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02d62>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2d62><colcolor=#fff> 투수 | 39 웨스네스키 · 41 아리게티IL-15 · 43 맥컬러스 Jr.IL-15 · 48 오커트 · 52 아브레우 · 53 하비에르IL-60 · 54 스캇 · 56 블랑코 · 58 브라운 · 59 발데스 · 60 휘틀리IL-15 · 61 고든40인 · 62 소사 · 63 오트IL-15 · 64 밴와이 · 66 더빈IL-15 · 67 구스토 · 68 프랭스IL-60 · 71 헤이더 · 72 에르난데스40인 · 73 콘트레라스 · 74 킹 · 77 가르시아IL-60 · # 로버트슨40인 | |
포수 | 17 카라티니 · 18 살라사르40인 · 21 디아스 | ||
내야수 | 1 로저스 · 3 페냐 · 8 워커 · 9 데젠조 · 10 위트컴40인 · 11 스미스 · 15 파레데스 · 27 알투베 | ||
외야수 | 4 레온IL-10 · 6 마이어스 · 14 듀본 · 20 맥코믹 · 26 트래멀IL-10 · 44 알바레즈 · 89 코로나40인 | ||
''' | |||
|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71번 | ||||
피터 솔로몬 (2021) | → | 조시 헤이더 (2024~) | → | 현역 |
| |
<colbgcolor=#002d62><colcolor=#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No.71 | |
조시 헤이더 Josh Hader | |
본명 | 조슈아 로널드 헤이더 Joshua Ronald Hader |
출생 | 1994년 4월 7일 ([age(1994-04-07)]세) |
메릴랜드 주 밀러스빌 | |
국적 |
|
학력 | 올드밀 고등학교 |
신체 | 191cm | 81kg |
포지션 | 마무리 투수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 입단 | 2012년 드래프트 19라운드 (전체 582번, BAL) |
소속팀 | 밀워키 브루어스 (2017~2022)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22~2023) 휴스턴 애스트로스 (2024~) |
계약 | 2024 - 2028 / $95,000,000[option] |
연봉 | 2025 / $19,000,000 |
에이전시 | |
등장곡 | STYX - Renegade(이전)[2] |
기록 | 무결점 이닝 (2019.3.30.[3]) 합작 노히트 노런 (2021.9.11.) |
SNS |
1. 개요
휴스턴 애스트로스 소속 좌완 마무리 투수.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조시 헤이더/선수 경력 | |||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2020년 | 2021년 | 22 MIL | 22 SD |
2023년 | 2024년 | 2025년 |
3. 피칭 스타일
특유의 디셉션이 들어간 로우 스리쿼터 투구폼[4]에 평균 구속 96마일, 최고 구속 101마일[5]의 패스트볼[6]과 횡 슬라이더가 주무기로, 마주하는 타자의 절반 가량을 삼진으로 돌려세우는 유형의 탈삼진형 좌완 강속구 투수이다.
롤 모델인 랜디 존슨과는 달리 투 피치의 한계로 인해 선발 정착에 실패하였지만, 그 투 피치의 구위가 막강했기에 불펜에서 성공했다. 더하여 2021년부턴 마이너 시절 종종 다루다 포기했던 체인지업의 장착에 성공해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되었다. 구사율은 7% 정도로 우타자를 상대로만 활용한다. 풀타임 2년차부터는 엄청난 워크 로드를 떠안아 팬들의 우려를 많이 받기도 했지만[7] 밀워키 후반부, 샌디에이고 이적 후에는 마무리 투수로 관리를 받으며 주로 9회에만 등판하는 중이다.
[kakaotv(399578315)]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이적 전후로는 제구난이 심해지며 강력한 구위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털리는 중이었지만 시즌 말미에는 안정을 되찾았고, 포스트 시즌에서는 이전의 철벽 마무리의 모습으로 돌아왔다.
