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15:51:10

풀 초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풀 초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훈음이 같은 한자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풀 초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6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0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ソウ
일본어 훈독
くさ
-
표준 중국어
cǎ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중국 넷상에서의 비속어5. 일본 넷상에서의 용례6. 유의자7. 상대자8.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草는 '풀 초'라는 한자로, ''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풀
중국어 표준어 cǎo
광동어 cou2
객가어 chhó
민동어 chāu / chō̤
민남어 chháu / chhó
오어 tshau (T2)
일본어 음독 ソウ
훈독 くさ
베트남어 thảo

유니코드에는 U+8349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ㄘㄠˇ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廿日十(TAJ)로 입력한다.

艸(풀 초)와는 훈도 음도 같지만 이체자 관계는 아니다. 원래는 艸가 草보다 먼저 나왔으며 艸가 일반적인 풀을 뜻하는 한자였다고 한다. 그러다 금문에서 소리부 중 하나였던 早(이를 조)와 결합하여 草라는 형성자로 분화되었고, 이때부터 초두머리(艹)가 부수로써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草는 특정 풀을 가리키는 고유명사였으나 훗날 일반적인 풀로 의미가 확대되어 사실상 艸와 의미차이가 없어졌다. 단지 어원적인 이유로 이체자 취급되지 않는 것이다.

덕분에 草가 초두머리부의 제부수자[1]라는 오해도 생겼는데, 저학년 한자교재 등지에서 이런 식으로 가르치는 경우가 꽤 많다.

한편 草는 풀이라는 뜻이 대표적이지만 '처음'이라는 뜻도 있다. 그래서 '초창기', '초안' 등의 단어에 쓰인 '초'자의 한자는 初일 것 같지만 草이다. 특히 초창의 경우 初를 쓰면 '절을 처음 세움'이라는 뜻의 전혀 다른 단어가 된다.

3. 용례

3.1. 단어

3.1.1.

풀을 뜻하는 한자인 만큼 식물의 명칭에 자주 붙는 한자이다.

3.1.2. 처음


* 초서(草)
* 초안(草)
* 초창기(草)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역명

역명에 草가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초역(瑞草驛)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초지역(草芝驛)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강선 초월역(草月驛)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초지역(草芝驛)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초지역(草芝驛)
파일:EverLine_icon.svg 용인 에버라인 초당역(草堂驛)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초량역(草梁驛)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일반 철도역 광양제철선
신광양항선 초남역(草南驛)
역명에 草가 들어가는 철도역 (북한)
만포선 초상역(草上驛)
역명에 草가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파일:JRK_Wlogo.svg 나가사키 본선
(나가요선)
오쿠사역(大草駅)
파일:JRW-A.svg 도카이도 본선
(비와코선)
쿠사츠역(草津駅)
미나미쿠사츠역(南草津駅)
파일:JRC-CA.svg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선)
쿠사나기역(草薙駅)
파일:JRE-JB.svg 소부 본선
(츄오-소부 완행선)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 도에이 아사쿠사선
아사쿠사바시역(浅草橋駅)
파일:JRK_Wlogo.svg 큐다이 본선 치쿠고쿠사노역(筑後草野駅)
파일:JRE_Wlogo.svg 아가츠마선 나가노하라
쿠사츠구치역

(長野原草津口)
파일:JRW_Wlogo.svg 야마구치선 나구사역(名草駅)
파일:JRE_Wlogo.svg 야마다선 마츠쿠사역(松草駅)
파일:JRW_Wlogo.svg 우베선 쿠사에역(草江駅)
파일:JRE_Wlogo.svg 조반선 쿠사노역(草野駅)
파일:JRW-C.svg 쿠사츠선 쿠사츠역(草津駅)
파일:JRW-G.svg 후쿠치야마선
(JR 타카라즈카선)
쿠사노역(草野駅)
파일:Tobu-TS.svg 도부 이세사키선 소카역(草加駅)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 도쿄메트로 긴자선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 도에이 아사쿠사선
파일:Tobu-TS.svg 도부 이세사키선
아사쿠사역(浅草駅)
파일:Seibu-SS.svg 세이부 신주쿠선 시모이구사역(下井草駅)
카미이구사역(上井草駅)
파일:Shizutetsu_logo.png 시즈테츠
시즈오카시미즈선
쿠사나기역(草薙駅)
파일:ANJR_logo.png 아키타내륙종관철도
아키타 내륙선
카야쿠사역(萱草駅)
파일:CM-CM.svg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 쿠사미치역(草道駅)
파일:Keio-KO.svg 케이오선 모구사엔역(百草園駅)
파일:Keihan-KH.svg 케이한 본선 류코쿠다이마에후카쿠사역(龍谷大前深草駅)
파일:HOR_Wlogo.svg 치바 도시 모노레일 2호선 사쿠사베역(作草部駅)
파일:Hiroden_logo.png 히로덴 미야지마선 쿠사츠역(草津駅)
쿠사츠미나미역(草津南駅)
역명에 草가 들어가는 철도역 (중화권)
파일:가오슝 첩운 홍선 아이콘.png 가오슝 첩운 홍선 차오야역(草衙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6호선 차오팡역(草房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10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19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19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다싱국제공항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다싱국제공항선
차오차오역(草桥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옌팡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옌팡선 쯔차오우역(紫草坞站)

3.6. 창작물

3.7. 기타

4. 중국 넷상에서의 비속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일본 넷상에서의 용례

한마디로 풋(푸훗). 언젠가부터 일본에서는 웃음 때문에 www가 길게 늘어서면 모습이 풀밭 같아 그런지 이 한자를 wwwww 대용으로 쓰기 시작했다. 정확한 용례는 한여름 밤의 음몽 관련 영상에서 음몽 팬덤과 속칭 논케라 불리는 일반인을 구별하기 위해 w대신에 이 표현을 쓴 게 트위터를 통해 보급화되기 시작하면서, 이젠 www보다 草가 더 많이 보일 정도로 보편화되었다. 영어로 치면 LOL 대용으로 lmao, rofl 등이 생겨나는 것과 비슷한 현상. 파생형으로 くさはる(풀 자란다), 草不可避(풀 불가피), 大草原(대초원), 大草原不可避(대초원 불가피) 등이 있다.

주로 10대~20대 초반이 사용한다. 참고로 사용하는 방법은 ~して草나[2] 그냥 草 하나만 쓰는 경우도 있으며 원래의 www를 대체하는 의미로는 草 한 글자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은 편.

草를 w와 같이 쓰는 것은 '草に草生やすな'라는 식으로 지적받는다.[3]

6. 유의자

7. 상대자

8.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어떤 부수의 원형이 되는 한자[2] 예) あの人顔ブス過ぎて草 (저 사람 얼굴 너무 못생겨서 졸웃. 정도의 느낌)[3] 직역하면 '풀에다 풀을 자라게 하지 마라'는 뜻으로, 한국으로 치면 ㅋㅋzz로 치지 말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