체실험 관련인물
요제프 멩겔레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호르스트 슈만 | 아리베르트 하임 | 카를 클라우베르크 | 지크문트 라셔
강제수용소 틀:나치의 주요 절멸수용소 | 다하우 강제수용소 | 마우트하우젠 강제수용소 | 야세노바츠 강제수용소
기타 라이헤나우 강조 명령 | 정치장교 명령 | 국방군 무오설
나치 전쟁범죄 부역자 안테 파벨리치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비드쿤 크비슬링 | 이온 안토네스쿠 | 호리아 시마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스테판 반데라 | 안톤 뮈서르트 | 그러시 요제프 |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 페케테헐미-체이드네르 페렌츠 | 헹크 펠드메이어르 | 루스커이 예뇌 | 아민 알후세이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중립국
※ 문서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서술. 기소 여부 및 판결에 대해서는 각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문서를 참고
※ 둘러보기: 틀:파시즘, 틀:나치즘, 틀:뉘른베르크 군사법정 전범재판 }}}}}}}}}
파일:브루너.png
이름 Alois Brunner
알로이스 브루너
출생 1912년 4월 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사망 2001년?/2010년? (향년 89세?/향년 98세?)
바트주의 시리아 다마스쿠스
복무 슈츠슈타펠 (1938년 ~ 1945년)
최종계급 슈츠슈타펠 대위 (최상급돌격지도자)
주요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정당
1. 개요2. 초기 행적3. 제2차 세계 대전4. 전후 행적5. 암살 위협6. 최후

1. 개요

파일:브루너1.jpg
알로이스 브루너 (Alois Brunner)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전직 슈츠슈타펠 소속 나치 독일 전범이자, 또다른 전범 아돌프 아이히만의 심복이었다. 또한 전후 철저한 추적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끝내 붙잡히지 않고 몰년 또한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2. 초기 행적

파일:alois brunner.jp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태어난 브루너는 19세에 오스트리아 나치당에 가입해 돌격대 대원이 되었다가 1938년오스트리아가 독일과 합병하자 빈의 친위대에 들어갔다.

3.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에는 에 있던 아돌프 아이히만의 <유대인 이송국>으로 배치되어 아이히만의 부관으로 오스트리아의 유대인을 폴란드에 있는 수용소로 보내는 일을 맡았다. 1943년 2월까지 오스트리아의 유대인 4만 7천명을 수용소로 보낸 브루너는 그 공적으로 승진을 거듭 해 1940년 4월 20일의 총통탄생일 당시 친위대 소위, 1941년 11월 9일엔 중위, 1942년 1월 30일엔 대위로 승진했다. 1943년 2월부터 그리스국의 테살로니카로 파견되어 그곳의 유대인 명사 25명을 인질로 잡은 후 명령에 따르지 않으면 이들을 총살하겠다고 하며 유대인 사회를 협박했다. 이리하여 테살로니카와 마케도니아의 유대인 5만 8천 명 중 4만 4천명이 수용소로 이송되었는데 브루너는 1943년 6월프랑스로 부임해서 그곳의 유대인 2만 7천 명을 수용소로 보냈다. 또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로 파견되어 1만 4천명의 유대인을 이송했으며 다시 헝가리 국민단결정부로 부임해 1만 2천 명을 죽음의 수용소로 보냈다. 브루너가 전쟁터에 나간 적은 한 번도 없었는데, 전시 많은 독일 장병들이 전선에서 전사할 때 브루너는 일관되게 안전한 곳에서 전쟁범죄를 저질렀다.

4. 전후 행적

나치 독일이 패전한 뒤 체코슬로바키아에 있던 브루너는 친위대의 군복을 벗고 한 명의 독일시민으로 숨어지냈다. 전후 브루너는 알로이스 슈마르딘스트라는 가명으로 독일의 난민으로 분류되어 서독으로 입국했다. 서독에 머무르던 중 그는 독일의 구 정보부원으로 對소련에 방첩임무를 하는 겔렌 기관에 합류해 공작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54년에 브루너는 서독을 빠져나가 프랑스 제4공화국 정부는 궐석재판으로 그에게 사형선고를 내렸다. 게오르크 귀셔라는 가명의 여권으로 이집트카이로로 이사한 그는 다시 시리아 제2공화국으로 이주했다. 이 사실을 안 서독 정부 및 프랑스 정부, 오스트리아 정부, 그리스 왕국 정부는 시리아에 대해 알로이스 브루너의 신병을 인도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시리아<브루너란 사람은 살고 있지 않다>며 이들의 요구를 거부했다. 당시 시리아는 브루너를 유대인 문제의 정보부 고문으로 앉혔기 때문이었다. 정보기관에서 오랫동안의 경험을 쌓은 브루너는 아직 미숙한 시리아의 첩보기관원들에겐 대선배로 추앙받아서 시리아 정보기관은 독재정치의 유지를 위해 그를 충분히 이용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5. 암살 위협

그러나 브루너는 결코 안전하지 못해 1961년1980년 두 차례에 걸쳐 폭발물이 든 편지를 받았다. 브루너는 첫 번째 편지를 개봉하다가 한쪽 눈, 두 번째 편지를 개봉하다가 손가락을 잃었다. 이것은 민간인의 소행이라 보기 어려워 이스라엘 첩보기관인 모사드가 한 짓으로 의심받았다.

6. 최후

1995년에 독일정부는 브루너에게 33만 3천달러라는 거액의 현상금을 내 걸었다. 하지만 브루너는 아직 체포되지 않았는데 이에 열받은 프랑스1999년2001년 두 번에 걸쳐 궐석재판으로 브루너에게 종신형 판결을 내렸다. 시리아는 아직도 브루너가 국내에 있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는데 현재 그의 생사도 불명인 상태이지만 나이를 고려하면 2001~2010년 사이에 사망했을 것이다.
파일:브루너3.jpg
말년의 브루너
1985년서독의 잡지사 기자가 브루너와의 취재에 성공했었는데 그 때 브루너는 유대인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유대인들은 모두 죽여야만 한다. 후회 같은 건 없다. 기회가 된다면 나는 다시 유대인들을 모두, 전부 죽여버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