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02:23:04

진 여신전생 데빌 칠드런 흑의 서·적의 서/데비다스


여신전생 기타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마신전생 시리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마신전생 마신전생 2 SPIRAL NEMESIS RONDE -윤무곡-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아바탈 튜너 시리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DIGITAL DEVIL SAGA 아바탈 튜너 DIGITAL DEVIL SAGA 아바탈 튜너 2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데빌 서바이버 시리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데빌 서바이버 / 오버클록 데빌 서바이버 2 / 브레이크 레코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라스트 바이블 시리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라스트 바이블 라스트 바이블 2 라스트 바이블 3 어나더 바이블 라스트 바이블 스페셜
여신전생 외전
신약 라스트 바이블
여신전생 외전
신약 라스트 바이블 2 시작의 복음
여신전생 외전
신약 라스트 바이블 3 몽환의 영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데빌 칠드런 시리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흑의 서·적의 서 백의 서 빛의 서·어둠의 서 퍼즐DE 콜! 염의 서·빙의 서 메시아 라이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위전 여신전생 도쿄 묵시록 진 여신전생 트레이딩 카드
카드 서머너
환영이문록#FE
}}}}}}}}} ||

진 여신전생 데빌 칠드런 흑의 서·적의 서
真·女神転生 デビルチルドレン 黒の書·赤の書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61FRTCRXJDL.jpg
<colbgcolor=black><colcolor=red> 제작 MIT、파일:ATLUS 로고.svg
유통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ATLUS 로고.svg
플랫폼 파일:게임보이 컬러 로고.svg
파일:PlayStation 1 로고.svg
파일:PlayStation 3 로고.svg (게임 아카이브)
파일:PlayStation Vita 로고.svg (게임 아카이브)
파일:닌텐도 3DS 로고.svg (버츄얼 콘솔)
발매 파일:일본 국기.svg 2000년 11월 17일 파일:게임보이 컬러 로고.svg
2002년 3월 28일 파일:PlayStation 1 로고.svg
2010년 10월 13일 파일:PlayStation 3 로고.svg | 파일:PlayStation Vita 로고.svg
2013년 11월 13일 파일:닌텐도 3DS 로고.svg
다운로드판 배포 종료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3월 23일 파일:닌텐도 e숍 로고.svg
ESD 파일:닌텐도 e숍 로고.svg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svg
가격 4,515엔 파일:게임보이 컬러 로고.svg
6,090엔 파일:PlayStation 1 로고.svg
파일:PlayStation 3 로고.svg | 파일:PlayStation Vita 로고.svg
628엔파일:닌텐도 3DS 로고.svg
장르 RPG
언어 일본어
공식 홈페이지 (흑의 서)·공식 홈페이지 (적의 서)
공식 홈페이지 (PS판)

[clearfix]
1. 개요2. 게임 시스템3. 등장인물
3.1. 주요 인물3.2. 데빌친구3.3. 합체 데블3.4. 데빌 친구 2기3.5. 적대자3.6. 의 데빌 3인중3.7. 마왕 관계자3.8. 마계에서 만나는 데빌들
3.8.1. 아이스 랜드3.8.2. 마블 랜드3.8.3. 샌드 랜드3.8.4. 포레스트 랜드3.8.5. 파이어 랜드
3.9. 천사3.10. 그 외 등장인물3.11. 애니판 오리지날 등장인물
4. 이식5. 미디어 믹스
5.1. 애니메이션
5.1.1. 주제가5.1.2. 회차 목록5.1.3. 한국 방영
5.1.3.1. 휴방 사례5.1.3.2. 미방영된 에피소드
5.2. 코믹스
6. 관련 문서

1. 개요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GBC용 소프트로 제작된 데빌 칠드런 시리즈의 최초작. 포켓몬스터처럼 흑의 서와 적의 서로 나뉘어 있으며, 이 두 작품을 다 플레이해야만 본작의 스토리를 완전히 알 수가 있다.

후속작으로는 흑의 서와 적의 서의 3개월 후를 다루는 게임보이 컬러 RPG 게임 진 여신전생 데빌 칠드런 백의 서가 존재한다.

2. 게임 시스템

주인공은 전투에 참여하지 않으며 중마 2마리가 전투에 참여하는 방식. 아이들에게 빨리 이 삼도천을 건너라 같은 멘트를 보여줄 수는 없었는지 게임오버는 존재하지 않는다.[1]

중마가 사용할 수 있는 공격기술로는 MP를 소모하는 '마법'과 HP를 소모하는 '필살'이 있다. 하지만 다른 시리즈들과는 달리 스킬 계보가 디아 계열하마 계열무드 계열을 제외하고는 3단계 밖에 존재하지 않아서[2] 가면 갈수록 마법보다는 필살에 의존해야 한다.[3] 그리고 버프와 디버프에 해당하는 카자 계열, 운다 계열의 모든 스킬이 쓸모없는 수준이다…

콤보라는 시스템이 있는데 별거 없고 그냥 합체기. 필살을 쓰는 쪽이 훨씬 편하기 때문에 필살에 묻히는 감이 없잖아 있다. 중후반가면 자폭과 연속공격계가 쓸만해서 죄다 그쪽으로 간다.

이 게임에도 마그나 계열의 스킬이 있다. 그런데 메기도 계열의 스킬은 없다 제작진들이 메기도 계열을 싫어했나 보다. 아동용 게임이기 때문에 난이도를 맞추기 위해 삭제했다고 봐야 될 듯 하다. 하마 계열무드 계열은 마함마와 마하무드가 없고 하마온, 무드온의 2단계 스킬이 끝이고 디아 계열의 경우는 디아부터 메디아라한까지 다 있는 걸 봐서는 이 의견이 맞다고 봐도 좋을 듯.

