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11:13:06

자유한국당

한국당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한국당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래한국당에 대한 내용은 미래한국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한국당을 약칭으로 사용하는 대한민국의 정당에 대한 내용은 한국국민당(2015년)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대통령기.svg 대한민국 여당
새누리당
(2012.2.13.~2017.2.13.)
자유한국당
(2017.2.13.~2017.3.10.)
더불어민주당
(2017.5.10.~2022.5.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새누리당
(당명 변경)
자유한국당 자유한국당
통일한국당
(개별 합류)[1]
새누리당
(개별 합류)
자유한국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신설 합당)
통일한국당
(개별 합류)[2]
정민당
(창당준비위원회)
늘푸른한국당
(개별 합류)[3]
미래한국당
(개별 합류)
바른정당
(개별 합류)
자유통일당
(개별 합류)[4]
바른미래당
(개별 합류)
자유한국당
(창당준비위원회)
사회민주당
(개별 합류)
국민희망당
(개별 합류)[5]
}}}}}} ||
파일:자유한국당 로고.svg파일:자유한국당 로고 화이트.svg
자유한국당
<colcolor=#c8171e> 영문명 <colbgcolor=#fff,#191919>Liberty Korea Party (LKP)
등록 약칭 한국당
등록일 1997년 11월 21일[6] (한나라당)
당명 변경 2012년 2월 13일 (새누리당)
2017년 2월 13일 (자유한국당)
해산일 2020년 2월 17일 (미래통합당으로 신설합당)
중앙당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버드나루로 73, 2~3층 (영등포동7가, 우성빌딩)[7]
대표 황교안
원내대표 심재철 / 5선 (16-20대)
사무총장 박완수 / 초선 (20대)
정책위의장 김재원 / 3선 (18-20대)
국회의원
105석 / 295석 (35.5%) (미래통합당 창당 직전)
광역자치단체장
2석[8] / 17석 (11.8%)
기초자치단체장
52석 / 226석 (23.0%)
광역의회의원
135석[9] / 824석 (16.5%)
기초의회의원
998석[10] / 2,926석 (34.1%)
당 색
빨간색 (#C9151E)
정책연구소 여의도연구원
국제 조직

후원회 중앙당후원회 (2019년 5월 28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11]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12][13]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14]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팟빵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2020년 2월 17일 기준
1. 개요2. 상세3. 성향4. 우리의 사명
4.1. 전문4.2. 가치4.3. 우리의 믿음
5. 당명과 로고6. 당가7. 계파8. 역사9. 역대 전당대회10. 역대 지도부
10.1. 중앙당 지도부
10.1.1. 비상대책위원회10.1.2. 초대 지도부10.1.3. 혁신비상대책위원회10.1.4. 제2대 지도부
10.2. 원내 지도부
11. 출신 대통령12. 역대 선거13. 비판 및 논란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자유한국당첫전국위.jpg
자유한국당은 2017년 2월 13일부터 2020년 2월 17일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보수 정당으로, 1997년 창당한 한나라당-새누리당 법인을 승계하였기 때문에 등기상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장수 정당이었다.[15]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후폭풍인 새누리당 분당 사태로 인해 새누리당이 당명을 자유한국당으로 바꿨다. 19대 대선에서 패배를 하며 약 10년만에 야당이 되었고 곧이어 7회 지선에서는 역대급 참패를 했다. 이후 21대 총선을 앞둔 2020년 2월 17일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당 통합을 해서 미래통합당이 신설됨에 따라 해산되었다.[16]

민주화 이후 3당 합당으로 창당된 1990년 민주자유당 이래로 보수 정당 사상 최악의 몰락기, 암흑기를 보낸 정당이었고, 후신인 국민의힘이 난맥상을 보이거나 선거에서 부진할 때마다 '도로 자유한국당'이라는 말이 조롱용 단어로 쓰일 정도로 '보수정당의 암흑기'의 대명사로서 각인된 당명이다.

