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베강 전투 Battles of Piave River | ||
시기 | ||
1918년 6월 15일 ~ 23일 | ||
장소 | ||
이탈리아 왕국 피아베강 | ||
교전국 | [[이탈리아 왕국| ]][[틀:국기| ]][[틀:국기| ]] [[프랑스 제3공화국|]] 프랑스 제3공화국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틀:국기| ]][[틀:국기| ]] |
지휘관 | [[틀:깃발| | ]][[틀:깃발| ]][[틀:깃발| ]] 아르만도 디아츠[[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스베토자르 보로예비치 폰 보이나| ]]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아르투어 폰 슈트라우센부르크 | ]][[틀:깃발|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
결과 | ||
이탈리아 왕국의 결정적 승리 | ||
영향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전의 급감 | ||
전력 | 965,000명 야포 5,650문 항공기 676기 | 946,000명 야포 6,833문 항공기 540기 |
피해 | 87,181명 | 118,042명 |
강 너머로 포격을 가하는 이탈리아군 |
전투를 준비하는 이탈리아군 |
[clearfix]
1. 개요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전선의 결과를 사실상 결정지은 전투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이 이탈리아 왕국군에게 참패하였다.2. 배경
1915년 이탈리아 전선 개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이탈리아 왕국 양측은 험준한 알프스산맥에 틀어박혀 큰 전선의 이동 없이 수만~수십만의 병력을 투입하여 이손초 전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1917년 카포레토 전투에서 독일군의 하드캐리를 받은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게 이탈리아가 참패하면서 12차례에 걸친 이손초 전투가 종결되고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이탈리아 영토 내로 진격하였다. 카포레토 전투의 참패 이후 이탈리아군은 일시적으로 붕괴해버렸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군 역시 공세 종말점에 도달하면서 이탈리아군은 전열을 가다듬고 그리파 전투에서 간신히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막아내는데 성공했다.1918년이 되면서 동맹국은 사실상 한계에 다다랐으나 동부전선의 러시아가 사실상 전쟁에서 이탈하면서 여유가 생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이번에야말로 이탈리아를 끝장내어 이탈리아 전선을 종결하고자 하였고 마지막 남은 모든 역량을 끌어모아 국가의 운명을 건 공세를 기획하였다.
한편 카포레토 전투 이후 이탈리아 왕국은 로마가 점령되고 시칠리아로 밀려나도 항복은 없다면서 항전의사를 불태웠고 국가의 호소에 청년들의 자원입대 역시 줄을 이어갔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목표는 베네치아 지역을 점령하여 이탈리아의 항복을 받아내는 것이였고 알프스 산맥을 넘어선 상황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베네치아 사이의 유일한 자연적 방어선인 피아베강에서 양측의 운명을 건 전투가 시작되었다.
3. 전투
6월 15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포격으로 전투가 시작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병력을 둘로 쪼개어 공격을 시도했는데, 역 ~자 모양의 피아베강 중 회첸도르프의 군대는 돌출된 중류지역을 돌파하고 보로예비치의 군대는 해안을 따라 진격하면서 남쪽으로 꺾인 강 중하류 지역을 돌파하여 이탈리아군을 포위하려 하였다. 보로예비치의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강을 따라 늘어선 이탈리아군의 참호를 향해 포격을 가하고 강을 건너 교두보를 차지하려 하였다. 보로예비치의 군대는 이탈리아군의 포격으로 잠시 후퇴하였지만 이후 다시 도하를 시도하여 이탈리아군의 방어진지를 점령하고 교두보를 차지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협상국 항공기들과 포병의 포격으로 강의 다리들이 파괴되어 보급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탈리아군은 사실상 강에 가로막혀 포위된거나 마찬가지였던 보로예비치의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공격하였다. 결국 보로예비치는 교두보를 포기하고 6월 19일 병력들을 철수시키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몰려오는 이탈리아군을 격퇴하면서 질서정연한 후퇴를 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고 결국 강의 다른 곳을 통해 도하한 이탈리아군에 의해 측면을 공격당하여 패주하였다. 수많은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이탈리아군의 포격에 전사하거나 익사하였고 몇몇 지역에서는 백병전도 벌어졌다. 한편 회첸도르프의 군대 역시 이탈리아군에 의해 피해를 입고 철수하였다. 6월 22일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10만명이 넘는 상당한 피해를 입었고 황제 카를 1세가 후퇴를 명령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공세는 허무하게 끝나고 말았다.4. 영향
이탈리아군은 대승을 거두었으나 처음에는 이 전투의 의미를 트렌티노 공세처럼 단순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좀 큰 규모의 공세를 방어해낸 전투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 공세는 말 그대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모든 역량을 끌어모아 쥐어짜낸 것이었으며 전투의 패배로 안그래도 삐걱대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모든 역량을 소진하며 사실상 멸망의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이 전투의 패배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넘어 동맹국 전체에게 대단한 충격이었는데 에리히 루덴도르프는 이 전투의 소식을 듣고 처음으로 패전을 직감했다고 할 정도였다.
이탈리아에서는 해당 전투를 패전의 위기에서 전쟁을 승리로 이끈 구국의 전투로 평가하며 신이 승리를 도왔다는 식의 선전화가 쏟아져 나왔고 피아베 강의 전설과 같은 노래가 만들어진다.