그리고 강력한 연타계 오리지날 기술이 있다. 2회 공격하는 더블 바이트나 3회 공격하는 트리플 바이트, 또는 주인공 동료마가 익힐 수 있는 4연타 데스 러쉬, 헬 러쉬 등등.. 그리고 의외로 자폭을 달고 HP를 육성하면 매우 강력하다. 또한, 주인공 파트너가 점점 진화할 때마다 파트너 전용 스킬샵에서 러쉬, 버스터, 킹 스톰을 구매할 수 있는데, 러쉬는 적 전체 랜덤 4회 공격, 버스터는 적 1체 4회 연속공격, 막판 최종 진화 때 열리는 킹 스톰은 적 전체 랜덤 8회 공격이다.

만약 적 1체만 있을 때 킹 스톰을 쓰면 페르소나 4팔척뛰기에 가까운 연속 공격 스킬이 되어서 히든 보스가 스킬 2방에 녹아버린다… 게다가 한방 한방이 상당히 강력한 기술이라 총 데미지도 장난아니게 뽑힌다. 히든 보스의 체력 반절 이상을 잡을 정도. 그래서 후반부에 거의 모든 보스를 1~2턴 만에 잡을 수 있다.

또한, 힘모으기라고 다음 공격은 무조건 2배가 되는 스킬이 있는데 이렇듯이 진 여신전생에선 많이 가려진 스킬들이 오히려 빛을 본 특이한 케이스의 게임이 되었다. 이 때문에 파고들기를 안하고 단순히 진 여신전생 시리즈를 하는 감각으로 했다간 물음표가 뜰 것이다. 왜냐하면 마법과 버프가 중반만 가도 죄다 쓸모없기 때문…

마지막 선택지에 따라 엔딩이 나뉘는데 하르마게돈을 일으키면 아예 세계가 리셋돼 버려서 결국 그 고생을 한번 더(혹은 무한 루프)한다는 씁쓸한 내용이 되지만 파트너 몬스터를 제외한 나머지는 레벨까지 전승되므로 강력해진 몬스터를 계승한 채 시작하는 뉴게임에 가깝다. 뭐 생고생 한번 더해야 하니 딱히 의미는 딱히 없지만… "라그나로크를 일으킨다" → "내가 신이 된다" 순서로 선택하면 히든 보스 호시가미와 싸우게 되고 승리하면 주인공이 신이 된다. 허나, 신이 되어버린 대가로 존재가 사라져서 다른 버전의 주인공만이 신이 된 주인공을 기억하게된다.

라그나로크를 일으킨다는 선택지를 골라 새로운 세계를 일으킨다는 선택지를 고르면 진 최종 던전인 딥 홀이 개방되며 진 최종보스인 제블과 싸우고 이후 플레이가 가능하게 된다.

3. 등장인물

3.1. 주요 인물

3.2. 데빌친구

주로 데비건으로 소환되어 나온다.

3.3. 합체 데블

3.4. 데빌 친구 2기

2기부터 등장한 새로운 친구데블들이다. 꽁꽁이랑 찌리를 제외한 다른 1기 데블들은 다시 등장하지 못했다.

3.5. 적대자

3.6. 의 데빌 3인중

3.7. 마왕 관계자

3.8. 마계에서 만나는 데빌들

3.8.1. 아이스 랜드

3.8.2. 마블 랜드

3.8.3. 샌드 랜드

샌드 랜드의 여왕. 주인공에게 마계의 전설을 알려준다. 그 후, 데빌 칠드런에게 스핑크스를 맡긴다. 코믹스에선 샌드 랜드의 여왕이란 점은 동일하지만, 샌드 랜드의 위상이 마계의 이름난 맹자(猛者)들과 고도의 과학기술을 자랑하는 엄청난 곳이 되어버렸다. 야망가로써 정평이 나있으며, 틈만 있으면 마계의 모든 땅을 점령하려고 혈안이 되어있다. 장난 삼아 세츠나 일행과 만나게 되지만, 자국인 샌드 랜드가 위기에 처하자 반란군에 협력하게 된다.

3.8.4. 포레스트 랜드

3.8.5. 파이어 랜드

3.9. 천사

3.10. 그 외 등장인물

3.11. 애니판 오리지날 등장인물[18]

4. 이식


▲ PS 이식판 오프닝 영상

PS로도 합본 형태로 거의 그대로 이식이 되었으며, 애니메이션에 등장했던 성우진을 기용하여 음성지원을 하였으며, PS용만의 추가 악마도 등장한다.

2013년 11월 13일에는 일본판 닌텐도 3DS버추얼 콘솔로 발매되었다. 가격은 양쪽 다 600엔.

5. 미디어 믹스

5.1. 애니메이션

데블 파이터 (2000~2001)
真・女神転生デビチル
파일:진여신젼생데비치루_애니.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원작 ATLUS
감독 타케우치 요시오(竹内啓雄)
조감독 코바야시 테츠야(小林哲也)
시리즈 구성 후지타 신조(藤田伸三)
캐릭터 디자인 타무라 슈헤이(田村しゅうへい)
미술 감독 사카모토 노부히토(坂本信人)
색채 설계 카토 요시타카(加藤良高)
디지털 촬영 감독 스기우라 미츠루(杉浦 充)
디지털 편집 타구마 준(田熊 純)
음악 요시마타 료
음향 감독 후지야마 후사노부(藤山房伸)
애니메이션 제작 도쿄 무비
애니메이션 제작협력 액터스
제작 중부일본방송
덴츠
TMS 엔터테인먼트
방영 기간 2000. 10. 07. ~ 2001. 09. 29.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중부일본방송 / (토) 07: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BS 2TV(본)
파일:투명.png JEI 재능TV, 투니버스(재)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50화
국내 심의 등급 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2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진 여신전생 데비치루(真·女神転生デビチル)'[20]라는 제목으로 TV 애니메이션화 되었다. 참고로 여신전생 계열작 중 처음으로 TV 애니메이션화된 것.[21]

2000년 10월 7일부터 2001년 9월 29일까지 TBS 테레비 계열 채널에서 방영되었으며, 총 50화.[22] 애니메이션 제작은 TMS 엔터테인먼트.