2. 상세

전신은 새누리당이다. 2016년 총선 패배에 이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하여 당시 여당이었던 새누리당이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 된 것에 대해 김무성, 유승민을 중심으로 한 비박은 '친박 책임론'을 제기하며 친박이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20대 총선 시즌 당시 비박계 숙청과 소위 '진박 공천'을 통해 당내 다수파가 되었던 친박계는 당권을 놓으려 하지 않았고, 결국 비박이 집단 탈당해 바른정당이라는 중도우파 신당을 창당하면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전까지는 새누리당 시절 줄곧 하나의 정당으로 통일되어 있었던 우파정당이 다시 분열의 길을 걷게 됐다. 친박계와 새누리당에 잔류한 일부 비박계 의원들은 절망적인 당 분위기를 환기시키는 차원에서 2017년 2월 13일 자유한국당으로 개명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촛불물결이 전국을 활활 태우던 그때, 무당파 중도층은 고사하고 박근혜의 '콘크리트 지지층'이라고 불리던 단단한 보수 성향 지지층도 떨어져 나가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 사람들만이라도 붙잡자는 심정으로 국내 보수 정치단체/보수 콘크리트 지지층이 가장 중시하는 가치 중 이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단어를 간략하게 따와 '자유', '한국' 두 단어를 붙여 당명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탄핵되어 파면된 전직 대통령인 박근혜가 소속되어 있던 정당이다.[17] 한나라당에서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바꿨을 때도 그랬듯 단순히 당명 개정으로 위기상황을 모면해보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여전히 친박 의원들도 다수 있다. 하지만 새누리당이란 당 이름에 최순실이 관여했다는 의혹과 사이비 종교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과의 연관성 의혹이 나오는 만큼 당명 개정은 불가피했다는 의견도 있다.[18]

이 시기에 당의 뿌리는 1963년에 박정희 전 대통령이 창당한 민주공화당이라는 주장이 나왔었다.[19] 그러나 당의 실질적인 뿌리는 1990년 3당 합당으로 출범한 민주자유당으로 본다. 전자의 주장이 나온 것은 이 시기 보수정당이 민자당-신한국당-한나라당-새누리당 때와는 달리 경쟁상황에 있었다는 것을 감안해서 봐야한다. 새누리당 분당으로 인해서 바른정당이라는 유력한 경쟁자가 등장하고 친박성향의 소규모 야당들이 난립한 가운데 정통성을 계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 견강부회하면서까지 50년도 더 된 정당까지 끌어왔던 것이다.

20대 총선 새누리당 시절에는 122석으로 원내 제2당이었으나 윤상현, 유승민 등 20대 총선 시즌 때 공천 문제로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된 의원들이 복당하면서 129석으로 원내 제1당이 되었다가, 탄핵 정국으로 비박계 상당수가 2016년 12월 27일부로 탈당을 선언함으로써 원내 제1당의 자리를 다시 더불어민주당에게 뺏기고 원내 제2당이 되었다. 이어 이정현 전 대표, 정갑윤 전 의원까지 탈당을 선언하여 의석수가 95석이 되었고, 김종태(1949) 전 의원의 당선무효와 지상욱 전 의원의 탈당, 그리고 조원진 전 의원의 새누리당(2017년) 이적으로 93석[20]으로 총선 이후보다 약 20석 가까이가 줄어들었다. 그리고 헌법재판소박근혜 탄핵을 인용함과 동시에 여당 지위도 잃었다. 다만 법적인 여당 지위는 사라졌더라도,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던 황교안 전 총리의 정치적 성향과 자유한국당의 황교안 지지 입장 등을 감안하자면 그때까지는 바른정당과 함께 사실상 범여권이라고 볼 수 있었으나, 3월 10일 대통령 박근혜가 파면된 직후 여당의 지위를 잃은 상태이므로 여당 없는 '구(舊) 여권'이 되었다.[21]

2017년 5월 6일, 홍준표 당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가 바른정당에서 탈당해온 국회의원 12명과 정갑윤 전 의원의 복당을 일괄 허용하였으나 정우택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당 내부에 이견이 많다는 이유로 비대위 재논의 입장을 밝힌 상태였으나 결국 복당을 승인하여 107석의 원내 제2당이 되었으며,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뒤에는 20대 국회의 제1야당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2017년 11월 4일, 홍준표 전 대표에 의해서 박근혜 전 대통령이 제명되었다. 11월 8일에는 바른정당 탈당사태바른정당에서 8명의 의원이 탈당해 이튿날 복당하였고, 11월 13일 주호영 의원이 추가 탈당해 다음 날 복당하였다. 이재오 전 의원의 늘푸른한국당과 함께 보수통합을 논의 중이라고 하는 등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분열된 보수진영의 지각 변동이 다시 일어나고 있다.[22]

