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4 10:20:54

제3의 위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비슷한 이름의 정치 노선에 대한 내용은 제3의 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Flag_of_Third_Position.png
제3의 위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공통 국수주의 · 민족주의 · 황색 사회주의 · 혼합 정치 · 혁명적 내셔널리즘 · 협동조합주의
이념 MAGA 공산주의 · 국민생디칼리슴 · 나치-마오주의 · 민족 볼셰비즘 · 민족 아나키즘 · 슈트라서주의 · 순정사회주의 · 신사회주의 · 아랍 사회주의(바트주의) · 제4의 정치이론 · 좌익 파시즘 · 정통 페론주의 · 주체사상 · 팔랑헤주의
정당/조직 독일 노동당 · 레히 · 민족 볼셰비키당 · 사회대중당 · 시리아 사회민족당 ·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 유라시아당 · 전통주의노동자당 · 팔랑헤 · 흑색 전선
인물 그레고어 슈트라서 · 기타 잇키 · 니콜라 봄바치 · 베니토 무솔리니(초기) · 알렉산드르 두긴(초기)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니키쉬 · 에른스트 윙어 · 조르주 소렐 · 찬드라 보스 · 후안 페론
기타 대안 우파 · 보수혁명 · 파시즘 · 스탈린주의 · 시진핑 사상 · 인종국민주의 · 좌익 내셔널리즘 · 좌익 보수주의 · 카다피주의 · 편자이론
}}}}}}}}} ||

파일:파스케스(가로).svg
파시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이념 국가주의 · 국수주의 · 군국주의 · 권위주의 · 대중주의 · 민족주의 · 반공주의 · 지도자 원리 · 사회진화론 · 반민주주의 · 반자유주의 · 반자본주의 · 영웅주의 · 우생학 · 전체주의 · 협동조합주의
분파 교권 파시즘 · 국민생디칼리슴 · 군단주의· 나치즘(네오 나치즘) · 네오 파시즘 · 대안 우파파일:whattheydo.png · 러시아 파시즘(유라시아주의) · 렉시즘 · 메탁사스주의파일:whattheydo.png · 영국 파시즘 · 오스트리아 파시즘 · 원류 파시즘 · 유사 파시즘파일:whattheydo.png · 이탈리아 파시즘 · 일민주의파일:whattheydo.png · 장제스주의 · 좌익 파시즘(슈트라서주의 · 민족 볼셰비즘) · 천황제 파시즘파일:whattheydo.png · 팔랑헤주의(프랑코주의파일:whattheydo.png) · 프랑스 파시즘
정당/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 노동자당 · 국가 파시스트당(공화 파시스트당 · 민주 파시스트당 · 이탈리아 사회운동) · 국민급진기지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철위대 · 라푸아 운동 · 슬로바키아 인민당 · 산마리노 파시스트당 · 영국 파시스트당 · 우스타샤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국민대중행동파일:whattheydo.png · 국가사회주의 스웨덴 노동자당 · 그리스 민족사회당 · 노르웨이 국민연합 · 대정익찬회파일:whattheydo.png · 동방회파일:whattheydo.png · 러시아 파시스트당 · 렉스당 · 미국 은색군단 · 사쿠라회파일:whattheydo.png ·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 불의 십자단파일:whattheydo.png · 브라질 통합주의 행동 · 시리아 사회민족당파일:whattheydo.png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오제바브란트바흐 · 유고슬라비아 국민운동 · 육군전우협회 · 조국전선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캐나다 파시스트 연합 · 팔랑헤,(통합 팔랑헤파일:whattheydo.png), · 페르콩크루스츠 · 프랑키스트 운동 · 프랑스 인민당 · 화살십자당
국민조합주의자 ·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 그레이 울프 · 독일 사회주의국가당 · 민족 볼셰비키당· 소련 자유민주당파일:whattheydo.png,(러시아 자유민주당파일:whattheydo.png), · 조국당 · 조선민족청년단파일:whattheydo.png · 황금새벽당
국제 조직 추축국 · 1934년 몽트뢰 파시스트 회의
군사 조직 추축군 · 친위대 · 돌격대 · 히틀러유겐트 · 아인자츠그루펜 · 검은 셔츠단 · 오스트리아 친위대 · 보국단· 우스타샤 민병대 · 미국 은색군단 · 마카필리파일:whattheydo.png · 발리 콤페타르파일:whattheydo.png · 반볼셰비키 프랑스 의용군단 · 강철늑대 · 황도파파일:whattheydo.png · 남의사파일:whattheydo.png · 아조우 연대파일:whattheydo.png · 바그너 그룹 · 레히
인물 아돌프 히틀러 · 에리히 루덴도르프 · 베니토 무솔리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파일:whattheydo.png · 안테 파벨리치 · 오스왈드 모슬리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비드쿤 크비슬링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안톤 뮈세르트 · 레옹 드그렐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카를 하우스호퍼 · 카를 슈미트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율리우스 에볼라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오스발트 슈펭글러 · 에른스트 윙어 · 마르틴 하이데거파일:whattheydo.png · 기타 잇키 · 오카와 슈메이파일:whattheydo.png · 안호상파일:whattheydo.png · 이범석파일:whattheydo.png · 아브라함 슈테른 · 장제스파일:whattheydo.png · 호리아 시마 · 미시마 유키오파일:whattheydo.png · 줄리아노 고치 · 마르셀 뷔카르 · 자크 도리오 · 프랑수아 드 라 로크 ·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 · 플리누 사우가두 · 이오인 오더피 · 조르주 소렐파일:whattheydo.png · 조반니 젠틸레 · 알렉산드르 두긴 · 윌리엄 루터 피어스 · 윌리엄 더들리 펠리 · 찰스 코글린 · 아나스타시 본샤츠키· 도미니코 레치시 · 마커스 가비
국가 나치 독일 · 파시스트 이탈리아* · 스페인국파일:whattheydo.png · 크로아티아 독립국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국민군단국가 · 노르웨이 국민 정부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산마리노 공화국 · 일본 제국파일:whattheydo.png · 국민군단연합 불가리아
기타 크립토 파시즘 · 탈파시즘 · 파스케스
* 1922~1943의 이탈리아 왕국과 1943~1945의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파일:whattheydo.png 파시즘 여부 논란 있음
}}}}}}}}}