애니메이션판은 거의 오리지날 전개로 나가며, 그래도 여신전생이라고 꽤 진지한 노선인 원작이나 꿈도 희망도 없는 코믹스판에 비하면 굉장히 분위기가 밝은 편인지라 추억의 애니로 간혹 회자되기도 한다.

영상 매체는 대여용 VHS로만 발매되었다가 2008년에 DVD-BOX가, 2019년에 BD-BOX가 발매되었다. 다만, 블루레이라 해도 해상도는 DVD와 동일한데, 원본 소스가 SD라 HD 해상도라도 업스케일링 그 이상은 안되기 때문. 원본 소스가 SD인 (주로 디지털 작화 초기의) 일본 애니메이션의 경우 블루레이를 이런 식으로 내는 경우가 제법 있다.

5.1.1. 주제가




제법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는 한국판 오프닝. 초기 버전과 후기 버전이 있는데, 보통 후기 버전의 파워풀한 보컬을 많이 기억하고 있다. 참고로 작곡자가 조영수다. 노래는 당시 조영수가 속해있던 그룹 열두번째 테마.
무심히 바라본 하늘이 어둠의 소용돌이로
무슨 일일까 너무 궁금해 참을 수 없어
알 수 없는 이 두려움 대마왕 루시퍼
평화로운 세상 파괴하려는 악마의 음모
하지만 이젠 두렵지 않아 나와 함께할 친구가 있으니까
툭닥툭닥 으르렁대도 위기엔 환상의 파트너
우린 지지 않아 내 안에 숨겨진 신비한 힘이 있어
온 세상 뒤덮은 어둠의 저주 모두 물리쳐~ 오~
이젠 두렵지 않아 나와 함께할 친구가 있으니까
툭닥툭닥 으르렁대도 위기엔 환상의 파트너
우린 지지 않아 내 안에 숨겨진 신비한 힘이 있어
온 세상 뒤덮은 어둠의 저주 모두 물리쳐~ 줄거야


한국판 엔딩. 노래는 역시 열두번째 테마이며 작곡은 동물원의 멤버이자 KBS판 명탐정 코난 오프닝('아침에 눈을 뜨면 지난 밤이 궁금해~'로 시작하는 그곡)을 작곡하기도 한 박기영.