2017년 11월 13일, 홍준표 전 대표가 "건국 시대의 상징인 이승만, 조국 근대화의 상징인 박정희, 민주화 시대의 상징인 김영삼 전 대통령의 사진을 당사에 걸겠다."고 말하고 난 후에 서울 여의도 당사를 비롯해서 전국의 시도당에다가 초상화를 걸었다. 이승만과 박정희, 김영삼은 세 명 모두 개인적으로 상호 간의 갈등관계에 있었던 인물인데 그들을 한데 묶는 것이 타당하냐는 비판에 대해서는 자유한국당 전 대변인 김철근에 따르자면 이승만과 박정희, 김영삼은 모두 전임자를 극복하고 역사적인 발전을 꾀했으며 자유한국당이 1990년도 3당 합당을 통해서 만들어진 민주자유당에 뿌리가 있기 때문에 김영삼 전 대통령을 기리는게 맞는다고 해명했다. 다만 이런 비판 외에도 세 사람의 상징성만을 이용하려고 하는 잔재주에 불과하다며 그렇다면 나머지 4명의 전직 대통령의 사진을 걸지 않는 이유는 무엇이냐 비판하는 의견도 있다.

여러모로 이명박 정부 시기의 민주당(2008년)과 공통점이 많은 정당이다. 3년 동안 쓰인 당명, 정부에 대한 협치가 아닌 강성투쟁적 성격, 대표가 각각 2대[23]까지 간 다음 외곽 세력과 통합으로 정당의 역사를 마무리 지었다는 점 등이 공통점이다. 그리고 두 정당 모두 총선 직전에 신설합당되었다.[24][25]

(國)자를 순우리말로 바꾸면 자유'한나라당'이 된다. 하지만 한나라당에서 한은 韓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대(Grand)를 의미했기 때문에, 그 의미는 다르다.

3. 성향

전체적인 성향은 보수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반공주의 이념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새누리당 시절 보다는 경제적 자유주의 경향이 강해져서 경제적으로는 우경화된 감이 없지 않아 있다.

4. 우리의 사명

2017년 2월 13일 새누리당의 정강·정책을 전면 개정하고[26] 2018년 2월 2일, 2019년 1월 17일 두번 개정하였는데 2019년 1월 17일 최종판이다.

4.1. 전문

자유한국당은 자유민주주의시장경제원칙의 헌법 가치에 기반하여 대한민국의 지속적인 성장과 평화통일을 지향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의 모든 세대가 공정하고 부강한 국가에서 더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 헌법가치를 포함하여 법치주의, 국가안보, 공동체, 긍정의 역사관 등의 핵심가치를 국민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며, 능력과 도덕성, 그리고 애국심을 갖춘 인재들과 함께 이들 가치를 실천하여 국민의 신뢰를 얻는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정당이 된다.
우리 당은 이러한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당이 오랫동안 지켜온 핵심 가치, 시대정신과 미래의 변화를 지향하는 혁신가치, 그리고 정책과 행동의 구체적인 지침으로서 '우리의 믿음'을 정해 지켜 나간다.

4.2. 가치

핵심가치
1. 자유민주주의
2. 시장경제
3. 법치주의
4. 국가안보
5. 공동체
6. 긍정의 역사관

혁신가치
1. 국가도덕성
2. 국민성장
3. 정의로운 보수
4. 따뜻한 사회
5. 준비된 미래
6. 당당한 평화

4.3. 우리의 믿음

우리는 역사적 경험과 시대정신을 반영하여 6대 핵심가치를 실천에 옮기기 위해 다음과 같이 믿음을 공유한다.
[자유와 인권]
[기회의 평등]
[시장경제질서]
[재산권]
[개방과 경쟁]
[작고 효율적인 정부]
[정부개혁]
[군사력]
[통일]
[북한]
[한미동맹과 글로벌 우호협력]
[집단이기주의 배격]
[자조·자립정신]
[빈곤해소]
[복지]
[지속가능성장]
[가족]
[교육의 기회]
[교육의 책임과 권리]
[교육의 다양성과 수월성]
[역사]
[시대적 사명]

5. 당명과 로고

파일:liberty_korea_party_logo.jpg
로고타입과 CMYK 정보.
파일:자유한국당 아이콘.svg 파일:liberty_korea_party_logo_as.jpg
CI

2017년 2월 13일 새 로고가 발표되었다. 보수층의 결집을 위해 각진 횃불을 로고로 삼았고, 이는 자유와 역동성, 활력과 추진력을 뜻한다. 당색은 새누리당과 동일하게 붉은 색을 유지하였다, 참고로 이전에도 영국 보수당횃불을 로고로 쓴 전례가 있긴 하다.