1. 개요2. 제3의 위치와 일반적인 극우의 차이3. 관련 문서4.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Third Position, Third Alternative

20세기 초에 자본주의공산주의를 반대하고 이 두 가지를 극복한 새로운 정치 이데올로기를 제시하려는 시도로 탄생한 이론. 이 용어는 특정한 하나의 사상만을 지칭하는 용어는 아니고 하나의 정치사상적 흐름이라고 이해하면 될 듯 싶다.

무솔리니파시즘으로부터 시작하여 카다피의 '제3보편이론'에 이르기까지 그 정치적 스펙트럼은 굉장히 넓지만 일반적으로 민족주의사회주의를 표방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제3의 진영과는 다르다. 제3의 위치는 주로 극우가 내세우는 반면 제3의 진영은 주로 극좌가 내세운다.

2. 제3의 위치와 일반적인 극우의 차이

제3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경제적으로 국가사회주의적 정책을 지지하면서 사회, 문화적으로 극우적 시각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물론 모든 극우가 반시장주의적 면을 보이지는 않기 때문에 모든 극우가 파시즘으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 기성 우파가 시장과 세계화에 긍정적인 반면 이들은 반시장과 반세계화를 외치는 것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사회주의란 정통 사회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의미의 사회주의가 아니라 통칭 국가 자본주의라고 불리는 강력한 국가주도의 경제통제를 의미한다. 즉, 이들은 시장주의에 부정적일 뿐 통상적인 사회주의 개념을 주장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현실사회주의 국가들과 개발독재 및 파시즘 국가들은 역설적으로 서로 유사해지는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 때문에 국가사회주의(state socialism)에 비판적인 이들은 국가사회주의국가자본주의를 동의어 취급한다.