5.1.2.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ケルベロス! 仲魔はとってもクールな奴!?
케르베로스! 동료악마는 쿨한 녀석!?
후지타 신조
(藤田伸三)
타케우치 요시오
(竹内啓雄)
스즈키 요시오
(鈴木吉男)
시다 타다시
(志田ただし)
日: 2000.10.07.
韓:
제2화 ジャックフロスト! 寒さにゃ強いが足元注意!?
잭 프로스트! 추움에 강한 게 족원주의!?
코바야시 테츠야
(小林哲也)
本田蕪里 日: 2000.10.14.
韓:
제3화 ザントマン! みんなに、いい夢お届けーー!?
샌드맨! 모두에게 좋은 꿈 전하기!?
시모 후미히코 카마나카 노부하루 닛타 야스나리
(新田靖成)
日: 2000.10.21.
韓:
제4화 ヒッポウ! 雪の中で炎がポウ!?
힛포! 눈 속에서 불길이 포우!?
요시무라 키요코
(𠮷村清子)
후지모토 요시타카
(藤本義孝)
오쿠사와 아키히로
(奥沢明裕)
日: 2000.10.28.
韓:
제5화 とけいウサギ! 時間を気にしてうわの空!?
시계 토끼! 시간을 신경쓰며 마음이 들뜬다!?
미우라 코지
(三浦浩児)
타치바나 겐쥬로
(立花源十郎)
유우즈미 케이에이
(夕澄慶英)
日: 2000.11.04.
韓:
제6화 アーマン! 着ぐるみの中身はナイショよね!?
아멘! 인형탈의 안은 비밀이죠!?
후쿠시마 요시후미
(福嶋幸典)
우에다 히데히토 오오노 카즈히사
(大野和寿)
시다 타다시 日: 2000.11.11.
韓:
제7화 メッチー! ミズチ! 感電ち!
멧치! 미즈치! 감전치!
미우라 코지 타카야나기 시게히토 나카야마 다이스케
(中山大輔)
日: 2000.11.18.
韓:
제8화 ニスロク! カリスマ料理でもうメロメロ!?
니스로쿠! 카리스마 요리로 완전 헤롱헤롱!?
요시무라 키요코 오오노 카즈히사
스즈키 요시오
타니구치 노리오
(谷口則夫)
本田蕪里 日: 2000.11.25.
韓:
제9화 かぞえヒツジ! お宝がピンチだメェ!!
양 세기! 보물은 핀치다메에!!
시모 후미히코 仲釜ショウ 코조 요코
(高乗陽子)
日: 2000.12.02.
韓:
제10화 サラマンダー! 魔宮の秘密でさあ大変!?
샐러맨더! 마궁의 비밀은 큰일!?
후지타 신조 후지모토 요시타카 오쿠사와 아키히로 日: 2000.12.09.
韓:
제11화 ヘル! 氷と炎のガチンコ勝負!!
헬! 얼음과 불꽃의 진검 승부!!
타치바나 겐쥬로 유우즈미 케이에이 日: 2000.12.16.
韓:
제12화 ネコマタ! 危ない危ない恋のワナ!?
네코마타! 위험하고 위험한 사랑의 함정!?
후쿠시마 요시후미 우에다 히데히토 스즈키 요시오 시다 타다시 日: 2000.12.23.
韓:
제13화 バンパイア! おみゃぁの首筋キュートだがや!?
뱀파이어! 오먀의 목덜미 큐트하다!?
미우라 코지 이시카와 토시히로
(石川敏浩)
호리카와 나오야
(堀川直哉)
日: 2000.12.30.
韓:
제14화 フランケン! デビゲノムって何なのさ!?
프랑켄! 데비게놈이 뭐야!?
후지타 신조 스즈키 요시오 타니구치 노리오 本田蕪里 日: 2001.01.06.
韓:
제15화 フロストエース! 憧れのヒーローだホー!?
프로스트 에이스! 동경의 히어로다!?
요시무라 키요코 우에다 히데히토 카마나카 노부하루 야나세 타케유키 日: 2001.01.13.
韓:
제16화 オーディン! クダギツネにはキツいネ!?
오딘! 구다키츠네는 어렵네!?
시모 후미히코 후지모토 요시타카 오쿠사와 아키히로 日: 2001.01.20.
韓:
제17화 ドワーフ! 秘密兵器は止まらない!?
드워프! 비밀병기는 멈추지 않아!?
후쿠시마 요시후미 코가 유사쿠
(古賀勇作)
아와이 시게노리
(粟井重紀)
코조 요코 日: 2001.01.27.
韓:
제18화 ペルソナ! 心変わりは誰のせい!?
페르소나! 마음의 변화는 누구 책임!?
후지타 신조 코바야시 테츠야 스즈키 요시오 시다 타다시 日: 2001.02.03.
韓:
제19화 ガネーシャ! 授業のジャマは許さんばい!?
가네샤! 수업의 방해는 용서하지 않아!?
시모 후미히코 우에다 히데히토 이시카와 토시히로 유우즈미 케이에이 日: 2001.02.10.
韓:
제20화 ナイトメア! デビルいい子だ寝んねしな!?
나이트메어! 데빌 착한 아이는 안자니까!?
미우라 코지 타니구치 노리오 本田蕪里 日: 2001.02.17.
韓:
제21화 ドッペルゲンガー! 俺はお前でお前は俺で!?
도플갱어! 난 너고 너는 나!?
요시무라 키요코 카마나카 노부하루 호리카와 나오야 日: 2001.02.24.
韓:
제22화 ヘル! 二度あることは三度ある!?
헬! 두 번 있는 일은 두 번 있다!?
후지타 신조 후지모토 요시타카 오쿠사와 아키히로 日: 2001.03.03.
韓:
제23화 パワー! やっと完全、合体デビル!!
파워! 드디어 완전 합체 데빌!!
후쿠시마 요시후미 아와이 시게노리 야나세 타케유키 日: 2001.03.10.
韓:
제24화 フェンリル、アバドン! 地上界で大騒ぎ!!
펜릴, 아바돈! 지상계에서 대소란!!
미우라 코지 타치바나 겐쥬로 유우즈미 케이에이 日: 2001.03.17.
韓:
제25화 アゼルとベリアル! マカイ最強タッグチーム!!
아젤과 벨리알! 마계 최강 태그 팀!!
시모 후미히코 코바야시 테츠야 사쿠라이 신이치
(櫻井新一)
하나부사 야스타카
(華房泰堂)
日: 2001.03.24.
韓:
제26화 セツナとミライ! 新たなる出発!!
세츠나와 미라이! 새로운 출발!!
후지타 신조 타케우치 요시오 스즈키 요시오 시다 타다시 日: 2001.03.31.
韓:
제27화 クロークルワッハ! マカイはすべてボスのもの!?
크로클왓하! 마계는 보두 보스의 것!?
와타나베 신이치 이시카와 토시히로 코조 요코 日: 2001.04.14.
韓:
제28화 ヴリトラ! 行方不明注意報発令中!?
브리토라! 행방불명 주의보 발령 중!?
코바야시 테츠야 타카기 신이치로
(高木信一郎)
日: 2001.04.21.
韓:
제29화 スフィンクス! 気持ちは誰にも動かせない!!
스핑크스! 마음은 누구도 움직일 수 없어!!
카마나카 노부하루 호리카와 나오야 日: 2001.04.28.
韓:
제30화 ニーズホック! 腹がへっては戦はできぬ!?
니드호그! 배가 고프면 싸울 수 없어!?
후쿠시마 요시후미 스즈키 요시오 타카야마 히카루
(高山 光)
日: 2001.05.05.
韓:
제31화 ネコショウグン! ケンカはいつも両成敗にゃ!?
고양이 쇼군! 다툼은 언제나 쌍방과실!?
미우라 코지 사가 료
(沙賀 諒)
소노다 마사히로
(園田雅裕)
유우즈미 케이에이 日: 2001.05.12.
韓: 미방영
제32화 アガシオン! そのツボ開けると出てくるよ!?
아가시온! 그 급소를 찌르면 나올지도!?
요시무라 키요코 오가와 코지
(小川浩司)
마츠모토 마사유키
(松本まさゆき)
사쿠라이 코노미
(桜井木の実)
日: 2001.05.19.
韓:
제33화 ヘカトンケイル! 結婚願望大爆発!!!
헤카톤케일! 결혼 원망 대폭발!!!
시모 후미히코 이시카와 토시히로 호리카와 나오야 日: 2001.05.26.
韓:
제34화 マモン! インチキ占いはもうかりまっか!?
마몬! 가짜 점쟁이는 장사 잘 되나요!?
와타나베 신이치 소노다 마사히로 하나부사 야스타카 日: 2001.06.02.
韓:
제35화 ピフリュス! 実験成功グヒヒヒ……!?
피후류스! 실험 성공 게헤헤헤헤!?
미우라 코지 오가와 코지 마츠모토 마사유키
(まつもとまさゆき)
사쿠라이 코노미 日: 2001.06.09.
韓:
제36화 アンクー! はりきり暴走大迷惑!?
앙크! 팽팽한 폭주 대곤혹!?
시모 후미히코 하타케야마 시게키
(畠山茂樹)
하나부사 야스타카 日: 2001.06.16.
韓:
제37화 バステト! 恋しちゃったのよ!!
바스테트! 사랑에 빠져버렸어!!
후쿠시마 요시후미 와타나베 신이치 카마나카 노부하루 유우즈미 케이에이 日: 2001.06.23.
韓: 미방영
제38화 インドラ! 謎の少年・ゼット登場!!
인드라! 의문의 소년 세트 등장!!
후지타 신조 키쿠치 카즈히토
(菊池一仁)
후지모토 요시타카 사쿠라이 코노미 日: 2001.06.30.
韓:
제39화 ホルス! 偉大なる太陽と月の支配者!!
호루스! 광대한 태양과 달의 지배자!!
타치바나 겐쥬로 소노다 마사히로 호리카와 나오야 日: 2001.07.07.
韓:
제40화 ビビサナ! 憎しみと裏切りの果てに!!
비비사나! 증오와 배신의 끝에!!
와타나베 신이치 사쿠라이 신이치 하나부사 야스타카 日: 2001.07.14.
韓:
제41화 フレスベルク! アップアップ、スピードUP!!
프레스벨크! 업업, 스피드 UP!!
미우라 코지 후지모토 요시타카 사쿠라이 코노미 日: 2001.07.21.
韓:
제42화 イフリート! その日の運勢気持ち次第!?
이플리트! 그 날의 운세는 마음먹기에 따라!?
요시무라 키요코 타케우치 요시오 닛타 요시카타
(新田義方)
타케우치 아키라
(竹内 昭)
日: 2001.07.28.
韓:
제43화 キリン! 勇気の心立ち上がれ!!
키링! 용기의 마음 일어서라!!
후쿠시마 요시후미 사가 료 이시카와 토시히로 이노구치 료
(猪口 亮)
日: 2001.08.04.
韓:
제44화 デーバオー! マカイ最強トーナメント!!
데바오! 마계 최강 토너먼트!!
시모 후미히코 키쿠치 카즈히토 마츠모토 마사유키 사쿠라이 코노미 日: 2001.08.11.
韓:
제45화 ヴァジェット! それでもオレは信じてる!!
바젯! 그럼에도 나는 믿는다!!
후지타 신조 카마나카 노부하루
사가 료
소노다 마사히로 유우즈미 케이에이 日: 2001.08.18.
韓:
제46화 ドミニオン! 悪いデビルはダレだ!?
도미니언! 나쁜 데빌은 누구냐!?
코바야시 테츠야 미나미 신이치로 日: 2001.08.25.
韓:
제47화 フェンリル、アバドン軍団 マカイ制圧一歩前!?
펜릴, 아바돈 군단 마계 제압 1초전!?
후지모토 요시타카 사쿠라이 코노미 日: 2001.09.01.
韓:
제48화 ルシファー! 星降るマカイで笑うヤツ!!
루시퍼! 별내리는 마계에서 웃는 녀석!!
와타나베 신이치 닛타 요시카타 타케우치 아키라 日: 2001.09.15.
韓:
제49화 ゼブル! 砕け散る友情!!
제블! 산산이 부서지는 우정!!
코바야시 테츠야 카마나카 노부하루 하나부사 야스타카 日: 2001.09.22.
韓:
제50화 セツナとゼット! 過ぎ去りし日々と明日へ!!
세트와 제트! 지나간 나날과 내일로!!
와타나베 신이치 사쿠라이 코노미 日: 2001.09.29.
韓:

