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주의적 패권 | 어퍼머티브 액션 | 소수자 권리 | 자유시장 | 양심의 자유 |
자유주의(국제관계학) | 소셜 저스티스 워리어 | 폐지주의 | 모병제 | 객관주의 |
민권 운동 | 세계화 | 부르주아 정당 | 현대자유주의 | 자결권 |
친선택 | 해방 신학 | 무기소지권 | 사회자유 보수주의 | 세속주의 |
시니스트리슴 | ||||
관련 단체 | ||||
자유주의 인터내셔널 | 자유지상당 국제동맹※ | 나우만 재단 | 몽펠르랭 소사이어티 | 진보동맹※ |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자유주의와 관련된 다른 틀 (사회민주주의 · 신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 진보주의) ※ 넓은 의미의 자유주의 단체; 각각 자유지상주의, 진보주의에 속한다. |
포퓰리즘(대중주의) 사상의 분파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분파 | ||||
우익대중주의 | 좌익대중주의 | 테크노 포퓰리즘 | 사법 포퓰리즘 | 형벌 포퓰리즘 | |
파시즘 | 흑인대중주의 | ||||
개별 | |||||
제퍼슨 민주주의 | 잭슨 민주주의 | 트럼프주의 | 대안 우파 | 마오주의 | |
힌두트바 | 페론주의 | 키르치네르주의 | 밀레이주의 | 룰라주의 | |
차베스주의 | 인민주의 | 베를루스코니주의 | 보나파르트주의 | 드골주의 | |
코빈주의 | 나세르주의 | 카다피주의 | 후지모리주의 | ||
관련 이념 | |||||
네오내셔널리즘 | 사회주의 | 권위주의(일부) | 직접민주주의 | 고전적 급진주의 | |
지공주의 | 고보수주의 | 제3의 위치 | 고립주의 | 반지성주의 | |
농본주의 | 토착민주의 | 탈정치 | 복지 쇼비니즘 | ||
관련 주제 | |||||
내셔널리즘 · 민중 · 백래시 · 유럽회의주의(브렉시트) · 인민(인민주권 · 폴크) · 정치 혐오 · 티 파티 · 핑크 타이드 | |||||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1. 개요
인민의, 인민에 의한, 인민을 위한 통치는 이 곳에서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government of the people, by the people, for the people, shall not perish from the earth)
게티즈버그 연설
(government of the people, by the people, for the people, shall not perish from the earth)
게티즈버그 연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대한민국 헌법 제1조 2항
人民主權 / Popular sovereignty대한민국 헌법 제1조 2항
국가의 주인은 인민(people)에게 있고 인민에 의해 선출된 대표자가 국가와 정부를 다스리며 인민의 동의에 의해 만들어지는 개념을 의미한다.
공화정을 채택하고 있는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은 이 원칙을 채택하고 있다. 자유주의, 공화주의, 대중주의와 깊은 연관성이 있다.
2. 용어상 혼란
사실 한국에서 popular sovereignty을 국민주권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지만 직역하면 인민주권이다.[1] 영어로 'national sovereignty'와 'popular sovereignty'는 비슷해 보여도 의미가 조금 다르기 때문이다. national sovereignity는 popular sovereignity와는 달리 nation에 속하지 않는 외국인과 소수자가 배제된다. national sovereignity는 국민국가 개념과 더 관련이 있다.[2]물론 프랑스 혁명 시절에는 사실상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긴 했자만 배타적 nation의 강조로 인한 폐해를 겪은 서구권에서는 popular sovereignty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다. 가령 외국인 참정권과 관련해 외국인은 nation에 속하진 않아도 people에는 속하는데 외국인 참정권을 긍정하는 논자들은 popular sovereignty를 폭넓게 해석한다고 할 수 있다.
3. 상세
대한민국 헌법 제1조에 기재되어 있는 만큼, 국가 구성의 가장 근본적인 원리이다. 인민주권의 원리로부터 국가권력이 도출되고, 이것이 공권력[3]이 된다.인민주권의 원리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대의제[4]를 채택하고 있다. 직접 민주주의를 실현하기에는 현실적 제약이 많이 따르므로 간접 민주주의를 채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의제 하에서 국가권력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입법, 사법, 행정을 분리하는 삼권분립의 원칙을 기본적으로 채택하며, 법의 형성, 법의 적용, 법의 집행을 각각 수행하는 법치주의가 따라오게 된다.
이처럼 현대 민주주의 국가의 대부분의 정치원리가 인민주권의 원리에서 도출되며, 그만큼 헌법적 의미나, 정치적 의미에서도 매우 중요한 원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