경제와 문화 문제 외에도 다른 극우와 이들의 핵심적인 차이가 있는데 이들은 다른 극우파나 나치 주류와는 달리 민주주의를 부정하지 않으며[1] 반제국주의적 성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물론 좌익 진영 쪽에서 의미하는 반제국주의와는 상당히 다른 이유인데 이들이 보기에 경제적인 측면을 포함한 제국주의는 서로 다른 인종과 문화 간의 국경을 허물어서 혼혈과 문화적 융합을 촉발시켜 '민족적 정체성을 파괴하는 반민족주의적' 작태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은 인종분리와 민족적 순수성의 유지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제3세계반미 민족해방 운동을 지지하며 '좌익 민족주의자'로 분류되는 정치인들에게 상당히 우호적이다.[2] 프랑스 신우익(Nouvelle Droite)의 지도자이자 파시즘 철학자인 알랭 드 브누아(Alain de Benoist)는 "다를 권리"를 주장하며 그의 민족다원주의(ethnopluralism) 개념에 대하여 다음같이 언급한다.[3]
국제적인 차원의 모순은 더 이상 좌파와 우파, 자유주의와 사회주의, 파시즘과 공산주의, '전체주의'와 '민주주의' 사이에 있지 않다. 이제 모순은 일차원적 세계를[4] 원하는 자들과 문화적 다양성에 기초한 다차원적 세계를[5] 원하는 이들 간의 충돌에 있는 것이다.[6]

파일:1526383405384.png

문화를 포기하라
(유산은 반동이며 역사는 제국주의다. 모든 문화를 파괴하고 새로 만들자!)
땅을 포기하라
(모든 이에게 너의 사유재산을 양도하라. 모든 사람은 권리도 의무도 없다.)
사람을 포기하라
(국가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사랑도 차별이다. 사회적 연대는 부르주아이다!)
$
문화를 포기하라
(유산은 아무 것도 가져다 주지 않는다. 역사는 아무 것도 배당하지 않는다. 문화는 모두 가소화돼서 사라질 것이다!)
땅을 포기하라
(아무 것도 짓지 말고 다만 빌려주어라. 돈은 무능한 영주 밑에서 일하는 현대의 농노들이 벌어다 줄 것이니!)
사람을 포기하라
(국민통합은 잊어라. 오직 중요한 것은 부스러기를 위해 노예처럼 일하려는 의지이다!)
모든 거짓된 이분법을 거부하라! 제3의 위치를 포용하라!
제3의 위치라는 용어는 초기 파시즘 지도자들이 시장자본주의와 공산국가식의 경제체제가 아닌 제3의 대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데서 비롯한다. 정통 좌파도 우파도 아니고 그렇다고 중도조차 아닌 또 다른 정치사상을 표방하기 때문에 제3의 위치라고 불린 것이다.[7][8] 즉, 제3의 위치는 파시즘의 구성요소 중 하나다.
국가에 집착하는 보수주의자는 민족의 문제를 등한시했다... 이 국가에서 자라난 애국심은 민족을 단지 국적과 언어의 문제로 여겼다. 이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민족은 가치의 공동체다. 그리고 민족주의는 가치의 의식이다. 민족적 가치의식을 지닌 세계대전의 민족들은 언어와 조국뿐만이 아니라 문명과 문화를 수호하고 있었다. 우리가 그들에게 패한것은 우리의 나라가 강성하고 군대는 거대했지만, 보호할 만한 가치에 있는 것에서 한없이 약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전쟁에서 져도 패망하는 것은 국가뿐이라고 생각했다. 이제 우리는 패배한 것이 민족이라는 것을 안다...