2024시즌 부진을 겪자 2025시즌에는 길었던 머리도 자르고 서드 피치로 체인지업을 장착했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현역 마무리 투수 중 켄리 잰슨, 크레이그 킴브럴, 아롤디스 채프먼 다음 세대의 스타 마무리 투수로 꼽히는 헤이더는 어린 나이부터 세이브를 차곡차곡 잘 쌓아두고 있고 앞으로도 더 많은 세이브를 쌓을 것으로 기대되는 투수이기에 명예의 전당 입성 떡밥이 존재한다. 내셔널 리그에서 가장 잘 던진 불펜 투수에게 주는 상인 트레버 호프먼 상을 3번이나 수상하며 어느 정도 유의미한 임팩트를 남겼기에 더욱 명전 입성 가능성을 점쳐볼 만하다.하지만 누적 세이브 개수가 아직은 명전 가능성을 논해보기엔 시기상조이다. 200세이브로는 명전 첫 턴 광탈감이고 아무리 마무리 투수에게 호의적으로 바뀌었다고 해도 여전히 천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최소한 400세이브는 쌓아야지 입성 가능성을 논해볼 수 있다고 평가받는다.
6. 여담
- 현재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지만 지명 당시 하위 라운드에 지명되는 등 저평가받았었다. 물론 탑급 마무리 투수로 도약한 현재는 하위 라운드 지명자 성공신화를 다시 써내는 데 성공.
- 학창 시절 성적•인종차별적 발언을 한 것이 메이저 리그 데뷔 후 화제가 되었다. 본인도 어릴 적 경솔하게 굴었다며 인정하고 징계를 받았다.
- 황재균이 마이너리그에서 첫 홈런을 기록한 상대 투수이다.
- 2018년 4월 30일 7회에 등판해 2⅔이닝 8아웃 8K라는 메이저리그 전례에 없던 기록을 세웠다. 조이 보토부터 애덤 듀발까지 볼넷 하나를 허용했지만 리드를 유지해 세이브를 만들었는데, 8K로 세이브를 했던 기록은 랜디 존슨[9]과 론 데이비스[10] 밖에 없고, 헤이더의 8K가 3이닝 미만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있는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 2018 내셔널리그 올스타에 선정되어 등판했다. 당시 좌타자 상대 53타수 3피안타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었는데, 97마일의 패스트볼을 던졌지만 공교롭게도 추신수에게 피안타를 허용했고 헤이더가 한국 팬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 그가 전반기 때 미친듯이 활약할 때 그를 다룬 제프 설리반의 제프 설리반의 글. 위에 글대로 포스트시즌에서 이닝 삭제기의 모습을 유감없이 보여주며 실력을 입증했다.
- 결국 2018 시즌의 엄청난 활약에 힘입어 온라인 야구게임 마구마구에서 엘리트 카드가 출시되었다. 특이폼과 슬라이더 특이구종에 힘입어 엘리트는 물론 레어 카드도 상한가를 치며 품귀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 2018년 월드 시리즈 종료 이후 MLB 퍼펙트이닝 18에서 이름을 한국어로 번안했는데 초기에는 이름을 콩글리시로 읽은 하더.J로 나왔다. 이후 유저들의 많은 민원으로 나중에 헤이더.J로 변경되었다.
- 현재 메이저리그의 장발 투수를 대표할 정도로 그의 장발머리는 유명하다.[11] 놀랍게도 헤이더의 길고 찰랑거리는 머리카락이 순간적인 디셉션 효과를 준다고 한다. 투구 도중 머리카락이 찰랑이는 순간에 공을 절묘하게 가린다고.