6. 당가

7. 계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비박 친박
친이 원로
이재오
최병국
박창달
전도봉
친이
주호영
김영우
장제원
권성동
범친이
나경원
심재철
박진
김기현
YS키즈
김태호
이인제
김문수
차명진
신박
원유철
백승주
최교일
이만희
친박 원로
현경대
황우여
정갑윤
김관용
구민주당
김병준
조경태
박명재
소장파
오세훈
남경필
권영진
김용태
중립
이철우
염동열
윤상현
정진석
정통민주당
한광옥
김경재
자민련 출신
정우택
이완구
주류 친박
박대출
강석진
김재원
이완영
손학규계
이찬열
김용필
친무
홍문표
김성태
김학용
이진복
친홍
하영제
윤한홍
김한표
배현진
친황
박맹우
민경욱
정점식
추경호
기타 친박
김석기
김선교
정태옥
김정재
삼성동계
최경환
김진태
김태흠
유기준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정의 · 민주 · 대안 · 평화 · 바른미래 · 새보수 · 한국 · 극우정당)
계파 역사 (민주당계 · 보수정당) }}}}}}}}}}}}

주로 친박비박으로 갈리는데, 바른정당으로 분당된 이후에도 여전히 비박계가 많이 남아있었다.

8. 역사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박근혜 정부 ~ 현재
(2013 ~ 현재)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8px; word-break: keep-all"
박근혜 정부 이전
새누리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늘푸른파일:1px 투명.svg한국당 자유파일:1px 투명.svg한국당
바른미래당 자유한국당
바른파일:1px 투명.svg미래당 새로운파일:1px 투명.svg보수당 미래를파일:1px 투명.svg향한파일:1px 투명.svg전진4.0
국민의당 미래통합당
민생당* 국민의힘
국민의힘
개혁신당 시대전환* 국민의힘
국민의힘
* 중도주의 정당
** 미래통합당위성정당 (2020.2.5. ~ 2020.5.29.)
*** 국민의힘위성정당 (2024.2.23. ~ 2024.4.26.)
}}}}}}}}}

2017년 2월 12일까지의 내용은 한나라당, 새누리당 및 하위 문서 참고.

8.1. 2017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유한국당/2017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2018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유한국당/2018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3. 2019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유한국당/2019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4. 2020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유한국당/2020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역대 전당대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유한국당/역대 전당대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새누리당은 2017년 2월 13일 7차 전국위원회에서 자유한국당으로 당명을 개정하면서 자유한국당이 출범하였다.

10. 역대 지도부

10.1. 중앙당 지도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6d00 0%, #FF0000 30%, #c8171e 5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c8171e> 비대위
인명진
권한대행 정우택
초대
홍준표
권한대행 김성태
비대위
김병준
제2대
황교안
}}}}}}}}}}}}}}}
대수 이름 임기
(비상) 인명진 (印名鎭) 2017년 02월 13일 ~ 2017년 03월 31일
(대행) 정우택 (鄭宇澤) 2017년 03월 31일 ~ 2017년 07월 03일
초대 홍준표 (洪準杓) 2017년 07월 03일 ~ 2018년 06월 14일
(대행) 김성태 (金聖泰) 2018년 06월 14일 ~ 2018년 07월 17일
(비상) 김병준 (金秉準) 2018년 07월 17일 ~ 2019년 2월 27일
제2대 황교안 (黃敎安) 2019년 2월 27일 ~ 2020년 2월 17일

10.1.1. 비상대책위원회

임기: 2017년 2월 13일[27] ~ 2017년 7월 3일


10.1.2. 초대 지도부

임기: 2017년 7월 3일 ~ 2018년 7월 17일




10.1.3. 혁신비상대책위원회

임기: 2018년 7월 17일 ~ 2019년 2월 27일
혁신비대위원장 후보[40] 중 선호투표를 통해 김병준이 비대위원장으로 내정되었다.