몰락한 국가는 애국심을 우리 교육과정으로 삼았다. 그러나 19세기의 문화적 쇠퇴, 특히 빌헬름 시대의 교육은 경력, 사회적 지위, 경제적 이득을 위한 방향으로 점점 더 타락해갔다...[9]

세계시민주의적 관점에 치우친 민주주의자와 국제주의적 가치를 갈구하는 프롤레타리아 모두는 언제나 민족과 민족 사이의 차이가 사라지는 중립적인 영역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을 좋아한다. 반면에 민족주의자는 민족 고유의 가치가 민족의 가장 특징적이고 귀중한 자산이며, 존재의 숨결이라고 여긴다. 이것이 국가의 형태와 성격을 부여하며 양도하거나 공유될 수 없는 것이다...

어느 나라에서도 이러한 가치가 단일성을 지향하는 경향이 뚜렷하지 않았다. 제1제국 이후 한번도 누리지 못한 단일성, 우리의 제2제국이 이루지 못한 단일성, 우리의 제3제국이 이루어야할 단일성. 우리 역사의 반정립은 남을 것이나, 우리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은 제3제국에 의해 약속되어 있다.
Arthur Moeller van den Bruck, Das dritte Reich, pp. 245-249#

이를테면 나치에 일정 부분 영향을 준 묄러의 저서 "제3제국"의 처음 이름은 제3의 길이었다.[10] 해당 저서에서 그는 독일정신과 불일치하는 근대적 삶의 요소를 부정했다. "모든 민족은 그들만의 사회주의가 있다."는 주장 아래 국제사회주의와 자유주의를 부정하고 조합주의적 경제 시스템과 독일의 민족 정신을 강조했다.[11] 그는 마르크스가 독일 사회주의를 근본부터 오염시켰다고 경멸했으나 레닌주의와 러시아 혁명 이후에 모습에서는 그것의 국가주의, 군국주의적 요소가 그의 "모든 민족은 그들만의 사회주의가 있다."는 주장을 증명했다며 러시아인만을 위한 민족사회주의로서 긍정적으로 언급하며 국제사회주의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러시아인들은 민족적 정체성을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독재에 기꺼이 고개를 숙인 것이었다.[12] 그는 자유주의와 그 아버지인 민주주의 서구주의의 모든 잔재를 제거할 때만 사회주의가 가능하며 독일 사회주의는 그러한 역사적 사명을 가졌다고 주장했으며 이러한 사회주의가 독일 제3제국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묄러와 히틀러의 정책은 세세한 차이가 있으나 공통점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점에서 묄러가 살아 있었다면(1925년 자살) 나치 체제를 자신의 사상의 실현으로 찬사했을 것이라고 평해진다.[13]

대안 우파를 비롯한 서양의 여러 주류 극우정당들도 자본주의 자체를 부정하지 않고 우익 포퓰리즘적인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제3의 위치가 아니다.[14] 하지만 대안 우파라는 용어는 경향성을 통틀어 말하는 것에 불과할 뿐 대안 우파 운동들도 단일체가 아니기 때문에 그 운동의 지지자들 중에서는 제3의 위치의 추종자들이 존재하기는 한다. 예를 들자면 2018년에 내부불화로 해산된 Traditionalist Worker Party(전통주의 노동자당)이라는 제3의 위치 단체가 있다. 샬러츠빌 사건에서 조직의 지도자였던 매튜 하임바흐(Matthew Heimbach)가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좌파와 부르주아를 모두 비판하면서 유대인 음모론을 주장하기까지 전형적인 제3의 위치주의자(third positionist) 레토릭을 사용한다.[15] 이후 트위터에서는 민족 볼셰비키슈트라서주의의 깃발이 함께 있는 사진을 올림과 함께 민족 볼셰비키당 정치인 에두아르드 리모노프의 글을 인용하여 적갈색동맹[16]이라는 태그와 함께 더 이상 좌우익의 구분은 없다는 주장을 했고 미제국주의에 맞서는 아사드 정권을 옹호하며 동시에 북한의 핵개발을 민족자결로 옹호했다.# 민족자결(민족주의)이 반제국주의라는 주장은 좌익-민족주의를 반제국주의라고 포장하는 레닌주의자들의 논리와 유사하다. 현재 활동 중인 단체로는 아톰바펜 사단(Atomwaffen Division)이라는 테러조직이 있다.[17] 해당 단체에서는 북한 정권을 옹호하는 포스터를 만들기도 했는데 북한의 인종적 순혈주의와 문화에 대한 철저하게 전통적이고 극우적인 시각, 극단적 내셔널리즘적인 형태의 경제정책이 제3의 위치주의자들의 구미를 당기기 때문이다.