5.1.3. 한국 방영

KBS 2TV 월~화요일 17:05 애니메이션
고질라 데블파이터 -[25]
KBS 2TV 수요일 17:30 애니메이션
뚝딱박사 핌 데블파이터 모험왕 장보고
KBS 2TV 목요일 17:30 애니메이션
뚝딱박사 핌 데블파이터 아장닷컴
KBS 2TV 일요일 7:50 애니메이션
디즈니 만화동산 데블파이터 별나라 요정 코미

한국에서는 KBS 미디어가 수입하여 KBS 2TV를 통해 데블파이터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번역은 이서린, 연출은 이원희 PD. 그때 상당수 지상파에서 방영된 애니가 그렇지만 번역이 좀 그런데 데빌 칠드런 → 선택받은 아이들라든가[26], 잭 프로스트→꽁꽁이라든가… 이원희 PD 연출작의 공통적인 문제지만 중복 캐스팅도 좀 많이 심한 편.

일본 방영 도중이던 2001년 7월 23일부터 방영이 시작되었고, 총 50화 중에서 31화와 37화가 왜색, 선정성 문제로 빠지고 총 48화 완결로 기획되었다. 원래는 월~화요일 저녁 5시 5분 방영이었던 게 11월 7일부터 수~목으로 변경됐고, 12월 12일부터 수요일에만 편성됐다가 19일에 종영됐다. 2002년 1월 6일부터 디즈니 만화동산을 몰아내고 일요일 아침으로 옮겨가 주 2회씩 방영되었으며, 2002년 2월 10일에 46, 47화가 방영되어 이제 마지막 48화만 남겨둔 상황이었다.

그런데 여기서 희대의 병크가 터졌다. 당연히 그 다음주인 2월 17일에 48화가 방영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완결편도 아닌 47화에다가 마지막회임을 알리는 자막을 넣어버린 것. 게다가 이 작품의 특성상 47화에서는 최종 보스인 제블(킹블)과의 결전이 다뤄졌고, 마지막 장면은 바로 주인공이 한창 깨지는 데서 끝나는 장면이었다...