10.1.4. 제2대 지도부

임기: 2019년 2월 27일 ~ 2020년 2월 17일



10.2. 원내 지도부

국회 기수 이름 임기
20대 2기 정우택 (鄭宇澤) 2017년 02월 13일 ~ 2017년 12월 11일
3기 김성태 (金聖泰) 2017년 12월 11일 ~ 2018년 12월 11일
4기 나경원 (羅卿瑗) 2018년 12월 11일 ~ 2019년 12월 9일
5기 심재철 (沈在哲) 2019년 12월 9일 ~ 2020년 2월 17일

10.2.1. 제20대 국회

10.2.1.1. 정우택 지도부
임기: 2017년 2월 13일 ~ 2017년 12월 11일
10.2.1.2. 김성태 지도부
임기: 2017년 12월 11일 ~ 2018년 12월 11일
10.2.1.3. 나경원 지도부
임기: 2018년 12월 11일 ~ 2019년 12월 9일
10.2.1.4. 심재철 지도부
임기: 2019년 12월 9일 ~ 2020년 2월 17일

11. 출신 대통령

대한민국 대통령
파일:대한민국 대통령 문장.svg
이름 임기 선출 방식 정당
취임일 퇴임일
11 파일:박근혜.pn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박근혜
(1952 ~ )
18 2013년 2월 25일 2016년 12월 9일
(직무정지)

2017년 3월 10일
(파면)
2012년 대선
직선 51.6%
새누리당 (2013 ~ 17)
자유한국당 (2017)

12. 역대 선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유한국당/선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비판 및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유한국당/비판 및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둘러보기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
(2015.12.28.~2017.5.9.)
자유한국당
(2017.5.10.~2020.2.17.)
미래통합당
(2020.2.17.~2020.9.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이승만 정부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48.7.~1951.12.)자유당 (1951.12.~1960.4.)
한국민주당 (1948.7.~1949.2.)
민주국민당 (1949.2.~1949.11.)
대한국민당 (1949.11.~1951.12.)
장면 내각 민주당 (1960.8.~1961.5.)
박정희 정부 민주공화당 (1963.12.~1979.10.)
유신정우회^[1]^ (1973.3.~1979.10.)
전두환 정부 민주정의당 (1981.1.~1988.2.)
노태우 정부 민주정의당 (1988.2.~1990.1.)민주자유당 (1990.1.~1992.10.)
문민정부 민주자유당 (1993.2.~1995.12.)신한국당 (1995.12.~1997.11.)
국민의 정부 새정치국민회의 (1998.2.~2000.1.)새천년민주당 (2000.1.~2002.5.)
자유민주연합 (1998.2.~2001.9.)
민주국민당 (2001.4.~2001.9.)
참여정부 새천년민주당 (2003.2.~2003.9.)열린우리당 (2004.5.~2007.2.)
이명박 정부 한나라당 (2008.2.~2012.2.)새누리당 (2012.2.~2013.2.)
박근혜 정부 새누리당 (2013.2.~2017.2)자유한국당 (2017.2.~2017.3.)
문재인 정부 더불어민주당 (2017.5.~2022.5.)
더불어시민당^[A]^ (2020.3.~2020.5.)
윤석열 정부 국민의힘 (2022.5.~현재)
국민의미래^[A]^ (2024.2.~2024.4.)
[1] 대통령이 임명하는 국회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교섭단체.
[A] 비례대표 득표용 위성정당.
}}}}}}}}} ||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9151E><colcolor=#FFFFFF> 역사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전당대회 역대 전당대회 · 1차 전당대회 · 2차 전당대회 · 3차 전당대회
선거 19대 대선 경선 · 국가대개혁선대위 · 결과
7회 지선 결과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 비판/정치와 사회 · 경남 FC 경기 난입사태 · 공청회 5.18 망언 논란
대통령 박근혜
집권정부 박근혜 정부
관련 단체 여의도연구원
한나라당 · 새누리당 · 늘푸른한국당 · 미래통합당
기타 오른소리가족 · TK 자민련 · 민부론 · 5행시 이벤트
관련 틀 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계파 분류 · 20대 국회의원
}}}}}}}}} ||