좀 더 유명한 인물로 예를 들어 보자면 미국의 대안 우파 이론가 리처드 스펜서의 아내 니나 쿠프랴노바(Nina Kouprianova/Нина Куприянова)는 민족 볼셰비키 이론가 알렉산드르 두긴의 제자였으며 두긴의 글들을 리처드 스펜서가 운영하는 Washington Summit Publishers를 통해 번역 출판했다. 리처드 스펜서는 대중적으로 주목을 받기 전에 러시아의 어용 언론이라고 할 수 있는 RT에 자주 해설자로서 등장하기도 했다.[18] 이 중에는 다인종, 다문화 사회가 안보와 질서를 해친다는 명목으로 그의 백인 민족주의적 시각을 드러내는 글도 존재한다.[19] 알렉산드르 두긴은 미국의 대안 우파 음모론자인 알렉스 존스(Alex Jones)의 INFO WAR에 등장하기도 했으며# 알렉스 존스는 RT에서 오랜 시간 활동한 전문가로서 언급되기도 했다.[20]

미국반파시즘 운동가 알렉산더 리드 로스(Alexander Reid Ross)는 파시즘은 오래전부터 주류 보수주의를 거부하며 좌익적 개념을 차용하여 사회주의 운동에 인종적, 민족적, 혈통적 형태의 다양한 변종을 탄생시켜 사회주의의 국제주의적 목적을 기회주의로 뒤집어 버렸다고 주장하는데 이러한 침투 전략은 끝나지 않았고 여전히 반세계화, 환경운동, 동물운동, 인종운동 등에 반동적인 경향의 침투가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파시즘에 맞서고자 한다면 그러한 시도들을 주시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

로스의 저작 파시스트 크립에 대한 반대(Against the Fascist Creep)는 그가 파시스트 크립이라고 부르는 개념을 설명하며 경고한다. 파시스트 크립은 파시즘과 급진 우익 사이의 모호한 경계이며 주류 정치 담론과 대중에게 부드럽게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아이러니한 가면이다. 더욱이 파시스트 크립은 초기 파시즘의 발생 단계에서 좌파와 우익을 가로지르는 모호함(즉, 제3의 위치)을 만들어 내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첫번째로 파시스트 크립은 연대나 해방 같은 좌익적 개념과 용어들을 극우 이념에 혼합한다. 그러고 나서 초기 단계에서 포괄전선 전략을 사용하여 대중에게 다소 온건해 보이는 좌익적인 주장(좌익 민족주의 같은)의 플랫폼을 제안하여 주류 정치나 심지어 좌익 운동 자체에 접근하여 자신들의 힘을 키운다는 것이다. #