파일:attachment/devilfighter.jpg
바로 이거.

2월 17일부터는 후속 프로그램인 별나라 요정 코미가 방영되기 시작했고, 이 때문에 데블파이터 시청자의 상당수가 코미 안티로 활동했다는 소문도 있다. 그래도 완결편인 48화가 어쨌든 방영되기는 했는데, 바로 후속 프로그램인 별나라 요정 코미의 마지막회가 방영된 2002년 7월 14일에. 정확히 5개월만이며 당시 《별나라 요정 코미》 최종회와 《데블파이터》 최종회를 묶어서 '만화동산'[27]이란 제목으로 방영했다.[28] 문제는 이 작품의 경우 남자아이들이 시청하던 작품이었던 반면, 후속 프로그램인 별나라 요정 코미는 여자아이들을 타겟으로 하는 작품이었기에 두 프로그램을 연달아 보는 중립적 취향의 아이들이 아니라면 같이 보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다는 거다. 물론 나중에는 OCN이라는 채널에서 아예 묶음으로 최종화까지 방영해주긴 했지만 본 사람은 드물다.

그런데 이 마지막회와 관련된 병크가 이걸로 끝난 게 아니다. KBS 종영 이후 6년만인 2008년 여름에는 재능TV에서도 방영되었는데, 이번에는 마지막회 테이프가 유실되어 방영되지 못한 것이다. 어떤 사람이 원본 테이프를 보관하고 있는 KBS 미디어 측에 문의를 해 본 결과 정확히는 유실이 아니라 테이프 음성부 손상으로 인해 넘기지 못했다고 한다. 비슷한 시기에 재능TV에서 방영된 무적 캡틴 사우루스의 2번째 오프닝을 내보내지 않는 것에 대해서 재능TV 측이 영상이 유실되었기 때문이라고 변명하다가 이내 한 사람이 KBS 미디어 측에 문의해 영상 유실은 없었다는 사실을 알아내 여러 사정으로 내보낼 수 없다고 꼬리를 내린 것과는 달리 이 쪽은 진짜로 최종화가 손상되는 바람에 방영이 불가능한 것이다.

KBS에서 마지막회 편성이 꼬이는 사태가 왜 발생했는지는 방송 관계자가 아닌 이상 알 수 없지만, 아예 47화에다가 마지막회 자막을 넣어버린 것과 그 다음 주부터 새 프로그램인 별나라 요정 코미가 편성되기 시작했던 것을 보면 수급을 담당하는 KBS 미디어 측이 47화를 완결편으로 착각해버렸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게다가 나중에는 원본 테이프가 파손되어 아예 방송이 불가능한 사태까지 이르렀으니 이쯤 되면 애니메이션에 마가 끼었다는 표현이 가장 적절할 지도.[29]

현재 인터넷 상에서 돌아다니고 있는 한국판은 재능방송 방영판을 녹화한 것인데 47화를 보면 배포자가 직접 자막으로 전후 사정을 설명한 뒤 더빙판 완결화를 찾는다고 기재했다. 하지만 찾는다는 시기가 2008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벌써 10년도 더 지났다. 48화가 국내에 방영되고 투니버스와 iTV에서 재방송된 지 10년 넘는 세월이 지났는데, 더빙판 최종화를 녹화한 사람이 나타나지 않는 등 아무런 소식이 없는 것으로 봐선 사실상 최종화를 녹화한 사람이나 당시 방영분을 녹화한 자료가 남아있지 않은 모양이다. 투니버스iTV 등에서는 마지막회가 문제없이 방영되었던 것으로 보아 적어도 2007년까지는 48화 원본 테이프가 멀쩡해서 무리없이 방영할 수 있었던 듯 한데, 2002년 7월 14일 방송된 KBS 방송본이나 2007년까지 방영된 투니버스, iTV 방송본을 누군가 녹화해 둔 게 남아 있었다면 적어도 인터넷 상에서는 볼 수 있었을 것이다.

물론 애니메이션이 국내에 더빙되어 방영된 지 세월이 많이 흘러서 자료가 유실되는 등 특정 에피소드의 국내 방영판 자료가 남아있지 않은 애니메이션은 이 외에도 꽤 있기에 단순히 한 화의 국내 방영판 자료가 남아있지 않다고 볼 수도 있으나(특히 그 편이 정말 1회용이면 상관없을 수 있다), 문제는 여기서 유실된 에피소드는 하필 스토리 상 매우 중요한 최종결전 및 작품의 완결을 다루는 최종화라는 것. 시청하지 않아도 메인 스토리에 지장이 없는 일반적인 에피소드와는 얘기가 다르다. 백 번 양보해 원본 테이프가 손상된 것도 작품이 제작/더빙된 지 세월이 많이 흘러서 벌어진 일이라고 볼 수 있어도, 이처럼 방송사의 착오로 인해 편성이 꼬인 일까지 벌어진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다. 한편으론 사실 케이블에서 재방송 되기 오래전부터 망가져 있던 거 아닌가 생각되기도 하지만.