대한민국의 민자당계 정당
파일:민주자유당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8px"
파일:민주자유당 지방선거 로고.svg 파일:신한국당 당기.svg 파일:한나라당 로고(2004~2012).svg
파일:새누리당 로고.svg
민주자유당
1990~1995
신한국당
1995~1997
한나라당
1997~2012
새누리당
2012~2017
파일:자유한국당 로고.svg 파일:미래통합당 로고.svg 파일:국민의힘 로고.svg
자유한국당
2017~2020
미래통합당
2020
국민의힘
2020~현재
}}}}}}}}} ||

''' 2016.5.30. ~ 2020.5.29.'''
{{{#!wiki style="margin: 3px 0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svg
122석
야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23석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svg
38석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
6석
무소속
11석
재적
300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후반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여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29석
야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svg
112석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svg
30석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가로 로고.svg
14석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
6석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1차 로고.svg
1석
파일:대한애국당 흰색 로고.svg
1석
무소속
7석
재적
300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종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28석
야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svg
112석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svg
20석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
6석
파일:우리공화당(2020년) 흰색 로고.svg
2석
파일:국민의당 흰색 로고_가로.svg
1석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svg
1석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2차 로고.svg
1석
파일:친박신당 흰색 로고.svg
1석
무소속
18석
재적
290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주류 보수정당 파일:파란색 깃발.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독립촉성국민회|파일:대한독립촉성국민회 글씨(흰색).png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948.7.~1951.12.)
[[자유당|
파일:자유당_투명.png
]]
(1951.12.~1961.5.)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 글씨만.png
]]
(1963.12.~1973.3.)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 글씨만.png
]]
(1973.3.~1980.10.)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1973.3.~1980.10.)
[[민주정의당|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
(1981.1.~1990.1.)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0.1.~1995.12.)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95.12.~1997.11.)
<colbgcolor=#fff>
[[한나라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97.11.~2012.2)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2.2.~2017.2.)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2.2.~2017.2.)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7.2.~2020.2.)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20.2.~2020.9.)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9~)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9.~)
}}}}}}}}} ||
틀 삭제 토론이 진행 중입니다.