3. 관련 문서

4. 참고 자료


[1] 그래서 민주주의에서도 제3의 위치가 나타날 수 있다.[2] 후술할 매튜 하임바흐 같은 인간도 트위터 조금 뒤져보면 좌익 민족주의자들을 찬양하는 글들을 많이 찾을 수 있다.[3] https://books.google.com/books?id=DRDeAAAAQBAJ&pg=PA212&lpg=PA212&dq=a+plural+world+grounded+in+the+diversity+of+cultures&source=bl&ots=LkjJEufDQI&sig=ACfU3U2_pkQURfdzo5bxOZrqzMXcjdR_zQ&hl=ko&sa=X&redir_esc=y[4] 국제주의, 인간의 보편적 가치[5] 민족주의, 전통주의[6] 브누아는 인권, 민주주의, 자유주의, 자유시장경제, 평등, 기독교주의 등을 부정하며 유대인의 정신이 유럽을 오염시키기 전의 이교주의적인 믿음을 지지한다. 이러한 주장은 후에 'Identitarian movement' 같은 서양의 백인 정체성 정치 세력에 강한 영향을 끼친다.[7] Peter Davies, Derek Lynch. The Routledge Companion to Fascism and the Far Right. Routledge, 2002. p. 146[8] Heywood, Andrew. Key Concepts in Politics. Palgrave Macmillan, 2000. p. 78[9] 그는 제2제국(독일 제국)이 "독일의 것이 아닌" 자유민주주의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내부로부터 붕괴되고 있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10] Mosse, The Fascist Revolution, 8–9.[11] Raphael Schlembach, The Transnationality of European Nationalist Movements, Revue belge de Philologie et d'Histoire, Année 2011, 89-3-4 p. 1338[12] 민족주의적 원한이 들끓었던 1차 대전에 참여한 "사회주의자" 베니토 무솔리니는 유사한 맥락으로 파시스트 독트린에서 "1919년 전쟁이 끝났을 때 교리로서의 사회주의는 이미 죽었고, 원한만이 남아 지속되고 있다."고 언급했다.The Doctrine of Fascism[13] "The points of difference, however, are outnumbered by the points on which both men were agreed, so that we might conclude that Moeller, were he alive, would hail the Nazi regime as the incarnation of his vision, or at least as a step in the right direction." Krebs, Gerhard. “Moeller Van Den Bruck: Inventor of the ‘Third Reich.’”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35, no. 6 (1941): 1085–1105. https://doi.org/10.2307/1950548.[14] 도널드 트럼프 집권 후 성행하는 우파 포퓰리즘은 반이민, 반이슬람, 반다문화, 반세계화를 주장했지만 경제체제를 사회주의로 바꾸자는 주장을 한 적이 없다.[15] 영상의 10분 9초경[16] 이 말은 프랜시스 파커 요키라는 네오 나치가 최초로 사용했는데 자본주의를 통한 유대인들의 음모과 그들의 수족인 미국의 제국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나치와 공산주의자는 동맹을 해야 하고 반미, 반유대주의 경향을 보이는 제3세계의 민족해방운동을 전폭적으로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근데 불과 70여 년 전에 대차게 싸웠는데 동맹이 가능한지... 실제 역사에서는 독소 불가침조약이라는 악랄한 적갈색 동맹의 실존 사례가 존재(당시엔 그 말이 없었지만)했고 당시 서방(나치와 공산주의자의 공통의 적인)의 질서를 파괴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17] 미국과 영국, 캐나다, 독일 등지에서 활동하는 네오 나치 조직이다. 참고로 아톰바펜(Atomwaffen)은 독일어핵무기를 의미한다.[18] #1 #2 #3 #4 #5[19] #1 #2 #3[20] #1 #2 #3[21] 1900년대 초에 정치적으로 오락가락했던 인물인 혁명적 생디칼리스트 조르주 소렐프랑스의 보수혁명론자 샤를 모라스의 주장에 영향을 받아 프랑스에서 탄생한 이념이다. 이후 주변 국가들로 펴져 나갔고 얼마 뒤에 등장하는 파시즘의 직접적인 기원이 되는 사상으로 간주된다. 프랑스 파시즘 문서 참고.[22] 실제로 민족지상, 국가지상을 주류로 할 정도로 민족주의적인 면이 강했지만 전향좌파와 중도파 일부를 받아들여서 좌익적 레토릭을 어느 정도나마 흡수한 바가 있고 족청계가 무너진 뒤 각자 자유당, 민주공화당, 민주당계 정당, 혁신계 운동 등으로 흩어졌다.[23] 사실 북한에서는 어느 사회주의 사상과 다를 바 없다고 주장하지만 민족주의적인 면이 상당히 강해 제3의 위치적인 사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24] 해당 링크의 첨부된 사진의 인물은 젊은 시절의 알렉산드르 두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