최종화를 재더빙하면 되겠지만 고작 한 화 가지고 재더빙을 하기에는 비용적으로 문제가 있을 뿐더러[30] 당시에 더빙을 담당했던 성우 중 최병상2008년에 이미 고인이 되었고, 악역/단역으로 출연한 유해무, 설영범, 성완경, 온영삼이 2010년대에도 간간히 활동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주인공 역으로 출연한 이영주, 이진화, 김순영, 이용순 등은 근래 들어 거의 활동을 하고 있지 않다.[31] 아예 처음부터 성우를 새로 캐스팅해 48화(일본판 50화)의 재더빙을 하면 되겠지만 이 작품이 크게 인기가 있었던 작품이 아닌 데다가[32], 국내 방영 판권도 오래 전에 만료된 상황이므로 재방영은 무리일 것이다.[33] 당장 동 시기에 SBS에서 방영했던 비슷한 인지도의 몬스터물인 몬스터팜의 경우에도 시청률 부진이 원인이었는지 1기에서 조기종영되어 2기는 국내에서 방영되지 못했으며[34], 최종화를 고작 15화 남겨두고 종영해 방영되지 못한 포켓몬스터의 성도리그 에피소드조차 포켓몬코리아로 한국 내 판권이 넘어와 있는 현재까지도 방영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35]

판권을 새로 재계약해서 1화부터 다시 방영하는 것도 무리인 게 앞서 설명한 대로 이 작품이 크게 인기를 끌지 못한 건 그렇다고 치더라도 현 시점에서 첫 방영한 지 20년이 넘어가는 현재로서는 상품성이 완전히 소멸해버린 옛날 작품을 다시 방영하겠다고 나설 곳은 절대로 없기 때문에[36] 구작들도 자주 들여오기도 하는 라프텔 등의 스트리밍 사이트 등지에서 서비스한다거나 해당 에피소드를 녹화해 소장하고 있는 사람이 나타나지 않는 이상 현재로서는 자막판을 보는 것이 최선이다.
5.1.3.1. 휴방 사례
한국어 더빙판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5.1.3.2. 미방영된 에피소드

5.2. 코믹스

파일:데블파이터 코믹스판.jpg

코단샤의 아동용 만화잡지 코믹 봉봉[38]에서 코믹스판이 연재되었다. 총 5권 완결. 이 코믹스판은 미칠듯이 암울한 전개와 잔혹한 묘사[39]를 보여줘서 아이들(특히 밝은 분위기의 애니판을 시청했던)에게 엄청난 트라우마를 안겨주었다. 그래서 붙은 별명이 아동지의 베르세르크였다. 그런데 오히려 이런 전개 때문인지 본가 팬들이 더 좋아한다고 한다.

코믹스판 작가인 후지이 히데아키는 1977년 12월 12일 미야기현에서 태어나 2000년부터 이 만화로 데뷔해 코믹 봉봉에서 데빌 칠드런 시리즈의 코믹스판을 계속 그려오다가, 코믹 봉봉 폐간 이후에는 카도카와 쇼텐의 <케로케로 에이스>를 거쳐 2011년부터 쇼가쿠칸의 월간 코로코로 코믹으로 가서 골판지 전기 시리즈의 코믹스판을 2년 동안 그렸다. 골판지 전기 코믹스는 데빌 칠드런 때와 비교하면 매우 건전해졌다고 한다.(공식 트위터)

2013년 신장판 3권이 나왔다. 내용은 묶어져서 총 3권이 완결이다. 본래 단행본 내용+새로운 만화 덤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 권마다 책 두께가 장난이 아니다. 다만 한국에선 미정발 상태다.