- 헤이더의 투구를 보면서 랜디 존슨을 연상하는 팬들이 많은데, 실제로 랜디 존슨에게 많은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
- 몸에 문신이 많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조시 헤이더의 수상 경력 / 이전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2018 | 2019 | 2021 | 2022 | 2023 |
| ||||
켄리 잰슨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조시 헤이더 (밀워키 브루어스) | → | 데빈 윌리엄스 (밀워키 브루어스) |
| ||||
데빈 윌리엄스 (밀워키 브루어스) | → | 조시 헤이더 (밀워키 브루어스) | → | 에드윈 디아즈 (뉴욕 메츠) |
| ||||
커비 예이츠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 조시 헤이더 (밀워키 브루어스) | → | 마크 멜란슨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2019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IL | OF | LAA | OF | LAD | OF | ||||||
BOS | SS | NYY | 2B | ||||||||
WSH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NYM | 1B ||
MIN | DH | PHI | C | |||
HOU | SP | HOU | SP | NYM | SP | WSH | SP | WSH | SP |
SD | RP | MIL | RP |
2021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SH | OF | NYY | OF | PHI | OF | ||||||
SD | SS | TOR | 2B | ||||||||
ATL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TOR | 1B ||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LAA | DH ||
KC | C || || ||
WSH/LAD | SP | MIL | SP | LAD | SP | TOR | SP | NYY | SP |
MIL | RP | CHW | RP |
}}} ||
2023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ATL | OF | LAD | OF | ARI | OF | ||||||
TEX | SS | TEX | 2B | ||||||||
ATL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LAD | 1B ||
LAA | DH | BAL | C | |||
NYY | SP | SD | SP | ARI | SP | LAA | SP | ATL | SP |
BAL | RP | SD | RP |
}}} ||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71번 | ||||
스캇 라인브링크 (2007) | → | 조시 헤이더 (2017~2022) | → | 결번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71번 | ||||
메이슨 톰슨 (2021) | → | 조시 헤이더 (2022~2023) | → | 로건 길라스피 (2024~) |
| ||||
션 두리틀 (워싱턴 내셔널스) | → | 조시 헤이더 (밀워키 브루어스) | → | 브래드 핸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
커비 예이츠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 조시 헤이더 (밀워키 브루어스) | → | 세스 루고 (뉴욕 메츠) |
| ||||
라이언 테페라 (시카고 컵스) | → | 조시 헤이더 (밀워키 브루어스) | → | 제이크 맥기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카밀로 도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조시 헤이더 (밀워키 브루어스) | → | 데이비드 베드나 (피츠버그 파이리츠) |
| ||||
카밀로 도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조시 헤이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 카밀로 도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엠마누엘 클라세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 → | 조시 헤이더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엠마누엘 클라세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
[option] 전 구단 트레이드 거부권 포함[2] 밀워키 브루어스 시절.[3] 타일러 오닐, 덱스터 파울러, 자이로 무뇨스[4] 왼발이 크로스 스텝이 되면서 투구하며 좌타자 등 뒤에서 들어오는 듯한 투구폼이 되었다. 거기에 엄청난 패스트볼과 슬라이더까지 해서 좌타자에게는 저승사자가 따로 없다. 이전의 메이저리그에서는 랜디 존슨, KBO 리그에서는 구대성이 대표적인 예시라 할 수 있다.[5] 이전에는 100마일 정도가 최고 구속이었지만 파드리스 이적 후인 2022년 포스트시즌 때 구속을 끌어올리며 기록했다.[6] 투심 그립을 잡고 던지는 구종이라 투심 패스트볼 혹은 싱킹 패스트볼로 분류되지만 높은 회전 효율로 인해 무브먼트는 포심 패스트볼과 비슷하다.[7] 과거에는 하이 레버리지 상황이 나오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헤이더를 등판시켰다.[8] 마찬가지로 긴 머리를 가진 노아 신더가드나 더스틴 메이도 강속구를 던지는 걸 보면 영향이 없거나, 있어도 무의미하다는 게 중론.[9] 4이닝 8K (1996년)[10] 3이닝 8K (1981년)[11] 게다가 장발+좌완 파이어볼러라는 점에서 랜디 존슨과 자주 비견된다. 다만 존슨은 장발이 그리 길진 않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