[1] 남재준, 안홍준 등.[2] 안홍준 등.[3] 이재오 등.[4] 김문수계 등.[5] 최종호 등.[6] 법적으로는 대한민국의 정당은 비법인사단이므로 정당법에 따른 창당일과 해산일 기준으로 대한민국 역사상 최장수 정당이다.[7] 2018년 7월 1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한양빌딩에서 이 곳으로 이전#[8] 권영진(대구광역시장), 이철우(경상북도지사).[9] 지역구 111석, 비례대표 24석.[10] 지역구 865석, 비례대표 133석.[11] 미래통합당 창당 후, 미래통합당 공식 사이트로 변경되었고 국민의힘으로 당명을 변경한 뒤에는 국민의힘 공식 사이트가 되었지만, 현재 파워볼 사이트로 바뀌었다.[12] 당내 뉴미디어TF에서 젊은 층을 겨냥해 만든 페이지인 "이게팩트당"이다. 색상, 폰트 등 디자인 센스가 기존 자유한국당 홍보물에 비해 훨씬 상향되었다. 미디어펜에서 페이스북에 올리는 카드 뉴스와 비슷한 형태다. 첫 게시물문재인김정은이 대한민국 지도를 빨간색으로 칠하는 모습으로 시작했고, 자유한국당 지지자들은 "쉰내 안 나서 좋다", "한국당에서 세련미를 처음 본다" 등 호평을 쏟아냈다.[13] 그러나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의 궤멸적인 패배 이후 더이상 갱신이 되지 않고 있다.[14]새누리당의 블로그로 공식 블로그이다.[15] 기존에는 민주공화당이 기록했던 17년이었지만 자유한국당의 자체적인 공식적인 기록으로는 한나라당(1997~2012), 새누리당(당명 변경)(2012~2017), 자유한국당(당명 변경)(2017~2020)으로 22년간 존속했으므로 민주공화당의 기록을 갈아 치웠다. 즉 정당 이름으로 존속한 기간은 민주공화당이 1위이고 자유한국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이 2위가 된다. 참고로 3위는 국제녹색당(2007~), 4위는 정반대 진영에 있었던 민주노동당(2000~2011)이며 5위는 신민당(1969~1980), 6위는 자유민주연합(1995~2006)이다.[16] 여담으로 미래통합당 합당 이후 당직자 출신인 오영철 명의로 자유한국당이라는 창당준비위원회가 별도로 구성되었는데, 사실 이는 새누리당, 한나라당처럼 같은 이름으로 유권자들을 혼동시켜 표를 빼앗으려는 세력을 미리 차단하기 위해 만든 일종의 안전장치이다.[17] 이후 제명되었다.[18] '새누리'는 '새로운 세상'을 뜻하는 순 우리말이다. 신천지 또한 새로운 세상을 뜻하는 한자어다.[19] 그 이유는 3당 합당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3당 합당 중 민주공화당의 정통계승자인 신민주공화당과 신군부가 민주공화당의 조직기반을 일부 빼앗아 만들었던 민주정의당이 포함되어 있다는 주장이 있기 때문이다.[20] 2017년 4월 재보궐선거 결과 김재원 후보가 당선되었다.[21] 그래도 5월 9일까지는 사실상 여당으로 남아있었으나 문재인이 당선됨으로 이제는 야당이 되었다.[22] 실제로 홍준표는 독립적인 정치 활동을 추구하는지라 친이계는 아니고 범 친이계에 속했지만, 이명박, 이재오 및 친이계와의 친분이 상당이 깊어 이명박 및 친이계에게 끊임없는 구애를 시도했고, 이명박 전 대통령과 친이계가 적폐청산에 직면했을 때 홍준표가 직접 자유한국당에 정치보복특별위원회를 만들어 친이계에게 우호적인 태도를 계속 취하면서 이명박과 친이계를 보호하려는 움직임을 계속 보였는데, 그 결과 바른정당과 늘푸른한국당으로 분열되어 새누리당을 탈당했던 친이계 대부분을 자유한국당에 합류시키는 데 성공했다.[23] 민주당(2008년)의 경우 정세균, 손학규. 자유한국당의 경우 홍준표, 황교안.[24] 민주당(2008년)의 경우 총선 전에 민주통합당 으로 신설합당되었고, 자유한국당의 경우 총선 전에 미래통합당 으로 신설합당되었다. 여담으로 자유한국당은 지금까지 보수계열 정당중 총선을 치른 적이 없는 유일한 당명이다.[25] 그러나 한나라당-새누리당-자유한국당은 물론이고, 신설합당 이후의 비법인사단인 국민의힘에 대해서도 서울남부지방법원 2023. 5. 25. 선고 2022가합104526 판결에서 명시적으로 법원이 '국민의힘은 한나라당으로부터 이어온 정당이다.'고 판시한 것을 고려해야 한다.[26] 한나라당과 새누리당 시절에는 정강 또는 강령과 기본정책이라 불렀지만 자유한국당 시절에는 막 당명을 바꾼 직후에는 강령의 서문만 만들어졌다가 가치와 우리의 믿음이라는 용어로 바뀌었다.[27] 2016년 12월 29일, 새누리당 시절 임기 개시[28] 2016년 12월 29일, 새누리당 시절 임기 개시[29] 대선 후보로 홍준표가 선정되자 비상대책위원장으로써의 소임을 다했다는 이유를 밝히고 사임[30] 2018년 6·3 지방선거 패배 책임으로 사퇴.[31] 경북도지사 당내 경선 출마 이유로 사퇴[32] 제7회 지방선거 이후 사퇴[33] 대구시장 당내 경선 출마 이유로 사퇴[34] 윤리위원회 제명 징계[35] 제7회 지방선거 이후 사퇴[36] 부산시장 당내 경선 출마 이유로 사퇴[37] 제7회 지방선거 이후 사퇴[38] 제7회 지방선거 이후 사퇴[39] 탈당[40] 김병준·김성원·박찬종·이용구·전희경[41] 초선 국회의원[42] 재선 국회의원[43] 전 삼표시멘트 대표이사[44] 소상공인연합회 사무총장[45] 용인시 소상공인연합회 지역회장[46] 마중물여성연대 대변인[47] 한국청년정책학회 이사장[48] ~ 2016년 12월 27일. 당시 새누리당을 탈당하였다.[49] ~ 2017년 12월 11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 처분을 받아 당규에 따라 자동으로 당원권이 정지되었다.[50] 정책위원회 의장 권한대행이었지만 8월 16일부로 정식으로 정책위원회 의장이 되었다.[51] 지방선거 앞두고 막말을 해서 자진 탈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9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9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