6. 관련 문서


[1] 대신 패배하면, 일정량의 소지금을 잃고, 파트너를 제외한 기절한 동료마는 전부 호텔에서 마카를 지불하고 부활시켜야 하는 패널티가 존재한다.[2] 아기 계열로 예를 들자면 아기-아기라오-마하라기 이런 순이다.[3] 후에 백의 서에서는 5단계 계보로 변했다. 아기 계열로 예를 들자면 아기-아기라오-마하라기-마하라기온-마하라기다인. 그리고 하마 계열에서 마함마가 추가됐다. 염, 빙서에서는 공격계 스킬이 다른 작품들처럼 6단계 구성이 됐다.[4] 적의 서 초반엔 동급생으로 위장한 데빌이 어머니에게서 받은 부적(실은 마계와 관련된 물건)을 빼앗으려 하자, 빡쳐서 발차기 한 대 풀스윙으로 날려서 데꿀멍하게 만들었다.[5] 그렇다고 욱하는 성질이 완전히 죽은 건 아니고, 다른 인물들이 사고 한 번 크게 벌리거나 하면 참다 못해 폭발한다.[6] 한 에피소드에서 같은 반 동급생에게 세츠나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받자 얼굴을 붉히며 얼버무리는 듯한 묘사가 나온다.[7] 원작에서 미라이와 첫 대면을 했을때, 당황한 미라이가 무심코 "권총에서 새가 나왔다! 심지어 새가 말까지 했어!! 하지만 이건 마법이 아니라 마술이잖아!"라고 외쳐버리자 발끈해서 "나는 장난감이나 새가 아니야!"라고 열심히 항변(...)하면서 "이러니깐 인간은 싫다니깐"이라며 투덜거린다.[8] 여기서는 세츠나와는 사촌으로, 그 사실이 발각된 것은 최종결전이 한참일 때 였다.[9] 이 사건 이전에 아젤을 만나러 온 제트와도 만난 적이 있었다.[10] 이 과정에서 세츠나에게 반해 버린다.[11] 한국판에서는 비비사나와 파이몬의 이름이 서로 바뀌었다. 오역이라기 보다는 한국어 기준으로 여성 데빌인 파이몬이 남성스런 어감의 이름, 남성 데빌인 비비사나가 여성스런 어감의 이름이라 의도적으로 바꿨을 가능성이 높다.[12] 두 성우 모두 원피스의 볼사리노를 맡았다.[13] 미라이가 주인공인 적의 서의 보스전을 직접 경험해 보거나, 데비다스(비슷한 걸 치자면 포켓몬 도감)를 통해 스테이터스를 확인해 보면 스탯이나 기술이나 레벨 1의 잡몹인 쁘띠프로스트 따위엔 비교를 불허할 정도로 강함을 자랑한다.[14] 아이스랜드의 지배자인 헬도 여기에 해당이 된다.[15] 단, 코믹스 판에선 그냥 평범하게 표준어를 쓴다.[16] 사실 입수 난이도는 그닥 어렵지 않다. 파이어 랜드의 카지노에서 게임을 통해 메달 5000개(또는 5만 마카를 투자해서 메달 5000개로 교환)만 모아서, 경품으로 교환한 다이아몬드를 상점에 되팔면 바로 10만 마카가 수중에 들어오기 때문. 다만 평소에 잡몹이나 보스들에게 패배를 자주 당했거나, 훈련소 등의 시설에 돈을 쏟아 부어서 재정 관리를 영 안해서 소유 마카가 5만 이하라면(...).[17] 작중의 키 아이템인 메시아의 뿔(메시아의 눈동자)를 결합시켜 만든 것. 세계를 구원할 수 있다는 물건으로 묘사되며, 총 7개다.[18] 카나메의 할아버지만 레귤러이고, 노리코 선생을 포함한 동급생 3인방은 루시퍼전 이후로 등장이 없다.[19] 칼과 동일 성우.[20] 데빌 칠드런이 아닌 데비치루인 이유는 제작 방송국인 중부일본방송(CBC)의 정책, 그리고 해외 수출을 고려한 작품이기 때문에 '데빌' 등의 단어를 사용하기 힘들어서라고. 빛의 서·어둠의 서의 애니판도 데빌 칠드런이 아닌 D 칠드런이라고 표기한다. 어쨌든 밑에는 데빌 칠드런이라고 병기해놨었고 또 우리나라는 데빌이라는 단어에 크게 거부감을 느끼는 나라가 아니기 때문에 데블파이터라는 이름으로 들어왔다.[21] 그 이전에는 진 여신전생 애니판이 1995년 OVA로 발매된 적이 있다.[22] 원래는 2쿨 예정이었는데 연장 방영되었다고 DVD-BOX에 들어있던 해설서에서 감독이 밝혔다.[23] 보컬 나오, 프로듀스 유타로 활동. 10년 전 활동밖에 없지만 익명으로 각종 테마곡을 불렀다. 현재는 보컬의 나오가 라이브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24] 소프트 비쥬얼 계 락 밴드이며, 1994년부터 활동하다 2005년 해산했다.[25] 해당 시간대는 어린이 드라마가 메웠다.[26] 심지어 디지몬 어드벤처, 파워 디지몬, 디지몬 테이머즈도 이원희 PD가 연출했다. 만약 이원희가 아닌 다른 PD가 맡았다든가, 아니면 본작이 아예 KBS가 아닌 다른 방송사에서 더빙되었다면 '데빌 칠드런'이라는 단어가 그대로 쓰이거나 '선택받은 아이들'이 아닌 완전히 다른 명칭으로 바뀌었을 것으로 보인다.[27] 디즈니 만화동산 이전에도 KBS2에서는 일요일 아침에 두 편 정도의 애니메이션을 틀어주었는데, 이 때 사용했던 이름이 만화동산이었다.[28] 이후 해당 시간대에는 디즈니 만화동산이 부활해 3개월간 더 편성되었으며, 2002년 11월 3일부터 목~금요일 오후 5시 30분으로 이전하면서 KBS2의 일요일 만화 편성은 완전히 멸종했다.[29] 참고로 별나라 요정 코미 더빙판도 만화동산에 포함된 43화와 마지막 부분인 39~42화는 남아있지 않다. 비디오도 38화까지만 나왔고, 그마저도 KBS판을 그대로 녹화해서 나와 그런지 KBS 로고를 비디오 제작사 로고로 덮어씌웠다.[30] 애초 재더빙 자체도 비용적 부담이 크다.[31] 이영주 성우는 성우학원에서 강사를 하고 있고, 이진화 성우는 디즈니 애니를 제외하면 활동이 그렇게 많지 않은 상태이다. 김순영 성우는 현재는 성우보다는 유치원 원장으로 일하고 있으며, 이용순 성우는 그나마 앞에 3명보다는 활동은 하고 있으며 라디오 극장 같은 곳에서 간간히 출연하고 있는 상태이다.[32] 동 시기에 국내에서 방영했던 작품이 탑블레이드, 포켓몬스터, 파워 디지몬이다. 게다가 이 작품의 편성 시간이 바뀌기도 했던 것을 보면 인기 면에서 고전했을 가능성이 높다.[33] 게다가 KBS에서는 합작을 제외한 해외 애니메이션 편성을 2007년 원피스 조기종영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하지 않는다.[34] 사실 2기는 스토리에서 문제점이 많아 오히려 방영을 안 하는 게 더 나았다는 의견도 있다. 왜인지는 문서를 타고 들어가서 읽어보자.[35] 다만 이 두 작품의 국내 미방영 에피소드들은 당시 SBS와 애니메이션 제작사 간의 배급 계약 문제가 겹치면서 판권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상황이다.[36] 그나마 보노보노가 2010년 이후로도 대교어린이TV에서 재방영되기도 했지만 애초에 이 작품은 데블파이터와 달리 보노보노 극장판이 SBS, KBS에서도 중복 편성되고 리메이크까지 되는 등 대중적인 인기를 얻은 작품이기 때문에 얘기가 다르다.[37] 브래지어와 팬티만 입었다.[38] 한때 쇼가쿠칸월간 코로코로 코믹과 라이벌 구도를 이루었던 잡지였는데, 1990년대 후반 이후로(라이벌인 코로코로가 포켓몬스터를 잡았던 게 크다) 갈팡질팡하다가 노선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2007년에 폐간됐다.[39] 적의 공격을 받고 주인공의 팔이 떨어져 나간다거나, 칼이 박히고 복대가 뚫리고, 심지어는 오체분시까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