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0 00:03:33

진도군/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진도군
1. 철도2. 도로
2.1. 고속도로2.2. 국도2.3. 지방도
3. 버스 및 택시4. 여객선5. 항구.어항

[clearfix]

1. 철도

철도가 다니지 않으므로 KTX, SRT를 타려면 목포역으로 가야한다.

2019년에는 김영록 전남지사가 진도군에 찾아가 목포군산 서해철도 진도연장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최근의 근황이 끊겨진 상태다.

2. 도로

2.1. 고속도로

2000년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단골문제로 서해안고속도로의 진도연장이 추진되었지만 77번 국도를 4차선 고속화도로로 개선하게 됨으로서 사실상 무산되었다. 그러나 인구소멸위기지역에 포함되어 있어 지역의 존망에 달려 있는 만큼 현재 이동진 진도군수를 중심으로 다시 한번 재추진에 들어가기 시작했지만 현재까지 진척이 없다.

2.2. 국도

18번 국도 뿐이며 타지역에서 진도로 들어갈려면 무조건 해남군을 거쳐야 한다. 18번 국도 중 진도읍 - 진도대교까지는 왕복 4차로로 개량되어 있는데, 과거 산과 저수지를 빙빙 돌아가는 좁고 위험한 2차로 도로만을 이용했던 과거에 비하면 고속도로 수준이다. 2015년 4월 23일 진도읍 - 진도대교 전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다. 제1진도대교를 상행선 2차로 전용으로, 제2진도대교를 하행선 2차로 전용으로 사용했으며,[1] 진도읍 포산리 포산삼거리 - 영암군 삼호읍 용앙리 호등교차로까지 45km길이에 걸쳐 왕복 4차선 도로가 이어지므로 수도권목포로 신속한 교통연결이 가능하게 되었다.[2]

2.3. 지방도

3. 버스 및 택시

진도와 외부와의 연결은 진도공용터미널에서 고속버스, 시외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주로 광주, 목포, 해남 등 전남권으로 가는 노선이 많으며 서울[3], 인천, 부산 노선도 존재한다.[4]

진도군 본토를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업체로는 진도여객옥주여객이 있고, 두 회사가 버스 노선을 공동 배차한다. 조도면에서는 조도여객이 농어촌버스를 운행한다. 또한 영양군, 옹진군 대청면과 더불어 교통카드 제도를 실시하지 않는다. 과거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었으나 그저 장식으로만 있었다. 대신 봉화군 농어촌버스, 청송군 농어촌버스처럼 무료화 계획이 있다.

일반 관광객이 관광을 하기에는 교통이 매우 열악한데,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이러한 관계로, 차없이 배낭여행 등을 생각하고 온 여행자에게는 대략 난감한 상황이 펼쳐진다. 느긋하게 관광을 할 생각이 아니라면 차를 몰고 오거나 렌트하는 게 편하다.

4. 여객선

진도대교가 놓이기 전까지는 배편을 이용하여 주로 목포시로 이동을 했다고 한다. 2005년 SBS에서 방영된 패션 70s에서 맹골도에 사는 더미(이요원 분)가 진도 본섬을 거쳐 목포로 나가는 장면이 심심치 않게 있었다.

2022년 5월에 진도항에서 제주항으로 가는 산타모니카호가 취항을 했으나, 이런저런 문제로 매우 불안정하다.

5. 항구.어항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지정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무역항
속초항, 옥계항, 묵호항, 동해항, 삼척항, 호산항, 포항항, 울산항, 울산신항, 장생포항
인천항, 인천신항, 경인항, 서울항, 평택·당진항, 대산항, 태안항, 보령항, 장항항, 군산항, 목포항
부산항, 부산신항, 진해항, 마산항, 고현항, 옥포항, 장승포항, 통영항, 삼천포항, 하동항, 여수항, 광양항, 완도항
제주항, 서귀포항
연안항
주문진항, 울릉항, 후포항, 강구항, 구룡포항
격렬비열도항, 용기포항, 연평도항, 대천항, 마량진항, 상왕등도항, 송공항, 대흑산도항, 홍도항, 가거향리항
부산남항, 중화항, 국도항, 거문도항, 나로도항, 녹동항, 강진항, 화흥포항, 갈두항, 진도항
추자항, 애월항, 한림항, 화순항, 성산포항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


[1] 4차선 도로로 개통되기 전에는 제1대교는 해남행 전용, 제2대교는 양방향으로 설정해놔서 진도행 1개 차로, 해남행 3개 차로라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2] 다만 진도대교 - 삼호읍 구간이 대부분 신호등이 있는 평면교차로이며, 교차로에 있는 신호등들이 대부분 정상작동이 되는 신호등이라 신호가 걸리면 표정속도가 느려지고 과속단속 카메라들 곳곳에 설치가 되어있어 고속주행이 거의 불가능하다.[3] 고속버스 서울호남-진도[4] 목포-남악-삼호-광양-동광양-부산사상 일부 횟수가 진도까지 연장한다. 프리미엄 한정, 전남 남해안 지역을 경유해서 시간이 많이 걸리며 차라리 광주로 가서 갈아타는 게 더 빠르고 편하다.[5] 진도공용버스터미널의 표 발급기도 군내버스 구간은 얄짤 없이 현금만 요구한다. 창구에서도 기본적으로는 현금만 받는다고 안내한다.[6] 진도보다 택시비가 더 비싼 지역도 있는데 충북 단양이 그렇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4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4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